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311B1 -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 Google Patents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311B1
KR101904311B1 KR1020180026511A KR20180026511A KR101904311B1 KR 101904311 B1 KR101904311 B1 KR 101904311B1 KR 1020180026511 A KR1020180026511 A KR 1020180026511A KR 20180026511 A KR20180026511 A KR 20180026511A KR 101904311 B1 KR101904311 B1 KR 10190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water pipe
manhole
connection hol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권
Original Assignee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filed Critical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Priority to KR102018002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Abstract

콘크리트 맨홀과 수로관의 연결 부위에서 하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하수 유속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으로, 맨홀몸체와 수로관 사이에 삽입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는 일측이 접속홀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로관과 연결되어 수로관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지는 신축성 재질의 커넥터와 커넥터 재질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의 경질관을 포함하고, 경질관은 커넥터의 보스의 외주면 중 플랜지의 돌출 부위와 수로관과의 연결 부위 사이를 감싸는 형태로 보스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고, 보스의 타측이 수로관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질 때에 경질관이 밀착된 부위의 외측의 보스 부위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보스의 타측은 활형으로 휘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Angle control type concrete manhole of flow velocity holding structure}
수로관의 접속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맨홀과 수로관의 연결 부위에서 하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하수 유속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는 우수, 오수, 폐수 등과 같은 하수를 수송하기 위한 하수로가 설치되어 있다. 지하 하수로는 길게 연결되어 설치되는 여러 개의 수로관과 수로관의 연결 지점들 중 일부에는 수로관의 검사, 청소, 통풍, 환기, 접합, 분기 등의 목적으로 콘크리트 맨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여러 개의 수로관은 다양한 형태의 경로를 따라 연결됨에 따라 콘크리트 맨홀에는 다양한 각도로 수로관이 접속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00039호는 콘크리트 맨홀과 수로관의 경계면에서 수밀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으면서 수로관의 접속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의 횡단면도이다. 도 1에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00039호에 개시된 종래의 각도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에는 두 개의 수로관이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의 (b)에는 두 개의 수로관 중 어느 하나는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은 그 접속홀의 양측이 확장된 형태로 되어 있고, 맨홀몸체와 수로관 사이에 삽입되는 플랜지 어셈블리는 그 접속홀의 중간에 매립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의 접속 각도 조절에 따라 수로관 말단이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 말단과 연속해서 이어지지 않고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로부터 벗어나게 될 수 있다. 이 때, 맨홀몸체 바닥면의 수로를 흐르는 하수 중 일부는 맨홀몸체의 접속홀 내면과 수로관 사이의 막힌 공간에 흘러들어 고이게 되며, 고인 하수는 그 구조상 외부로 배출될 수 없기 때문에 썩게 되어 악취, 유해가스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하수가 맨홀몸체와 수로관의 경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하수가 흐르는 경로의 불연속으로 인해 하수 흐름이 저항을 받게 되어 유속이 감소하게 된다. 다수의 맨홀에서의 유속 감속에 의해 하수가 흐를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하게 되고, 콘크리트 맨홀은 하수 수송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맨홀몸체의 접속홀에 수로관이 다양한 각도로 접속될 때에 수로관의 어떤 접속 각도에서도 수로관 말단이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와 연속해서 이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맨홀몸체의 접속홀과 수로관의 연결 부분에서 하수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 수송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하수 고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맨홀은 수로관이 접속되는 접속홀이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재질의 맨홀몸체; 및 상기 맨홀몸체와 수로관 사이에 삽입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일측이 상기 접속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로관과 연결되어 상기 수로관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지는 신축성 재질의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 재질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의 경질관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로관과 연결되는 보스; 및 상기 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 내면에 매립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홀은 상기 맨홀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진행하다가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접속홀의 동일한 직경 부위에 매립되고, 상기 플랜지의 형성 부위의 외측에 해당하는 보스의 타측은 상기 접속홀에 대한 상기 수로관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접속홀의 직경 확장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수로관과 연결된다.
