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210A - 이중관 수전 연결구 - Google Patents

이중관 수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210A
KR20100009210A KR1020080069983A KR20080069983A KR20100009210A KR 20100009210 A KR20100009210 A KR 20100009210A KR 1020080069983 A KR1020080069983 A KR 1020080069983A KR 20080069983 A KR20080069983 A KR 20080069983A KR 20100009210 A KR20100009210 A KR 2010000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pipe
ring
water pip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562B1 (ko
Inventor
박강훈
Original Assignee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훈 filed Critical 박강훈
Priority to KR102008006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5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39/005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for concentric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관 수전 연결구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이중관과 수전을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누수를 방지함과 아울러 하우징의 단부측에 보호마개나 보호캡을 설치하여 벽체와 타일 모르타르 시공시 이물질이 하우징 및 수전금구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보호캡을 통해 콘크리트나 타일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이 방지됨은 물론 균일하게 양생되면서 적정공간이 확보되므로 상기 수전금구 및 수도관의 교체가 용이한 이중관 수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벽체(6) 내부에 매립 설치됨과 아울러 내,외측에 각각 수도관(3)과 주름관(4)을 배치한 이중관(2)을 수전(5)에 연결하기 위한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에 있어서, 상기 수도관(3)이 통과하도록 내부에 통과공(113)이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제1나사결합부(1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나사결합부(112)가 형성된 연결몸체(110)와, 일단부는 상기 통과공(113)을 통해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의 내측까지 삽입된 상기 수도관(3)의 단부와 연결수단(130)을 통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전(5)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수전나사부(121)가 형성된 수전금구(120)와, 상기 수전금구(120)의 외측에 이중관 구조로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부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에 제1실링부재(115)를 설치하여 결합되는 하우징(140)과,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주름관(4)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가압 부(171)가 연장 형성된 조임너트(170)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단부 내측에 삽입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면에는 상기 주름관(4)의 골부분에 걸리도록 경사진 복수개의 지지편(152)이 형성된 제1이탈방지링(150)과,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단부와 상기 조임너트(170)의 가압부(171) 사이에 설치되는 제2실링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관 수전 연결구, 연결몸체, 수전금구, 하우징, 조임너트, 이탈방지링

Description

이중관 수전 연결구{Dual pipe faucet connector}
본 발명은 이중관 수전 연결구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이중관과 수전을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누수를 방지함과 아울러 하우징의 단부측에 보호마개나 보호캡을 설치하여 벽체와 타일 모르타르 시공시 이물질이 하우징 및 수전금구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보호캡을 통해 콘크리트나 타일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이 방지됨은 물론 균일하게 양생되면서 적정공간이 확보되므로 상기 수전금구 및 수도관의 교체가 용이한 이중관 수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신축 건물이나 리모델링 또는 주택 개보수에 따른 건물 내부에 사용되는 수도용 배관으로는 금속제의 배관보다 단가가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누수 발생률이 적은 연질성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이중관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중관(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원수가 공급되는 수도관(3)과, 상기 수도관(3)을 보호하기 위한 주름관(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중관(2) 구조는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수도관(3)이 주름관(4)에 의 해 보호되고, 특히 콘크리트 타설전에는 상기 수도관(3) 및 주름관(4)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금속 배관과는 달리 배관 방향을 자유자재로 절곡시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도관(3)은 상기 주름관(4) 내부에서 유동적인 상태로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도 상기 수도관(3)을 밀고 당길 수 있어서 편리한 배관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이중관(2)과 수전(수도꼭지 등)(5)의 연결작업은 별도의 연결구(1)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구(1)는, 도 1과 같이, 내부에 수도관(3)이 자유롭게 통과하는 연결몸체(10)와, 상기 연결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수도관(3)의 단부와 통상적인 접속구(30)를 통해 결합되는 수전금구(20)와, 상기 연결몸체(10)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전금구(20)를 보호하는 하우징(40)과, 상기 연결몸체(10)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주름관(4)이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부(51)를 갖는 조임너트(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전금구(20)에 형성되는 수전나사부(21)에는 다양한 형태의 수전(5)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0)의 끝단부에는 보호마개(60)가 설치되어 벽체(6)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타일(8)을 부착하기 위한 타일 모르타르(7) 작업시 하우징(40)과 수전금구(2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호마개(60)는 