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10B1 - 하수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10B1
KR102146010B1 KR1020200055275A KR20200055275A KR102146010B1 KR 102146010 B1 KR102146010 B1 KR 102146010B1 KR 1020200055275 A KR1020200055275 A KR 1020200055275A KR 20200055275 A KR20200055275 A KR 20200055275A KR 102146010 B1 KR102146010 B1 KR 10214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pe
around
packing member
oute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만
Original Assignee
한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만 filed Critical 한기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bolts, fixed to a flange, which are able to tilt in slots of another flange, and being maintained there by the tightening of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소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고, 본관연결구에 연결관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결관을 사방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본관에 연결관을 다양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연결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하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접혔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하도록 하단부 일측 테두리가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은 떨어진 상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부재가 수직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부 일측 테두리 외측면에는 외력에 의해 접혀있던 걸림부재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가이드 하는 탄성복원부가 형성되며, 타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조임부재가 나사 체결되도록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연결관;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관의 후단부에 결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 외측 둘레에는 사방으로 휘어지도록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주름부의 내측에는 보강력을 부여하는 보강링이 장착되는 제2연결관; 상기 걸림부재와 제1나사산의 사이에 해당하는 제1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되어 본관연결구를 밀폐시키는 패킹부재; 상기 제1연결관의 제1나사산과 맞물려 나사 결합되도록 내측 둘레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손으로 잡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와, 강성을 높여주기 위한 리브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조여주는 조임부재;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부 테두리 내측 및 외측을 감싸도록 끼움 장착되어 제2연결관 내부로 삽입되는 가정관이 밀려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부에 테두리삽입홈이 형성되는 밀림방지부재;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부 내측에 삽입 연결되는 가정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 및 상기 제1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되는 패킹부재가 밀림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제1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패킹부재의 내측 둘레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장치{sewer pip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소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고, 본관연결구에 연결관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결관을 사방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본관에 연결관을 다양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연결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하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가정 및 공장 등에서 발생 되는 오수가 흐르는 관으로 주로 지하에 매설되며, 하수관의 매설이나 교체 및 관경의 확대, 관로의 추가, 맨홀설치 등의 목적으로 하수관들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하수관의 연결 방법으로 지하에 매설된 본관에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콘크리트 옹벽으로 이루어진 지하시설물로서의 하수관과, 필요에 의해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하수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은 사람이 사용하고 버리는 생활하수를 일정한 장소 즉, 생활하수를 정화하는 하수정화처리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하는 관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변에 사람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새로운 건축물(주택이나 빌딩)을 건축할 경우에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에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이하 '본관'이라 칭한다.)에 새로운 하수관(이하 '가정관'이라 칭한다.)을 연결시킬 경우, 본관의 외주면에 가정관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구멍을 뚫고 가정관의 일단을 본관의 내측으로 끼워 넣고 그 주변에 시멘트몰탈을 덮어 연결관을 연결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멘트 몰탈을 덮는 방법은 가정관을 본관에 연결시킨 후 가정관과 본관을 흙으로 덮는 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시멘트몰탈 부분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되는 본관과 가정관의 연결부에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내면에 스테인리스 보강링을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 본체와 너트형의 고정환으로 구성된 가정관이 있었으나 본관과 가정관을 연결시킬 구멍을 조금이라도 틀어지게 뚫었을 경우에 구멍을 다시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파기 후 하수관 개량시에 절단된 가정관을 연결하는 경우 이음소켓을 사용하여 시공이 힘든 경우가 많아 가정관 자재인 PVC관을 불에 달구어 형상을 늘려 접합부분을 길게하여 접합하였는데 이는 누수의 위험과 PVC관의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97594호가 공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간소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고, 본관연결구에 연결관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결관을 사방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본관에 연결관을 다양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연결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하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접혔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하도록 하단부 일측 테두리가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은 떨어진 상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부재가 수직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부 일측 테두리 외측면에는 외력에 의해 접혀있던 걸림부재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가이드 하는 탄성복원부가 형성되며, 타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조임부재가 나사 체결되도록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연결관;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관의 후단부에 결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 외측 둘레에는 사방으로 휘어지도록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주름부의 내측에는 보강력을 부여하는 보강링이 장착되는 제2연결관; 상기 걸림부재와 제1나사산의 사이에 해당하는 