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207U -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 Google Patents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207U
KR20160004207U KR2020150006007U KR20150006007U KR20160004207U KR 20160004207 U KR20160004207 U KR 20160004207U KR 2020150006007 U KR2020150006007 U KR 2020150006007U KR 20150006007 U KR20150006007 U KR 20150006007U KR 20160004207 U KR20160004207 U KR 201600042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ortion
socket
pipe joint
pipe
sew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415Y1 (ko
Inventor
신동남
Original Assignee
(주) 다해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해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 다해산업개발
Priority to KR2020150006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1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27Joints for pipe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의 연결에 있어 소켓부에 일자부가 삽입된 조인트부를 감싼 형태로 누수방지 연결구가 설치되고, 누수방지 연결구의 형상은 하수관 조인트부의 형상과 같으면서 누수방지 연결구 양단부의 내측 원주방향으로 누수방지돌출부가 형성되어있고, 또 종방향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하수관 조인트부에 횡방향으로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밀착성을 더 한층 뛰어나도록 하는 한편, 탄성밴드에 의한 강한 체결력이 하수관 조인트부 전체에 밀착력으로 전달됨으로써 전달된 밀착력에 의해 지반부등침하에 대한 밀착길이가 일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될 뿐만 아니라 이는 다시 내측 원주방향의 누수방지돌출부에 전달되어 2중으로 강화된 밀착력에 의해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Waterproof connector of sewer concrete pipe joint with socket}
본 고안은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의 연결에 있어 소켓부에 일자부가 삽입된 조인트부를 감싼 형태로 누수방지 연결구가 설치되고, 누수방지 연결구의 형상은 하수관 조인트부의 형상과 같으면서 누수방지 연결구 양단부의 내측 원주방향으로 누수방지돌출부가 형성되어있고, 또 종방향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하수관 조인트부에 횡방향으로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밀착성을 더 한층 뛰어나도록 하는 한편, 탄성밴드에 의한 강한 체결력이 하수관 조인트부 전체에 밀착력으로 전달됨으로써 전달된 밀착력에 의해 지반부등침하에 대한 밀착길이가 일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될 뿐만 아니라 이는 다시 내측 원주방향의 누수방지돌출부에 전달되어 2중으로 강화된 밀착력에 의해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고안이다.
이와 같이 누수방지 연결구에 종방향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수관 조인트부가 연결된 상태에서도 횡방향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므로 마찰력이 대한 염려가 없다. 종방향 절개부에 의하여 하수관 조인트부와의 밀착성이 뛰어나다.
하수관은 대체로 콘크리트 재질이다.
콘크리트 하수관은 유연성이 전혀 없는 강성 재질이기 때문에 이음부의 누수방지가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콘크리트 하수관은 중량이 무겁다. 운반이나 취급을 간편하게 하기위하여 통상 분할 제작한다. 분할제작은 이음부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공개실용신안 20-2008-0005280호는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이음관 본체(1)는 일자형 콘크리트관(4)을 대상으로 한 누수방지 겸 커플링형태의 이음구이다.
이음관 본체(1)는 도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째로 형성된 원기둥형상이다.
커플링형태를 갖는 이음관 본체(1)이므로 일자형 콘크리트관(4)의 투입은 양단의 내경의 걸림턱(102)까지다. 양단 내경의 걸림턱(102)을 경계로 그 내측에는 통수공(104)이 형성된다. 이음관 본체(1)의 형상은 통째로 형성된 원기둥형상이다. 원기둥 형상이므로 일자형 콘크리트관(4)의 투입 길이가 걸림턱(102)까지로 짧고 제한적이다. 투입 길이가 짧고 제한적이면 지반의 부등침하에 대하여 일자형 콘크리트관(4)의 짧은 투입 길이에서 일시에 이탈되기 때문에 누수방지의 문제가 심각하다.
