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290A - 하수관 연결관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290A
KR20160133290A KR1020150066211A KR20150066211A KR20160133290A KR 20160133290 A KR20160133290 A KR 20160133290A KR 1020150066211 A KR1020150066211 A KR 1020150066211A KR 20150066211 A KR20150066211 A KR 20150066211A KR 20160133290 A KR20160133290 A KR 2016013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ipe
injection
sewage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남
Original Assignee
전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남 filed Critical 전순남
Priority to KR102015006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290A/ko
Publication of KR2016013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하수관 연결관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하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하수관 연결관에 있어서, 상하좌우로 휘어지고 앞뒤로 신축되도록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일측과 연결되고, 그 내측에 상기 복수의 하수관 중 하나과 연결되는 전단부 외주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제 1 사출 부재가 삽입되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관{PIPE FOR CONNECTING DRAIN PIPE}
본 발명은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하수관을 용이하게 누수 없이 체결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새로운 부하수관을 연결시키거나 개량하여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때 주하수관에 부하수관의 직격보다 크게 통공을 뚫어 부하수관을 끼워 넣고 그 외주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 연결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매설중에 연결부위가 움직이게되어 연결부위에 발은 시멘트가 떨어지는 문제점과 부하수관이 주하수관 내부로 돌출되어 하수의 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되는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의 연결부에 고무재질로 성형되고, 내면에 스테인리스 보강링을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 본체와 너트형의 고정환으로 구성된 연결관이 있었으나 주하수관에 부하수관을 연결시킬 구멍이 약간 트러지게 뚫렸을 경우에는 구멍을 다시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터파기 후 하수관 개량시에 절단된 가정 부하수관을 연결하는 경우 이음소켓을 사용하여 시공이 힘든 경우가 많아 부하수관 자재인 PVC관을 불에 달구어 형상을 늘려 접합부분을 길게하여 접합하였는데 이는 누수의 위험과 PVC관의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36905호(2008.06.0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하수관 및 부하수관과의 연결 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관 연결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주하수관 및 부하수관과 연결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이 서로 다양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라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하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하수관 연결관에 있어서, 상하좌우로 휘어지고 앞뒤로 신축되도록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일측과 연결되고, 그 내측에 상기 복수의 하수관 중 하나과 연결되는 전단부 외주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제 1 사출 부재가 삽입되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관이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는 화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는 기결정된 폭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내주에는 외주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따라 스프링 형상의 강선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타측과 연결되는 제 2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부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하수관 중 다른 것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 부재가 형성되는 제 2 사출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상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하수관 중 하나 측으로 조이는 조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임부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요입부의 나사선 형태에 대응하는 나사선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임부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조임부 내측을 한 바퀴 돌아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임부의 외측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그립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부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의 재질과 상기 제 1 사출 부재의 재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부의 재질과 상기 제 2 사출 부재의 재질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의 외측에는 실링 물질이 주입될 수 있는 주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 홈은 상기 제 1 체결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홈부와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 1 홈부까지를 연결하는 제 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 1 체결부 및 제 2 체결부 내에 제 1 사출 부재 및 제 2 사출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제 1 체결부 및 제 2 체결부의 사이즈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서 제 1 체결부 및 제 2 체결부가 하수관과 연결 시에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체결부에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수관 연결관을 용이하게 하수관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에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지관이 상하좌우로 유연성을 가지고 앞뒤로 신축성을 가지게 되어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이 다양한 위치에 있더라도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 