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205B1 - 하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205B1
KR101350205B1 KR1020110043914A KR20110043914A KR101350205B1 KR 101350205 B1 KR101350205 B1 KR 101350205B1 KR 1020110043914 A KR1020110043914 A KR 1020110043914A KR 20110043914 A KR20110043914 A KR 20110043914A KR 101350205 B1 KR101350205 B1 KR 10135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er pipe
locking
connecto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257A (ko
Inventor
오강원
Original Assignee
오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강원 filed Critical 오강원
Priority to KR102011004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20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구 본체의 양측의 중간과 연결 하수관의 전방 단부면을 일치시킴에 따라 연결 하수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는, 삽입관의 전방단부의 둘레에는 외측 걸림턱이 형성되고 삽입관의 외주면에는 삽입 걸림부가 구비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삽입관에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 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링과, 상기 삽입관을 연결 하수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와, 상기 고정링을 삽입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내주면의 전방 상,하부에는 연결 하수관의 삽입을 단속하는 내측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의 내측 돌출턱의 사이인 삽입관의 내주면 전방의 양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전방 단부의 양측의 중간은 상기 연결 하수관의 전방 단부면과 일치되게 상기 내측 돌출턱의 후면과 일치되는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의 내측 돌출턱의 둘레 모서리부에는 전방으로 상향지고 전방으로 하향진 배수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A coupler for connecting drain pipe}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 하수관에 연결되는 연결 하수관의 전방 단부면이 단면상 연결구 본체의 선단부와 일치하도록 하고, 연결 하수관의 선단부가 주 하수관의 관통홀 단부면과 접하게 하여 보다 수밀성을 확보하며, 또한, 주 하수관에 대한 연결 하수관의 결합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콘크리트 옹벽으로 이루어진 지하시설물로서의 하수관과, 필요에 의해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하수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은 사람이 사용하고 버리는 생활하수를 일정한 장소 즉, 생활하수를 정화하는 하수정화처리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하는 관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변에 사람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새로운 건축물(주택이나 빌딩)을 건축할 경우에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에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이하, "주하수관" 이라 한다)에 새로운 하수관(이하, "연결 하수관"이라 한다.)을 연결시킬 경우, 주하수관의 외주면에 연결 하수관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구멍을 뚫고 연결 하수관의 일단을 주하수관의 내측으로 끼워 넣고 그 주변에 시멘트몰탈을 덮어 연결 하수관을 연결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멘트 몰탈을 덮는 방법으로 연결 하수관을 주하수관에 연결시킨 후, 연결 하수관과 주하수관을 흙으로 덮는 과정에서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시멘트 몰탈 부분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9981호의 "하수관 연결구"(이하, "종래의 하수관 연결구"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즉 종래의 하수관 연결관은, 연결구본체와 고정환으로 연결구가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한 외측걸림턱과 내측으로 돌출한 내측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부에 길이방향의 수축홈을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며, 하부 내측면에 보강링이 갖춰지고, 상부 외면에 일방향(상방향)으로 경사면을 갖춘 랙(rack)형상의 상방향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걸림턱의 상면은 주하수관의 내경 곡면과 일치하는 곡면부를 이루며, 상기 보강링은 상단부의 링과 그 하측의 보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판은 링과 일체를 이루며, 내측으로 돌출한 탄성판을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고, 보강판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지지단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환은 내면에 일방향(하방향)으로 경사면을 갖춘 랙형상의 하방향걸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하수관 연결구는, 연결구본체의 내부 하단부에 형성된 내측걸림턱이 연결구본체의 내측 둘레에 전체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주 하수관에 연결된 연결 하수관의 양측에 단차가 지게됨에 따라 하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내측 걸림턱의 내측 둘레의 단부가 직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연결하수관으로 부터 주 하수관으로 하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측 걸림턱의 직각 단부에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써, 시간이 흐를수록 하수의 흐름이 