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594B1 - 하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594B1
KR101297594B1 KR1020110136360A KR20110136360A KR101297594B1 KR 101297594 B1 KR101297594 B1 KR 101297594B1 KR 1020110136360 A KR1020110136360 A KR 1020110136360A KR 20110136360 A KR20110136360 A KR 20110136360A KR 101297594 B1 KR101297594 B1 KR 10129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connector body
pipe
connecto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911A (ko
Inventor
오강원
Original Assignee
오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강원 filed Critical 오강원
Priority to KR102011013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5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에 고정되는 연결구 본체를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한 종류만을 제조하여 주배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상기 관통홀에 연결배관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통해 연결구 본체를 주배관의 관통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전방의 외주면이 밀착되게 삽입되고, 후방의 외주면에는 둘레 함몰홈이 형성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에 직경의 가변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를 외측으로 눌러주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전방 둘레를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과;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배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 함몰홈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배관을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에 고정되는 연결구 본체를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한 종류만을 제조하여 주배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상기 관통홀에 연결배관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통해 연결구 본체를 주배관의 관통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콘크리트 옹벽으로 이루어진 지하시설물로서의 하수관과, 필요에 의해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하수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은 사람이 사용하고 버리는 생활하수를 일정한 장소 즉, 생활하수를 정화하는 하수정화처리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하는 관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수관은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지나 사무실(빌딩)과 같은 건물을 건축하는데 필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며,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은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매설되고, 그 재질은 콘크리트이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경에는 방수코팅이 되어 생활하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변에 사람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새로운 건축물(주택이나 빌딩)을 건축할 경우에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에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하수구 연결구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2365호의 "하수관 연결구"(이하, "종래 일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하수관 연결구는,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내측 외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부가 밀착되게 삽입 관통되고, 외측 외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둘레에는 연결배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밀착 돌출턱이 형성된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의 외부에 삽입되는 수밀링과; 상기 나선부에 체결되어 잠금 체결을 통해 수밀링을 눌러주는 누름너트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하수관 연결구를 사용하여 주배관과 연결배관을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주배관의 직경이 각기 다름에 따라서 연결구 본체의 내측 외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부를 주배관의 직경과 상응되게 크기별로 여러 종류로 제조해야 한다. 다시말해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연결구 본체를 제조해야 하며, 연결배관의 직경이 동일한 연결구 본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주배관의 직경마다 또 다른 여러 종류의 연결구 본체를 제조해야 한다.
따라서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연결구 본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의 직경마다 여러 종류의 연결구 본체를 제조해야 함에 따라, 다종의 연결구 본체의 제조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에 고정되는 연결구 본체를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한 종류만을 제조하여 주배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상기 관통홀에 연결배관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통해 연결구 본체를 주배관의 관통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 본체에 삽입되는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를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에 밀착되게 하여 연결배관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경 가변형 고정링에 구비된 신축 절곡부를 누르는 과정만을 통해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직경을 신속하게 확장시킬 수 있게 하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둘레 격판링에 형성된 둘레 조정 개방부의 외측을 개방부 커버격판으로 커버하여 연결구 본체의 고정력을 좀 더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는 하구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에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후방 주위의 후면에 밀착되는 수밀링을 더 구비함으로써, 연결구 본체와 관통홀 사이의 수밀성을 좀 더 향상시키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전방의 외주면이 밀착되게 삽입되고, 후방의 외주면에는 둘레 함몰홈이 형성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에 직경의 가변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를 외측으로 눌러주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전방 둘레를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과;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배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 함몰홈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배관을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은,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에는 둘레 조정 개방부가 형성된 둘레 격판링과;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양측이 고정되어 펴짐과 접힘을 통해 둘레 조정 개방부의 폭을 조정하는 신축 절곡부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의 일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일 단부측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의 타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타측 단부측의 외면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있는 개방부 커버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둘레 격판링은,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전방 둘레돌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둘레 격판링은,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방 둘레돌출판과, 둘레의 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후방 둘레돌출판과, 상기 전,후방 둘레돌출판의 사이에 끼워져 둘레 격판링의 내측 둘레를 막는 둘레 밀봉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 절곡부는, 상기 둘레 고정 개방부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고정되는 양 측 고정판과; 상기 양 측 고정판의 사이에서 양 측 절곡부와 중간 절곡부에 의해 양 측 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신축 절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는, 전방 단부측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전방이 밀착되는 내측 돌출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는, 내부 전방의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이 삽입되는 링 장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 누름턱과, 상기 돌출 누름턱의 