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708Y1 - 하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708Y1
KR200424708Y1 KR2020060011667U KR20060011667U KR200424708Y1 KR 200424708 Y1 KR200424708 Y1 KR 200424708Y1 KR 2020060011667 U KR2020060011667 U KR 2020060011667U KR 20060011667 U KR20060011667 U KR 20060011667U KR 200424708 Y1 KR200424708 Y1 KR 200424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connector body
sewage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강원
Original Assignee
오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강원 filed Critical 오강원
Priority to KR2020060011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7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주하수관(콘크리트관)에 부하수관(PVC관)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 매설되어 있던 주하수관의 내측으로 연결하려는 부하수관이 어느 정도 들어가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과, 일정길이 이상 들어간 부하수관으로 인해 주하수관의 내경이 축소되어 생활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 2 내지 예시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연결구본체(10)는 일측 단부에 곡면을 이루며 대향되는 위치로 한 쌍의 걸이부(12)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환형의 걸이턱(14)을 형성하며, 고정환(20)은 일측 단부에 환형의 지지부(22)를 형성함으로서, 연결구본체(1)에 끼워지는 부하수관(2)은 연결구본체(10)의 걸이턱(14)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끼워지지 않아 일정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주하수관(1)을 따라 흐르는 생활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연결구본체(10)와 결합을 이루고 있는 고정환(20)은 랙결합을 이루므로 주하수관(1)의 외면 곡면과 밀착되어 있어 생활하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수관, 연결구, 고정환, 조임밴드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Drain pipe connector}
도 1 은 종래의 하수관 연결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 연결상태의 요부를 확대한 입체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구본체, 12 - 걸이부,
14 - 걸이턱,
20 - 고정환, 22 - 지지부.
본 고안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단부에 내측으로 지지환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곡면을 이루는 걸이부를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본체와 연결구본체의 외주연에 랙(rack)결합을 이루는 도우넛형상의 고정 환을 이용하여 하수관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콘크리트 옹벽으로 이루어진 지하시설물로서의 하수관과, 필요에 의해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하수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은 사람이 사용하고 버리는 생활하수를 일정한 장소 즉, 생활하수를 정화하는 하수정화처리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하는 관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수관은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지나 사무실(빌딩)과 같은 건물을 건축하는데 필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며,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은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매설되고, 그 재질은 콘크리트이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경에는 방수코팅이 되어 생활하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변에 사람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새로운 건축물(주택이나 빌딩)을 건축할 경우에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에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위는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지하매설물로서의 하수관(이하 주하수관 이라 함)에 새로운 하수관(이하 부하수관 이라고 함)을 연결시킬 경우, 주하수관(1)의 외주면에 부하수관(2)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구멍을 뚫고 부하수관(2)의 일단을 주하수관(1)의 내측으로 끼워 넣고 그 주변에 시멘트몰탈(3)을 덮어 부하수관(2)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부하수관(2)의 높이는 주하수관(1) 보다 높은 위치에 매설되어 있어 주하수관(1)을 통해 흐르는 생활하수는 부하수관(2)측으로 역류되지 않고, 부하수 관(2)을 통해 흐르는 생활하수는 주하수관(1)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하수관(1)은 콘크리트 몰탈로 성형된 고형의 콘크리트관이며, 부하수관(2)은 관로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약간 변형시킬 수 있는 수지재의 PVC관 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의 연결부위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주하수관(1)에 뚫린 구멍에 부하수관(2)의 일측단을 끼워 넣고 시멘트몰탈(3)을 덮은 후, 시멘트몰탈(3)이 양생되기 전에 흙을 조심스럽게 덮는다 하더라도 부하수관(2)에 충격이 가해지게 됨으로 연결부위에 덮어진 시멘트몰탈(3)이 떨어지면 주하수관(1)을 따라 흐르던 생활하수가 누수되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환경적인 문제점과, 누수가 심할 경우 그 주변이 함몰되어 지면이 함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하수관(1)에 ;부하수관을 연결하고 시멘트몰탈(3)을 덮는 과정에서 주하수관(1)에 끼워진 부하수관(2)의 단부가 어느 정도 끼워졌는지 외부에서 알 수 없어 연결 후 주하수관(1)의 관로가 막히거나 생활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일측단부에 내측으로 지지환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곡면을 이루는 걸이부를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본체와 연결구본체의 외주연에 랙(rack)결합을 이루는 환형의 고정환을 이용하여 하수관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결구본체와 고정환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는 일측 단부에 곡면을 이루며 대향되는 위치로 한 쌍의 걸이부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환형의 걸이턱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환은 일측 단부에 환형의 지지부를 형성하, 연결구본체와 고정환의 외면과 내면에는 서로 상응하는 랙(rack)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연결구본체를 주하수관에 끼워 넣고 당기면, 연결구본체의 걸이부는 주하수관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연결구본체에 끼워지는 부하수관은 연결구본체의 걸이턱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끼워지지 않아 일정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주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생활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또한 연결구본체와 결합을 이루고 있는 고정환은 랙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주하수관의 외면 곡면과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어 주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생활하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를 참고로 하여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 연결상태의 요부확대 입체단면도이며, 예시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이다.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10)는 일측 단부에 곡면을 이루며 대향되는 위치로 한 쌍의 걸이부(12)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환형의 걸이턱(14)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환(20)은 일측 단부에 환형의 지지부(22)를 형성하,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20)의 외면과 내면에는 서로 상응하는 랙(rack)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30은 연결구본체(10)가 끼워지는 주하수관(1)에 형성된 관통홀이고, 32는 연결구본체(10)에 부하수관(2)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구본체(10)의 상단과 고정환(20)의 상단에 체결되는 조임밴드이며, 도면상 종래의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종래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호와 명칭을 인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예시도 2 내지 예시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외면에 랙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한 쌍의 걸이부(12)와 환형의 걸림턱(14)이 형성된 연결구본체(10)와, 내면에 연결구본체(10)의 외면에 형성된 랙과 상응하는 형성되고, 단부에 환형의 지지부(22)가 형성된 고정환(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20)은 약간의 신축성을 지닌 연질의 고무재로 사출성형 된다.
