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834B1 -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834B1
KR100836834B1 KR1020070037010A KR20070037010A KR100836834B1 KR 100836834 B1 KR100836834 B1 KR 100836834B1 KR 1020070037010 A KR1020070037010 A KR 1020070037010A KR 20070037010 A KR20070037010 A KR 20070037010A KR 100836834 B1 KR100836834 B1 KR 100836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ad water
water pipe
sewer pip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남
Original Assignee
전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남 filed Critical 전순남
Priority to KR102007003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18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branch pipe being mov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단지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은 주하수관 체결부, 몸체부 및 부하수관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하좌우로 휘어지고 앞뒤로 신축되도록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주에는 외주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따라 스프링 형상의 강선이 삽입되어 토압에 단지관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주하수관 체결부는 전단 외주에 화살표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요입홈을 구비하여 주하수관의 구멍에 단지관의 체결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주하수관 체결부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수팽창성 고무링을 구비하여 접합부위로 물이 접촉되었을 때 팽창하게 하여 관로의 수밀을 높인다. 상기 단지관의 외주에는 회전하여 삽입되어 상기 주하수관에 결합되는 조임너트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사선 형태의 스크류 방식으로 몸체를 형성함으로써, 단지관을 상하좌우로 유연성을 가지고, 앞뒤로 신축성을 가지므로 직각이 아닌 부하수관 연결시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주하수관 체결부를 일정간격으로 요입홈을 구비한 화살표 형상의 걸림턱을 구비함으로써 단지관을 주하수관에 삽입이 용이하며, 나사선 모양의 몸체 외주에 너트식의 조임물을 체결함으로써, 주하수관과 밀착이 용이하여 단지관이 주하수관 안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A COUPLER FOR CONNECTING DRAIN PIP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관 조임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지관 조임너트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이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을 연결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관이 상하좌우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관이 앞뒤로 신축성을 가지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단지관 2: 주하수관
3: 부하수관 10: 주하수관 체결부
11: 걸림턱 12: 요입홈
20: 몸체부 21: 강선
30: 부하수관 체결부 31: 밀림방지용 걸림턱
32: 스테인리스 조임물
본 발명은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단지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단지관 몸체부에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단지관이 상하좌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앞뒤로 신축성을 가지므로 직각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하수관을 용이하게 누수 없이 체결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새로운 부하수관을 연결시키거나 개량하여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때 주하수관에 부하수관의 직격보다 크게 통공을 뚫어 부하수관을 끼워 넣고 그 외주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 연결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매설중에 연결부위가 움직이게되어 연결부위에 발은 시멘트가 떨어지는 문제점과 부하수관이 주하수관 내부로 돌출되어 하수의 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되는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의 연 결부에 고무재질로 성형되고, 내면에 스테인리스 보강링을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 본체와 너트형의 고정환으로 구성된 연결관이 있었으나 주하수관에 부하수관을 연결시킬 구멍이 약간 트러지게 뚫렸을 경우에는 구멍을 다시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터파기 후 하수관 개량시에 절단된 가정 부하수관을 연결하는 경우 이음소켓을 사용하여 시공이 힘든 경우가 많아 부하수관 자재인 PVC관을 불에 달구어 형상을 늘려 접합부분을 길게하여 접합하였는데 이는 누수의 위험과 PVC관의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하수관에 부하수관을 연결시 주하수관에 구멍이 어긋나게 뚫렸거나, 부하수관이 직각으로 연결되기 어려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부하수관을 주하수관에 연결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지관을 주하수관에 용이하게 결합하고 밀려들어가지 않고, 밀착력을 높이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은 주하수관과 부하수관 또는 부하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단지관에 있어서, 상기 단지관의 몸체부 는 상하좌우로 휘어지고 앞뒤로 신축되도록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에는 외주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따라 스프링 형상의 강선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지관은, 상기 몸체부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주하수관과 연결되는 전단부 외주에 화살표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요입홈을 가지는 주하수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단지관은, 상기 몸체부 타측과 연결되며, 내주에 부하수관 밀림방지 걸림턱이 형성되는 부하수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하수관 체결부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수팽창성 고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지관에 회전삽입되도록 내부에 상기 몸체부와 동일한 나사선 모양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주하수관에 결합되는 조임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너트의 전단부는 외주가 점점 넓어지는 접시모양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지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지관의 몸체부 양측에는 상기 부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2개의 부하수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부하수관 체결부는 내주에 부하수관 밀림방지 걸림턱이 형성되 고, 외주에 부하수관 이탈 및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조임물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1)은 주하수관 체결부(10), 몸체부(20) 및 부하수관 체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하수관 체결부(10)는 화살표 형상의 걸림턱(11)과 상기 걸림턱(11)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요입홈(12)이 형성되어 주하수관(2) 천공 후 단지관(1) 삽입시 상기 요입홈(12) 공간으로 걸림턱(11)을 축소시켜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걸림턱(11)으로 인해 단지관(1)이 주하수관(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주하수관 체결부(10) 외주에 하나 이상의 수팽창성 고무재질의 고무링(13)를 구비하는데, 이는 주하수관(2)에 단지관(1)을 삽입하였을 경우 삼각형의 요철을 주어 단지관(1)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밀림방지 역할을 하며, 접합부위로 물이 접촉되었을 경우 팽창하게 하여 관로의 수밀을 높인다.