상기 경질관은 상기 보스의 외주면 중 상기 플랜지의 돌출 부위와 상기 수로관과의 연결 부위 사이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보스의 타측이 상기 수로관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질 때에 상기 경질관의 내주면과 상기 보스의 외주면간의 밀착 결합에 의해 상기 경질관이 밀착된 부위의 외측의 보스 부위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상기 보스의 타측은 활형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기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맨홀은 원형 단면으로 상기 보스의 일측 말단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맨홀몸체에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립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의 일측 말단은 상기 맨홀몸체의 바닥면의 수로면과 상기 보스의 내주면이 연속되도록 상기 맨홀몸체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반원형 단면부위와 상기 맨홀몸체의 접속홀 내면에 밀착되는 원형 단면부위가 이어진 형태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립돌기는 상기 보스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1 매립돌기와 상기 보스의 일측 말단의 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2 매립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의 타측은 상기 수로관과 연결되는 부위의 내경과 외경이 다른 부위의 내경과 외경보다 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질관은 상기 플랜지의 돌출 부위와 상기 보스의 외경 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는 경사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질관은 상기 경사확장부가 돌출된 보스 부위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경사확장부는 상기 접속홀의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맨홀은 상기 보스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1 매립돌기와 상기 보스의 일측 말단의 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2 매립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확장부는 상기 제 2 매립돌기의 돌출 부위와 상기 걸림턱의 사이의 중간 위치에 해당하는 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경사지게 돌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경사확장부로부터 상기 보스의 외주면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매립되는 연직확장부; 및 상기 연직확장부로부터 상기 연직확장부의 말단에 십자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매립되는 앵커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맨홀몸체와 수로관 사이에 삽입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커넥터는 신축성 재질로 그 일측이 접속홀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로관과 연결되어 수로관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수로관과 연결되는 보스와 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접속홀 내면에 매립되는 플랜지를 포함함으로써 수로관이 어떤 각도로 맨홀몸체의 접속홀에 접속되더라도 수로관 말단이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와 연속해서 이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맨홀몸체와 수로관의 연결 부분에서의 하수 고임 현상이 사라지게 된다.
커넥터 재질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의 경질관은 보스의 외주면 중 플랜지의 돌출 부위와 수로관과의 연결 부위 사이를 감싸는 형태로 보스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고, 보스의 타측이 수로관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질 때에 경질관의 내주면과 보스의 외주면간의 밀착 결합에 의해 보스 단면의 변화가 최소화되면서 경질관이 밀착된 부위의 외측의 보스 부위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보스의 타측은 활형으로 휘어지게 됨으로써 하수가 보스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하수의 흐름 저항이 거의 없게 되어 하수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지하 하수로의 곳곳에 설치된 다수의 맨홀 각각에서 하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됨에 따라 하수 수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 단면으로 보스의 일측 말단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매립돌기가 맨홀몸체에 매립됨으로써 커넥터의 보스의 일측이 그 타측의 휘어짐에 따른 반력을 받게 되더라도 보스의 일측 말단이 맨홀몸체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매립돌기에 의해, 플랜지는 맨홀몸체에 강하게 결속될 수 있게 되어 수로관 접속에 의해 보스가 지속적으로 휘어진 상태로 오랜 기간 유지되더라도 플랜지가 맨홀몸체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 장기간 하수 흐름 등에 변형되지 않는 높은 내구성의 콘크리트 맨홀을 제공할 수 있다.
