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981Y1 - 하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981Y1
KR200299981Y1 KR20-2002-0023805U KR20020023805U KR200299981Y1 KR 200299981 Y1 KR200299981 Y1 KR 200299981Y1 KR 20020023805 U KR20020023805 U KR 20020023805U KR 200299981 Y1 KR200299981 Y1 KR 200299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sewer pipe
connector body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강원
Original Assignee
오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강원 filed Critical 오강원
Priority to KR20-2002-0023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주하수관에 부하수관(PVC관)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 연결부위에 시멘트몰탈을 덮어 연결하였으나 이 경우 주하수관의 내측으로 연결하려는 부하수관의 단부가 어느 정도 들어가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과, 일정길이 이상 들어간 부하수관으로 인해 주하수관의 내경이 축소되어 하수나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 2내지 예시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30)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00)를 이용하여 주하수관(1)에 부하수관(2)을 연결시키면, 연결구본체(10)의 내면에 설치된 보강링(18)의 보강판(28)이 부하수관(2)의 외면에 밀착되며, 특히 보강판(28)의 탄성판(26)에 의해 연결구본체 (10)는 관통홀(40)에 밀착됨으로서 하수나 오수의 누수가 방지되며, 보강판(28)의 지지단(29)에 의해 부하수관(2)의 단부가 일정하게 결합되어 주하수관(1)의 직경에 변화가 없으므로 하수나 오수의 흐름이 원활히 흐르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랙형상의 하방향걸림부(32)를 갖춘 고정환(30)이 연결구본체(10)의 외면에 형성된 상방향걸림부(20)와 결합을 이루게 되어 주하수관(1)에 부하수관(2)이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등, 작업성과 연결된 부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Drain pipe connector}
본 고안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의 연결부분에 고무재질로 성형되고, 내면에 스테인레스판으로 성형된 보강링을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본체와 너트형의 고정환으로 이루어진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지하시설물로서의 하수관과, 필요에 의해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원통형관의 지하매설물로서의 하수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은 사람이 사용하고 버리는 하수나 우수를 일정한 장소로 흘러가도록 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한 관로이다.
이와 같은 하수관은 주택이나 사무실(빌딩)과 같은 건물을 건축하는데 필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며,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은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매설되고, 그 재질은 콘크리트이며 원통형으로 성형되고 그 내경에는 방수코팅이 되어 흐르는 하수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변에 새로운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에 매설된 하수관에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위는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지하매설물로서의 하수관(이하 "주하수관"이라고 함)에 새로운 하수관(이하 "부하수관"이라고 함)을 연결시키는 경우, 주하수관(1)의 일측을 부하수관(2)의 직경보다 크게 관통공을 천공시켜서 부하수관(2)의 일단을 주하수관(1)의 내측으로 끼워 넣고 그 주변에 시멘트몰탈(3)을 덮어 연결시키고 있다.
이때, 부하수관(2)의 높이는 주하수관(1)보다 높은 위치에 매설되어 있어 주하수관(1)을 통해 흐르는 하수나 오수는 부하수관(2)측으로 역류되지 않고, 부하수관(2)을 통해 흐르는 하수나 오수는 주하수관(1)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하수관(1)은 콘크리트 몰탈로 성형된 고형의 콘크리트관이며, 부하수관은 관로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약간 변형시킬 수 있는 수지재의 PVC관 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의 연결부위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주하수관(1)에 천공된 관통홀에 부하수관(2)의 일측단을 끼워넣고 시멘트몰탈(3)을 덮은 후, 시멘트몰탈(3)이 양생되기 전에 흙을 덮는 작업을 하게 되어 부하수관(2)이 움직이게 됨으로 연결부위에 덮어진 시멘트몰탈(3)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시멘트몰탈(3)이 떨어져 나가면 주하수관(1)을 따라 흐르던 하수나 오수가 누수되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환경적인 문제점과, 상기 누수가 심할 경우 지면이 함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하수관(1)에 부하수관(2)을 연결하고 시멘트몰탈(3)을 덮는 과정에서 주하수관(1)에 끼워진 부하수관(2)의 단부가 어느 정도 끼워졌는지 외부에서 알수 없어 연결후 주하수관(1)의 관로가 막히거나 하수나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의 연결부분에 고무재질로 성형되고, 내면에 스틸판으로 성형된 보강링을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본체와 너트형의 고정환으로 이루어진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결구본체와 고정환으로 연결구가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걸림턱과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방향의 수축홈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하부 내측면에 보강링이 갖춰지고, 상부 외면에 일방향(상방향)으로 경사면을 갖춘 랙(rack)형상의 상방향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걸림턱은 