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041B1 -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041B1
KR101206041B1 KR1020120056057A KR20120056057A KR101206041B1 KR 101206041 B1 KR101206041 B1 KR 101206041B1 KR 1020120056057 A KR1020120056057 A KR 1020120056057A KR 20120056057 A KR20120056057 A KR 20120056057A KR 101206041 B1 KR101206041 B1 KR 10120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boss
concrete manhole
angl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권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최승선
주식회사 남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주식회사 남양산업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102012005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관의 접속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설치방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 어셈블리 및 콘크리트 맨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결관이 접속되는 접속홀이 구비된 벽체와, 상기 벽체와 연결관 사이에 구비되는 플랜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는 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확장시킨 상태의 내주면에 연결관이 삽입되는 보스와, 단면상 상기 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플랜지받침부와, 단면상 상기 플랜지받침부의 일측부 외측으로 구비되는 플랜지와, 단면상 상기 플랜지받침부의 타측부 외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를 타측으로 회전 시 상기 플랜지의 하부가 걸리어 회전을 못하도록 하는 플랜지걸림턱 및 상기 플랜지를 상기 플랜지걸림턱 측으로 회전 시 상기 플랜지걸림턱에 상기 플랜지의 하부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플랜지의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을 감소시키고 회전하기 쉽도록 상기 플랜지걸림턱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유발홈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angle control type concrete manhole}
본 발명은 플랜지 어셈블리가 설치된 연결관이 접속된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관 접속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수밀이 향상된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및 건축공사, 도로공사 등의 공사에는 우수 및 오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연결관 공사가 필수적이고 연결관거의 중간 중간에는 관거 내의 검사, 청소, 통풍, 환기, 접합, 분기의 목적으로 맨홀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게 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맨홀 축조 공법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맨홀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현장타설 콘크리트 맨홀의 단점인 공사기간의 장기화, 공사비의 증가, 교통체증의 유발, 시공품질의 저하, 기능공 확보의 어려움, 민원의 증가, 완전한 누수 차단의 어려움, 높이 조절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을 점차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현재 선진국에서 보편화 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의 사용을 권장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국가규격(KS F 4012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블록)이 1992년에 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국내에는 현재 70개사 정도가 규격에 맞는 제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또한, 맨홀블록은 연결관과의 중간 중간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맨홀에는 최소 1개 이상의 연결관이 접속된다.
여기서, 연결관의 종류는 콘크리트 제품인 흄관, VR관 외에 PVC관, 폴리에틸렌관(PE관), 폴리머관, 유리섬유 복합관 등 무수한 종류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그 중 PVC제품과 PE제품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재질인 맨홀과 PVC, PE재질인 연결관 연결부위의 누수가 방지되고 설치도 용이하며, 현장여건에 의한 적용성도 우수한 연결관과 맨홀의 연결방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하, 종래 하수관 등 연결관이 연결된 맨홀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인 등록실용 제20-0366435호에 있어서 주요 구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콘크리트벽체(10)에 연결관(20)을 접속 시에 모르타르(30) 등으로 수밀을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구(40)를 이용하여 형틀을 만든 후 모르타르(30)를 타설하여 하수관이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맨홀의 재료인 콘크리트와 하수관의 재료인 PVC, PE재의 선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맨홀제조 과정의 양생공정 및 냉각과정의 온도변화에 의해 콘크리트 보다 하수관에 더 많은 팽창 및 수축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하수관 외면과 콘크리트 접촉면에 틈이 발생하여 수밀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밀을 보강하기 위하여 PE재질의 날개가 용접 부착되거나 철재의 날개를 볼트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에도 근본적으로 선팽창계수의 차이를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나아가, 하수관과 맨홀을 일체화 하기 위하여는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나 현장 여건상 숙련된 작업자가 부족한 경우 하수관 접속부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하수관의 다양한 접속각도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맨홀을 제조하는 제조몰드에 여러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조몰드의 수명이 짧아지고 설비 구비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맨홀에 접합되어 일체로 제작되는 연결관과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 차이를 극복하여 경계면에서 수밀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맨홀에 일체로 접속된 연결관의 접속각도 조정이 가능한 맨홀 구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맨홀 제조몰드의 훼손을 최소화함으로써 설비 구비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연결관과 맨홀의 접속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관이 접속되는 접속홀이 구비된 벽체와, 상기 벽체와 연결관 사이에 구비되는 플랜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는 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확장시킨 상태의 내주면에 연결관이 삽입되는 보스와, 단면상 상기 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플랜지받침부와, 단면상 상기 플랜지받침부의 일측부 외측으로 구비되는 플랜지와, 단면상 상기 플랜지받침부의 타측부 외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를 타측으로 회전 시 상기 플랜지의 하부가 걸리어 회전을 못하도록 하는 플랜지걸림턱 및 상기 플랜지를 상기 플랜지걸림턱 측으로 회전 시 상기 플랜지걸림턱에 상기 플랜지의 