KR100639929B1 -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929B1
KR100639929B1 KR1020040045803A KR20040045803A KR100639929B1 KR 100639929 B1 KR100639929 B1 KR 100639929B1 KR 1020040045803 A KR1020040045803 A KR 1020040045803A KR 20040045803 A KR20040045803 A KR 20040045803A KR 100639929 B1 KR100639929 B1 KR 100639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clamps
connection
circumferent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451A (ko
Inventor
이진로
Original Assignee
(주)인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인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04004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929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를 상호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의 연결부분에 오링 형태의 패킹링을 끼우고 연결부분의 외주연을 클램프로 조여 체결하므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연결부분을 확실히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클램프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주연의 연결부분에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로 이송되는 유체(액체,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오링 형태의 패킹링이 끼워지고, 연결부분의 외주연에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와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클램프, 파이프, 연결

Description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Technical Clamp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킹링 20 : 파이프 또는 연결구조체
30 : C자형 연결부 40 : 돌출테로 형성된 클램프
50 : 결합홈으로 형성된 클램프
본 발명은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를 상호 연결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의 연결부분에 오링 형태의 패킹링을 끼우고 연결부분의 외주연을 클램프로 조여 체결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연결부분을 견고하게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기능성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기체, 액체)의 이송에 사용되는 파이프는 상하수용 관이나 또는 산업용 배관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파이프는 대부분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있었다.
상기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상하수용 관은 규격화된 크기의 소정길이로 제작되며,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지중에 매설 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존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에는 파이프의 연결부분을 직접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방식과, 파이프의 연결부분에 상호 어댑터를 끼우고 연결부분의 외주연에 클램프를 조여 체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금속재질의 파이프는 연결부분에 상호 어댑터를 끼우고 연결부분의 외주연에서 C자형 클램프를 고정시킨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배수관용 파이프는 그 형상에 따라 단부에 플랜지의 고정수단등을 갖는 플랜지타입의 배수관과 단부가 직선형태인 배수관을 볼 수 있었다. 파이프의 단부에 플랜지등의 고정수단을 갖는 배수관은 주철재관에서 주로 볼 수 있었으며, 강관이나 합성수지재관등은 파이프의 단부가 직선형태를 유지하는 직관 형태를 갖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재질이 금속재인 강관이나 그 재질이 경질 비닐인 합성수지제관등을 불문하고 단부가 직선형태를 갖는 배수관용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를 상호 연결하는 종래 클램프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클램프의 체결이 해체될 수 있었고, 동시에 그로 인해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를 통과하는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가 야기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밖에도 연결부분에 대한 클램프의 체결 및 해체 과정이 번거로워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주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의 연결부분 외주연에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와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를 체결함으로써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간의 밀착력을 높여주어 클램프에 강한 힘을 가하여 결합시키지 않고도 연결부분을 견고하게 밀착시켜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프의 양측단에 돌출테와 결합홈을 형성한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때 연결부분인 파이프 또는 연결구조체의 손상과 변형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돌출테와 결합홈으로 형성된 클램프를 사용하여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의 클램프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클램프의 설치 및 해체에 있어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의 연결부분에서 유체(액체, 기체) 누수를 방지하는 한편 상기 연결부분의 손상과 변형을 줄이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는 양측 파이프(20)의 외주연에서 외주벽이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가 있는 일측의 클램프(40)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50)를 먼저 상기 파이프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킨 후 양측 파이프(20)에 위치한 클램프(40, 50)가 파이프 또는 연결구조체의 외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양측 클램프(40, 50)의 내경을 일측이 개방되어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C자형 연결부(30)를 상기 클램프(40, 50)의 내경에 삽입하여 양측 파이프(20)를 고정시키고,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부분에 오링 형태의 고무 재질의 패킹링(10)을 끼워 상기 양측 파이프(20)의 외주연에서 외주벽이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40)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50)에서 상기 돌출테와 결합홈을 맞춰 돌려서 체결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파이프(20)의 양측에 C자형 연결부(30)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C자형 연결부(30)는 외주벽에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40)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50)를 파이프(20) 외경의 크기에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C자형 연결부(30)를 자세히 설명하면, 파이프(20)의 외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양측 클램프(40, 50)의 내경을 일측이 개방되어 크기 조절이 가능한 C자형 연결부(30)를 이용하여 상기 양측 클램프(40, 50)의 내경에 삽입하여 파이프 또는 파이프와 유사한 형태의 연결구조체를 클램프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삭제
삭제