고정볼트(61)를 통해 상기 수전금구(20) 및 하우징(40) 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수전금구(20)와 상기 수도관(3)을 연결하는 접속구(30)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연결몸체(10)와 조임너트(50)가 나사결합되는 부위와, 상기 조임너트(50)의 걸림부(51)와 주름관(4)이 걸리는 부위와, 상기 연결몸체(10)와 하우징(40)이 나사결합되는 부위를 통해 누수가 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한 부위들을 통해 누수가 될 경우에는 벽체(6)의 내부로까지 누수가 되기 때문에 매우 큰 보수공사를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누수 발생이나 수도관(3)의 교체공사시 상기 보호마개(60) 고정용 볼트(61)를 풀어서 보호마개(60)를 분리한 후 수전금구(20) 및 수도관(3)을 빼야 하는데, 벽체(6)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또는 타일(8) 시공을 위한 타일 모르타르(7) 작업시 상기 보호마개(60) 고정용 볼트(61)의 머리부분에 콘크리트 또는 타일 모르타르(7)가 흘러들어가 굳어진 경우와, 타일(8) 시공 과정에서 타일 모르타르(7)가 보호마개(60)의 측면까지 덮히거나 흘러내려 불규칙하게 양생됨으로써, 수도관(3)의 교체공사시 상기 불규칙하게 양생된 부분을 반드시 깨뜨려야만 교체공사가 가능한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이중관과 수전을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누수를 방지함과 아울러 하우징의 단부측에 보호마개나 보호캡을 설치하여 벽체와 타일 모르타르 시공시 이물질이 하우징 및 수전금구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보호캡을 통해 콘크리트나 타일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이 방지됨은 물론 균일하게 양생되면서 적정공간이 확보되므로 상기 수전금구 및 수도관의 교체가 용이한 이중관 수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 내부에 매립 설치됨과 아울러 내,외측에 각각 수도관과 주름관을 배치한 이중관을 수전에 연결하기 위한 이중관 수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도관이 통과하도록 내부에 통과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제1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연결몸체와, 일단부는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제1나사결합부의 내측까지 삽입된 상기 수도관의 단부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전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수전나사부가 형성된 수전금구와, 상기 수전금구의 외측에 이중관 구조로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부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에 제1실링부재를 설치하여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나사결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주름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가압부가 연장 형성된 조임너트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의 단부 내측에 삽입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면에는 상기 주름관의 골부분에 걸리도록 경사진 복수개의 지지편이 형성된 이탈방지링과, 상기 제2나사결합부의 단부와 상기 조임너트의 가압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이중관과 수전을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누수를 방지함과 아울러 하우징의 단부측에 보호마개나 보호캡을 설치하여 벽체와 타일 모르타르 시공시 이물질이 하우징 및 수전금구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보호캡을 통해 콘크리트나 타일 모르타르의 흘러내림이 방지됨은 물론 균일하게 양생되면서 적정공간이 확보되므로 상기 수전금구 및 수도관의 교체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가 거푸집 판넬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에 보호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에서 수전금구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는, 이중관(2)과 수전(5)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로써, 상기 수전(5)은 수도꼭지나 샤워기 등등 다양한 형태가 될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관(2)은 연질성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이중관(2)으로써, 내측관은 수도관(3)으로 구성되고 외측관은 상기 수도관(3)을 보호하는 주름관(4)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주름관(4)이 수도관(3)을 보호해줌으로써 수도관(3)의 피로도가 감소하고 수도관(3)의 누수발생시 수도관(3)의 교체가 용이하며, 또한 상기 수도관(3)과 주름관(4) 사이의 공기층으로 인한 보온성 및 결로 현상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는, 연결몸체(110)와, 수전금구(120)와, 하우징(140)과, 조임너트(170)와, 제1이탈방지링(150)과, 제2실링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몸체(110)는, 일단부측에 상기 이중관(2)이 설치되고 타단부측에는 상기 수전금구(120)와 하우징(140)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몸체(110)는 상기 수도관(3)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 중앙에 통과공(113)이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제1나사결합부(1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나사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는 상기 연결몸체(110)의 일단부에 상기 통과공(113)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1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는 상기 연결몸체(110)의 타단부에 상기 통과공(113)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110)에는 상기 수도관(3)과 상기 주름관(4)의 사이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주름관(4)의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관(116)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조임너트(170)의 나사조임시 조임너트(170)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제2실링부재(160)가 상기 주름관(4)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실링부재(160)가 주름관(4)의 외주면에 밀착될 때 상기 지지관이 주름관(4)의 내측을 지지해줌으로써, 상기 주름관(4)의 변형이 방지되고 주름관(4)의 형태가 유지되어 상기 주름관(4)과 제2실링부재(160) 사이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름관(4)을 지지해주는 지지관(116)이 상기 수도관(3)과 주름관(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연결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주름관(4)과 함께 