하부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플랜지의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을 감소시키고 회전하기 쉽도록 상기 플랜지걸림턱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유발홈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는 단면상 상기 보스의 일측으로 경사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는 단면상 상기 플랜지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앵커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면상 상기 플랜지를 상기 플랜지걸림턱에 걸리도록 회전 시, 상기 앵커돌기는 상기 보스와 동일방향으로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상기 보스를 설치하고 상기 플랜지를 상기 플랜지걸림턱에 걸리도록 회전시킨 후, 내부 공간부를 가지면 소정 두께를 지니도록 벽체가 형성된 콘크리트 맨홀에 상기 연결관을 접속 시, 상기 플랜지의 상부는 상기 플랜지받침부보다 콘크리트 맨홀 벽체의 중앙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면상 상기 보스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과의 압착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보스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지수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를 상기 연결관에 설치하고 콘크리트 맨홀 벽체에 배치된 후 상기 연결관을 회전 시 플랜지받침부에 걸리는 인장응력이 완화되도록 상기 플랜지받침부 양측으로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면상 상기 보스의 내측 일부 구간에는 수밀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가 상기 벽체에 내설되며, 단면상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소정 공간부가 상기 벽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맨홀에 접속되어 일체로 제작되는 연결관과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 차이를 극복하여 경계면에서 수밀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맨홀에 일체로 접합된 연결관의 접속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현장에서의 미세한 접속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설치의 편리성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져오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의 훼손을 최소화 함으로써 설비 구비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연결관과 맨홀을 접속하는데 드는 수고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에 연결관이 연결된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를 일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를 타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랜지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플랜지 어셈블리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지그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도 6의 확장지그유닛의 측면도;
도 8은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확장지그유닛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상기 확장지그유닛을 이용하여 플랜지 어셈블리를 확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플랜지 어셈블리를 확장시켜 설치된 확장지그유닛을 연결관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연결관에 플랜지 어셈블리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연결관에 설치된 플랜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랜지를 직립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연결관에 설치된 플랜지 어셈블리에 체결밴드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주름이 형성된 연결관에 플랜지 어셈블리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에 플랜지 어셈블리가 설치된 연결관을 접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접속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관 및 콘크리트 맨홀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8은 접속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관 및 콘크리트 맨홀을 나타낸 평단면도; 및
도 19는 접속각도가 고정된 상태로 구성된 연결관 및 콘크리트 맨홀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를 일측 및 타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2 및 도 3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 연결용 플랜지 어셈블리(100)는 보스(110), 플랜지받침부(133), 플랜지(120), 플랜지걸림턱(135) 및 지수돌기(130)를 기본적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스(110)는 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받침부(133)는 상기 보스(11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및 두께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스(110)와 마찬가지로 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20)는 단면상 상기 플랜지받침부(133)의 일측부 외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받침부(133)의 타측부 외측으로는 플랜지걸림턱(135)이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120)와 플랜지걸림턱(135) 사이에는 회전유발홈(127)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 플랜지 어셈블리(100)는 상기 플랜지(120)를 플랜지걸림턱(135)에 걸리도록 이동시키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0) 상부가 직립에 가깝게 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플랜지(120)의 경사 절곡 형태가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플랜지걸림턱(135)과 회전유발홈(127)이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 플랜지 어셈블리를 연결관에 설치하고 콘크리트 맨홀에 접속 시 상기 플랜지(120)가 콘크리트 맨홀 벽체의 중앙부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플랜지(120)가 콘크리트 맨홀 벽체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 부족 등의 원인으로 인한 제품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100)는 콘크리트 맨홀에 연결관과 함께 설치되도록 제작된 후, 현장에서 상기 연결관의 각도조정 시 발생하는 비틀림력이 상기 플랜지(120)에서 모두 흡수되지 않고 보스(110)로 전이되어 연결관과 보스(110)의 밀착상태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받침부(133)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오목홈(137)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100)는 상기 보스(110)를 연결관에 설치 시 상기 연결관과의 압착력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120)의 형상 변형이 증대되도록 상기 보스(110)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기 플랜지(120) 하측으로 지수돌기(1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수돌기(130)는 주름이 형성된 연결관에 플랜지 어셈블리를 설치 시 연결관의 주름 사이에 상기 지수돌기(130)가 안착되어 수밀을 향상시키고 안정적 설치상태를 유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20)의 상부에는 단면상 상기 