제1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되어 본관연결구를 밀폐시키는 패킹부재; 상기 제1연결관의 제1나사산과 맞물려 나사 결합되도록 내측 둘레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손으로 잡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와, 강성을 높여주기 위한 리브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조여주는 조임부재;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부 테두리 내측 및 외측을 감싸도록 끼움 장착되어 제2연결관 내부로 삽입되는 가정관이 밀려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부에 테두리삽입홈이 형성되는 밀림방지부재;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부 내측에 삽입 연결되는 가정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 및 상기 제1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되는 패킹부재가 밀림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제1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패킹부재의 내측 둘레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름부는 제2연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부와 홈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일측에서 타측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가압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면에는 본관연결구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연결관의 내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2연결관의 일단부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연결관의 일단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접혔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걸림부재를 구비시킴으로써, 본관연결구에 제1연결관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주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제2연결관이 사방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본관에 가정관을 서로 다양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연결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주름부의 요부의 내측에 보강링을 장착시킴으로써, 땅속에 매립시 토압에 의해 제2연결관이 내측 방향으로 찌그러져 하수관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관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조임부재를 구비시킴으로써, 본관연결구에 일정깊이 삽입되는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조여줌으로써 수밀성을 높여준다.
또한, 조임부재의 외측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손잡이를 형성시킴으로써, 조임부재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더욱 강하게 패킹부재를 가압하므로 본관연결구를 면밀히 개폐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걸림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연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간소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고, 본관연결구에 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결관을 사방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본관에 연결관을 다양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연결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하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하수관 연결장치(10)는 크게 제1연결관(100), 제2연결관(200), 패킹부재(300), 조임부재(400), 밀림방지부재(500) 및 고정밴드(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연결관(100)은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 외측 둘레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부재(11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 구비된다.
이와 같은 걸림부재(110)는 하단부 일측 테두리가 제1연결관(100)의 외측 둘레면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타측은 제1연결관(100)에 떨어진 상태로 구비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접혔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구비된다.
즉, 본관연결구(12)의 내부로 제1연결관(100)을 삽입시키는 경우, 수직으로 세워진 걸림부재(110)가 자연스럽게 수평으로 접혀짐에 따라 제1연결관(100)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본관연결구(12)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이후 본관연결구(12)를 관통하면 복원력에 의해 수평으로 접혀있던 걸림부재(110)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수직으로 세워져 본관(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한편, 걸림부재(110)의 하단부 일측 테두리 외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접혀있던 걸림부재(110)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탄성복원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복원부(111)의 재질은 신축 및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110)의 타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관연결구(12)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1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하게 제1연결관(100)을 본체연결구(11)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연결관(100)의 타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조임부재(400)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제2나사산(410)과 맞물려 나사 체결되도록 제1나사산(120)이 형성된다.
제2연결관(200)은 상술한 제1연결관(100)의 후단부에 결합수단(80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제2연결관(200)은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외측 둘레에는 사방으로 휘어지도록 주름부(2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주름부(210)는 제2연결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부(211)와 홈부(212)가 복수 개 형성된다.
즉, 주름부(210)는 홈부(212)가 접혔다가 펼쳐짐에 따라 사방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본관(11)에 가정관(13)을 직각으로 결합할 수 없는 경우, 제2연결관(200)의 주름부(210)를 펼쳐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휨으로써 용이하게 가정관(13)을 다방향에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주름부(210)의 요부(211) 내측에는 땅속에 매립시 토압에 의해 제2연결관(200)이 내측 방향으로 찌그러져 하수관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링(90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보강링(900)은 강성인 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수단(8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관(100)의 내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810)와 제2연결관(200)의 일단부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결합돌기(810)와 제2결합돌기(820)는 반원형의 구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수단(800)을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연결관(100)의 내측 둘레와 제2연결관(200)의 일단부 외측 둘레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패킹부재(300)는 중공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무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술한 제1연결관(100)의 외측 둘레에 삽입 장착되어 본관연결구(12)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패킹부재(300)는 일측에서 타측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가압경사부(310)가 형성된다.