보스의 일측 말단은 맨홀몸체의 바닥면의 수로면과 보스의 내주면이 연속되도록 맨홀몸체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반원형 단면부위와 맨홀몸체의 접속홀 내면에 밀착되는 원형 단면부위가 이어진 형태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매립돌기는 보스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1 매립돌기와 보스의 일측 말단의 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2 매립돌기를 포함함으로써 맨홀몸체의 바닥면의 수로면과 보스의 내주면간의 높이 차이로 인한 하수의 흐름 저항이 사라지게 되어 맨홀몸체와 보스의 경계에서 하수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보스의 일측과 맨홀몸체간의 결합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커넥터 어셈블리(2)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2)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2)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2)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제조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맨홀몸체의 접속홀에 수로관이 다양한 각도로 접속될 때에 수로관의 어떤 접속 각도에서도 수로관 말단이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와 연속해서 이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맨홀몸체의 접속홀과 수로관의 연결 부분에서 하수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 수송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하수 고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을 간략하게 "콘크리트 맨홀"로 호칭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은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맨홀몸체(1)와 맨홀몸체(1)와 수로관(100) 사이에 삽입되는 커넥터 어셈블리(2)로 구성된다. 맨홀몸체(1)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막혀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맨홀몸체(1)가 원통 외에 사각통, 육각통 등과 같은 다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맨홀몸체(1)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로관(100)이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홀(10)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맨홀몸체(1)에는 하수가 유입되는 수로관(100)과 하수가 배출되는 수로관(100)이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홀(10)이 형성되어 있다. 맨홀몸체(1)의 바닥면에는 맨홀몸체(1)의 두 개의 접속홀(10)에 접속된 두 개의 수로관 중 어느 하나의 수로관에 유입된 하수의 흐름을 다른 수로관으로 안내하기 위해 단면 반원형으로 함몰된 형태의 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맨홀몸체(1)의 각 접속홀(10)의 상측은 맨홀몸체(1)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고, 하측은 맨홀몸체(1)의 측벽과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맨홀몸체(1)의 각 접속홀(10)은 맨홀몸체(1)의 외측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진행하다가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커넥터 어셈블리(2)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2)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커넥터 어셈블리(2)는 신축성 재질의 커넥터(21)와 커넥터(21) 재질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의 경질관(22)으로 구성된다. 도 2-5 각각의 (a)에는 커넥터(21)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경질관(22)이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21)는 그 일측이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수로관(100)과 연결되어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진다. 커넥터(21)는 보스(211), 복수 개의 매립돌기(212), 및 플랜지(213)로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21)의 보스(211), 복수 개의 매립돌기(212), 및 플랜지(213)는 신축성이 매우 우수한 합성고무를 재료로 하여 압축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보스(2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수로관(100)과 연결된다. 보스(211)의 일측은 맨홀몸체(1)의 접속홀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고, 타측에는 수로관(100)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보스(211)의 일측은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어 있고 타측에는 수로관(100)이 삽입되기 때문에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를 따라 흐르는 하수가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에 도착하면 보스(211)의 일측으로 하수 전체가 유입되며 다른 곳으로 새 나갈 수 없게 되며, 하수 전체가 보스(211)의 타측과 연결된 수로관(100)으로 유입된다. 그 결과, 콘크리트 맨홀 내에서의 하수 고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콘크리트 맨홀의 악취, 유해가스 발생 등이 사라지게 된다. 맨홀을 점검하거나 청소하는 작업자가 맨홀 내에서 발생된 황화수소 등의 유해가스로 인해 질식사하는 사고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맨홀 내에서의 하수 고임 현상이 사라지게 되어 이러한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은 그 접속홀의 양측이 확장된 형태로 되어 있고, 맨홀몸체와 수로관 사이에 삽입되는 플랜지 어셈블리는 그 접속홀의 중간에 매립된 구조를 채용하고 있음에 따라,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의 접속 각도 조절에 따라 수로관 말단이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 말단과 연속해서 이어지지 않고 맨홀몸체의 바닥면 수로로부터 벗어나게 될 수 있다. 이 때, 맨홀몸체 바닥면의 수로를 흐르는 하수 중 일부는 맨홀몸체의 접속홀 내면과 수로관 사이의 막힌 공간에 흘러들어 고이게 된다. 맨홀몸체의 접속홀 내면과 수로관 사이의 막힌 공간에 고인 하수는 그 구조상 외부로 배출될 수 없기 때문에 썩게 되어 악취, 유해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21)는 상기된 보스(211) 외에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보스(2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접속홀(10) 내면에 매립되는 플랜지(213)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플랜지(213)에 의해 커넥터(21)는 접속홀(10)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수로관(10)이 어떤 각도로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에 접속되더라도 접속홀(10)에 대한 플랜지(213)의 결합 형태가 유지될 수 있고 수로관(10) 말단이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와 연속해서 이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맨홀몸체(1)와 수로관(10)의 연결 부분에서의 하수 고임 현상이 사라지게 된다.