외주에서 회전 이동 가능한 조임부를 형성하여서, 하수관 연결관과 하수관 간의 밀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체결부 외측에 주입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 1 체결부와 하수관 간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사출 부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의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관이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의 사시도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제빙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하수관을 연결하는 하수관 연결관(10)은 제 1 체결부(100), 몸체부(200) 및 제 2 체결부(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00)의 일측은 제 1 체결부(100)와 연결되고, 몸체부(200)의 타측은 제 2 체결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100)는 복수의 하수관 중 하나(예를 들어, 주하수관)와 체결될 수 있고, 제 2 체결부(200)는 복수의 하수관 중 다른 것(예를 들어, 부하수관)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200) 상에는 회전가능한 조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수관 연결관(10)의 제 1 체결부(100)의 외측부(140)는 그 내측에 복수의 하수관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전단부 외주에 걸림부(120)가 형성되는 제 1 사출 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120)는 화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부(120)의 양측에는 기결정된 폭을 가지는 간극(1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하수관 중 하나(예를 들어, 주하수관)에 천공을 형성한 후에 하수관 연결관(10)을 삽입할 때에 간극(130) 공간으로 걸림부(120)이 축소되도록 하여 하수관 연결관(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0)로 인하여 하수관 연결관(10)이 복수의 하수관 중 하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체결부(100)의 외측부(140)는 브로어(blower)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브로어 성형의 경우에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성형재의 수축이 발생하여 성형재의 사이즈의 정밀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체결부(100)의 외측부(140)의 수축이 일어나기 전에 사출에 의해 형성된 제 1 사출 부재(110)를 제 1 체결부(100)의 외측부(140) 내에 삽입하기 때문에, 제 1 체결부(100)의 외측부(140)는 제 1 사출 부재(110)의 크기 이하로 수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부(100) 전체의 사이즈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제 1 체결부(100)와 하수관 사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몸체부(200)에는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210)가 형성되어서, 몸체부(200)가 상하좌우로 휘어지고 전후로 신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주하수관에 대하여 부하수관이 직각으로 결합될 수 없는 경우에도, 몸체부(200)를 휨으로써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앞뒤로 신축성이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의 내주에는 외주에 형성된 나사선과 동일한 규격의 스프링 형상 강선(미도시됨)이 삽입될 수 있어서, 하수관 연결관(10)을 설치한 후 토압에 의해 하수관 연결관(1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2 체결부(300)의 외측부(320)의 내측에는 복수의 하수관 중 다른 것(예를 들어, 부하수관)이 삽입될 때 주하수관 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 부재(315)가 형성되는 제 2 사출 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다. 밀림 방지 부재(315)는 걸림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체결부(300)의 외측부(320)도 제 1 체결부(100)의 외측부(140)와 마찬가지로 브로어(blower) 성형으로 형성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서 성형재의 수축이 발생하여 성형재의 사이즈의 정밀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체결부(300)의 외측부(320)의 수축이 일어나기 전에 사출에 의해 형성된 제 2 사출 부재(310)를 제 2 체결부(300)의 외측부(320) 내에 삽입하기 때문에, 제 2 체결부(300)의 외측부(320)가 제 2 사출 부재(310)의 크기 이하로 수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체결부(300) 전체의 사이즈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제 2 체결부(300)와 하수관 사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수관 연결관(1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체결부(100), 몸체부(200) 및 제 2 체결부(300)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각각 분리형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체결부(100)의 외측부(140), 몸체부(200) 및 제 2 체결부(300)의 외측부(320)의 재질과 제 1 사출 부재(110) 및 제 2 사출 부재(310)의 재질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사출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사출 부재(110)에는 그 외주를 따라서 복수 개의 걸림부(120)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1 사출 부재(110)가 4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임부(400)는 하수관 연결관(10)이 하수관 중 하나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조임부(400)의 내부는 하수관 연결관(10)의 몸체부(200)의 요입부(210)의 나사선 형태에 대응하는 나사선 형상의 돌출부(430)를 형성하여 조임부(400)를 몸체부(200) 상에서 회전하도록 하여 하수관과 하수관 연결관(10)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돌출부(430)는 조이부(400)의 내측을 한 바퀴만 돌도록 형성함으로써, 돌출부(430)의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돌출부(430)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조임부(400)를 회전시켜 하수관과 하수관 연결관(10)이 밀착되면 조임부(400)의 전단부(420)가 하수관의 외벽에 균일하게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임부(40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조임부(400)를 몸체부(200) 상에서 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그립 부재(4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관이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관의 시공순서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주하수관(20)을 일정한 크기로 천공하여 천공한 곳(21)에 수밀코킹을 바른 후 하수관 연결관(10)의 제 1 체결부(100)를 주하수관(20)에 삽입할 수 있다.