그뿐 아니라 상기의 종래기술은 걸림턱(102)의 외측 패킹홈(103)에 패킹(2)을 삽입한다 해도 지반의 부등침하로 인한 누수방지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한편, 이음관 본체(1)에 일자형 콘크리트관(4)의 투입 길이가 길수록, 그리고 긴밀하게 밀착될수록 누수방지에 유리하다. 그런데 투입 길이를 길게 하거나 여기에다 밀착되게 하면 통째로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이음관 본체(1)에, 일자형 콘크리트관(4)의 투입 길이를 길게 하면서 밀착되게 하면 일자형 콘크리트관(4)의 투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사실상 투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의 연결에 있어 소켓부에 일자부가 삽입된 조인트부를 감싼 형태로 누수방지 연결구가 설치되고, 누수방지 연결구의 형상은 하수관 조인트부의 형상과 같으면서 누수방지 연결구 양단부의 내측 원주방향으로 누수방지돌출부가 형성되어있고, 또 종방향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하수관 조인트부에 횡방향으로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밀착성을 더 한층 뛰어나도록 하는 한편, 탄성밴드에 의한 강한 체결력이 하수관 조인트부 전체에 밀착력으로 전달됨으로써 전달된 밀착력에 의해 지반부등침하에 대한 밀착길이가 일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될 뿐만 아니라 이는 다시 내측 원주방향의 누수방지돌출부에 전달되어 2중으로 강화된 밀착력에 의해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일측 콘크리트 하수관(10)의 소켓부(12)에 타측 콘크리트 하수관(10)의 일자부(14)가 삽입ㆍ연결되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가 형성되고, 누수방지 연결구(30)에 의하여 상기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를 밀착되게 감싸되 누수방지 연결구(30)의 형상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와 동일하고, 누수방지 연결구(30)에는 종방향 절개부(32)가 형성되며, 양 단부 내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누수방지돌출부(34)가 다수 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이다.
여기에다, 상기 누수방지 연결구(30)의 양 단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탄성밴드 안착 돌출부(3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이다.
본 고안 콘크리트 하수관은 소켓부(12)와 일자부(14)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인접된 하수관과의 연결에 있어서는 일측관의 일자부(14)가 타측관의 소켓부(12)에 삽입됨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일측 하수관의 일자부(14)가 타측 콘크리트 하수관의 소켓부(12)에 삽입됨으로써 인접된 하수관이 서로 조립ㆍ연결된다. 이렇게 조립ㆍ연결된 조인트부를 이하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라 부르기로 한다.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는 소켓부(12)와 일자부(14)로 이루어진 형상이고, 그 길이는 소켓부(12)의 상단평면과 일자부(14) 원주면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도3참조).
본 고안 누수방지 연결구(30)는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에 밀착되면서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누수방지 연결구(30)의 형상은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는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에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누수방지 연결구(30)에는 종방향 절개부(32)가 형성되어있다. 종방향 절개부(32)에 의해 횡방향으로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에 누수방지 연결구(30)의 설치가 용이하고 그 밀착성역시 뛰어나다.
만약 종방향 절개부(32)가 없다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에 설치하기가 극히 어렵다. 누수방지 연결구(30)가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삽입되어야하는데 이는 누수방지 연결구(30)의 삽입 시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에 대한 마찰력을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본 고안 누수방지 연결구(30)의 재질은 고무재질이다.
누수방지 연결구(30)는 고무재질이고, 또 종방향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므로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 전체에 대하여 밀착성을 더 한층 뛰어나도록 감쌀 수 있는 이점이 있다(도3참조).
그뿐 아니라 양 단부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밴드 안착 돌출부(36)사이에 탄성밴드(40)를 체결하게 되면, 탄성밴드(40)에 의한 강한 체결력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 전체에 밀착력으로 전달됨으로써 지반부등침하에 대하여 밀착길이가 밀착력에 의해 일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는 다시 내측 원주방향의 누수방지돌출부(34)에 전달되어 2중으로 강화된 밀착력에 의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의 누수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 본 고안은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의 연결에 있어 소켓부에 일자부가 삽입된 조인트부를 감싼 형태로 누수방지 연결구가 설치되고, 누수방지 연결구의 형상은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의 형상과 같으면서 누수방지 연결구 양단부의 내측 원주방향으로 누수방지돌출부가 형성되어있고, 또 종방향 절개부가 형성된 구성이므로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에 횡방향으로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밀착성을 더 한층 뛰어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 그뿐 아니라 탄성밴드에 의한 강한 체결력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 전체에 밀착력으로 전달되는 구성이므로 전달된 밀착력에 의해 지반부등침하에 대한 밀착길이가 일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될 뿐만 아니라 이는 다시 내측 원주방향의 누수방지돌출부에 전달되어 2중으로 강화된 밀착력에 의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의 누수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은 종래기술의 이음관본체가 하수관에 결합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b]는 종래기술 이음관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2] 본 고안의 누수방지 연결구의 사시도
[도 3] 본 고안 누수방지 연결구가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에 결합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도3의 분해사시도
본 고안 누수방지 연결구(30)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누수방지 연결구(30)는 소켓부(12)를 갖는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에 설치하되 이를 감싸면서 그 밀착성이 뛰어나도록 한 것이다.