나빠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수관 연결구는 주 하수관에 결합시킬 경우 연결구 본체의 내부측에 형성된 걸림턱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주 하수관의 관통홀에 삽입시켜 결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 하수관에 연결되는 연결 하수관의 전방 단부면이 단면상 연결구 본체의 선단부와 일치하도록 하고, 연결 하수관의 선단부가 주 하수관의 관통홀 단부면과 접하게 하여 보다 수밀성을 확보하며, 또한, 주 하수관에 대한 연결 하수관의 결합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 본체의 내주면의 전방 상,하부에 형성된 내측 돌출턱의 모서리부에 배수 경사면을 더 형성함으로써, 연결 하수관에서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찌꺼기가 내측 돌출턱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구본체를 구성하는 삽입관의 외주면의 전방둘레에 주 하수관의 관통홀의 둘레면이 밀착되는 수밀링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주 하수관의 관통홀과 연결구본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수구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구 본체를 구성하는 삽입관의 후방에 고정링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삽입한 후, 일정각도의 회전만을 통해 삽입관에 고정링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삽입관의 전방단부의 둘레에는 외측 걸림턱이 형성되고 삽입관의 외주면에는 삽입 걸림부가 구비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삽입관에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 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링과, 상기 삽입관을 연결 하수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와, 상기 고정링을 삽입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내주면 전방 상,하부에는 양단에 단부턱을 갖춘 내측 돌출턱을 갖추게 하여 연결 하수관의 삽입을 단속하게 하고, 삽입관의 내주면 상,하부에 갖춰진 내측 돌출턱의 단부턱 사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전방 단부를 이루는 개방부의 양측에는 연결 하수관의 전방 단부면과 일치되게 상기 내측 돌출턱의 후면과 일치되는 깊이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의 내측 돌출턱의 둘레 모서리부에는 배수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삽입관의 전방 둘레인 외측 돌출턱의 후방에는 주 하수관의 관통홀의 둘레 단부면과 밀착되는 수밀링부가 접착이나 열융착에 의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 걸림부는 링 삽입홈부와 걸림랙부가 등간격의 교호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걸림 고정부는, 상기 걸림랙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는 관 삽입홈부와 상기 링 삽입홈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랙부에 걸리는 고정랙부가 등간격의 교호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랙부는, 전방 수직단부와 전방 수직단부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된 후방 경사단부로 구성된 다수의 톱니가 다수 열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랙부는, 후방 수직단부와 후방 수직단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된 전방 경사단부로 구성된 다수의 톱니가 다수 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연결구 본체의 전방 상,하부에 형성된 내측 돌출턱에 의해 삽입되는 연결 하수관은 단속되면서 상,하부의 내측 돌출턱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의 선단부가 연결 하수관의 전방 단부면과 일치시킴에 따라, 연결 하수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함으로써, 우수시 하수의 역류현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 본체의 내주연의 전방 상,하부에 각각 내측 걸림턱을 형성한 반면에, 그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내주연의 전방 좌,우측에는 각각 상기 걸림턱이 존재하지 않고 비어 있는 빈 개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연결부 본체의 전방에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연결부 본체의 전방이 찌그러지게 되어, 주 하수관의 관통홀에 쉽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 본체가 주 하수관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내측 걸림턱의 모서리부에 배수 경사면을 더 형성하고 있으므로, 연결 하수관에서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찌꺼기가 내측 걸림턱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되어 연결 하수관이 막히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연결구 본체를 구성하는 삽입관의 외주면 전방둘레에 주 하수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면이 밀착되는 수밀링부를 더 형성하여 주 하수관의 관통홀과 연결구 본체의 수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 본체의 삽입관에 상기 고정링을 끼워서 누르고 슬라이딩시켜서 일정한 길이만큼 삽입시킨 다음, 그 자리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삽입관에 상기 고정링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의 편리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후방에서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 본체를 확대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2b는 상기 도 2a의 연결구 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2c는 상기 도 2b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 본체를 확대도시한 일부 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 하수관(10)의 관통홀(20)에 