한편, 제1연결관(100)의 외측 둘레에 장착되는 패킹부재(300)가 밀림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7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수단(700)은 상술한 제1연결관(100)의 외측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끼움홈(710)과, 상술한 패킹부재(300)의 내측 둘레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끼움홈(71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임부재(400)는 상술한 제1연결관(100)에 형성된 제1나사산(120)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되어 패킹부재(300)를 가압하여 조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조임부재(400)의 내측 둘레에는 제1나사산(120)과 맞물려 나사 결합되도록 제2나사산(410)이 형성된다.
한편, 조임부재(400)의 외측 둘레에는 손으로 잡아 원활하게 조임부재(4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손잡이(4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킹부재(300)에 조임부재(400)가 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420)를 잡고 강하게 조여주어 패킹부재(300)를 본관연결구(12)로 가압하므로 면밀히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임부재(400)의 외측 둘레에는 강성을 높여주기 위한 복수의 보강리브(43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밀림방지부재(500)는 상술한 제2연결관(200)의 타단부 테두리에 장착되어 제2연결관(200) 내부로 삽입되는 가정관(13)이 밀려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밀림방지부재(500)의 일단부에는 제2연결관(200)의 타단부 테두리 내측 및 외측을 감싸게 끼움 장착되도록 테두리삽입홈(510)이 형성된다.
한편, 밀림방지부재(500)의 재질은 밀착력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고정밴드(600)는 상술한 밀림방지부재(500)의 외측 둘레에 장착되어 제2연결관(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가정관(13)을 조여주므로 가정관(13)의 이탈 및 누수를 방지해주며, 이와 같은 고정밴드(600)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장치(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a와 같이 제1연결관(100)의 일단부를 본관연결구(12)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이때, 본관연결구(12)의 내부로 제1연결관(100)의 일단부가 삽입되면 도 5b와 같이 제1연결관(100)의 외측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된 걸림부재(110)가 수평으로 접혀지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제1연결관(100)을 본관연결구(12)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c와 같이 제1연결관(100)의 일단부가 본관연결구(12)를 완전히 통과시키면 외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걸림부재(110)가 자체 탄성력과 탄성복원부(111)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고, 이때, 제1연결관(100)을 뒤로 잡아 당겨주면 걸림부재(110)가 본관(11) 내측면에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그런 다음, 도 5c와 같은 상태에서 도 5d와 같이 패킹부재(300)를 제1연결관(100)에 설치한 다음, 도 5e와 같이 조임부재(400)를 제1연결관(100)에 나사 결합시킨 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패킹부재(300)를 가압하여 조여준다. 이에 따라 패킹부재(300)가 본관연결구(12)와 조임부재(400)의 사이에서 압착되므로 제1연결관(100)를 본관연결구(12)에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관(100)의 타단부 내측에 별도로 마련된 제2연결관(200)의 일단부를 삽입시켜 결합시킨다. 이때, 제1연결관(100)과 제2연결관(200)은 도 5g와 같이 결합수단(80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런 다음,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관(200)의 타단부 테두리에 밀림방지부재(500)를 장착시킨 후 가정관(13)을 제1연결관(100)과 제2연결관(200)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밀림방지부재(5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고정밴드(600)를 장착시켜 조여주어 가정관(13)을 고정시키므로 설치가 완료된다.
즉, 본 발명의 하수구 연결장치(10)는 제1연결관(100)의 일단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접혔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걸림부재(110)를 구비시킴으로써, 본관연결구(12)에 제1연결관(100)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연결관(200)의 외측 둘레에 주름부(210)를 형성시킴으로써, 제2연결관(200)이 사방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본관(11)에 가정관(13)을 서로 다양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연결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연결관(100)의 제1나사산(120)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조임부재(400)를 구비시킴으로써, 본관연결구(11)에 일정깊이 삽입되는 패킹부재(300)를 가압하여 조여줌으로써 수밀성을 높여준다.