전방인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전방 둘레가 상기 주배관의 관통홀 후방 주위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수밀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에 고정되는 연결구 본체를 연결배관의 직경마다 한 종류만을 제조하여 주배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상기 관통홀에 연결배관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구 본체의 종류를 줄여 연결구 본체들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통해 연결구 본체를 주배관의 관통홀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 본체에 삽입되는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를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에 밀착되게 하여 연결배관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결배관의 전방이 주배관의 내부로 돌출되어 주배관의 하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경 가변형 고정링에 구비된 신축 절곡부를 누르는 과정만을 통해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직경을 신속히 확장시켜 하수관의 연결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둘레 격판링에 형성된 둘레 조정 개방부의 외측을 개방부 커버격판으로 커버하여 직경 연결구 본체의 고정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수밀성을 좀 더 향상시키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에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후방 주위의 후면에 밀착되는 수밀링을 더 구비함에 따라,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과 관통홀 사이의 수밀성을 좀 더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는, 주배관(100)에 형성된 관통홀(101)에 연결배관(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는, 상기 관통홀(101)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연결구 본체(1)와,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의 내부 둘레를 상기 주배관(100)의 관통홀(101)의 내부 둘레에 고정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2)과,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배관(20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 함몰홈(11)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배관(200)을 연결구 본체(1)의 내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구 본체(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결배관(200)이 삽입되고, 삽입된 연결배관(200)을 상기 주배관(100)의 관통홀(101)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 본체(1)는, 상기 주배관(100)에 형성된 관통홀(101)의 내측 둘레면에 전방의 외주면이 밀착되게 삽입되고, 후방의 외주면에는 둘레 함몰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 본체(1)는, 연결구 본체(1)를 상기 주배관(100)에 관통홀(101)에 끼울 수 있고 내부 후방에 연결배관(200)을 끼울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진 고무재나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상기 둘레 함몰홈(11)은,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 후방에 삽입되는 연결배관(200)을 고정하는 상기 밴드 클램프(3)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밴드 클램프(3)의 전,후방 폭과 동일한 폭으로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1)는, 전방 단부측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방이 밀착되는 내측 돌출턱(12)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 돌출턱(12)에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방이 밀착됨으로써,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 본체(1)는, 내부 전방의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이 삽입되는 링 장착홈부(1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 장착홈부(13)는,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후방 폭과 동일한 전,후방의 폭으로 연결구 본체(1)의 내부 둘레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링 장착홈부(13)에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설치함으로써,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설치를 좀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의 전방 둘레에 직경의 가변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의 전방 둘레를 외측으로 눌러주어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전방 둘레를 상기 관통홀(101)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은,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에는 둘레 조정 개방부(211)가 형성된 둘레 격판링(21)과;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양측이 고정되어 펴짐과 접힘을 통해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폭을 조정하는 신축 절곡부(22)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외측을 커버하는 개방부 커버격판(23)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둘레 격판링(21)과 신축 절곡판(222) 및 개방부 커버격판(23)은, 둘레 격판링(21)의 직경을 확장시킨 후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진 철 등의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는, 둘레 격판링(21)의 둘레에 하나가 종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신축 절곡부(22)의 누름을 통해 양 단부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서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직경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신축 절곡부(22)는, 누름에 의한 펴짐을 통해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 폭을 넓히고, 접힘 공구에 의한 접힘을 통해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 폭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축 절곡부(22)는,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고정되는 양 측 고정판(221)과, 상기 양 측 고정판(221)의 사이에서 양 측 절곡부(223)와 증간 절곡부(224)에 의해 양 측 고정판(221)과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신축 절곡판(2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신축 절곡부(22)를 누르는 과정만을 통해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직경을 신속히 확장시켜 하수관의 연결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양 측 고정판(221)은 상기 양 둘레 격판링(21)의 내면에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개방부 커버격판(23)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일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일 단부측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타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타측 단부측의 외면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둘레 조정 개방부(211)를 상기 개방부 커버격판(23)으로 커버함으로써, 상기 연결구 본체(1)의 고정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둘레 격판링(21)은,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전방 둘레돌출판(24)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를 상기 전방 둘레돌출판(24)의 후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1)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밴드 클램프(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 본체(1)의 후방 외주면의 둘레를 긴장되게 감싸 고정함으로써 연결구 본체(1)의 내부 후방에 삽입된 연결배관(2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드 클램프(3)는, 상기 연결구 본체(1)의 후방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 함몰홈(11)에 삽입되는 밴드와 밴드의 양 단부를 상호 조이면서 연결하는 조임 연결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밴드 클램프(3)는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 누름턱(4)과, 상기 돌출 누름턱(4)의 전방인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전방 둘레가 상기 주배관(100)의 관통홀(101) 후방 주위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수밀링(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밀링(5)은, 후방의 수직 단부가 상기 돌출 누름턱(4)의 전방 수직면에 밀착되고, 전방의 굴곡면이 상기 관통홀(101) 후방 주위의 둘레면에 밀착됨으로써,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과 주배관(100)의 관통홀(101) 사이의 수밀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를 통해 주배관(100)에 연결배관(200)을 연결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연결구 본체(1)의 외주면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 누름턱(4)의 전방에 수밀링(5)을 삽입한다.