이중으로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관(116)의 끝단부는 뾰족하게 형성하여 상기 지지관(116)의 내측으로 수도관(3)을 삽입하는 작업시 걸리지 않고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전금구(120)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에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수전금구(120)의 일단부는 상기 통과공(113)을 통해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의 내측까지 삽입된 상기 수도관(3)의 단부와 연결수단(130)을 통해 연결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전금구(120)의 타단부는 상기 수전(5)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수전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전금구(12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130)은, 상기 수전금구(120)의 일단부 내부에 상기 수도관(3)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부(122)와, 상기 수용부(122)의 내주면에 오링안착부(123)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상기 오링안착부(123)에 설치되는 오링(131)과, 상기 수전금구(120)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가압부(134a)가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34a)의 중앙에는 상기 수도관(3)이 관통하도록 관통공(134d)이 형성된 너트(134)와, 상기 너트(134)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너트(134)의 가압부(134a)와 상기 오링(131)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면에는 상기 수도관(3)을 향해 경사진 복수개의 지지편(133b)이 형성된 제2이탈방지링(133)과, 상기 너트(134)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상기 오링(131)과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너트(134)의 나사조임시 상기 가압부(134a)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오링(131)과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지지편(133b)을 상기 수도관(3)의 외주면에 밀착/지지시키는 보조링(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은 상기 보조링(132)의 내측에 걸쳐지게 안착되는 링부(133a)와, 상기 링부(133a)의 내주면에서 상기 수도관(3)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도관(3)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 지편(133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링부(133a)와 상기 지지편(133b)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지지편(133b)은,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링부(133a)를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링부(133a)를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절곡시켰을 때 내측으로 일정길이 경사지게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지지편(133b)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지지편(133b)들의 끝단부를 잇는 내경은 상기 수도관(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도관(3)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도관(3)이 제2이탈방지링(133)의 중앙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지지편(133b)들은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수도관(3)을 탄력 지지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수도관(3)은 상기 지지편(113b)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너트(134)의 가압부(134a)에는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링부(133a)를 가압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4d)의 일측으로 연장가압부(134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가압부(134b)는 상기 보조링(132)의 수용부(132b) 내측으로 수용되는 제2이탈방지링(133)의 링부(133a)를 가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도관(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가압부(134b)의 하단에는 상기 수도관(3)에 높은 압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지지편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변형방지부(134e)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변형방지부(134e)는 상기 수도관(3)에 높은압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지지편(133b)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편(133b)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134a)의 하측면에는 상기 보조링(132)의 상부몸체(132a) 상단이 삽입되도록 홈(134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링(132)은, 상기 오링안착부(12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오링(131)을 가압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편(133b)의 작동 공간을 확보하도록 경사면(132d)이 형성된 하부몸체(132c)와, 상기 하부몸체(132c)의 상단에 단차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이 수용되어 안착되도록 일정깊이의 수용부(132b)가 형성된 상부몸체(132a)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몸체(132c)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132d)은 상기 수도관(3)이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을 관통할 때 상기 지지편(133b)들이 벌어지는 공간을 확보해 주게 되는 등 상기 지지편(133b)의 작동 공간을 확보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32c)는 상기 오링안착부(123)에 설치되는 오링(131)을 가압하여 상기 오링(131)을 상기 수도관(3)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32a)의 내주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수용부(132b)는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 전체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너트(134)가 어느 정도 풀린 상태 또는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이 유동하더라도 상기 수용부(132b) 내에서만 유동하게 되므로 제2이탈방지링(133)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으며 설치위치도 정확히 맞출수 있게 된다.