특히,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211)의 일측 말단은 맨홀몸체(1)의 바닥면의 수로면과 보스(211)의 내주면이 연속되도록 맨홀몸체(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반원형 단면부위와 맨홀몸체(1)의 접속홀 내면에 밀착되는 원형 단면부위가 이어진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맨홀몸체(1)의 바닥면의 수로면과 보스(211)의 내주면이 연속되면 맨홀몸체(1)의 바닥면의 수로면과 보스(211)의 내주면간의 높이 차이로 인한 하수의 흐름 저항이 사라지게 되어 맨홀몸체(1)와 보스(211)의 경계에서 하수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커넥터(21)의 보스(211)와 맨홀몸체(1)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보스(211)의 일측 말단은 맨홀몸체(1)의 접속홀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면서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의 표면에 밀착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스(211)의 일측이 맨홀몸체(1)의 접속홀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면서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의 표면에 밀착 결합된다. 보스(211)의 일측 단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제조 과정에서 커넥터(21)의 내부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입되지 않도록 그 단부의 절반이 반원형 단면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보스(211)의 일측 말단 전체의 단면 형태가 원형이라면 보스(211)의 일측 단말의 절반이 맨홀몸체(1)의 접속홀(10)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제조 과정에서 보스(211)의 내부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입되거나 콘크리트 맨홀의 제조에 사용되는 지그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한 구조의 지그를 사용하면서도 보스(211)의 내부로 콘크리트 몰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절반이 반원형 단면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복수 개의 매립돌기(212)는 원형 단면으로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맨홀몸체(1)에 매립된다. 본 실시예의 보스(211)는 종래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의 플랜지 어셈블리 보스와는 달리 맨홀몸체의 접속홀(10)에 대한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그 타측이 휘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맨홀몸체(1)의 접속홀(10) 내면에 밀착 결합된 보스(211)의 일측이 그 타측의 휘어짐에 따른 반력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원형 단면을 갖는 복수 개의 매립돌기(212)가 돌출되어 있고, 이러한 복수 개의 매립돌기(212)가 맨홀몸체(1)에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21)의 보스(211)의 일측이 그 타측의 휘어짐에 따른 반력을 받게 되더라도 보스(211)의 일측 말단이 맨홀몸체(1)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커넥터(21)의 재질에 따라 보스(211)의 타측의 휘어짐에 의해 보스(211)의 일측이 받게 되는 반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보스(211)의 일측이 받게 되는 반력이 작은 경우에 하나의 매립돌기가 맨홀몸체(1)에 매립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매립돌기(212)는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1 매립돌기(2121)와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2 매립돌기(2122)로 구성될 수 있다.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 측의 제 1 매립돌기(2121)는 맨홀몸체(1)의 바닥면에 매립되고,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원형 단면부위 측의 제 2 매립돌기(2122)는 맨홀몸체(1)의 접속홀의 내면에 매립됨으로써 보스(211)의 일측과 맨홀몸체(1)간의 결합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는 맨홀몸체(1)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원형 단면부위는 맨홀몸체(1)의 접속홀 내면에 밀착된다.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가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의 중심선으로부터 많이 벗어나게 되어 보스의 타측이 최대로 휘어지는 경우,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가 가장 큰 반력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 측의 제 1 매립돌기(2121)는 맨홀몸체(1)의 바닥면에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보스(211)의 일측 말단이 매우 큰 반력을 받더라도 맨홀몸체(1)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보스(211)의 타측은 수로관(100)과 연결되는 부위의 내경과 외경이 다른 부위의 내경과 외경보다 큰 형태로 형성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211)의 타측에는 이러한 보스(211)의 외경 변화에 따른 걸림턱(211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보스(211)의 타측의 걸림턱(2111)은 경질관(2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보스(211)의 타측 중 수로관(100)과 연결되는 부위의 내주면에는 요철형 수밀돌기(2112)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211)에 수로관(100)이 삽입 결합될 때에 보스(211)와 수로관(100)의 결합 부위로부터 하수가 새지 않도록 보스(211)의 내주면과 수로관(100)의 외주면은 수밀 결합되어야 합니다. 보스(211)의 내주면의 수밀돌기(2112)는 보스(211)와 수로관(100)의 결합 시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로관(10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관의 형태를 가질 때에 그 수밀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플랜지(213)는 보스(2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맨홀몸체(1)의 접속홀(10) 내면에 매립된다. 플랜지(213)는 보스(211)의 외주면 중 보스(211)의 중간 높이의 둘레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맨홀몸체(1)의 각 접속홀(10)은 맨홀몸체(1)의 외측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진행하다가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213)는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의 동일한 직경 부위에 매립되고, 플랜지(213)의 형성 부위의 외측에 해당하는 보스(211)의 타측은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에 대한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질 수 있도록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의 직경 확장 부위에 배치되어 수로관(100)과 연결된다.
