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466Y1 -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 Google Patents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466Y1
KR200424466Y1 KR2020060015526U KR20060015526U KR200424466Y1 KR 200424466 Y1 KR200424466 Y1 KR 200424466Y1 KR 2020060015526 U KR2020060015526 U KR 2020060015526U KR 20060015526 U KR20060015526 U KR 20060015526U KR 200424466 Y1 KR200424466 Y1 KR 200424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nhole
connector
hol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박도경
문경식
Original Assignee
이근호
박도경
문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박도경, 문경식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2020060015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4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4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맨홀에 하수 유입관 및 하수 유출관을 연결할 때, 맨홀과 상기 관사이의 연결부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간단한 작업으로 관과 맨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관 연결구 및 이러한 관 연결구를 구비한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 맨홀(1)의 벽체(11)에 일체로 매립되어 설치되어 맨홀(1)과 연결관(20)을 연결하는 관 연결구(10)로서, 상기 관 연결구(10)는, 연결관(20)이 삽입되는 정면삽입구(12)와, 콘크리트 맨홀(1)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배면관통구(13)를 가지는 원통형 본체(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 연결구(10)의 본체(11) 외면에는, 맨홀(1)의 벽체(11) 내에 매립되어 맨홀(1)과 관 연결구(1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매립 테두리부(15)가 관 연결구(10) 본체(11)의 원주를 따라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관통구(13)에는 상기 정면삽입구(12)로 연결관(20)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연결관(20)이 더 이상 맨홀(1) 내부로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14)가 배면관통구(13) 내측으로 배면관통구(1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와, 이러한 관 연결구를 구비한 콘크리트 맨홀이 제공된다.
맨홀, 연결, 관, 콘크리트, 누수, 밀봉

Description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Pipe Connecting Device and Concrete Manhole having such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에 구비되는 관 연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A-A에 따른 단면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관 연결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 연결구가 콘크리트 맨홀에 매립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에 연결관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 3의 선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맨홀
2 : 벽체
10 : 관 연결구
11 : 본체
12 : 정면삽입구
13 : 배면관통구
14 : 플랜지부
15 : 매립 테두리부
본 고안은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맨홀에 하수 유입관 및 하수 유출관을 연결할 때, 맨홀과 상기 관사이의 연결부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간단한 작업으로 관과 맨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관 연결구 및 이러한 관 연결구를 구비한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데, 하수 등이 맨홀로 유입되거나 또는 유출되는 유입관과 유출관이 맨홀의 벽체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통상 이러한 유입관과 유출관으로는 표면에 요철이 있는 주름관을 사용한다. 이러한 유입관 및 유출관을 콘크리트 맨홀의 벽체에 연결함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그 연결부위에서의 누수를 방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에는 단순히 연결관을 맨홀의 결합공에 삽입한 후 연결관 외부와 결합공 내부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채워넣는 것으로 연결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연결관과 결합공 사이에 완벽한 누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연결관과 결합공 사이로 수분이 침부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연결관과 맨홀의 결합공 사이에 완벽한 누수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연결관과 맨홀의 결합공의 연결구조를 간편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경제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맨홀에 하수 유입관 및 하수 유출관을 연결할 때 맨홀과 상기 관 사이의 연결부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간단하고 효율적인 작업으로 관과 맨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고안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 맨홀의 벽체에 일체로 매립되어 설치되어 맨홀과 연결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구로서, 상기 관 연결구는, 연결관이 삽입되는 정면삽입구와, 콘크리트 맨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배면관통구를 가지는 원통형 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 연결구의 본체 외면에는, 맨홀의 벽체 내에 매립되어 맨홀과 관 연결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매립 테두리부가 관 연결구 본체의 원주를 