주하수관의 내경곡면과 일치되는 곡면을 이루고, 상기 보강링은 상단부의 링과, 내측으로 돌출된 탄성판이 다수 형성된 보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판은 등간격으로 링과 일체를 이루며, 보강판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지지단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환은 내면에 일방향(하방향)으로 경사면을 갖춘 랙형상의 하방향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하수관 연결구를 이용하여 주하수관에 부하수관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 주하수관에 연결구의 외경과 일치하는 관통홀을 천공하고, 연결구본체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압착시켜서 상기 관통홀에 끼워넣고, 부하수관을 연결구본체에 끼워넣으면, 연결구본체의 내면에 설치된 보강링의 보강판이 부하수관의 외면에 밀착되며, 특히 보강판의 탄성판에 의해 연결구본체는 관통홀에 밀착됨으로 하수나 오수의 누수가 방지되며, 보강판의 지지단에 의해 부하수관의 단부가 일정하게 결합되고, 랙형상의 하방향걸림부를 갖춘 고정환이 연결구본체의 외면에 형성된 상방향 걸림부와 결합을 이루도록 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하수관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종단면도,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하구관 연결수의 사용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결구,
10 - 연결구본체, 12 - 외측걸림턱,
14 - 내측걸림턱, 16 - 수축홈,
18 - 보강링, 20 - 상방향걸림부,
22 - 곡면부, 24 - 링,
26 - 탄성판, 28 - 보강판,
29 - 지지단, 30 - 고정환,
32 - 하방향걸림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를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예시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의 종단면도이며, 예시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하구관 연결구의 사용상태의 부분 단면도 이다.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30)으로 연결구(100)가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10)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걸림턱(12)과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걸림턱(14)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방향의 수축홈(16)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하부 내측면에 보강링(18)이 갖춰지고, 상부 외면에 일방향(상방향)으로 경사면을 갖춘 랙(rack)형상의 상방향걸림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걸림턱(12)의 상면은 주하수관의 내경곡면과 일치되는 곡면부(22)를 이루고, 상기 보강링(18)은 상단부의 링(24)과, 내측으로 돌출된 탄성판(26)이 다수 형성된 보강판(2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판(28)은 등간격으로 링(24)과 일체를 이루며, 보강판(28)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지지단 (29)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환(30)은 내면에 일방향(하방향)으로 경사면을 갖춘 랙형상의 하방향걸림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은 부하수관(2)을 연결시키기 위해 주하수관(1)에 천공된 관통홀이고, 42는 연결구(100)에 부하수관(2)이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구본 체(10)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조임밴드이다.
상기와 같은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예시도 2 내지 예시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내면에 보강링(18)을 갖춘 연결구본체(10)와 환형의 고정환(30)으로 연결구 (100)가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10)는 하단부 내외측에 각각 내측걸림부(14)와 외측걸림부(12)가 형성되고, 등간격을 이루는 수축홈(16)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연질의 고무재로 사출성형 된다.
이때 연결구본체(10)의 내면에는 환형의 링(24)과 상기 링(24)에 다수의 탄성판(26)을 갖춘 보강판(28)이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는 보강링(18)이 설치된 상태로 사출성형 된다..
이와 같이 사출성형된 연결구본체(10)를 이용하여 부하수관(2)을 주하수관 (1)과 연결시키려 할 경우, 연결구본체(10)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압력을 가하면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수축홈(16)에 의해 하단부의 직경이 축소되어 주하수관 (1)의 외주면에 천공된 관통홀(40)에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끼워진 연결구본체(10)의 하단부는 연질의 고무재로 성형되어 있고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보강링(18)의 보강판(28)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연결구본체(10)의 외측걸림부(12)가 주하수관(1)의 내면에 걸리게 된다.
상기 외측걸림부(12)는 그 상면이 양측으로 주하수관(1)의 내면과 일치하는 곡면부(22)를 이루고 있어 안정된 상태(주하수관의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구본체가 회전되지 않음)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부하수관(2)의 단부가 연결구본체(10)에 끼워지면 부하수관(2)의 단부가 연결구본체(1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강판(28)을 외측으로밀어내면서 끼워져 보강판(28)의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단(29)에 의해 일정깊이까지 끼워지게 되며, 상기 보강판(28)이 외측으로 밀리게 되는 것은 보강판(28)에 형성된 탄성판(26)에 의해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판(28)이 외측으로 밀리게 됨으로 연질의 고무재로 성형된 연결구본체(10)는 관통홀(40)의 내면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갖추게 되어 주하수관(1)에 흐르는 하수나 오수의 누수는 방지된다.