또한, 연질성의 합성수지제로 형성된 상기 수도관(3)의 단부 내측에는 수도관(3)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관(3a)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질의 합성수지제 수도관(3)을 체결하더라도 수도관(3)의 형태를 유지해주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연결수단(130) 외에도 상기 수전금구(120)와 수도관(3)을 연결 접속하기 위한 공지된 다양한 제품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수전금구(120)의 외측에 이중관 구조로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에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부(14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40)과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의 나사결합시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의 내측면 바닥에는 오링안착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안착홈(114)에는 제1실링부재(115)인 오링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40)과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의 나사결합시 상기 하우징(140)의 단부가 상기 오링안착홈(114)에 삽입된 오링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40)의 수나사부(143)와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의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전금구(12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고정날개(124)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40)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날개(124)가 안착되도록 안착부(142)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날개(124)와 안착부(142)는 볼트(미도시)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고정날개(124)는 상기 수전금구(120)의 끝단에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170)는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주름관(4)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가압부(171)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이탈방지링(150)은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단부 내측에 삽입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면에는 상기 주름관(4)의 골부분에 걸리도록 경사진 복수개의 지지편(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이탈방지링(150)은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끝단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112b)에 안착되는 몸체부(151)와, 상기 몸체부(151)의 내주면에서 상기 주름관(4)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주름관(4)의 골부분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복수개의 지지편(15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170)의 나사조임시 상기 제1이탈방지링(150)의 지지편(152)들이 상기 주름관(4)에 골부분에 걸린상태가 되므로 주름관(4)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1이탈방지링(150)의 몸체부(151) 일측이 절개부(153)에 의해 절개됨으로써 상기한 주름관(4)을 분해하기가 편리하다. 즉, 상기 제1이탈방지링(150)의 일측이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임너트(170)가 제2나사결합부(112)에 조립된 상태에서도 상기 조임너트(170)를 완전 풀지않고 어느정도 이상만 풀면 상기 주름관(4)을 분리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조임너트(170)가 어느정도 풀린 상 태에서는 상기 몸체부(151)가 절개부(153)에 의해 쉽게 벌어지기 때문에 상기 지지편(152)에 걸린 주름관(4)도 쉽게 빠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조임너트(170)를 완전 풀지 않고서도 주름관(4)을 쉽게 분리할 수가 있으며, 이로인해 상기 주름관(4)의 재사용이 쉽다.
물론, 상기 조임너트(170)가 어느정도 풀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분리된 주름관(4)을 다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실링부재(160)는 오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단부와 상기 조임너트(170)의 가압부(171)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170)가 제2나사결합부(112)에 나사조임시 상기 제2실링부재(160)는 상기 조임너트(170)의 가압부(171)에 의해 가압되면서 조임너트(170)의 내측면, 제2나사결합부(112)의 단부, 주름관(4)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는 벽체(6)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거푸집 판넬(9)을 이용한 상기 벽체(6)의 시공시, 상기 벽체(6) 내에 매립되는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 판넬(9)과 상기 수전금구(120)의 수전나사부(121)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나사(190)가 더 설치된다.
즉, 상기 벽체(6)의 시공을 위해 거푸집 판넬(9)을 설치할 때,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가 설치될 위치에 맞춰서 상기 거푸집 판넬(9)에 구멍(9a)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9a)과 상기 수전금구(120)의 수전나사부(121)를 일치시킨 후 상기 고정나사(190)로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거푸집 판넬(9)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면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벽돌을 쌓아서 벽체(6)를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40)의 외주면에 한 쌍의 고정부(144)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44)는 벽돌측에 고정되게 설치된 철재 프레임(미도시)에 볼트로 결합 고정하여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전금구(120)와 상기 하우징(140)의 사이에는 상기 벽체(6)의 시공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링 형태의 보호마개(18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벽체(6)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수전금구(120)의 수전나사부(121)에는 상기 고정나사(190)가 설치되고, 상기 수전금구(120)와 하우징(140)의 사이에는 상기 보호마개(180)가 설치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이물질이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호마개(180)는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6)의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고정나사(190)를 풀고 거푸집 판넬(9)과 보호마개(180)를 제거한 후, 상기 벽체(6)의 측면에 타일 모르타르(7) 및 타일(8) 부착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타일 모르타르(7) 및 타일(8) 부착 작업시 상기 수전금구(120) 및 하우징(140)의 내측으로 타일 모르타르(7)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40)의 단부에는 보호캡(185)이 설치된다.