플랜지(12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앵커돌기(125)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돌기(125)는 플랜지 어셈블리(120)가 콘크리트 맨홀에 고정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한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110)의 일측부에는 연결관에 설치 후 수밀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밀돌기(112)와 연결관에의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체결하는 체결밴드(170: 도 14 참조)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걸림턱(115)이 구비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는 소정의 고무류와 같은 신축성 있는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플랜지 어셈블리를 연결관에 설치하는 확장지그유닛을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를 연결관에 설치하는 경우 사용되는 확장지그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지그유닛(300)은 외부프레임(310), 내부프레임(320), 나사샤프트(330) 및 결합너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프레임(310)은 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주를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 관통부(318) 및 관통공(31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프레임(310) 내측으로 상기 내부프레임(3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부프레임(320)은 복수 개의 걸이프레임(3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프레임(322)은 복수 개를 모두 연결하는 경우 상기 외부프레임(310)보다 직경이 작은 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이프레임(322)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관통부(318)를 따라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관통부(318)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나사샤프트(3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310) 외측으로 상기 나사샤프트(330)에 결합되되, 회전 시에는 상기 나사샤프트(330)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하는 결합너트(3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결합너트(34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나사샤프트(330)가 이동하게 되고, 결국 상기 걸이프레임(322)이 상기 외부프레임(3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콘크리트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가 설치된 연결관이 접속되는 콘크리트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몰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400)는 내부제조몰드(410)와 외부제조몰드(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제조몰드(420)는 바닥을 이루는 파레트부(430)와 벽체부(4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벽체부(440)는 연결관이 접속되는 접속홀(445)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내부제조몰드(410)와 외부제조몰드(420) 사이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각 제조몰드(410,420)를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 맨홀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400)는 제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맨홀에 따라 그 형상 및 크기가 달리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랜지 어셈블리(100), 확장지그유닛(300) 및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400)를 이용하여 플랜지 어셈블리가 설치된 연결관이 접속된 콘크리트 맨홀 및 그 제조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셈블리를 확장지그유닛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지그유닛(300)의 걸이프레임(322) 외측으로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의 보스(110)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보스(110)의 지수돌기(130)가 상기 확장지그유닛(300)의 걸이프레임(322) 외측에 설치될 것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결합너트(340)를 회전시켜 나사샤프트(330)를 이동시킴으로써 플랜지 어셈블리(100)가 걸이프레임(32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너트(340)를 회전시켜 나사샤프트(330)를 외부프레임(310)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랜지 어셈블리(100)의 직경이 커지도록 확장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외부프레임(3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걸이프레임(330) 모두가 동일한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나사샤프트(330) 자체에 소정의 눈금을 형성하여, 모든 걸이프레임(322)의 이동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외부프레임(3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걸이프레임(322)을 동일한 위치로 이동시킴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확장지그유닛(300)의 확장 정도는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의 내주면이 연결관의 외부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정도로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랜지 어셈블리(100)의 보스(110) 내경은 연결관의 내경보다 80% 정도를 이루도록 미리 제작된 후, 상기 확장지그유닛을 이용 확장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를 확장시킴에 따라서 플랜지 어셈블리(100) 자체에 내부 인장 응력이 발생된다. 이때, 내부 인장 응력은 상기 지수돌기(130)의 압축 및 보스(110)의 확장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상기 보스(110)의 확장에 용이하게 되도록 상기 회전유발홈(127) 주위를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12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플랜지 어셈블리의 확장 정도에 비례하여 진행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지그유닛(300)의 걸이프레임(322) 내측으로 연결관(30)이 관통되도록 배치시킨 후,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만을 연결관(30)의 외부에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120)는 보스(110)의 일측으로 여전히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울어진 플랜지(120)는 다시 사용자가 외력을 작용하여 회전유발홈(127) 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13에서와 같이 수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보스(110)의 일측 상부면에 체결밴드(170)를 체결하고 연결관(30) 외주면에 견고한 결합이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면에서는 일자형태의 연결관(30)에 플랜지 어셈블리(100)가 설치된 모습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15에서와 같이 소정 주름진 형태의 연결관(50)에 플랜지 어셈블리(100)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상기 지수돌기(130)는 주름이 형성된 연결관(50)에 형성된 홈 상에 배치될 것이다.