누수방지 연결구(30)의 형상은 소켓부(12)를 갖는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의 형상과 동일하다.
여기서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는 소켓부(12)의 상단평면과 일자부(14) 원주면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도2참조).
소켓부(12)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은 그 중량이 무거워 취급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가 조립ㆍ연결되는 과정에서 누수방지 연결구(30)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한다는 것은 극히 어렵다. 누수방지 연결구(30)의 길이방향삽입 시 길이 방향에 대한 마찰력을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누수방지 연결구(30)에 종방향 절개부(32)를 형성함으로써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가 연결된 상태에서도 횡방향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므로 마찰력이 대한 염려가 없다. 또한 종방향 절개부(32)에 의하여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와의 밀착성이 뛰어나다.
탄성밴드(40)는 탄성밴드 안착 돌출부(36)에 설치된다. 탄성밴드(40)의 탄성 체결은 체결볼트(42)에 의해 체결된다.
탄성밴드(40)에 의한 탄성 체결력은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 전체에 대한 밀착력으로 전달되므로 지반부등침하에 대하여 밀착길이가 밀착력에 의해 일시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다시 원주방향의 누수방지돌출부(34)에 전달되어 2중으로 강화된 밀착력에 의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의 누수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10;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12; 소켓부, 14; 일자부,
20;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
30; 누수방지 연결구, 32; 종방향 절개부, 34; 누수방지돌출부, 36; 탄성밴드 안착 돌출부,
40; 탄성밴드, 42; 체결볼트,

Claims (2)

  1. 일측 콘크리트 하수관(10)의 소켓부(12)에 타측 콘크리트 하수관(10)의 일자부(14)가 삽입ㆍ연결되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가 형성되고, 누수방지 연결구(30)에 의하여 상기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를 밀착되게 감싸되 누수방지 연결구(30)의 형상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20)와 동일하고, 누수방지 연결구(30)에는 종방향 절개부(32)가 형성되며, 양 단부 내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누수방지돌출부(34)가 다수 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 연결구(30)의 양 단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탄성밴드 안착 돌출부(3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20150006007U 2015-09-09 2015-09-09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0484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07U KR200484415Y1 (ko) 2015-09-09 2015-09-09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07U KR200484415Y1 (ko) 2015-09-09 2015-09-09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07U true KR20160004207U (ko) 2016-12-07
KR200484415Y1 KR200484415Y1 (ko) 2017-09-19

Family

ID=5757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07U KR200484415Y1 (ko) 2015-09-09 2015-09-09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295A (ko) * 2017-01-30 2018-08-08 게오르크 피셔 하벨 엘엘씨 파이프 커플러 및 커플링 방법
KR102029679B1 (ko) * 2018-04-25 2019-10-08 오현식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WO2019212120A1 (ko) * 2018-05-04 2019-11-07 이은영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8573A (ja) * 1995-06-13 1996-12-24 Tonen Chem Corp 内外面が平滑な合成樹脂製コルゲート二層管構造体及び接続方法
JP2000282556A (ja) * 1999-03-31 2000-10-10 Kana Flex Corporation Kk 接続用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8573A (ja) * 1995-06-13 1996-12-24 Tonen Chem Corp 内外面が平滑な合成樹脂製コルゲート二層管構造体及び接続方法
JP2000282556A (ja) * 1999-03-31 2000-10-10 Kana Flex Corporation Kk 接続用継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295A (ko) * 2017-01-30 2018-08-08 게오르크 피셔 하벨 엘엘씨 파이프 커플러 및 커플링 방법
KR102029679B1 (ko) * 2018-04-25 2019-10-08 오현식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WO2019212120A1 (ko) * 2018-05-04 2019-11-07 이은영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415Y1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91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일체형 파형강관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0475463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배관 연결용 조인트
US20080303270A1 (en) Lateral Pipe Connection Assembly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100982715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 편수관 연결구조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0891149B1 (ko)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하수관 연결 조립체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20080002543U (ko) 분해 결합이 용이한 합성수지 플랜지관
KR101016885B1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KR100868490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US20070200341A1 (en) Sewer tap with watertight lip
KR20140055398A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1164187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1803076B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부단수밸브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KR20039464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