상기 보호캡(185)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 부(141)와 나사결합을 위해 수나사부(185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캡(185)을 상기 하우징(140)의 단부에 나사 결합할 때, 타일 모르타르(7)의 두께에 따라 상기 보호캡(185)을 돌려서 보호캡(185)의 돌출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벽체(6)의 측면에 타일 모르타르(7) 및 타일(8) 부착 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 보호캡(185)을 통해 적정 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타일 모르타르(7)가 상기 수전금구(120) 및 하우징(14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보호캡(185)을 통해 타일 모르타르(7)가 균일하게 양생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호캡(185)의 내부에 상기 보호마개(180)를 삽입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캡(185)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보호캡(185)의 내측면에는 보호캡(185)을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돌기(186)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보호캡(185)을 상기 하우징(140)으로부터 분리할 때 쉽게 분리되도록 상기 보호캡(185)의 외주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캡(185)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140)을 향한 쪽 직경 보다 반대편 쪽 직경이 더 크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캡(185)의 외주면에 타일 모르타르(7)가 양생되기 때문에 상기 보호캡(185)의 외주면을 테이퍼지게 형성해야 타일 모르타르(7)로부터 쉽게 빠져나올수 있게 된다.
따라서, 누수공사 또는 교체공사시 상기 보호캡(185)을 쉽게 분리한 후, 상기 수전금구(120)를 하우징(140)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풀게 되면 상기 수전금구(120) 및 수도관(3)도 쉽게 잡아당겨서 빼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연결몸체(110)의 제1나사결합부(111)에는 제1실링부재(115)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40)을 결합하고,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에는 상기 제1이탈방지링(150)과 제2실링부재(160)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너트(17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조임너트(170)는 완전 결합하지 않고 가결합한 상태이다.
계속해서, 상기 수전금구(120)에 상기 연결수단(130)을 결합한다. 즉, 상기 수전금구(120)에 오링(131), 보조링(132), 제2이탈방지링(133), 너트(134)를 조립한다.
이후, 상기 연결수단(130)이 결합된 수전금구(120)는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로 삽입하고, 이때 수전금구(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날개(124)를 상기 하우징(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착부(142)와 볼트로 결합 고정한다.
또한, 상기 수전금구(120)와 하우징(14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보호마개(180)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는 벽체(6)에 매립되게 설치되는데, 먼저, 도 3과 같이 상기 벽체(6)의 시공을 위해 거푸집 판넬(9)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거푸집 판넬(9)에는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가 설치될 위 치에 맞춰서 구멍(9a)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수전금구(120)의 수전나사부(121)를 상기 구멍(9a)과 일치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멍(9a)과 수전나사부(121)를 고정나사(190)로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이중관(2)을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에 연결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수도관(3)을 상기 수전금구(120)의 연결수단(130)에 삽입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수도관(3)의 단부를 상기 너트(134)의 관통공(134d)으로 밀어 넣으면 수도관(3)이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지지편(133b)을 탄력적으로 벌리면서 삽입되게 된다. 상기 수도관(3)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이탈방지링(133)의 지지편(133b)은 상기 수도관(3)의 외주면을 탄력지지하게 되므로 수도관(3)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오링(131)은 상기 수도관(3)의 외주면에 밀착되므로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름관(4)은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에 가결합된 조임너트(170)의 관통공(172)으로 밀어 넣게 되는데, 이때 상기 주름관(4)은 상기 제1이탈방지링(150)의 지지편(152)을 탄력적으로 벌리면서 삽입되게 되고, 상기 주름관(4)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편(152)의 끝단부가 주름관(4)의 골부분에 걸리게 된다. 이후 상기 조임너트(170)를 완전 나사조임 하게 되면 상기 제1이탈방지링(150)이 고정되면서 상기 주름관(4)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제2실링부재(160)인 오링은 상기 조임너트(170)의 내측면, 제2나사결합부(112)의 단부, 주름관(4)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되므로 상기 주름관(4)을 통한 누수까지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중관(2)의 일단부는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에 결합되지만 이중관(2)의 타단부는 미도시된 이중관 분배기함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에 이중관(2)의 조립까지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 판넬(9)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벽체(6)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상기 고정나사(190)를 풀어 상기 거푸집 판넬(9)을 제거하고 상기 보호마개(180)도 제거한다.
이후, 도4와 같이 상기 보호캡(185)을 상기 하우징(140)의 단부 내주면에 나사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타일 모르타르(7)의 두께에 따라 상기 보호캡(185)을 돌려서 보호캡(185)의 돌출길이를 먼저 조절한 후 상기 벽체(6)의 측면에 타일 모르타르(7) 및 타일(8) 부착 작업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벽체(6)의 측면에 타일 모르타르(7) 및 타일(8) 부착 작업을 하기전에 상기 보호캡(185)의 내부에 상기 보호마개(180)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보호캡(185)을 설치한 후에 타일 모르타르(7) 및 타일(8) 부착 작업을 하게 되므로 상기 보호캡(185)을 통해 적정 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타일 모르타르(7)가 상기 수전금구(120) 및 하우징(14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으며, 상기 보호캡(185)을 통해 타일 모르타르(7)가 균일하게 양생되게 된다.
