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679B1 -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679B1
KR102029679B1 KR1020180047659A KR20180047659A KR102029679B1 KR 102029679 B1 KR102029679 B1 KR 102029679B1 KR 1020180047659 A KR1020180047659 A KR 1020180047659A KR 20180047659 A KR20180047659 A KR 20180047659A KR 102029679 B1 KR102029679 B1 KR 102029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nnector
hole
connector member
inter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식
Original Assignee
오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식 filed Critical 오현식
Priority to KR102018004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에 대한 것으로서, 하수관로의 천공구멍 내에 삽입되는 코어헤드와 코어헤드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코어바디를 포함하는 코어부재와, 일단이 코어부재와 나사결합하고 타단이 연결관과 연결되어 회전봉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부재와, 천공구멍 내측면과 코어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삽입부재와, 코어부재와 커넥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삽입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CONNECTOR OF SEWER LINE DRAINAGE}
본 발명은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로를 서로 연결시키고 연결부분의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관으로 제조된 주 하수관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분기관을 연결하여 가정에서 배출된 하수가 분기관을 통해 주 하수관으로 집수되어 오수 처리장으로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주 하수관에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해 주 하수관에 분기관 연결용 구멍을 천공하여 연결한다. 연결용 구멍은 분기관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정확하게 천공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바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된다.
따라서, 주 하수관에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주 하수관의 연결용 구멍과 분기관을 서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커넥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들은 분기관과 주 하수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에 여러 단층의 씰링부재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부재가 복잡해지고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를 이용하여 분기관을 주 하수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주 하수관에 별도의 천공을 하거나 고정철제 부속품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기존의 하수관 연결 커넥터들은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하수관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커넥터나 하수관 자체를 파손시켜야 보수를 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수밀성이 증대되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이후에도 보수작업이 용이한 하수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는 하수관로의 천공구멍내로 삽입되고 천공구멍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코어 헤드와, 상기 코어 헤드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코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헤드와 상기 코어 바디 중심을 관통하여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코어 부재; 일단이 상기 코어 부재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천공구멍을 차폐하고, 타단이 연결관과 연결되는 커넥터부재; 상기 코어 부재와 상기 천공구멍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삽입부재;및 일단은 상기 코어 부재와 상기 천공구멍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부재와 상기 코어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는 커넥터부재와 상기 연결관을 연결하고, 고정링에 의해 고정되는 전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부재의 일단과 상기 천공구멍의 입구 주변을 차폐하는 제1 수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부재는 외주면에 회전봉이 삽입될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삽입공은 상기 커넥터부재의 회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어부재와 상기 연결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코어부재와 나사결합하는 제3 수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에 의하면, 커넥터부재와 코어부재의 나사결합을 통해 천공구멍 내에 개재되어 있는 삽입부재를 압착시켜 사이공간을 완전히 차폐함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순한 나사결합을 통해 하수관과 연결관을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단순화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의 커넥터부재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의 제3 수밀부재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는 하수관로의 천공구멍 내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코어 부재와; 코어 부재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제1 삽입부재와; 코어 부재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일단이 커넥터 내에 안착되는 제2 삽입부재와; 일단은 코어 부재와 나사결합되고 타단은 연결관과 연결되는 커넥터부재와; 커넥터부재와 하수관로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제1 수밀부재와; 수밀링에 의해 커넥터부재와 연결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전이부재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는 기존의 하수관로(10)에 천공구멍(20)을 형성하고, 천공구멍(20)에 새로운 연결관(30)을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팅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는 하수관로(10)의 천공구멍(20)에 삽입되는 코어부재(100)를 포함한다. 코어부재(100)는 대략 원통형 부재로서 내부 중앙에는 유체의 흐름을 위한 제1 관통구멍(10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코어부재(100)는 천공구멍(20) 내로 삽입되고 천공구멍(2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콘(cone) 형태의 코어 헤드(110)와, 코어 헤드(110)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부(121)가 형성되는 코어 바디(120)를 포함한다.