삽입관(11)이 삽입되어지는 연결구 본체(1)와; 상기 삽입관(11)에 삽입되고 내주연에는 상기 삽입 걸림부(13)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61)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링(6)과; 상기 삽입관(11)을 연결 하수관(30)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5)와; 상기 고정링(6)을 삽입관(11)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7);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 본체(1)는 원통형 몸체를 이루는 상기 삽입관(1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관(11)의 전방 단부의 외측으로 빙 둘러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외측 걸림턱(12)과, 상기 삽입관(11)의 몸통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 걸림부(1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11)의 내주면의 전방 상,하부에 각각 내측 돌출턱(2)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내측 돌출턱(2)은 연결 하수관(30)이 상기 삽입관(11)의 내부에 삽입될 경우 주 하수관(1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오지 못하게 단속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삽입관(11)의 내주면의 전방 좌,우측에는 내측 돌출턱(2)이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빈 공간으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개방부(3)를 이루게 된다. 상기 개방부(3)는 상기 삽입관(11)의 전방 좌,우측에 존재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측 돌출턱(2)의 단턱부(31)와 상기 내측 돌출턱(2)의 단턱부(31)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에 갖춰진 개방부(3)는 상기 연결 하수관(30)의 전방 단부면과 일치되며, 상기 내측 돌출턱(2)의 후면과 일치되는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몰부(32)는 상기 내측 돌출턱(2)의 단턱부(31)에 접해 있으며, 도 2c에 도시되어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내측 돌출턱(2)의 후면과 일치되는 깊이만큼 깎여져서 함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방부(3)를 이루고 있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외부의 힘에 대하여 훨씬 약한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삭제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삽입관(11)의 전방을 파지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힘을 가하게 되면,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3)를 형성하고 부분에서 쉽게 찌그러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 부분을 주 하수관(10)의 관통홀(20)에 간단히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찌그러진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 부분은, 주 하수관(10)의 내부에 삽입되어지면, 다시 고무재질의 특성상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모습으로 펴지게 되고, 상기 주 하수관(10)의 내부에서 도 2b와 같이, 활짝 펼쳐지게 된다. 그 상태에서, 하수 연결관(30)을 상기 삽입관(11)의 내부로 삽입시키면, 상기 하수 연결관(30)의 전방 단부면은 상기 내측 돌출턱(2)에 걸려서 멈추게 되고, 연결 하수관(30)으로 유입되는 하수는 양측의 개방부(3)를 통과하여 주 하수관(10)의 내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에 형성된 내측 돌출턱(2)의 둘레 모서리부에는 배수 경사면(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에 형성된 내측 돌출턱(2)의 둘레 모서리부에는 배수 경사면(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하부에 형성된 내측 돌출턱(2)의 모서리부에 배수 경사면(21)을 더 형성함으로써, 연결 하수관(30)에서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찌꺼기가 내측 돌출턱(2)에 잔류됨이 없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본체(1)를 구성하는 상기 삽입관(11)의 외주면의 전방 둘레인 상기 외측 돌출턱의 후방에는, 주 하수관(10)에 형성된 관통홀(20)의 둘레 단부면과 밀착되는 수밀링부(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밀링부(4)는 판형의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내측면이 상기 삽입관(11)의 둘레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 되거나, 또는 열융착으로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 본체(1)를 구성하는 삽입관(11)의 외주면의 전방둘레에 주 하수관(10)에 형성된 관통홀(20)의 둘레면이 밀착되는 수밀링부(4)를 더 형성함으로써, 주 하수관(10)의 관통홀(20)과 연결구 본체(1)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를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주 하수관(10)의 관통홀(20) 둘레 단부면과 연결구 본체(1)의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삽입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 걸림부(13)는, 링 삽입홈부(131)와 걸림랙부(132)가 등간격의 교호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걸림랙부(132)는, 전방 수직단부(133a)와 전방 수직단부(133a)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된 후방 경사단부(133b)로 구성된 다수의 톱니(133)가 다수 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6)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 고정부(61)는, 상기 걸림랙부(132)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저항 없이 삽입되는 관 삽입홈부(611)와 상기 링 삽입홈부(131)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저항 