그리고, 누수 공사 또는 수도관(3)/수전금구(120) 교체공사시에는, 먼저 상기 보호캡(185)을 푸는 방향으로 돌려서 제거한 후, 상기 수전금구(120)를 하우징(140)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도 풀어서 제거한다.
이후, 상기 수전금구(120)를 잡아 당기면 상기 수전금구(120)와 수도관(3)이 함께 빠져나오게 되므로 간편하게 누수 공사 또는 교체공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전금구(120)와 수도관(3)을 교체한 후에는 뺄때의 역순으로 조립하면 된다.
도 1은 종래의 연결구가 벽체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가 거푸집 판넬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에 보호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수전 연결구에서 수전금구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이중관 수전 연결구 110: 연결몸체
111: 제1나사결합부 112: 제2나사결합부
113: 통과공 115: 제1실링부재
116: 지지관 120: 수전금구
121: 수전나사부 130: 연결수단
131: 오링 132: 보조링
133: 제2이탈방지링 134: 너트
140: 하우징 150: 제1이탈방지링
160: 제2실링부재 170: 조임너트
171: 가압부 180: 보호마개
185: 보호캡 190: 고정나사

Claims (5)

  1. 벽체(6) 내부에 매립 설치됨과 아울러 내,외측에 각각 수도관(3)과 주름관(4)을 배치한 이중관(2)을 수전(5)에 연결하기 위한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에 있어서,
    상기 수도관(3)이 통과하도록 내부에 통과공(113)이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제1나사결합부(1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나사결합부(112)가 형성된 연결몸체(110)와,
    일단부는 상기 통과공(113)을 통해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의 내측까지 삽입된 상기 수도관(3)의 단부와 연결수단(130)을 통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전(5)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수전나사부(121)가 형성된 수전금구(120)와,
    상기 수전금구(120)의 외측에 이중관 구조로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부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111)에 제1실링부재(115)를 설치하여 결합되는 하우징(140)과,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주름관(4)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가압부(171)가 연장 형성된 조임너트(170)와,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단부 내측에 삽입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면에는 상기 주름관(4)의 골부분에 걸리도록 경사진 복수개의 지지편(152)이 형성된 제1이탈방지링(150)과,
    상기 제2나사결합부(112)의 단부와 상기 조임너트(170)의 가압부(171) 사이 에 설치되는 제2실링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수전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110)에는 상기 수도관(3)과 상기 주름관(4)의 사이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주름관(4)의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관(116)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수전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거푸집 판넬(9)을 이용한 상기 벽체(6)의 시공시, 상기 벽체(6) 내에 매립되는 상기 이중관 수전 연결구(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 판넬(9)과 상기 수전금구(120)의 수전나사부(121)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나사(19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수전금구(120)와 상기 하우징(140)의 사이에는 상기 벽체(6)의 시공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보호마개(1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수전 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0)의 단부에는 상기 벽체(6)의 측면에 타일 모르타르(7) 및 타일(8) 부착 작업시 타일 모르타르(7)가 상기 수전금구(120) 및 하우징(140)의 내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캡(185)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수전 연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30)은,
    상기 수전금구(120)의 일단부 내부에 상기 수도관(3)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부(122)와,
    상기 수용부(122)의 내주면에 오링안착부(123)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상기 오링안착부(123)에 설치되는 오링(131)과,
    상기 수전금구(120)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가압부(134a)가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34a)의 중앙에는 상기 수도관(3)이 관통하도록 관통공(134d)이 형성된 너트(134)와,
    상기 너트(134)의 가압부(134a)와 상기 오링(131)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측면에는 상기 수도관(3)을 향해 경사진 복수개의 지지편(133b)이 형성된 제2이탈방지링(133)과,
    상기 너트(134)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상기 오링(131)과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너트(134)의 나사조임시 상기 가압부(134a)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오링(131)과 상기 제2이탈방지링(133)의 지지편(133b)을 상기 수도관(3)의 외주면에 밀착/지지시키는 보조링(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수전 연결구.