코어부재(100)의 코어 헤드(110)는 천공구멍(20)의 반대반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데 코어 헤드(110)의 최대 직경은 하수관로(10)의 천공구멍(2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헤드(110)의 직경이 천공구멍(20)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천공구멍(20) 내로 삽입이 용이하고 설치작업이나 보수 등이 용이해질 수 있다.
코어 헤드(110)로부터 연장되는 코어 바디(1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 관통구멍(101)이 형성된다. 코어 바디(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21)는 아래에서 설명할 커넥터부재(400)의 나사산(411)과 나사결합한다.
한편, 코어 바디(120)의 외주면과 하수관로(10)의 천공구멍(20) 내측면 사이에는 제1 삽입부재(200) 및 제2 삽입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코어 바디(120)의 직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삽입부재(200)는 코어 바디(12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수밀부재로서 외경을 형성하는 테두리면이 곡면을 이루고 내측 중앙은 개구되어 제2 관통구멍(201)이 형성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삽입부재(200)의 외측직경은 하수관로(10)의 천공구멍(20)의 직경보다는 작고, 내측직경은 코어 부재(100)의 코어 바디(120)의 외측직경보다는 크고 코어 헤드(110)의 외측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삽입부재(200)를 코어 부재(100)에 끼워서 천공구멍(20) 내에 안착시키면 코어 부재(100)와 천공구멍(20) 사이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코어 부재(100)의 코어 헤드(110)에 걸려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는다.
제1 삽입부재(200)이 일측에는 제2 삽입부재(300)가 끼워진다. 제2 삽입부재(300)도 제1 삽입부재(200)와 같이 내측 중앙이 개구되어 제2 관통구멍(301)이 형성된다.
제2 삽입부재(300)는 커넥터부재(400) 내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재(310)와 코어부재(100)와 천공구멍(20) 사이에 삽입되는 하부 삽입부재(320)를 포함한다. 상부 삽입부재(310)의 직경은 하부 삽입부재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 따라서, 상부 삽입부재(310)가 하부 삽입부재(320)와 연결되는 단차지는 부분이 천공구멍(20)의 입구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재(200)와 제2 삽입부재(300)는 EDPM(Ethylene Propylene Terpolymers)과 같은 고탄성 고무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부재(100)와 천공구멍(20) 사이에 개재되어 코어부재(100)와 커넥터부재(400)를 나사결합시키면 고탄성력을 가지는 제1 삽입부재(200)와 제2 삽입부재(300)가 압축되면서 직경이 확장되어 코어부재(100)와 천공구멍(20)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코어 부재(100)의 상단에는 커넥터부재(400)가 연결된다. 커넥터부재(400)는 일단이 코어 부재(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관(30)과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재(400)는 대략 원통형의 부재이고 내부 중앙은 관통되어 제3 관통구멍(401)이 형성된다. 커넥터부재(400)의 제3 관통구멍(401)의 내측 중앙에는 내측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착단(410)이 형성된다.
안착단(41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411)이 형성되어 코어부재(100)의 나사부(121)와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안착단(410)의 외주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천공된 삽입공(412)이 형성된다. 삽입공(412)은 커넥터부재(400)를 회전시켜 코어부재(100)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회전봉(420)이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412)의 삽입각도는 삽입공(412)이 커넥터부재(400) 외주면의 원호에 대한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각도(θ)만큼 틀어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넥터부재(400)는 회전봉(420)에 의해 시계방향 내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커넥터부재(400)가 회전하는 방향(R)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θ)만큼 틀어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삽입공(412)에 회전봉(420)의 일단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는데, 삽입공(412)이 커넥터부재(400)의 외주면 원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면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봉(420)이 삽입공(412)으로부터 쉽게 이탈하기 때문이다.