없이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랙부(132)에 걸리는 고정랙부(612)가 등간격의 교호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랙부(612)는 후방 수직단부(613a)와 후방 수직단부(613a)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하향지게 형성된 전방 경사단부(613b)로 구성된 다수의 톱니(613)가 다수 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삽입 걸림부(13)는 링 삽입홈부(131)와 걸림랙부(132)가 등간격의 교호로 형성되고, 걸림 고정부(61)는 관 삽입홈부(611)와 고정랙부(612)가 등간격의 교호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 걸림부(13)를 구성하는 걸림랙부(132)와 상기 걸림 고정부(61)를 구성하는 고정랙부(612)를 서로 일치하지 않게 엇갈리게 한 상태에서 고정링(6)을 삽입관(11)의 후방에서 저항 없이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삽입관(11)에 고정링(6)을 삽입하고 고정링(6)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랙부(132)에 고정랙부(612)가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고정랙부(612)를 구성하는 다수의 톱니(613)가 상기 걸림랙부(132)를 구성하는 다수의 톱니(133) 사이에 걸려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링(6)을 전방으로 저항 없이 밀어 이동시킨 다음,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과정만을 통해 고정링(6)의 고정랙부(612)를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삽입링의 걸림랙부(132)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11)의 전방 내측에 형성된 상,하부의 내측 돌출턱(2) 사이에는 개방부(3)를 이루는 함몰부(32)에 의해 연결구 본체(1)는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신축성(유연성)을 갖추게 됨으로써 연결구 본체(1)를 주하수관(10)의 관통홀(20)에 끼워 넣는데 용이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를 사용하여 주 하수관(10)의 관통홀(20)에 연결하수관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주 하수관(10)의 측부에 형성된 관통홀(20)에 연결구 본체(1)의 외측 걸림턱(12)이 들어 가도록 연결구 본체(1)의 전방 둘레부분, 즉 양측으로 함몰부(32)가 갖춰진 개방부(3)측에 화살표와 같이 압력을 가해준다.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자연스럽게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은 가장 두께가 얇은 상기 개방부(3)를 중심으로 하여 서서히 찌그러지게 되고, 상기 개방부(3)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굽혀지면서 변형되어 지므로,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은 초기의 완전한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바뀌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 둘레 외경은 찌그러져서 축소되어 상기 관통홀(20)에 간단하고 쉽게 끼워 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관통홀(20)을 통과한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 부분은 상기 주 하수관(10)의 내측에서 다시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되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관통홀(20)의 내부 둘레면에 연결구 본체(1)를 구성하는 삽입관(11)의 전방 둘레에 형성된 수밀링부(4)가 밀착되고, 상기 삽입관(11)의 전방단부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외측 걸림턱(12)의 후면이 상기 관통홀(20)의 주위인 주 하수관(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다음 상기 삽입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 걸림부(13)를 구성하는 걸림랙부(132)와, 상기 고정링(6)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 고정부(61)를 구성하는 고정랙부(612)를 서로 일치하지 않게 엇갈린 상태에서 고정링(6)을 삽입관(1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슬라이딩 되게 삽입한다. 그런 후 고정링(6)을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삽입관(11)의 걸림랙부(132)에 고정링(6)의 고정랙부(612)가 걸리게 하는 과정을 통해 고정링(6)을 삽입관(11)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11)의 후방에 형성된 둘레홈부에 밴드 클램프(5)를 고정하여 삽입관(11)과 연결 하수관(30)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고정링(6)의 후방에 형성된 둘레홈부에 밴드 클램프(7)를 고정하여 삽입관(11)과 고정링(6)의 연결함으로써, 주 하수관(10)의 관통홀(20)에 연결 하수관(30)의 연결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를 시공함에 있어서, 삽입링에 고정링(6)을 전방으로 저항 없이 밀어 이동시킨 다음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과정만을 통해 고정링(6)을 삽입관(11)에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고정함으로써, 시공성이 우수한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 연결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연결구 본체
11 : 삽입관
12 : 외측 걸림턱
13 : 삽입 걸림부
131 : 링 삽입홈부, 132 : 걸림랙부, 133 : 톱니,
133a : 전방 수직단부, 133b : 후방 경사단부
2 : 내측 돌출턱
21 : 배수 경사면
3 : 개방부
31 : 단부턱 32 : 함몰부
4 : 수밀링부
5 : 밴드 클램프
6 : 고정링
61 : 걸림 고정부
611 : 관 삽입홈부, 612 : 고정랙부, 613 : 톱니,
613a : 후방 수직단부, 613b : 전방 경사단부
7 : 밴드 클램프
10 : 주 하수관
20 : 관통홀
30 : 연결 하수관

Claims (5)