단지관(1)의 몸체부(20)는 나사선 형상의 요입부로 형성되어 스크류 방식으로 감겨있어 상하좌우로 유연성을 가지고 방향을 돌릴 수 있어 부하수관(3)이 직각 으로 결합될 수 없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앞뒤로 신축성이 있어 터파기 후 하수관 개량시에 절단된 부하수관(3)을 연결시 좁은 공간에서도 단지관(1)을 주하수관(2) 뒤로 밀어 줄인 후 부하수관(3) 앞으로 당겨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단지관(1)의 몸체부(20) 내주에는 외주 나사선과 동일한 규격의 스프링 형상 강선(21)이 삽입되어 있어 단지관(1) 설치 후 토압에 단지관(1)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부하수관 체결부(30)의 내주에는 부하수관(3)이 삽입되어 주하수관(2)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용 걸림턱(31)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부하수관(3) 연결 후 별도의 스테인리스 조임물(32)로 조여 부하수관(3) 이탈 및 누수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1)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하수관 체결부(10), 몸체부(20) 및 부하수관 체결부(30)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각각 분리형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관 조임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지관 조임너트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지관 조임너트(40)는 단지관(1)이 주하수관(2)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 모양의 조임물이다.
단지관 조임너트(40)의 내부는 단지관(1)의 몸체부(20)와 동일한 나사선 모 양의 요입부(43)을 형성하여 조임너트(40)를 단지관(1)에 회전하여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주하수관(2)과 단지관(1)을 밀착 고정시킨다.
단지관 조임너트(4)의 전단부(42)는 단지관(1)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임너트(40) 이음부에서 외주가 점점 넓어지는 접시모양의 형상으로 조임너트(40)를 회전시켜 주하수관(2)과 단지관(1)이 밀착되면 접시모양의 전단부(42)가 주하수관(2) 외벽에 균일하게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또한, 단지관(1)에 주하수관 체결부(10)가 삽입되기 전에 단지관(1) 외주에 고무링(44)을 끼워넣어 주하수관으로 삽입시 고무링(44)이 주하수관 외형의 굴곡과 같은 형상으로 밀려나와 밀착되어 수밀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이 주하수관과 부하수관을 연결한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의 시공순서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주하수관(2)을 일정한 크기로 천공하여 천공한 곳에 수밀코킹을 바른 후 단지관(1)의 주하수관 체결부(10)가 삽입되기 전에 단지관(1) 외주에 고무링(44)을 끼워넣고 주하수관 체결부(10)의 형상을 축소시켜 주하수관(2)에 삽입한다.
단지관(1) 삽입 후 조임너트(40)를 회전시켜 주하수관(2)과 단지관(1)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부하수관(3)의 방향에 따라 각도를 잡고 단지관 몸체부(30)를 주하 수관(2) 뒤로 밀어 부하수관(3)을 부하수관 체결부(30)에 삽입 후 스테인리스 조임물(32)로 고정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관이 상하좌우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부하수관(3)이 주하수관(2)과 직각으로 연결될 수 없는 상태에서도 단지관의 유연성으로 용이하게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지관이 앞뒤로 신축성을 가지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부하수관(3)과의 연결시 단지관을 뒤로 축소시킨 후 부하수관(3)으로 연장시켜 용이하게 부하수관(3)을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1)은 부하수관(3)을 연결하는 연결구로 사용된다. 즉, 부하수관(3)이 중간에 파손되었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혹은 부하수관(3)에 이물질이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절단한 경우에 절단되거나 손상된 부분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지관(1)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1)은 몸체부(2)를 사이에 두고 부하수관 체결부(30)가 양측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부하수관 체결부(30)의 내주에는 부하수관(3)이 삽입되어 주하수관(2)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용 걸림턱(31)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부하수 관(3) 연결 후 별도의 스테인리스 조임물(32)로 조여 부하수관(3) 이탈 및 누수를 방지한다.