커넥터부재(400)가 하수관로(10)와 접하는 천공구멍(20) 입구에는 제1 수밀부재(500)가 구비된다. 제1 수밀부재(500)는 하수관로(10)와 커넥터부재(400)의 일단 사이를 수밀하게 유지하고, 커넥터부재(400)의 일단이 하수관로(10)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수밀부재(500)는 하수관로(10)와 커넥터부재(400) 사이에 개재되는 수평 수밀부재(510)와, 수평 수밀부재(5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커넥터부재(400) 단부 외면을 보호하는 수직 수밀부재(520)를 포함한다.
커넥터부재(400)의 타단에는 연결관(30)이 삽입되는데, 연결관(30)이 커넥터부재(400) 내측의 안착단(410)과 접하는 부분에는 제2 수밀부재(600)가 개재된다. 제2 수밀부재(600)는 연결관(30)과 커넥터부재(400) 사이를 수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커넥터부재(400)와 연결관(30)이 연결되는 외측면에는 전이부재(700)가 연결된다. 전이부재(700)는 탄성있는 고무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커넥터부재(400)와 연결관(3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전이부재(70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커넥터부재(400)와 연결되는 일단의 직경은 커넥터부재(400)의 외측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연결관(30)과 연결되는 일단의 직경은 연결관(30)의 외측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이부재(70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링(8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링(800)은 커넥터부재(400)측 단부와 연결관(30)측 단부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의 설치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하수관로(10)에 천공구멍(20)을 형성하고, 코어부재(100)에 제1 삽입부재(200)와 제2 삽입부재(300)를 순차적으로 끼우고 천공구멍(20)에 삽입한다. 이때, 천공구멍(20) 입구에는 제1 수밀부재(500)를 거치한 상태에서 코어부재(100)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천공구멍(20)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코어부재(100)의 일단에 커넥터부재(40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커넥터부재(400)의 외면에 형성된 삽입공(412)에 회전봉(420)을 삽입시켜 커넥터부재(400)를 회전시킨다.
커넥터부재(400)의 회전으로 인해 커넥터부재(400) 내측면의 나사산(411)과 코어부재(100)의 나사부(121)가 서로 나사결합하면서 커넥터부재(400)의 일단이 하수관로(10) 방향으로 압착된다.
커넥터부재(400)가 회전하면서 커넥터부재(400)의 내측면과 코어부재(100)의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1 삽입부재(200)와 제2 삽입부재(300)가 압착되면서 직경이 확대되어 커넥터부재(400)의 내측면과 코어부재(100)의 외측면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킨다.
커넥터부재(400)가 코어부재(100)와 완전히 결합고정되면, 커넥터부재(400)의 타단에 연결관(30)을 연결시키고 전이부재(700)의 외면에 고정링(800)을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연결관(30)이 하수관로(10)와 완전히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부재(400)를 간단히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하수관로(10)와 고정링(800)을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공방법이 매우 단순하고 공사기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해체시에도 단순히 커넥터부재(4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제거함으로써 손쉽게 연결관(30)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는 전이부재(700)와 고정링(800)이 생략된 구조로서 별도의 제3 수밀부재(900)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밀부재(900)는 중앙부가 관통된 대략 원통형 부재로서, 커넥터부재(400)와 연결관(30)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수밀부재(910)와 연결관(30)과 코어부재(100)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수밀부재(9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수밀부재(900)와 코어부재(100)가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보다 코어부재(100)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수밀부재(910)는 연결관(30)의 단부와 커넥터부재(400)의 안착단(41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상부 수밀부재(9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상부 수밀부재(920)는 내측면에 나사산(921)이 형성되어 코어부재(100)의 나사부(121)와 나사결합한다.