KR1020080069983A 2008-07-18 2008-07-18 이중관 수전 연결구 KR101029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83A KR101029562B1 (ko) 2008-07-18 2008-07-18 이중관 수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83A KR101029562B1 (ko) 2008-07-18 2008-07-18 이중관 수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10A true KR20100009210A (ko) 2010-01-27
KR101029562B1 KR101029562B1 (ko) 2011-04-15

Family

ID=4181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983A KR101029562B1 (ko) 2008-07-18 2008-07-18 이중관 수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5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04B1 (ko) * 2013-03-08 2014-03-13 주식회사 신한플라스틱 난방용 온수패널의 체결부재
KR101509645B1 (ko) * 2013-12-05 2015-04-08 우명배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KR101642971B1 (ko) * 2015-07-24 2016-07-27 이도경 수전의 설치구조
WO2017003176A1 (ko) * 2015-06-30 2017-01-05 이도경 수전의 결합구조
KR20210050770A (ko) * 2019-10-29 2021-05-10 한 의 박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WO2021095983A1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청호시스템 호스 연결용 버튼형 피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471B1 (ko) * 2016-08-03 2017-08-29 고의환 벽체 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KR102247975B1 (ko) * 2019-08-28 2021-05-04 주식회사 동명 수전박스
KR102222767B1 (ko) * 2019-11-20 2021-03-04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원형 수전 박스
KR200496578Y1 (ko) * 2022-02-17 2023-03-06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조립분해 및 시공이 용이한 원형수전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5735B2 (ja) * 1995-06-16 1999-12-06 松下電工株式会社 水栓取付装置
KR100854068B1 (ko) * 2006-09-15 2008-08-26 임관섭 수전박스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04B1 (ko) * 2013-03-08 2014-03-13 주식회사 신한플라스틱 난방용 온수패널의 체결부재
KR101509645B1 (ko) * 2013-12-05 2015-04-08 우명배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WO2017003176A1 (ko) * 2015-06-30 2017-01-05 이도경 수전의 결합구조
US10435873B2 (en) 2015-06-30 2019-10-08 Do Kyeung Lee Faucet coupling structure
KR101642971B1 (ko) * 2015-07-24 2016-07-27 이도경 수전의 설치구조
WO2017018714A1 (ko) * 2015-07-24 2017-02-02 이도경 수전의 설치구조
JP2018521247A (ja) * 2015-07-24 2018-08-02 アイディンラボ・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Idin Lab, Inc. 水栓の設置構造
AU2016300026B2 (en) * 2015-07-24 2019-04-04 Idin Lab, Inc. Installation structure for faucet
US10378685B2 (en) 2015-07-24 2019-08-13 Do Kyeng Lee Choong Bum Ahn Faucet coupling structure
EA034035B1 (ru) * 2015-07-24 2019-12-20 Идин Лаб, Инк. Установо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крана
KR20210050770A (ko) * 2019-10-29 2021-05-10 한 의 박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WO2021095983A1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청호시스템 호스 연결용 버튼형 피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562B1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562B1 (ko) 이중관 수전 연결구
US10151086B2 (en) Flexible drainage trap
US8069502B2 (en) Flexible flange apparatus with a flexible membrane
KR100992051B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결합용 수압/고정플러그와마감보호부재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88190B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와 수압/고정플러그의 구조 및 이를이용한 수전시공방법
AU2009214387B2 (en) Arrangement for producing a connection possibility, in particular for a sprinkler on a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floor, and method therefor
KR200462907Y1 (ko)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0772683B1 (ko) 연결소켓 및 방향전환용 조립식 pc맨홀
KR100786561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273548Y1 (ko) 수도꼭지 소켓이음의 커버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200377942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45670Y1 (ko) 관로구용 방수 덮개구조
KR100689054B1 (ko) 맨홀과 관의 결합구조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0443198Y1 (ko)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KR200266748Y1 (ko) 건물용 물탱크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0889047B1 (ko) 수도설비
KR20130053198A (ko) 맨홀 유출입관 연결구
JP3106372U (ja) 配管分岐装置
KR20100047953A (ko) 수전금구 고정구
KR200426776Y1 (ko) 맨홀과 관의 결합구조
EP3048208A2 (en) Insert for repairing a floor drain
FI119157B (fi) Putkien seinäläpivientien liitäntälaite, joka käsittää seinälevyn ja kiristysliitoks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