또한, 조임부재(400)의 외측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손잡이(420)를 형성시킴으로써, 조임부재(40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더욱 강하게 패킹부재(300)를 가압하므로 본관연결구(12)를 면밀히 개폐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하수관 연결장치
100 : 제1연결관
110 : 걸림부재
120 : 제1나사산
200 : 제2연결관
210 : 주름부
300 : 패킹부재
400 : 조임부재
410 : 나사부
420 : 회전손잡이
430 : 보강리브
500 : 밀림방지부재
510 : 테두리삽입홈
600 : 고정밴드
700 : 이탈방지수단
710 : 끼움홈
720 : 끼움돌부
800 : 결합수단
810 : 제1결합돌기
820 : 제2결합돌기
900 : 보강링

Claims (6)

  1.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접혔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하도록 하단부 일측 테두리가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은 떨어진 상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부재가 수직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하단부 일측 테두리 외측면에는 외력에 의해 접혀있던 걸림부재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가이드 하는 탄성복원부가 형성되며, 타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조임부재가 나사 체결되도록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연결관;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관의 후단부에 결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 외측 둘레에는 사방으로 휘어지도록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주름부의 내측에는 보강력을 부여하는 보강링이 장착되는 제2연결관;
    상기 걸림부재와 제1나사산의 사이에 해당하는 제1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되어 본관연결구를 밀폐시키는 패킹부재;
    상기 제1연결관의 제1나사산과 맞물려 나사 결합되도록 내측 둘레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손으로 잡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와, 강성을 높여주기 위한 리브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조여주는 조임부재;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부 테두리 내측 및 외측을 감싸도록 끼움 장착되어 제2연결관 내부로 삽입되는 가정관이 밀려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부에 테두리삽입홈이 형성되는 밀림방지부재;
    상기 제2연결관의 타단부 내측에 삽입 연결되는 가정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 및
    상기 제1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되는 패킹부재가 밀림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제1연결관의 외측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패킹부재의 내측 둘레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제2연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부와 홈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일측에서 타측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가압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타측면에는 본관연결구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연결관의 내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2연결관의 일단부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장치.
  6. 삭제
KR1020200055275A 2020-02-13 2020-05-08 하수관 연결장치 KR102146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874 2020-02-13
KR20200017874 2020-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10B1 true KR102146010B1 (ko) 2020-08-20

Family

ID=7224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275A KR102146010B1 (ko) 2020-02-13 2020-05-08 하수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44B1 (ko) * 2021-09-27 2022-08-24 주식회사 트인공조 배수트랩
KR102489821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구조물용 스트롱 커넥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56Y1 (ko) * 2002-01-31 2002-05-16 신성균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구조
KR200394641Y1 (ko) * 2005-06-22 2005-09-02 대지종건(주) 하수관 연결구
KR100514718B1 (ko) * 2005-02-25 2005-09-13 주식회사 동성전기기술단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200399662Y1 (ko) * 2005-08-09 2005-10-26 채 석 전 맨홀 접속장치
KR100836834B1 (ko) * 2007-04-16 2008-06-11 전순남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101297594B1 (ko) 2011-12-16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56Y1 (ko) * 2002-01-31 2002-05-16 신성균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구조
KR100514718B1 (ko) * 2005-02-25 2005-09-13 주식회사 동성전기기술단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200394641Y1 (ko) * 2005-06-22 2005-09-02 대지종건(주) 하수관 연결구
KR200399662Y1 (ko) * 2005-08-09 2005-10-26 채 석 전 맨홀 접속장치
KR100836834B1 (ko) * 2007-04-16 2008-06-11 전순남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101297594B1 (ko) 2011-12-16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44B1 (ko) * 2021-09-27 2022-08-24 주식회사 트인공조 배수트랩
KR102489821B1 (ko) *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구조물용 스트롱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4352C2 (ru) Труба, в частности пластмассовая труба для канализацион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102146010B1 (ko) 하수관 연결장치
US8313607B2 (en) Expansion repair coupling
KR102137111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20130068911A (ko) 하수관 연결구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100926528B1 (ko)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KR102100056B1 (ko)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장치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0772578B1 (ko) 절단된 주관에 체결되는 분기구
KR100864053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이중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JP2006070994A (ja) 離脱防止管継手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100864054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차수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0586415B1 (ko) 지관 연결장치
US20070018456A1 (en) Smartloc whirlpool fitting
KR100864059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삼중 복층관용 관로 연결장치
KR100864058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복층관용 관로 연결장치
KR20180051024A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JP2004293702A (ja) 可撓管継手
KR20160133290A (ko) 하수관 연결관
KR100864060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솔리드관용 관로 연결장치
KR200218355Y1 (ko) 가지관 연결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