한편 파이프(20)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상기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40)와 상기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50)를 파이프(20)의 연결부분에 고정시켜 양측 파이프(20)의 결합력을 한층 높이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플랜지가 있는 양측 파이프를 연결하는 오링 형태의 패킹링과 상기 파이프의 양측을 고정시키는 C자형 연결부와 외주벽에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두 파이프에 클램프를 체결하는 방법은 플랜지가 있는 양측 파이프(20)의 외주연에서 외주벽이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가 있는 일측의 클램프(40)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50)를 결합이 용이한 위치에 놓은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양측 파이프(20)에 위치한 클램프(40, 50)가 파이프 또는 연결구조체의 외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양측 클램프(40, 50)의 내경을 일측이 개방되어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C자형 연결부(30)를 상기 클램프(40, 50)의 내경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플랜지가 있는 양측 파이프(20)의 연결부분에 패킹링(10)을 삽입하는 제3단계와;
상기 양측 파이프(20)의 외주연에서 외주벽이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40)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50)에서 상기 돌출테와 결합홈을 맞춰 돌려서 체결함으로 상기 파이프 또는 파이프와 유사한 형태의 연결구조체를 감싸 연결부분을 체결하는 제4단계; 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두 파이프의 연결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한편 두 파이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연결부분에서 이송되는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하며, 클램프를 강한 힘을 주어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의 힘만으로도 연결부분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파이프 또는 파이프와 유사한 형태의 연결구조체의 양측 연결부분에 오링 형태의 패킹링이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분의 외주연에서 외주벽이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파이프 및 연결구조체의 연결에 있어서,
    상기 양측 파이프 또는 파이프와 유사한 형태의 연결구조체(20)로 이송되는 유체의 누수를 막기 위한 오링 형태의 고무 재질로 된 패킹링(10)과;
    상기 패킹링(10)이 끼워진 파이프 또는 연결구조체(20)의 외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양측 클램프(40, 50)의 내경을 일측이 개방되어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클램프의 내경에 삽입되어 클램프가 결합된 이후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C자형 연결부(30)와;
    상기 C자형 연결부(30)와 파이프 또는 연결구조체(20)의 연결부분 외주연에서 외주벽이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40)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50); 로 이루어진 기능성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파이프 또는 상기 파이프와 유사한 형태의 연결구조체를 양측 연결부분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랜지가 있는 양측 파이프(20)의 외주연에서 외주벽이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가 있는 일측의 클램프(40)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50)를 결합이 용이한 위치에 놓은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양측 파이프(20)에 위치한 클램프(40, 50)가 파이프 또는 연결구조체의 외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양측 클램프(40, 50)의 내경을 일측이 개방되어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C자형 연결부(30)를 상기 클램프(40, 50)의 내경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플랜지가 있는 양측 파이프(20)의 연결부분에 패킹링(10)을 삽입하는 제3단계와;
    상기 양측 파이프(20)의 외주연에서 외주벽이 나선형의 돌출된 테두리로 이루어진 돌출테로 형성된 일측의 클램프(40)와 내주벽에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으로 형성된 타측의 클램프(50)에서 상기 돌출테와 결합홈을 맞춰 돌려서 체결함으로 상기 파이프 또는 파이프와 유사한 형태의 연결구조체를 감싸 연결부분을 체결하는 제4단계; 로 이루어진 기능성 클램프 체결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040045803A 2004-06-19 2004-06-19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KR100639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803A KR100639929B1 (ko) 2004-06-19 2004-06-19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803A KR100639929B1 (ko) 2004-06-19 2004-06-19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343U Division KR200371982Y1 (ko) 2004-06-19 2004-06-19 기능성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451A KR20050120451A (ko) 2005-12-22
KR100639929B1 true KR100639929B1 (ko) 2006-10-31

Family

ID=3729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803A KR100639929B1 (ko) 2004-06-19 2004-06-19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889B1 (ko) * 2021-09-09 2021-12-06 임성오 원심분리기의 액오염방지 배출방법 및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890U (ja) 1983-02-28 1984-09-0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890U (ja) 1983-02-28 1984-09-0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継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451A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8177A (en) Hubless pipe coupling
US20090302601A1 (en) Pipe coupling device
US8313124B2 (en) Pipe junction with seal pressing device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US20110272888A1 (en) Slip joint with clamp
US20120112455A1 (en) Mechanical fastener for clamp
KR20110033548A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20170047015A (ko) 신축 이음관
KR101844820B1 (ko) 내압성능이 향상된 신축 관 이음장치
KR100639929B1 (ko)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JP3822021B2 (ja) 管継手の連結方法及び管継手構造
KR200371982Y1 (ko) 기능성 클램프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718684B1 (ko)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
KR101143365B1 (ko) 유체이송관의 배관을 위한 이음구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US11774016B1 (en) Quick coupling system for vertical fluid conveying conduits
KR100316129B1 (ko) 관 연결장치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KR200216805Y1 (ko)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0172174Y1 (ko) 이중벽 상,하수관 조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