따라서, 절단된 부하수관(3) 일측에 단지관(1)의 몸체부(30)를 축소시켜 전면의 부하수관 체결부(30)를 먼저 체결하고, 단지관(1)의 몸체부(30)를 연장시켜 후면의 부하수관 체결부(30)를 부하수관(3) 타측에 체결할 수 있어 용이하게 부하수관(3)이 절단된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은 나사선 형태의 스크류 방식으로 몸체를 형성함으로써, 단지관을 상하좌우로 유연성을 가지고, 앞뒤로 신축성을 가지므로 직각이 아닌 부하수관 연결시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은 주하수관 체결부를 일정간격으로 요입홈을 구비한 화살표 형상의 걸림턱을 구비함으로써 단지관을 주하수관에 삽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은 나사선 모양의 몸체 외주에 너트식의 조임물을 체결함으로써, 주하수관과 밀착이 용이하여 단지관이 주하수관 안으 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은 부하수관이 손상되거나 절단되었을 경우 이들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 부하수관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주하수관과 부하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단지관에 있어서,
    상하좌우로 휘어지고 앞뒤로 신축되도록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주하수관과 연결되는 전단부 외주에 화살표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요입홈을 가지는 주하수관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에는 외주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따라 스프링 형상의 강선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관은,
    상기 몸체부 타측과 연결되며,
    내주에 부하수관 밀림방지 걸림턱이 형성되는 부하수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하수관 체결부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수팽창성 고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관에 회전삽입되도록 내부에 상기 몸체부와 동일한 나사선 모양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주하수관에 결합되는 조임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너트의 전단부는 외주가 점점 넓어지는 접시모양의 형상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9. 부하수관과 부하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단지관에 있어서,
    상하좌우로 휘어지고 앞뒤로 신축되도록 나사선 형태의 요입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2개의 부하수관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하수관 체결부는 내주에 부하수관 밀림방지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주에 부하수관 이탈 및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조임물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1020070037010A 2007-04-16 2007-04-16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100836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10A KR100836834B1 (ko) 2007-04-16 2007-04-16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10A KR100836834B1 (ko) 2007-04-16 2007-04-16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834B1 true KR100836834B1 (ko) 2008-06-11

Family

ID=3977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010A KR100836834B1 (ko) 2007-04-16 2007-04-16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8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024A (ko) * 2016-11-08 2018-05-16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102146010B1 (ko) * 2020-02-13 2020-08-20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KR20200103487A (ko) 2019-02-25 2020-09-02 권두영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KR102177220B1 (ko) 2020-05-12 2020-11-10 주복자 보강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574A (ja) * 1995-01-26 1996-08-06 Sekisui Chem Co Ltd 自在継手及びその取付構造
JP2005240947A (ja) * 2004-02-27 2005-09-08 Toto Ltd 器具接続管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ユニット
JP2006291569A (ja) 2005-04-11 2006-10-26 Toto Ltd 排水ソケ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及び水洗大便器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574A (ja) * 1995-01-26 1996-08-06 Sekisui Chem Co Ltd 自在継手及びその取付構造
JP2005240947A (ja) * 2004-02-27 2005-09-08 Toto Ltd 器具接続管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ユニット
JP2006291569A (ja) 2005-04-11 2006-10-26 Toto Ltd 排水ソケ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及び水洗大便器スタン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024A (ko) * 2016-11-08 2018-05-16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20200103487A (ko) 2019-02-25 2020-09-02 권두영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KR102146010B1 (ko) * 2020-02-13 2020-08-20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KR102177220B1 (ko) 2020-05-12 2020-11-10 주복자 보강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100514718B1 (ko)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0836834B1 (ko)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20100009210A (ko) 이중관 수전 연결구
US20080067808A1 (en) Threaded Pipe Joint Coupling With Wire Lock Device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KR102137111B1 (ko) 하수관 연결장치
BR112019019412A2 (pt) sistema de fecho positivo para juntas restringidas de tubulações repuxadas de ferro dúctil e acessórios
US7530122B2 (en)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ES2685096T3 (es) Conector para taza de inodoro
US10041630B1 (en) Pipe fitting with sealable access opening for line testing
KR100899598B1 (ko) 플랜지 소켓 일체형 맨홀 관접속장치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100532193B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102300286B1 (ko) 주관 밀폐력이 향상된 분기관 연결장치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39464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0273548Y1 (ko) 수도꼭지 소켓이음의 커버
KR101641114B1 (ko) 맨홀연결구를 구비한 맨홀
KR101044168B1 (ko) 예비관로구 파이프 고정장치
KR200459201Y1 (ko) 수압측정용 배관마개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0416955Y1 (ko) 관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