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641Y1 - 하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641Y1
KR200394641Y1 KR20-2005-0017974U KR20050017974U KR200394641Y1 KR 200394641 Y1 KR200394641 Y1 KR 200394641Y1 KR 20050017974 U KR20050017974 U KR 20050017974U KR 200394641 Y1 KR200394641 Y1 KR 200394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load water
pipe
nu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호
Original Assignee
대지종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지종건(주) filed Critical 대지종건(주)
Priority to KR20-2005-0017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매설물로서의 주하수관에 새로운 부하수관의 연결부분에 사용되는 연결구로서 합성고무 재질로 된 원통형 동체의 하 단부에 양측으로 걸림돌출편을 형성하고 동체의 하부 외주에 나사를 형성하여 밀폐용 패킹과 너트를 순서대로 삽입시키고 동체에 형성된 나사부의 상부와 연결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유연성을 주므로서 주하수관에 뚫은 부하수관을 연결시킬 구멍의 위치가 약간 틀렸을 경우에도 연결구를 자유롭게 휠 수 있어 부하수관을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요입부의 상부 내주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부하수관의 단부가 저지되게 하고, 상단 외주는 결속밴드로 결속시킬 수 있어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DRAIN PIPE COUPLER}
본 고안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하매설물로서의 주하수관에 새로운 부하수관의 연결부분에 사용되는 연결구로서 합성고무 재질로된 원통형 동체의 하 단부에 양측으로 걸림돌출편을 형성하고 동체의 하부 외주에 나사를 형성하여 밀폐용 패킹과 너트를 순서대로 삽입시키고 동체에 형성된 나사부의 상부와 연결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유연성을 줌으로서 주하수관에 뚫은 부하수관을 연결시킬 구멍의 위치가 약간 틀렸을 경우에도 연결구를 자유롭게 휠 수 있어 부하수관을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요입부의 상부 내주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부하수관의 단부가 저지되게 하고, 상단 외주는 결속밴드로 결속시킬 수 있어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주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새로운 부하수관을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때 주하수관에 부하수광의 직경보다 크게 통공을 뚫어 여기에 부하수관을 끼워 넣고 그 외주연에 시멘트몰탈을 발라 연결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매설중에 연결부위가 움지기게 되어 연결부위에 발은 시멘트몰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고안된 종래의 기술은 지하에 매설되는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의 연결부에 고무재질로 성형되고, 내면에 스태인레스 보강링을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 본체와 너트형의 고정환으로 구성된 연결관이 있었으나 이는 누수는 방지되나 주하수관에 부하수관을 연결시킬 구멍이 약간 트러지게 뚫렸을 경우에는 구멍을 다시뚫어야 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하기 위하여 지하매설물로서의 주하수관에 새로운 부하수관의 연결부분에 사용되는 연결구로서 합성고무 재질로된 원통형 동체의 하 단부에 양측으로 걸림돌출편을 형성하고 동체의 하부 외주에 나사를 형성하여 밀폐용 패킹과 너트를 순서대로 삽입시키고 동체에 형성된 나사부의 상부와 연결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유연성을 줌으로서 주하수관에 뚫은 부하수관을 연결시킬 구멍의 위치가 약간 틀렸을 경우에도 연결구를 자유롭게 휠 수 있어 부하수관을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요입부의 상부 내주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부하수관의 단부가 저지되게 하고. 상단 외주는 결속밴드로 결속시킬 수 있어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하수관(10)에 새로운 부하수관(11)의 연결부분에 사용되는 연결구로서 합성고무 재질로된 원통형 동체(20)의 하단부에 양측으로 걸림돌출편(21)을 형성하고, 동체(20)의 하부 외주에 나사(22)를 형성하여 밀폐용 패킹(23)과 너트(24)를 순서대로 삽입시키며, 동체(20)에 형성된 나사(22)의 상부와 연결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요입부(25)를 형성하여 유연성을 주게 하고, 요입부(25)의 상부 내주에는 걸림턱(26)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부하수관의 하단부가 저지되게 하고, 상단 외주는 결속밴드(27)로 결속시킬 수 있게 한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
본 고안은 지하매설물로서의 주하수관(10)에 새로운 부하수관(11)의 연결부분에 사용되는 연결구로서 합성고무 재질로된 원통형 동체(20)의 하 단부에 양측으로 걸림돌출편(21)을 형성하여 주하수관(10)에 뚫은 구멍(10a)에 삽입시켜 주하수관(10)의 내부에 걸리어 이탈되는 일이 없게 하였으며, 동체(20)의 하부 외주에 나사(22)를 형성하여 밀폐용 패킹(23)과 너트(24)를 순서대로 삽입시켜 주하수관(10)의 외주에 나사물림으로 밀폐되되게 고정시키므로서 누수되는 일이 거의없다. 그리고 동체(20)에 형성된 나사(22)의 상부와 연결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요입부(25)를 형성하여 유연성을 주었기 때문에 주하수관(10)에 뚫은 부하수관(11)을 연결시킬 구멍(10a)의 위치가 약간 틀렸을 경우에도 연결구를 자유롭게 휠 수 있어 부하수관(11)을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요입부(25)의 상부 내주에는 걸림턱(26)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부하수관(11)의 하단부가 저지되게 하였으며, 상단 외주는 결속밴드(27)로 결속시킬 수 있어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조립 상태 일부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펼친 상태 사시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0 : 주하수관 10a : 구멍 11 : 부하수관
20 : 동체 21 : 걸림돌출편 22 : 나사
23 : 패킹 24 : 너트 25 : 요입부
26 : 걸림턱

Claims (1)

  1. 합성고무 재질로된 원통형 동체(20)의 하 단부에 양측으로 삽입돌기(21)를 형성하고, 동체(20)의 하부 외주에 나사(22)를 형성하여 밀폐용 패킹(23)과 너트(24)를 순서대로 삽입시키고, 동체(20)에 형성된 나사(22)의 상부와 연결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요입부(25)를 형성하여 유연성을 주었으며, 요입부(25)의 상부 내주에는 걸림턱(26)을 형성하여서된 하수관연결구.
KR20-2005-0017974U 2005-06-22 2005-06-22 하수관 연결구 KR200394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74U KR200394641Y1 (ko) 2005-06-22 2005-06-22 하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74U KR200394641Y1 (ko) 2005-06-22 2005-06-22 하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641Y1 true KR200394641Y1 (ko) 2005-09-02

Family

ID=4369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974U KR200394641Y1 (ko) 2005-06-22 2005-06-22 하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6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010B1 (ko) * 2020-02-13 2020-08-20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010B1 (ko) * 2020-02-13 2020-08-20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10098191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일체형 파형강관
KR20039464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836834B1 (ko)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CA2360875C (en) Sewer pipe coupling
KR200404438Y1 (ko) 관이음 구조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200258641Y1 (ko) 스테인리스 배급수관 연결기구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KR200424466Y1 (ko)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0384222Y1 (ko) 이경이축접속구를 이용한 하수관에의 지관설치구조
KR100603195B1 (ko) 압입형 하수관 분기구
KR200364270Y1 (ko) 맨홀의 관연결부재
KR102454257B1 (ko) 하수관 연결구조체
KR101407685B1 (ko)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0756307B1 (ko) 오폐수 도관의 결합구조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KR102049056B1 (ko) 하수관로용 분기관 연결구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