따라서, 커넥터부재(400)의 일측에 연결관(30)을 연결한 상태에서 커넥터부재(400)를 회전시키면 1차로 커넥터부재(400)와 코어부재(100)가 나사결합되면서 고정되고, 2차로 제3 수밀부재(900)가 나사결합되면서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로 연결관(30)을 연결시킬 필요가 없고, 전이부재(700)와 고정링(800)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코어부재 200 : 제1 삽입부재
300 : 제2 삽입부재 400 : 커넥터부재
500 : 제1 수밀부재 600 : 제2 수밀부재
700 : 전이부재 800 : 고정링
900 : 제3 수밀부재

Claims (6)

  1. 하수관로(10)의 천공구멍(20) 내로 삽입되고 천공구멍(20)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코어 헤드(110)와, 상기 코어 헤드(110)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부(121)가 형성되는 코어 바디(120)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헤드와 상기 코어 바디 중심을 관통하여 제1 관통구멍(101)이 형성되는 코어 부재(100);
    원통형의 부재로서 내부 중앙은 관통되어 제3 관통구멍(401)이 형성되고 제3 관통구멍(401)의 내측 중앙에 내측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착단(410)이 형성되며, 안착단(41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411)이 형성되어 일단이 코어부재(100)의 나사부(121)와 나사결합함에 의해 상기 천공구멍(20)을 차폐하고 타단이 연결관(30)과 연결되며, 안착단(410)의 외주면에는 회전봉(420)이 삽입될 삽입공(412)이 형성되는 커넥터부재(400);
    코어 부재(100)와 상기 천공구멍(20)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고탄성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제1 삽입부재;
    일단은 상기 코어 부재(100)와 상기 천공구멍(20)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부재(400)와 상기 코어 부재(10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고탄성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제2 삽입부재(300);
    커넥터부재의 일단과 상기 천공구멍의 입구 주변을 차폐함과 더불어 커넥터부재(400)의 일단이 하수관로(10)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수밀부재(500);
    연결관(30)이 커넥터부재(400) 내측의 안착단(410)과 접하는 부분에 개재되어 연결관(30)과 커넥터부재(400) 사이를 수밀하게 유지되게 하는 제2 수밀부재(600);
    커넥터부재(400)와 연결관(30)을 연결하고 고정링(8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탄성있는 고무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는 전이부재(700); 를 포함하며,
    커넥터부재(400) 측 삽입공(412)은 회전봉(420)의 삽입 배치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제어되는 커넥터부재(4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θ)만큼 틀어지게 경사 형성시킴으로써 삽입공(412)에 회전봉(420)의 일단을 삽입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봉(420)이 삽입공(412)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회전봉(420)을 이용하여 커넥터부재(400)를 코어부재(100)에 나사결합시 제1 삽입부재(200)는 압착되면서 직경이 확대되어 코어부재(100)와 천공구멍(20) 사이를 밀폐시키고, 제2 삽입부재(300)는 압착되면서 직경이 확대되어 커넥터부재(400)의 내측면과 코어부재(100)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하수관로(10)의 천공구멍(20) 내로 삽입되고 천공구멍(20)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코어 헤드(110)와, 상기 코어 헤드(110)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부(121)가 형성되는 코어 바디(120)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헤드와 상기 코어 바디 중심을 관통하여 제1 관통구멍(101)이 형성되는 코어 부재(100);
    원통형의 부재로서 내부 중앙은 관통되어 제3 관통구멍(401)이 형성되고 제3 관통구멍(401)의 내측 중앙에 내측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착단(410)이 형성되며, 안착단(41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411)이 형성되어 일단이 코어부재(100)의 나사부(121)와 나사결합함에 의해 상기 천공구멍(20)을 차폐하고 타단이 연결관(30)과 연결되며, 안착단(410)의 외주면에는 회전봉(420)이 삽입될 삽입공(412)이 형성되는 커넥터부재(400);
    코어 부재(100)와 상기 천공구멍(20)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고탄성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제1 삽입부재;
    일단은 상기 코어 부재(100)와 상기 천공구멍(20)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부재(400)와 상기 코어 부재(10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고탄성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제2 삽입부재(300);
    커넥터부재의 일단과 상기 천공구멍의 입구 주변을 차폐함과 더불어 커넥터부재(400)의 일단이 하수관로(10)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수밀부재(500);