하수관 연결관(10)을 삽입한 후 조임부(400)를 회전시켜 주하수관(20)과 하수관 연결관(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부하수관(30)의 방향에 따라 각도를 잡고 하수관 연결관(10)을 주하수관(20) 뒤로 밀어 부하수관(30)을 제 2 체결부(30)에 삽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수관 연결관(10)의 몸체부(200)에는 요입부(210)가 형성되어서, 부하수관(30)이 주하수관(20)과 직각으로 연결될 수 없는 상태에서도 몸체부(200)를 구부려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는 요입부(210)에 의하여 앞뒤로 신축성을 가지기 때문에, 부하수관(30)과 연결 시 하수관 연결관(10)을 뒤로 수축시켰다가 연장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부하수관(30)과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10)의 제 1 체결부(100)의 외측부(140) 상에는 주입 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 훔(150)은 그 안에 실리콘과 같은 실링 물질이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부(100)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주입 홈(150)은 제 1 체결부(100)의 외측부(1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홈부(151) 및 제 1 체결부(100)와 몸체부(200)의 경계에서 제 1 홈부(151) 까지를 연결하는 제 2 홈부(15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하수관 연결관
100 : 제 1 체결부
110 : 제 1 사출 부재
120 : 걸림부
130 : 간극
140 : 외측부
150 : 주입 홈
151 : 제 1 홈부
152 : 제 2 홈부
200 : 몸체부
210 : 요입부
300 : 제 2 체결부
310 : 제 2 사출 부재
315 : 밀림 방지 부재
320 : 외측부
400 : 조임부
410 : 그립 부재
420 : 전단부
430 : 돌출부

Claims (15)

  1. 복수의 하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하수관 연결관에 있어서,
    상하좌우로 휘어지고 앞뒤로 신축되도록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일측과 연결되고, 그 내측에 상기 복수의 하수관 중 하나와 연결되는 전단부 외주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제 1 사출 부재가 삽입되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화살 형상인, 하수관 연결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는 기결정된 폭의 간극이 형성되는, 하수관 연결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에는 외주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따라 스프링 형상의 강선이 삽입되는, 하수관 연결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타측과 연결되는 제 2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부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하수관 중 다른 것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 부재가 형성되는 제 2 사출 부재가 삽입되는, 하수관 연결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하수관 중 하나 측으로 조이는 조임부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요입부의 나사선 형태에 대응하는 나사선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수관 연결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조임부 내측을 한 바퀴 돌아서 형성되는, 하수관 연결관.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의 외측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그립 부재가 형성되는, 하수관 연결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는 플라스틱 재질인, 하수관 연결관.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는 플라스틱 재질인, 하수관 연결관.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의 재질과 상기 제 1 사출 부재의 재질은 서로 다른, 하수관 연결관.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의 재질과 상기 제 2 사출 부재의 재질은 서로 다른, 하수관 연결관.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의 외측에는 실링 물질이 주입될 수 있는 주입 홈이 형성되는, 하수관 연결관.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주입 홈은 상기 제 1 체결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홈부와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 1 홈부 까지를 연결하는 제 2 홈부를 포함하는, 하수관 연결관.
KR1020150066211A 2015-05-12 2015-05-12 하수관 연결관 KR20160133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211A KR20160133290A (ko) 2015-05-12 2015-05-12 하수관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211A KR20160133290A (ko) 2015-05-12 2015-05-12 하수관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290A true KR20160133290A (ko) 2016-11-22

Family

ID=5754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211A KR20160133290A (ko) 2015-05-12 2015-05-12 하수관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32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11B1 (ko) * 2019-03-13 2020-07-23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905B1 (ko) 2007-09-05 2008-06-10 브렌트유화산업(주) 하수관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905B1 (ko) 2007-09-05 2008-06-10 브렌트유화산업(주) 하수관용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11B1 (ko) * 2019-03-13 2020-07-23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456B1 (en) Plug for hydrostatic testing of flexible polymeric pipe or tubing
KR102137111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20160133290A (ko) 하수관 연결관
KR102146010B1 (ko) 하수관 연결장치
US5403046A (en) Elastomeric house coupling
KR100836834B1 (ko)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ES2685096T3 (es) Conector para taza de inodoro
US6460896B1 (en) Sewer pipe coupling
KR20160024693A (ko) 밀봉력이 향상된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KR200343963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1460254B1 (ko) 수전의 각도조절이 가능케 하는 연결부용 패킹
KR20140025214A (ko) 양변기배수구 연결장치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JP6713296B2 (ja) 閉塞具および管路更生方法
KR101641114B1 (ko) 맨홀연결구를 구비한 맨홀
KR101903474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KR100864054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차수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100683911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20170003104U (ko) 하수관거
KR20039464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379091Y1 (ko)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KR200414913Y1 (ko) 이탈방지용 일체형 편수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