이와 같이 사출성형된 연결구본체(10)를 이용하여 부하수관(2)을 주하수관(1)과 연결시키려 할 경우, 주하수관(1)에 부하수관(2)이 끼워지는 관통홀(30)을 천공기를 이용하여 형성시키고, 신축성을 지닌 연질의 고무재로 성형된 연결구본체(10)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압력을 가하면 하단부의 직경이 축소되어 주하수관(10)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홀(30)에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끼워진 연결구본체(10)의 하단부는 연질의 고무재로 성형되어 신축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원상태인 원통형을 이루게 되므로 주하수관(10)에 형성된 관통홀(30)의 내면에 연결구본체(10)의 하단부 외면이 접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연견구본체(10)를 당기면 하단부에 형성된 걸이부(12)가 주하수관(1)의 내면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12)를 주하수관(1)의 길이방향과 일치되는 위치로 회전시키면, 곡면을 이루고 있는 걸이부(12)는 주하수관(1)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주하수관(1)을 따라 흐르는 생활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하수관(1)에 연결구본체(10)를 설치하고 연결구본체(10)에 PVC재로 성형된 부하수관(2)을 끼워넣게 되면, 끼워지는 부하수관(2)의 단부는 연결구본체(10)의 하단부 내면에 형성된 환형의 걸이턱(14)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끼워지지 않게 되고, 또한 고형의 부하수관(2)이 연결구본체(10)에 끼워지면서 신축성을 갖춘 연결구본체(10)의 직경을 확장시키게 되므로 주하수관(1)의 관통홀(30)에 접해 있는 연결구본체(10)의 외면이 관통홀(3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주하수관(1)에 연결구본체(10)를 이용하여 부하수관(2)이 설치된 상태에서 연결구본체(10)의 외면에 환형을 이루고 있는 고정환(20)을 설치하고, 고정환(20)과 연결구본체(10)의 상단부에 조임밴드(32)를 각각 설치하게 되면 고형의 부하수관(2)에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20)이 압착되어 주하수관(1)에 설치된 부하수관(2)은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연결구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고정환(20)은 연결구본체(10)의 외면과 고정환(20)의 내면에 형성된 서로 상응하는 랙(rack)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인의적인 힘을 가해 고정환(20)을 주하수관(1)의 외면에 밀착시키면 고정환(20)의 지지부(22)가 주하수관(1)의 외면에 밀착되므로 주하수관(1)과 부하수관(2)의 연결부분에 대한 수밀성을 갖출 수 있다.
특히, 고정환(20)이 신축성을 지닌 연질의 고무제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주하수관(1)의 외면 곡면을 따라 고정환(20)이 변형가능함으로 연결부분은 보다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연결구본체(10)에 끼워진 부하수관(2)은 연결구본체(10)가 연질의 고무제로 성형되어 있고 각각의 조임밴드(32)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주하수관(1)과 안정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예시도 2 내지 예시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연결구본체(10)는 일측 단부에 곡면을 이루며 대향되는 위치로 한 쌍의 걸이부(12)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환형의 걸이턱(14)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환(20)은 일측 단부에 환형의 지지부(22)를 형성하고,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20)의 외면과 내면에 서로 상응하는 랙(rack)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연결구본체(1)에 끼워지는 부하수관(2)은 연결구본체(10)의 걸이턱(14)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끼워지지 않아 일정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주하수관(1)을 따라 흐르는 생활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연결구본체(10)와 결합을 이루고 있는 고정환(20)은 랙결합을 이루므로 주하수관(1)의 외면 곡면과 밀착되어 있어 생활하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10)는 일측 단부에 곡면을 이루며 대향되는 위치로 한 쌍의 걸이부(12)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환형의 걸이턱(14)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환(20)은 일측 단부에 환형의 지지부(22)를 형성하,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20)의 외면과 내면에는 서로 상응하는 랙(rack)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KR2020060011667U 2006-05-01 2006-05-01 하수관 연결구 KR200424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667U KR200424708Y1 (ko) 2006-05-01 2006-05-01 하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667U KR200424708Y1 (ko) 2006-05-01 2006-05-01 하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708Y1 true KR200424708Y1 (ko) 2006-08-28

Family

ID=4177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667U KR200424708Y1 (ko) 2006-05-01 2006-05-01 하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7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205B1 (ko) * 2011-05-11 2014-01-23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20240023780A (ko) 2022-08-16 2024-02-23 주복자 분기관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205B1 (ko) * 2011-05-11 2014-01-23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20240023780A (ko) 2022-08-16 2024-02-23 주복자 분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KR200424708Y1 (ko) 하수관 연결구
JP5036370B2 (ja) 下水管路およびその施工方法ならびに止水部材
KR200188474Y1 (ko) 관연결용 벽체 관통 슬리브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KR100647525B1 (ko) 하수관 연결용 엘보
US6460896B1 (en) Sewer pipe coupling
KR100849527B1 (ko) 맨홀의 관 연결부재
JP4119182B2 (ja) 基礎貫通部材を用いた排水管の配管構造
JPH11315621A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29998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KR101904311B1 (ko)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20090004233U (ko) 가변형 하수관 연결구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JP2006016780A (ja) 床下配管の通気構造
KR200333378Y1 (ko)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RU27419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KR20180135220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관연결장치
KR200416955Y1 (ko) 관접속장치
KR20039464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30573A (ko) 유속을 유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