  1. 삽입관(11)의 전방단부의 둘레에는 외측 걸림턱(12)이 형성되고 삽입관(11)의 외주면에는 삽입 걸림부(13)가 구비된 연결구 본체(1)와; 상기 삽입관(11)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 걸림부(13)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61)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링(6)과; 상기 삽입관(11)을 연결 하수관(30)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5)와;, 상기 고정링(6)을 삽입관(11)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7); 를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본체(1)는 상기 삽입관(11)의 내주면 전방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내측 돌출턱(2)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돌출턱(2)은 각각의 양측에 형성된 단부턱(3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관(11)의 내주면 전방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상기 내측 돌출부(2)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빈 공간으로 남아 있는 개방부(3)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개방부(3)는 상기 내측 돌출턱(2)의 단부턱(31)이 접하는 부분에 함몰부(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함몰부(32)는 함몰된 깊이가 상기 내측 돌출턱(2)의 후면과 일치되는 지점까지 파여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방부(3)의 두께를 다른 부분에 비하여 얇게 형성하도록 해주고 있으며,
    상기 내측 돌출턱(2)의 둘레 모서리부에는 배수 경사면(21)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1)의 외주면을 이루고 있는 삽입 걸림부(13)는 링 삽입홈부(131)와 걸림랙부(132)가 등간격을 이루며 교호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링(6)의 내주면을 이루고 있는 걸림 고정부(61)는 상기 삽입 걸림부(13)의 링 삽입홈부(131)와 걸림랙부(132)와 상응하는 관 삽입홈부(611)와 고정랙부(612)가 등간격을 이루며 교호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5. 삭제
KR1020110043914A 2011-05-11 2011-05-11 하수관 연결구 KR10135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14A KR101350205B1 (ko) 2011-05-11 2011-05-11 하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14A KR101350205B1 (ko) 2011-05-11 2011-05-11 하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257A KR20120126257A (ko) 2012-11-21
KR101350205B1 true KR101350205B1 (ko) 2014-01-23

Family

ID=4751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914A KR101350205B1 (ko) 2011-05-11 2011-05-11 하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2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024A (ko) * 2016-11-08 2018-05-16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20190045632A (ko) 2017-10-24 2019-05-03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20220026107A (ko) 2020-08-25 2022-03-04 오준민 각도조절이 용이한 이형관 연결소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31Y1 (ko) * 2003-10-06 2003-12-31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수밀용 패킹을 이용한 분기관의 연결구조
KR200424708Y1 (ko) * 2006-05-01 2006-08-28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31Y1 (ko) * 2003-10-06 2003-12-31 주식회사 삼정파인스 수밀용 패킹을 이용한 분기관의 연결구조
KR200424708Y1 (ko) * 2006-05-01 2006-08-28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024A (ko) * 2016-11-08 2018-05-16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101903474B1 (ko) * 2016-11-08 2018-10-02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20190045632A (ko) 2017-10-24 2019-05-03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20220026107A (ko) 2020-08-25 2022-03-04 오준민 각도조절이 용이한 이형관 연결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257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101350205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1297594B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KR100836834B1 (ko)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101641114B1 (ko) 맨홀연결구를 구비한 맨홀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815575B1 (ko) 맨홀용 관 연결장치
KR20140136687A (ko) 조립식 하수관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20130051222A (ko) 하수관 연결구
KR101490720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100985990B1 (ko) 콘크리트 원형 배수로관
KR200433025Y1 (ko) 수밀성 수로관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CN217482214U (zh) 一种变径式密封胶垫闭水套筒连接结构
KR100617522B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80105687A (ko) 하수도 분기관 연결구조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KR200364270Y1 (ko) 맨홀의 관연결부재
KR20110033439A (ko) 오수받이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101086666B1 (ko) 이중벽관의 원터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