다음 상기 수밀링(5)이 삽입된 연결구 본체(1)의 전방을 주배관(100)에 형성된 관통홀(101)에 삽입하고, 상기 수밀링(5)의 전방면을 관통홀(101)의 후방 주위의 둘레면에 밀착시킨다.
다음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 전방의 둘레에 삽입하고,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구성하는 신축 절곡부(22)의 증간 절곡부(224)를 외측으로 눌러 둘레 격판링(21)의 직경을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링 장착홈부(13)의 둘레를 외측을 눌러주는 과정을 통해 연결구 본체(1)를 주배관(100)의 관통홀(101)에 고정한다.
다음 상기 연결구 본체(1)의 내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결배관(200)을 삽입하면서,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를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방 둘레돌출판(24)의 후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연결배관(200)의 전방 이동을 방지하면서 연결배관(200)을 연결구 본체(1)의 내부에 삽입한다.
최종적으로 상기와 같이 연결배관(200)이 연결구 본체(1)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구 본체(1)의 후방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 함몰홈(11)에 밴드 클램프(3)를 조임을 통해 고정하여 연결배관(200)을 고정함으로써, 주배관(100)과 연결배관(200)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에 의한 고정을 통해, 상기 주배관(100)에 형성된 관통홀(101)에 고정되는 연결구 본체(1)를 연결배관(200)의 직경마다 한 종류만 제조하여 주배관(100)의 직경과 관계없이 상기 관통홀(101)에 연결배관(20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 직경의 연결배관(200)마다 한 종류의 연결구 본체(1)만을 제조함에 따라, 연결구 본체(1)의 종류를 줄여 연결구 본체(1)들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통해 연결구 본체(1)를 주배관(100)의 관통홀(101)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연결배관(200)의 연결 후 장기간이 경과 되더라도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 본체(1)에 삽입되는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를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에 밀착되게 하여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1)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주배관(100)의 내부로 돌출되어 주배관(100)의 하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을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은,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둘레에는 둘레 조정 개방부(211)가 형성된 둘레 격판링(21)과;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양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양 단부측의 내면에 양측이 고정되어 펴짐과 접힘을 통해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폭을 조정하는 신축 절곡부(22)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일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일 단부측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둘레 조정 개방부(211)의 타측인 상기 둘레 격판링(21)의 타측 단부측의 외면에 밀착되게 돌출되어 있는 개방부 커버격판(23)과;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방 둘레돌출판(25)과; 둘레의 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후방 둘레돌출판(26)과; 상기 전,후방 둘레돌출판(25)(26)의 사이에 끼워져 둘레 격판링(21)의 내측 둘레를 막는 둘레 밀봉링(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둘레 밀봉링(27)은,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2)의 전,후방 둘레돌출판(25)(26)의 사이에 끼워져 하수의 흐름시 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축성을 가진 고무재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배관(200)의 전방 단부를 후방 둘레돌출판(26)의 후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시공 도중이나 시공 후 연결구 본체(1)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결배관(200)의 전방이 주배관(100)의 내부로 돌출되어 주배관(100)의 하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 연결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연결구 본체
11 : 둘레 함몰홈
12 : 내측 돌출턱
13 : 링 장착홈부
2 : 직경 가변형 고정링
21 : 둘레 격판링
211 : 둘레 조정 개방부,
22 : 신축 절곡부
221 : 측 고정판, 222 : 신축 절곡판,
223 : 측 절곡부, 224 : 중간 절곡부,
23 : 개방부 커버격판
24 : 전방 둘레돌출판
25 : 전방 둘레돌출판
26 : 후방 둘레돌출판
27 : 둘레 밀봉링
3 : 밴드 클램프
4 : 돌출 누름턱
5 : 수밀링
100 : 주배관
101 : 관통홀
200 : 연결배관

Claims (4)

  1. 전방 내부와 후방 외주면에 각각 장착홈부와 둘레 함몰홈이 갖춰져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전방의 외주면이 밀착되게 삽입되는 연결구 본체와;
    외형상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둘레 조정 개방부를 갖춘 둘레 격판링의 일단에 신축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신축절곡부를 갖추고, 격판링의 둘레 조정 개방부의 일단부에 개방부 커버격판을 갖춰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전방 내부에 갖춰진 장착홈부에 설치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과;