플랜지(213)는 경사확장부(2131), 연직확장부(2132), 및 앵커돌기(2133)로 구성된다. 경사확장부(2131)는 보스(2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밀착 결합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확장부(2131)는 제 2 매립돌기(2122)의 돌출 부위와 걸림턱(2111)의 사이의 중간 위치에 해당하는 보스(211)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경사지게 돌출 확장된다. 경사확장부(2131)는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의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밀착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경사확장부(2131)가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밀착 결합됨에 따라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에 수로관(100)이 접속할 때에 플랜지(213)에의 걸림 없이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연직확장부(2132)는 경사확장부(2131)로부터 보스(211)의 외주면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매립된다. 앵커돌기(2133)는 연직확장부(2132)의 말단에 십자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매립된다. 플랜지(213)의 경사확장부(2131)는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경사확장부(2131)만으로는 접속홀(10)에 대한 플랜지(213)의 결합력이 약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플랜지(213)는 경사확장부(2131)로부터 보스(211)의 외주면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 확장된 형태의 연직확장부(2132)에 의해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 깊숙이 침투될 수 있고 연직확장부(2132)의 말단 측의 십자형의 앵커돌기(2133)에 의해 빠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음에 따라 접속홀(10)에 대한 플랜지(213)의 결합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2)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2)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6, 7에는 커넥터(21)와 경질관(22)이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2)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커넥터 어셈블리(2)의 단면이 드러나도록 커넥터 어셈블리(2)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경질관(22)은 커넥터(21)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커넥터(21)에 결합된다. 이러한 경질관(22)은 커넥터(21)의 고무 재질에 비해 신축성이 거의 없는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을 재료로 하여 압축성형 등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대응하여 커넥터(21)의 보스(211)의 타측이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 조절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하좌우로 휘어질 때에 보스(211)의 타측이 급격하게 꺾여지지 않고 활형으로 휘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경질관(22)과 이것에 의해 감싸져 있는 커넥터(21)의 부위와 외력에 대해 일체로 거동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경질관(22)과 커넥터(21)의 결합력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경질관(22)은 커넥터(21) 재질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고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커넥터(21)와 경질관(22) 간의 경도 차이는 크면 클수록 좋다. 커넥터(21)와 경질관(22) 간의 경도 차이가 작을 경우에 보스(211)의 타측이 활형으로 휘어지지 않고 꺾여지게 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의 (a)에는 두 개의 수로관(100)이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의 (b)에는 두 개의 수로관(100) 중 어느 하나는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b)에는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수로관(100)과 연결된 커넥터(21)의 보스(211)의 타측이 활형으로 휘어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관(22)은 커넥터(21)의 보스(211)의 외주면 중 플랜지(213)의 돌출 부위와 수로관(100)과의 연결 부위 사이를 감싸는 형태로 보스(211)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된다. 커넥터(21)의 보스(211)의 타측이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상하좌우로 휘어질 때에 경질관(22)의 내주면과 보스(211)의 외주면간의 밀착 결합에 의해 보스 단면의 변화가 최소화되면서 경질관(22)이 밀착된 부위의 외측의 보스(211) 부위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 때, 경질관(22)이 밀착된 부위의 외측의 보스(211) 부위의 길이만 늘어나게 되고 경질관(22)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와 수로관(100)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는 외력이 가하기 전의 길이를 유지함에 따라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211)의 타측은 급격하게 꺾여지지 않고 활형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21)와 경질관(22) 간의 경도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커넥터(21)와 경질관(22) 간의 신축성 차이도 매우 크게 된다. 경질관(22)의 내주면과 보스(211)의 외주면간의 밀착 결합에 의해 외력에 대해 경질관(22)의 내주면과 보스(211)의 외주면은 일체로 거동하게 되는데, 경질관(22)과 수로관(100)은 거의 신축성이 없기 때문에 커넥터(21)의 보스(211)의 타측이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상하좌우로 휘어질 때에 경질관(22)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와 수로관(100)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는 외력이 가하기 전의 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수로관(100)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이 고경도의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경질관(22)과 마찬가지로 신축성이 거의 없다.