    커넥터부재(400)와 연결관(30)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수밀부재(910)와, 연결관(30)과 코어부재(100) 사이에 개재되고 코어부재(100)의 나사부(121)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921)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부 수밀부재(920)를 포함하고, 하부 수밀부재(910)는 연결관(30)의 단부와 커넥터부재(400)의 안착단(41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상부 수밀부재(9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3 수밀부재(900); 를 포함하며,
    커넥터부재(400) 측 삽입공(412)은 회전봉(420)의 삽입 배치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제어되는 커넥터부재(4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θ)만큼 틀어지게 경사 형성시킴으로써 삽입공(412)에 회전봉(420)의 일단을 삽입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봉(420)이 삽입공(412)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회전봉(420)을 이용하여 커넥터부재(400)를 코어부재(100)에 나사결합시 제1 삽입부재(200)는 압착되면서 직경이 확대되어 코어부재(100)와 천공구멍(20) 사이를 밀폐시키고, 제2 삽입부재(300)는 압착되면서 직경이 확대되어 커넥터부재(400)의 내측면과 코어부재(100)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KR1020180047659A 2018-04-25 2018-04-25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KR102029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59A KR102029679B1 (ko) 2018-04-25 2018-04-25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659A KR102029679B1 (ko) 2018-04-25 2018-04-25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679B1 true KR102029679B1 (ko) 2019-10-08

Family

ID=6820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659A KR102029679B1 (ko) 2018-04-25 2018-04-25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6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086A (ko) * 2005-05-12 2006-11-16 이광호 하수관의 분기관 연결구
KR101116664B1 (ko) * 2011-11-29 2012-03-07 주식회사 시코 회전작동구가 설치된 분기관 연결구
KR20160004207U (ko) * 2015-09-09 2016-12-07 (주) 다해산업개발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170124416A (ko) * 2016-05-02 2017-11-10 장만호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20170127619A (ko) * 2016-05-12 2017-11-22 오현식 하수분기관 수밀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086A (ko) * 2005-05-12 2006-11-16 이광호 하수관의 분기관 연결구
KR101116664B1 (ko) * 2011-11-29 2012-03-07 주식회사 시코 회전작동구가 설치된 분기관 연결구
KR20160004207U (ko) * 2015-09-09 2016-12-07 (주) 다해산업개발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170124416A (ko) * 2016-05-02 2017-11-10 장만호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20170127619A (ko) * 2016-05-12 2017-11-22 오현식 하수분기관 수밀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718B1 (ko)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2029679B1 (ko)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KR200391278Y1 (ko) 수도배관 고정구
KR20170002509U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배관밸브용 결합체
CN207921556U (zh) 圆孔接管道用承插式快捷密封胶圈
US7530122B2 (en)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KR102300286B1 (ko) 주관 밀폐력이 향상된 분기관 연결장치
ES2250809T3 (es) Union positiva de forma de la pieza de conexion de una conduccion por tuberia.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101830851B1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JP2014219085A (ja) 分水栓密着コア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CN205640001U (zh) 用于塑料检查井的弹性密封圈
KR200391564Y1 (ko)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KR200258641Y1 (ko) 스테인리스 배급수관 연결기구
KR100889824B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KR200381665Y1 (ko)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CN210693370U (zh) 用于穿壁管件的密封件
KR102652897B1 (ko) 이중관 연결구조
JP3806216B2 (ja) 流体の分岐方法
KR101044168B1 (ko) 예비관로구 파이프 고정장치
CN209909232U (zh) 一种接管组件
KR20190074056A (ko) 배수관 회전조인트
KR200394641Y1 (ko) 하수관 연결구
JP3185876U (ja) サドル付分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