따라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관통구에는 상기 정면삽입구로 연결관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연결관이 더 이상 맨홀 내부로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가 배면관통구 내측으로 배면관통구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원통형의 콘크리트 벽체를 구비한 맨홀로서, 상기 맨홀의 벽체에는, 연결관이 삽입되는 정면삽입구와, 콘크리트 맨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배면관통구를 가지는 원통형 본체로 구성되어 있는 관 연결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관 연결구의 본체 외면에는, 맨홀의 벽체 내에 매립되어 맨홀과 관 연결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매립 테두리부가 관 연결구 본체의 원주를 따라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관통구에는 상기 정면삽입구로 연결관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연결관이 더 이상 맨홀 내부로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가 배면관통구 내측으로 배면관통구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관 연결구와,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맨홀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관 연결구 내면 사이의 추가적인 밀봉을 위한 밀봉링이 관 연결구의 원통형 본체 내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에 구비되는 관 연결구(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선A-A에 따른 단면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관 연결구(1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 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관 연결구(10)가 콘크리트 맨홀(1)에 도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콘크리트 맨홀(1)은 은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4에는 상기 관 연결구(10)에 연결관(2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 3의 선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10)는 연결관(20)이 삽입되는 정면삽입구(12)와, 콘크리트 맨홀(1)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배면관통구(13)를 가지는 원통형 본체(11)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배면관통구(13)에는 상기 정면삽입구(12)로 연결관(20)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연결관(20)이 더 이상 맨홀(1) 내부로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의 플랜지부(14)가 배면관통구(13) 내측으로 배면관통구(1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 연결구(10)의 본체(11) 외면에는 맨홀(1)의 벽체(2) 내에 매립되어 맨홀(1)과 관 연결구(1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매립 테두리부(15)가 본체(11)의 원주를 따라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상기 매립 테두리부(15)가 3개 구비되어 있으나, 매립 테두리부(15)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관 연결구(10)의 본체(11) 외면에는 상기한 매립 테두리부(15) 이외에도, 상기 관 연결구(10)가 맨홀(1) 벽체(2)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맨홀(1)과 관 연결구(1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는 회전방지구(1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위와 같은 구성의 관 연결구(10)는 상기 정면삽입구(12)가 맨홀(1)의 외면을 향하고 상기 배면관통구(13)가 맨홀(1)의 내측을 향하도록 콘크리 트 맨홀(1)의 벽체(2)에 설치된다. 즉, 맨홀(1)의 제작시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매립 테두리부(15)가 맨홀(1)의 벽체(2)에 매립되도록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맨홀(1)의 벽체(2)에 관 연결구(10)가 일체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 연결구(10)의 정면삽입구(12) 내로 연결관(20)이 삽입 설치된다(도 4 참조). 이 때, 상기 관 연결구(10)의 배면관통구(13) 원주면에 플랜지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관(20)의 단부는 상기 플랜지부(14)에 닿게 되어 연결관(20)의 삽입 정도가 자동적으로 정해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관(20)이 맨홀(1)의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이와 같이 연결관(20)을 삽입 설치함에 있어서 관 연결구(10) 내측 즉, 본체(11) 내면에 추가 밀봉을 위한 밀봉링(21)을 더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을 연결관(20)으로 사용하는 경우, 위와 같은 밀봉링(21)은 연결관(20)의 단부 외면에 형성된 주름의 오목한 부분에 끼워지게 되어 연결관(20)과 관 연결구(10) 사이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관 연결구(10) 내에 연결관(20)이 삽입 설치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관 연결구(10)의 본체(11) 내부와 연결관(20)의 외면 사이의 틈에 모르타르 등과 같은 공지의 밀봉재(30)를 채워서 관 연결구(10)와 연결관(20)이 완전히 밀봉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관(20)으로서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연결관(20)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 며 다양한 종류의 관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관 연결구(10)를 콘크리트 맨홀(1)의 벽체(11)에 미리 매립하여 설치하여 둔 상태에서, 상기 관 연결구(10)의 정면삽입구(12)에 연결관(20)을 삽입 설치하고, 그 틈을 밀봉재(30)로 밀봉함으로써 연결관(20)을 맨홀(1)에 완전히 밀봉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관(20)을 맨홀(1)에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관 연결구(10)의 배면관통구(13)에는 스토퍼 기능을 하는 플랜지부(14)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관(20)의 삽입 깊이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므로 연결관(20)이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 연결구(10)가 맨홀(1)의 벽체(11)에 일체로 매립되어 있고, 관 연결구(10)와 그에 삽입된 연결관(20)과의 사이의 틈을 밀봉재(30)로 밀봉하게 되므로 연결관(20)과 맨홀(1) 사이의 연결부가 완전하게 밀봉될 수 있으며 관과 맨홀사이에서 누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콘크리트 맨홀(1)의 벽체(11)에 일체로 매립되어 설치되어 맨홀(1)과 연결관(20)을 연결하는 관 연결구(10)로서,