그리고 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 어셈블리(100)가 설치된 연결관(50)을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400)의 접속홀(445)을 관통시키도록 설치시키며, 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제조가 완료된 후 콘크리트 맨홀 상에서 연결관의 접속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확보용 지그(510,520)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가 설치된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주입되는 콘크리트가 직접 연결관(50)에 닿지 못하도록 즉, 플랜지 어셈블리(100)를 기준으로 연결관 둘레부위에 소정의 공간이 생기도록 상기 공간확보용 지그(510,520)가 형성 및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간확보용 지그(510,520)는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를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외측 공간확보용 지그(510)와 내측 공간확보용 지그(520)로 나뉘어 배치될 것이다.
도 16과 같이 연결관(50), 플랜지 어셈블리(100), 공간확보용 지그(510,5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400)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조몰드(400)를 제거하면, 도 17 및 도 18에서와 같은 형태로 연결관(50)이 접속된 콘크리트 맨홀(50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콘크리트 맨홀(500)은 바닥부(510)와 벽체(520)로 구성될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맨홀(500)과 연결관(50)이 연결되는 플랜지 어셈블리(100) 주위로 공간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공간부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관(5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맨홀(500)에 접속된 연결관(50)을 상황에 따라서 각도를 일부 변경시킬 수 있게 되어 현장 상황에 따라 연결관(50)의 연결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되며, 연결관(50) 자체의 일부 유동 및 진동이 가능한 구성을 이룸으로써 내구성 증대 등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공간확보용 지그(510,520)를 설치하지 않고 콘크리트 맨홀의 제조도 가능할 것이며, 이 경우에는 도 19에서와 같이, 연결관(50)이 콘크리트 맨홀(50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맨홀(500)에 접속된 연결관(50)을 상황에 따라서 각도를 일부 조정한 후 상기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 플랜지 어셈블리 110: 보스
112: 수밀돌기 115: 걸림턱
120: 플랜지 125: 앵커돌기
127: 회전유발홈 130: 지수돌기
133: 플랜지받침부 135: 플랜지걸림턱
300: 확장지그유닛 310: 외부프레임
320: 내부프레임 322: 걸이프레임
330: 나사샤프트 340: 결합너트
400: 콘크리트 맨홀 제조몰드 410: 내부제조몰드
420: 외부제조몰드 430: 파레트
440: 벽체부 445: 접속홀

Claims (9)

  1. 연결관이 접속되는 접속홀이 구비된 벽체와, 상기 벽체와 연결관 사이에 구비되는 플랜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는,
    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확장시킨 상태의 내주면에 연결관이 삽입되는 보스;
    단면상 상기 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플랜지받침부;
    단면상 상기 플랜지받침부의 일측부 외측으로 구비되는 플랜지;
    단면상 상기 플랜지받침부의 타측부 외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를 타측으로 회전 시 상기 플랜지의 하부가 걸리어 회전을 못하도록 하는 플랜지걸림턱; 및
    상기 플랜지를 상기 플랜지걸림턱 측으로 회전 시 상기 플랜지걸림턱에 상기 플랜지의 하부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플랜지의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을 감소시키고 회전하기 쉽도록 상기 플랜지걸림턱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유발홈;
    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단면상 상기 보스의 일측으로 경사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단면상 상기 플랜지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앵커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4. 제3항에 있어서,
    단면상 상기 플랜지를 상기 플랜지걸림턱에 걸리도록 회전 시,
    상기 앵커돌기는 상기 보스와 동일방향으로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상기 보스를 설치하고 상기 플랜지를 상기 플랜지걸림턱에 걸리도록 회전시킨 후, 내부 공간부를 가지며 소정 두께를 지니도록 벽체가 형성된 콘크리트 맨홀에 상기 연결관을 접속 시,
    상기 플랜지의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 맨홀 벽체의 중앙부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6. 제1항에 있어서,
    단면상 상기 보스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과의 압착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보스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지수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7.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보스를 상기 연결관에 설치한 후, 단면상 상기 플랜지를 회전 시 상기 플랜지에 걸리는 인장응력이 완화되도록 상기 플랜지받침부 양측으로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8. 제1항에 있어서,
    단면상 상기 보스의 내측 일부 구간에는 수밀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가 상기 벽체에 내설되며,