이와 같이, 커넥터(21)의 보스(211)의 타측이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상하좌우로 휘어질 때에 경질관(22)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와 수로관(100)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는 외력이 가하기 전의 길이를 유지함에 따라 경질관(22)이 밀착된 부위의 외측의 보스(211) 부위, 즉 경질관(22)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와 수로관(100)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의 사이만 늘어나게 되면서 보스(211)의 타측은 급격하지 꺾어지지 않고 활형으로 휘어지게 된다. 만약 커넥터(21)의 보스(211)의 외주면 중 플랜지(213)의 돌출 부위와 수로관(100)과의 연결 부위 사이에 경질관(22)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커넥터(21)의 보스(211)의 타측이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상하좌우로 휘어질 때에 커넥터(21)의 보스(211)의 외주면 중 플랜지(213)의 돌출 부위와 수로관(100)과의 연결 부위 사이는 급격하게 꺾여지게 된다.
커넥터(21)의 보스(211)의 외주면 중 플랜지(213)의 돌출 부위와 수로관(100)과의 연결 부위 사이가 급격하게 꺾여진 상태에서 하수가 보스(211)를 통과하면 하수가 이와 같이 급격하게 꺾여진 보스(211) 부위에 충돌하면서 하수의 흐름이 많은 저항을 받게 되어 하수의 유속이 감소하게 된다. 지하 하수로의 곳곳에 다수의 맨홀이 설치되는데, 각 맨홀마다 이러한 하수의 유속 감소가 발생한다면 결국에는 하수가 흐를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하게 되고 콘크리트 맨홀은 하수 수송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하수 고임 현상으로 이어져 맨홀의 악취, 유해가스 발생을 유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21)의 보스(211)의 타측이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상하좌우로 휘어질 때에 경질관(22)이 밀착된 부위의 외측의 보스(211) 부위, 즉 경질관(22)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와 수로관(100)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의 사이만 늘어나게 됨에 따라 보스(211)의 타측은 활형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보스(211)의 타측이 급격하게 꺾여지지 않고 활형으로 휘어지면 하수가 보스(2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하수의 흐름 저항이 거의 없게 되어 하수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지하 하수로의 곳곳에 설치된 다수의 맨홀 각각에서 하수의 유속이 유지되어 하수 수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 고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콘크리트 맨홀의 악취, 유해가스 발생 등이 사라지게 된다.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관(22)은 플랜지(213)의 돌출 부위와 보스(211)의 외경 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2111) 사이에 삽입되어 보스(211)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된다. 플랜지(213)는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 조절 시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게 된다. 수로관(100)은 신축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수로관(100)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 역시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보스(211)의 외주면 중 플랜지(213)의 돌출 부위와 수로관(100)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 사이만 신축 가능한 부위로 남게 되어 경질관(22)이 없다면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 조절 시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급격하게 꺾여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보스(211)의 외주면 중 수로관(100)과 연결되는 부위의 외경이 다른 부위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수로관(100)과의 연결 부위의 시작 지점에 걸림턱(211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스(211)의 외주면 중 접속홀(10)의 내면이 밀착된 부위와 수로관(100)이 밀착된 부위 사이에 경질관(22)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경질관(22)은 접속홀(10)의 내면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와 수로관(100)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경질관(22)에 의해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경질관(22)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와 수로관(100)이 밀착된 보스(211) 부위의 사이만 늘어나게 됨에 따라 보스(211)의 타측은 활형으로 휘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경질관(22)은 플랜지(213)의 경사확장부(2131)가 돌출된 보스(211) 부위와 걸림턱(2111) 사이에 삽입된다. 플랜지(213)의 경사확장부(2131)는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음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보스(211)의 타측이 활형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플랜지(213)의 방해 없이 수로관(100)이 다양한 각도로 맨홀몸체(1)의 접속홀(1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경사확장부(2131)로부터 연장 확장된 형태의 연직확장부(2132)와 앵커돌기(2133)는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매립됨에 따라 플랜지(213)는 맨홀몸체(1)에 강하게 결속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213)는 맨홀몸체(1)에 강하게 결속됨으로써 수로관(100) 접속에 의해 보스(211)가 지속적으로 휘어진 상태로 오랜 기간 유지되더라도 플랜지(213)가 맨홀몸체(1)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 본 실시예는 장기간 하수 흐름 등에 변형되지 않는 높은 내구성의 콘크리트 맨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제조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 제조용 몰드는 외부몰드(3)와 내부몰드(4)로 구성된다. 외부몰드(3)는 맨홀몸체의 측벽 경계에 해당하는 측벽부(31)와 맨홀몸체의 상면 경계에 해당하는 파레트부(32)로 구성된다. 외부몰드(3)의 측벽부(31)에는 맨홀몸체(1)의 두 개의 접속홀(10)에 대응하는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2) 두 개가 외부몰드(3)의 측벽부(31)의 두 개의 구멍에 배치된다.