    상기 관 연결구(10)는, 연결관(20)이 삽입되는 정면삽입구(12)와, 콘크리트 맨홀(1)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배면관통구(13)를 가지는 원통형 본체(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 연결구(10)의 본체(11) 외면에는, 맨홀(1)의 벽체(11) 내에 매립되어 맨홀(1)과 관 연결구(1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매립 테두리부(15)가 관 연결구(10) 본체(11)의 원주를 따라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관통구(13)에는 상기 정면삽입구(12)로 연결관(20)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연결관(20)이 더 이상 맨홀(1) 내부로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14)가 배면관통구(13) 내측으로 배면관통구(1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관(20)과 관 연결구(10) 내면 사이의 추가적인 밀봉을 위한 밀봉링(21)이 원통형 본체(11) 내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3. 원통형의 콘크리트 벽체(2)를 구비한 맨홀(1)로서,
    상기 맨홀(1)의 벽체(2)에는, 연결관(20)이 삽입되는 정면삽입구(12)와, 콘크리트 맨홀(1)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배면관통구(13)를 가지는 원통형 본체(11)로 구성되어 있는 관 연결구(1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관 연결구(10)의 본체(11) 외면에는, 맨홀(1)의 벽체(11) 내에 매립되어 맨홀(1)과 관 연결구(1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매립 테두리부(15)가 관 연결구(10) 본체(11)의 원주를 따라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관통구(13)에는 상기 정면삽입구(12)로 연결관(20)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연결관(20)이 더 이상 맨홀(1) 내부로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14)가 배면관통구(13) 내측으로 배면관통구(1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과 관 연결구(10) 내면 사이의 추가적인 밀봉을 위한 밀봉링(21)이 원통형 본체(11) 내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KR2020060015526U 2006-06-09 2006-06-09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200424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26U KR200424466Y1 (ko) 2006-06-09 2006-06-09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26U KR200424466Y1 (ko) 2006-06-09 2006-06-09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466Y1 true KR200424466Y1 (ko) 2006-08-22

Family

ID=4177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526U KR200424466Y1 (ko) 2006-06-09 2006-06-09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4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94B1 (ko) 2011-12-16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101639322B1 (ko) * 2015-10-05 2016-07-14 주식회사 청정씨앤씨 원형맨홀에 부합하는 타원형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94B1 (ko) 2011-12-16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101639322B1 (ko) * 2015-10-05 2016-07-14 주식회사 청정씨앤씨 원형맨홀에 부합하는 타원형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989B2 (en) Connector gasket for concrete structures
KR200424466Y1 (ko)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US20120007320A1 (en) Connector gasket for concrete structures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CN203284803U (zh) 组合型多功能综合检查井室
FI75414C (fi) Roerkoppling.
CN108644482B (zh) 一种同层漩流管件与预埋防漏套管的密封结构
KR200459984Y1 (ko) 맨홀용 관 연결구
KR100617507B1 (ko) 수밀형 맨홀
JP2006161329A (ja) マンホールの更正方法
CN209977507U (zh) 一种铝管连接密封结构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200352987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실링패킹
KR101080118B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구조
KR100617522B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JP2000035170A (ja) 管接続用パッキン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JPH11191918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方法、接続構造およびシール用可とう性継手
JP2001159182A (ja) 下水管路用耐震継手
KR20110033439A (ko) 오수받이
KR200472958Y1 (ko)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KR20100111219A (ko) 누수 방지를 위한 맨홀과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CN219571159U (zh) 抗渗漏混凝土排水管
KR200333419Y1 (ko)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