    단면상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소정 공간부가 상기 벽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1020120056057A 2012-05-25 2012-05-25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10120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57A KR101206041B1 (ko) 2012-05-25 2012-05-25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57A KR101206041B1 (ko) 2012-05-25 2012-05-25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041B1 true KR101206041B1 (ko) 2012-11-28

Family

ID=4756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057A KR101206041B1 (ko) 2012-05-25 2012-05-25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0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311B1 (ko) * 2018-03-06 2018-10-04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102041474B1 (ko) * 2019-06-25 2019-11-06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흄관과 맨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20210127472A (ko) 2020-04-14 2021-10-22 김성찬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CN114278790A (zh) * 2021-12-07 2022-04-05 浙江永坚实业有限公司 涂层管安装工具的涂层管安装方法
CN114278790B (zh) * 2021-12-07 2024-06-04 浙江永坚实业有限公司 涂层管安装工具的涂层管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1889B2 (ja) 1994-12-08 1999-08-09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マンホールジョイント
KR101031515B1 (ko) 2010-04-27 2011-04-29 최승환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관 연결용 플랜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1889B2 (ja) 1994-12-08 1999-08-09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マンホールジョイント
KR101031515B1 (ko) 2010-04-27 2011-04-29 최승환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관 연결용 플랜지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311B1 (ko) * 2018-03-06 2018-10-04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유속 유지 구조의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102041474B1 (ko) * 2019-06-25 2019-11-06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흄관과 맨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20210127472A (ko) 2020-04-14 2021-10-22 김성찬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CN114278790A (zh) * 2021-12-07 2022-04-05 浙江永坚实业有限公司 涂层管安装工具的涂层管安装方法
CN114278790B (zh) * 2021-12-07 2024-06-04 浙江永坚实业有限公司 涂层管安装工具的涂层管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8060B2 (en) Rehabilitating pipe segment and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method using same
KR101768903B1 (ko)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KR101206041B1 (ko)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JP2005308100A (ja) 更生管の敷設方法
KR200451427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059345B1 (ko) 이중 벽체용 이중 신축 관체
EP3056785A1 (en)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JP6820726B2 (ja) マンホール更生構造およびマンホール更生方法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KR100967427B1 (ko) 커플러에 의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맨홀
KR101200039B1 (ko)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JP2005350904A (ja) 仮締切構造体および仮締切工法
KR20170111850A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0486198Y1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KR20190139578A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RU152410U1 (ru) Облицованный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колодец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1737411B1 (ko)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101737410B1 (ko)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200396761Y1 (ko) 맨홀 등의 관체결합구 형성 거푸집
KR101737413B1 (ko)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20049236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JP2015045177A (ja) 管材の連結構造、及び、管材の連結方法
JP5918029B2 (ja) 既設管の更生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