이어서,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에 해당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지그(5)가 커넥터 어셈블리(2)의 둘레에 설치된다. 이어서, 콘크리트 몰탈이 외부몰드(3)의 상부 개구를 통해 주입된다. 콘크리트 몰탈은 외부몰드(3)와 내부몰드(4)의 사이에 채워지고, 그 후에 콘크리트 몰탈은 내부몰드(4)의 상면 위의 외부몰드(3) 공간에 채워지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 과정을 거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맨홀이 완성된다. 외부몰드(3)와 내부몰드(4)의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 몰탈은 맨홀몸체(1)의 벽체가 되고 내부몰드(4)의 상면 위의 외부몰드(3) 공간에 채워진 콘크리트 몰탈은 맨홀몸체(1)의 바닥체가 된다.
도 2에서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에 해당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과의 구별을 위해 콘크리트 재질 표시가 생략된다. 도 2로부터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와 커넥터(21)의 보스(211) 내주면이 높이 차이 없이 연속해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맨홀몸체(1)의 바닥면 수로와 커넥터(21)의 보스(211) 내주면이 높이 차이 없이 연속해서 이어짐에 따라 맨홀몸체(1)와 수로관(100)과의 경계에서의 높이 차이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맨홀몸체(1)와 수로관(100)과의 경계에서의 하수 흐름 저항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맨홀몸체(1)와 수로관(100)과의 경계에서 하수 유속이 감소하지 않게 된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에는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접속홀(10)에 수로관(100)이 상측을 향하도록 접속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8의 (b)에는 콘크리트 맨홀의 접속홀(10)에 수로관(100)이 우측을 향하도록 접속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로관(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2)에 의해 콘크리트 맨홀의 접속홀(10)에 상하좌우의 어떤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접속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2)의 보스 타측은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활형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수로관(100)의 접속 부분에서의 유속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맨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에는 수로관(100)과 연결된 보스(211) 부위의 말단에 체결밴드(6)가 체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스(211)에 수로관(100)이 삽입 결합될 때에 보스(211)와 수로관(100)의 결합 부위로부터 하수가 새지 않도록 보스(211)의 내주면과 수로관(100)의 외주면은 수밀 결합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보스(211)의 내주면에는 요철형 수밀돌기(2112)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밴드(6)는 보스(211)의 외주면을 압박함으로써 보스(211)의 내주면의 수밀돌기(2112)가 수로관(100)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스(211)와 수로관(100)의 결합 부위의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맨홀몸체
10 ... 접속홀
2 ... 커넥터 어셈블리
21 ... 커넥터
211 ... 보스
2111 ... 걸림턱
2112 ... 수밀돌기
212 ... 매립돌기
213 ... 플랜지
2131 ... 경사확장부
2132 ... 연직확장부
2133 ... 앵커돌기
22 ... 경질관
100 ... 수로관

Claims (8)

  1.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맨홀에 있어서,
    수로관(100)이 접속되는 접속홀(10)이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재질의 맨홀몸체(1); 및
    상기 맨홀몸체(1)와 수로관(100) 사이에 삽입되는 커넥터 어셈블리(2)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2)는
    일측이 상기 접속홀(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로관(100)과 연결되어 상기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지는 신축성 재질의 커넥터(21); 및
    상기 커넥터(21)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커넥터(21)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21) 재질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의 경질관(22)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로관(100)과 연결되는 보스(211); 및
    상기 보스(2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10) 내면에 매립되는 플랜지(213)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홀(10)은 상기 맨홀몸체(1)의 외측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진행하다가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13)는 상기 접속홀(10)의 동일한 직경 부위에 매립되고, 상기 플랜지(213)의 형성 부위의 외측에 해당하는 보스(211)의 타측은 상기 접속홀(10)에 대한 상기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접속홀(10)의 직경 확장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수로관(100)과 연결되고,
    상기 경질관(22)은 상기 보스(211)의 외주면 중 상기 플랜지(213)의 돌출 부위와 상기 수로관(100)과의 연결 부위 사이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보스(211)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보스(211)의 타측이 상기 수로관(100)의 접속 각도에 따라 휘어질 때에 상기 경질관(22)의 내주면과 상기 보스(211)의 외주면간의 밀착 결합에 의해 상기 경질관(22)이 밀착된 부위의 외측의 보스(211) 부위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상기 보스(211)의 타측은 활형으로 휘어지게 되고,