또한, 연결구본체(10)에 끼원진 부하수관(2)은 예시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보강판(28)에 형성된 탄성판(26)의 단부가 끼워지는 부하수관(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탄성판(26)의 돌출된 단부가 부하수관(2)의 외주면을 잡아주도록 되어 있어 끼워진 부하수관(2)은 연결구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부하수관(2)이 끼워진 연결구본체(10)의 외주면에는 고정환(30)이 결합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구본체(10)의 외주면에는 상방향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랙형상의 상방향걸림부(20)가 일정간격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 랙형상의 하방향걸림부(32)가 형성된 환형의 고정환(30)이 상방향걸림부(20)에 강제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구본체(10)는 하단부에 형성된 외측걸림턱(12)이 주하수관(1)의 내면에 걸리게 되고, 상부에 결합된 고정환(30)이 주하수관(1)의 외면에 압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연결구본체(10)는 주하수관(1)의 관통홀(40)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본체(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구본체(10)의 상단부를조임밴드(42)로 조이면, 부하수관(2)의 외면과 보강판(28)의 탄성판(26)에 의해 연결구본체(10)의 내면이 이격되는 부분을 통해 하수나 오수의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링(18)은 습기에 의해 부식될 수 있으므로 부식에 강하고 탄성계수가 높은 스테인레스 강이 바람직하며,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30)의 재질을 신축성을 갖추기 위해 연질이면서 고형인 고무재가 바람직하나 우레탄으로 사출성형하여도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30)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00)를 이용하여 주하수관(1)에 부하수관(2)을 연결시키면, 연결구본체(10)의 내면에 설치된 보강링(18)의 보강판(28)이 부하수관(2)의 외면에 밀착되며, 특히 보강판(28)의 탄성판(26)에 의해 연결구본체(10)는 관통홀(40)에 밀착됨으로서 하수나 오수의 누수가 방지되며, 보강판(28)의 지지단(29)에 의해 부하수관(2)의 단부가 일정하게 결합되어 주하수관(1)의 직경에 변화가 없으므로 하수나 오수의 흐름이 원활히 흐르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랙형상의 하방향걸림부(32)를 갖춘 고정환(30)이 연결구본체(10)의 외면에 형성된 상방향걸림부(20)와 결합을 이루게 되어 주하수관(1)에 부하수관(2)이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등, 작업성과 연결된 부분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결구본체(10)와 고정환(30)으로 연결구(100)가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10)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한 외측걸림턱(12)과 내측으로 돌출한 내측걸림턱(14)을 형성하고, 하부에 길이방향의 수축홈(16)을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며, 하부 내측면에 보강링(18)이 갖춰지고, 상부 외면에 일방향(상방향)으로 경사면을 갖춘 랙(rack)형상의 상방향걸림부(20)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걸림턱(12)의 상면은 주하수관의 내경 곡면과 일치하는 곡면부(22)를 이루며, 상기 보강링 (18)은 상단부의 링(24)과 그 하측의 보강판(28)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보강판 (28)은 링(24)과 일체를 이루며, 내측으로 돌출한 탄성판(26)을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고, 보강판(28)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지지단(29)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환(30)은 내면에 일방향(하방향)으로 경사면을 갖춘 랙형상의 하방향걸림부 (3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KR20-2002-0023805U 2002-08-09 2002-08-09 하수관 연결구 KR200299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05U KR200299981Y1 (ko) 2002-08-09 2002-08-09 하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805U KR200299981Y1 (ko) 2002-08-09 2002-08-09 하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981Y1 true KR200299981Y1 (ko) 2003-01-06

Family

ID=4939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805U KR200299981Y1 (ko) 2002-08-09 2002-08-09 하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9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29B1 (ko) 2008-03-14 2008-12-03 주식회사 젠트로 구조물의 관 연결부 수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29B1 (ko) 2008-03-14 2008-12-03 주식회사 젠트로 구조물의 관 연결부 수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US20040040221A1 (en) Molded manhole unit
KR20210000431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KR102058301B1 (ko) 원형수로관
KR20029998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KR200424708Y1 (ko) 하수관 연결구
JP2018031196A (ja) 排水配管及び排水配管の施工方法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KR200242733Y1 (ko) 배수관 연결소켓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101904311B1 (ko)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100541213B1 (ko) 맨홀의 관연결구조
KR100442050B1 (ko) 수밀성을 갖는 관 고정구, 맨홀 및 장착방법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200310128Y1 (ko) 콘크리트 흄관
CN219888970U (zh) 一种波纹管连接用可视套筒接头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200332761Y1 (ko) 부동전
KR100444623B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20020015528A (ko) 배수관 연결소켓 및 그 조립방법
KR20210130573A (ko) 유속을 유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맨홀
KR20039464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261900Y1 (ko) 연약지반의 누수방지를 위한 오폐수 하수관로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