    상기 연결구 본체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주배관의 관통홀 외주연에 밀착되는 수밀링과;
    상기 연결구 본체에 연결배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둘레 함몰홈에 장착되어 삽입된 연결배관을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로 이루어진 하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직경 가변형 고정링의 둘레 격판링은 둘레의 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방 둘레돌출판과, 둘레의 후방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배관의 전방 단부가 밀착되는 후방 둘레돌출판과, 상기 전,후방 둘레 돌출판의 사이에 끼워져 둘레 격판링의 내측 둘레를 막는 둘레 밀봉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36360A 2011-12-16 2011-12-16 하수관 연결구 KR101297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360A KR101297594B1 (ko) 2011-12-16 2011-12-16 하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360A KR101297594B1 (ko) 2011-12-16 2011-12-16 하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11A KR20130068911A (ko) 2013-06-26
KR101297594B1 true KR101297594B1 (ko) 2013-08-19

Family

ID=4886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360A KR101297594B1 (ko) 2011-12-16 2011-12-16 하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5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11B1 (ko) 2019-03-13 2020-07-23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KR102146010B1 (ko) 2020-02-13 2020-08-20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KR102447124B1 (ko) 2022-03-14 2022-09-23 한기만 하수관 결합구조체
KR102454257B1 (ko) 2021-08-17 2022-10-14 한기만 하수관 연결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33B1 (ko) * 2020-11-09 2022-01-10 김대현 이중관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662Y1 (ko) * 2005-08-09 2005-10-26 채 석 전 맨홀 접속장치
KR200424466Y1 (ko) 2006-06-09 2006-08-22 이근호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100894896B1 (ko) 2008-10-01 2009-04-30 신광공업 주식회사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110082365A (ko) * 2010-01-11 2011-07-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662Y1 (ko) * 2005-08-09 2005-10-26 채 석 전 맨홀 접속장치
KR200424466Y1 (ko) 2006-06-09 2006-08-22 이근호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100894896B1 (ko) 2008-10-01 2009-04-30 신광공업 주식회사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110082365A (ko) * 2010-01-11 2011-07-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11B1 (ko) 2019-03-13 2020-07-23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KR102146010B1 (ko) 2020-02-13 2020-08-20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KR102454257B1 (ko) 2021-08-17 2022-10-14 한기만 하수관 연결구조체
KR102447124B1 (ko) 2022-03-14 2022-09-23 한기만 하수관 결합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11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594B1 (ko) 하수관 연결구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US9322157B1 (en) Mechanically coupled drain fixture and outlet fitting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JP2015025525A (ja) 管体の接続構造
RU269256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закрепленное на трубе, содержащее выполн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еремещения концевой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труб
KR20130039037A (ko) 하수관 연결구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770397B1 (ko)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KR101000666B1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100849527B1 (ko) 맨홀의 관 연결부재
KR101164187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130051222A (ko) 하수관 연결구
KR101825428B1 (ko) 하수관 연결소켓 및 그 시공방법
KR101773392B1 (ko) 하수관용 맨홀 연결구 및 그 맨홀 연결구를 이용한 하수관 연결방법
KR20190045632A (ko) 하수관 연결구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KR200343963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319627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2447124B1 (ko) 하수관 결합구조체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170003104U (ko) 하수관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