    상기 보스(211)의 타측은 상기 수로관(100)과 연결되는 부위의 내경과 외경이 다른 부위의 내경과 외경보다 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경질관(22)은 상기 플랜지(213)의 돌출 부위와 상기 보스(211)의 외경 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2111)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보스(211)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2. 제 1 항에 있어서,
    원형 단면으로 상기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맨홀몸체(1)에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립돌기(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211)의 일측 말단은 상기 맨홀몸체(1)의 바닥면의 수로면과 상기 보스(211)의 내주면이 연속되도록 상기 맨홀몸체(1)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반원형 단면부위와 상기 맨홀몸체의 접속홀 내면에 밀착되는 원형 단면부위가 이어진 형태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립돌기(212)는 상기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1 매립돌기(2121)와 상기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2 매립돌기(2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13)는
    상기 보스(2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는 경사확장부(2131)를 포함하고,
    상기 경질관(22)은 상기 경사확장부(2131)가 돌출된 보스(211) 부위와 상기 걸림턱(2111)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확장부(2131)는 상기 접속홀(10)의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반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1 매립돌기(2121)와 상기 보스(211)의 일측 말단의 원형 단면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제 2 매립돌기(2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확장부(2131)는 상기 제 2 매립돌기(2122)의 돌출 부위와 상기 걸림턱(2111)의 사이의 중간 위치에 해당하는 보스(211)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경사지게 돌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13)는
    상기 경사확장부(2131)로부터 상기 보스(211)의 외주면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매립되는 연직확장부(2132); 및
    상기 연직확장부(2132)로부터 상기 연직확장부(2132)의 말단에 십자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홀(10)의 확장 부위의 내면에 매립되는 앵커돌기(2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KR1020180026511A 2018-03-06 2018-03-06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101904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11A KR101904311B1 (ko) 2018-03-06 2018-03-06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11A KR101904311B1 (ko) 2018-03-06 2018-03-06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311B1 true KR101904311B1 (ko) 2018-10-04

Family

ID=6386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511A KR101904311B1 (ko) 2018-03-06 2018-03-06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3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41B1 (ko) * 2012-05-25 2012-11-28 최승선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41B1 (ko) * 2012-05-25 2012-11-28 최승선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311B1 (ko)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102137111B1 (ko) 하수관 연결장치
US5806566A (en) Storm drainage conduit plug and sealing band therefor
JP2002369324A (ja) ハンドホール継手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KR20210130573A (ko) 유속을 유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맨홀
KR200424708Y1 (ko) 하수관 연결구
KR100849527B1 (ko) 맨홀의 관 연결부재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1903474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JP2018031196A (ja) 排水配管及び排水配管の施工方法
KR101641114B1 (ko) 맨홀연결구를 구비한 맨홀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029998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190045632A (ko) 하수관 연결구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200343963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110042744A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200242733Y1 (ko) 배수관 연결소켓
RU27419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KR200319627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323749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CN218468444U (zh) 一种埋地排水排污用增强聚丙烯双壁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