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365A - 하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365A
KR20110082365A KR1020100002319A KR20100002319A KR20110082365A KR 20110082365 A KR20110082365 A KR 20110082365A KR 1020100002319 A KR1020100002319 A KR 1020100002319A KR 20100002319 A KR20100002319 A KR 20100002319A KR 20110082365 A KR20110082365 A KR 20110082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ng
connector
close contac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강원
Original Assignee
오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강원 filed Critical 오강원
Priority to KR102010000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2365A/ko
Publication of KR2011008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2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attachments, e.g. reduction units, T-pieces, ben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구 본체를 고정하는 수밀링을 나사 체결의 누름을 통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는,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내측 외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부가 밀착되게 삽입 관통되고 외측 외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둘레에는 연결배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밀착 돌출턱이 형성된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의 외부에 삽입되는 수밀링과, 상기 나선부에 체결되어 잠금 체결을 통해 수밀링을 눌러주는 누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A clamp for connecting drain pipe}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구 본체를 고정하는 수밀링을 나사 체결의 누름을 통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콘크리트 옹벽으로 이루어진 지하시설물로서의 하수관과, 필요에 의해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하수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은 사람이 사용하고 버리는 생활하수를 일정한 장소 즉, 생활하수를 정화하는 하수정화처리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하는 관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수관은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지나 사무실(빌딩)과 같은 건물을 건축하는데 필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며,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은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매설되고, 그 재질은 콘크리트이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경에는 방수코팅이 되어 생활하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변에 사람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새로운 건축물(주택이나 빌딩)을 건축할 경우에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에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하수구 연결구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본 출원인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 제0424708호의 "하수관 연결구"(이하, "종래의 하수관 연결구"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에, 종래의 하수구 연결구는, 주하수관의 관통홀에 삽입 장착되는 연결구본체와 고정환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본체는 일측 단부에 곡면을 이루며 대향되는 위치로 한 쌍의 걸이부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환형의 걸이턱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환은 일측 단부에 환형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연결구본체와 고정환의 외면과 내면에는 서로 상응하는 랙(rack)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하수구 연결구는, 일측단부에 내측으로 지지환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곡면을 이루는 걸이부를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본체와 연결구본체의 외주연에 랙(rack)결합을 이루는 환형의 고정환을 이용하여 하수관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수관 연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상기 부하수관이 연결구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구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랙에 고정환을 장착할 경우에는 고정환을 작업자가 강제로 눌러 장착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환을 강제로 누르는 과정을 통해 고정환을 장착해야 함으로써 시공시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고정환의 수밀력은 작업자의 누르는 힘에 따라 결정됨으로써, 누르는 힘이 약할 경우에는 밀폐력이 약해져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연결구본체의 외측에 구비된 수밀링을 나사의 체결의 누름을 통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구 연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나사 체결의 누름을 통해 수밀링의 누름 압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내측 외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부가 밀착되게 삽입 관통되고 외측 외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둘레에는 연결배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밀착 돌출턱이 형성된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의 외부에 삽입되는 수밀링과, 상기 나선부에 체결되어 잠금 체결을 통해 수밀링을 눌러주는 누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밀링과 누름너트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밀링과 누름너트의 사이에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된 미끄럼 판형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너트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밀링은 상면에서 누름너트가 원활하게 미끄러지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선부와 누름너트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는 사다리꼴나사나 사각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밀링의 내측 단부면은 주배관의 외부표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단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둘레돌출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둘레 돌출부의 외측 밀착면은 주배관의 내측 표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이 외측 밀착면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둘레돌출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밀링을 나사 체결의 누름을 통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써, 연결배관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사 체결의 누름을 통해 수밀링의 누름 압력을 높임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켜 시공 후 누수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배관
11 : 관통홀
2 : 연결배관
3 : 연결구본체
31 : 둘레 돌출부
311 : 밀봉 둘레돌출턱
32 : 나선부
33 : 밀착 돌출턱
34 : 둘레 함몰홈
4 : 수밀링
41 : 내측 단부면
411 : 밀봉 둘레돌출턱
5 : 누름너트
51 : 함몰홈
511 : 손잡이판
6 : 미끄럼 판형링
7 : 밴드 클램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수관 연결구는, 주배관(1)에 형성된 관통홀(11)에 연결배관(2)을 체결 조임을 통해 연결하는 것으로, 관통홀(11)의 내측에 걸리게 관통 삽입되는 탄성체로 구성된 연결구본체(3)와, 연결구본체(3)의 외측에 장착되는 수밀링(4)과, 체결 조임을 통해 수밀링(4)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눌러 주는 누름너트(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연결구본체(3)는, 내측 외부에 형성되어 주배관(1)에 형성된 관통홀(11)의 내측 둘레면에 밀착되는 둘레 돌출부(31)와, 외측 외부에 형성된 나선부(32)와, 내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연결배관(2)의 단부가 밀착되는 밀착 돌출턱(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 돌출턱(33)은 연결배관(2)의 내측단부가 관통홀(11)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수밀링(4)은, 연결구본체(3)의 외부를 감싸며 삽입되는 것으로 연결구본체(3)의 외부 둘레면과 관통홀(11)의 사이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누름너트(5)는, 연결구본체(3)의 외부에 형성된 나선부(32)에 체결되는 것으로 내부 둘레에는 상기 나선부(32)에 체결되는 나사로 구성된 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누름너트(5)의 둘레에는 누름너트(5)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손잡이판(511)이 형성되게 다수의 함몰홈(5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수구 연결관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밀링(4)과 누름너트(5)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밀링(4)과 누름너트(5)의 사이에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된 미끄럼 판형링(6)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누름너트(5)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미끄럼 판형링(6)으로 인하여 마찰저항이 최소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 판형링(6)으로 인하여 누름너트(5)가 좀더 원활하게 회전됨으로써, 좀더 적은 힘으로도 수밀링(4)을 압축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밀링(4)의 내측 단부면(41)은 주배관(1)의 외부표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단부면(41)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둘레돌출턱(411)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 둘레돌출턱(411)을 통해 주배관(1)의 외부표면과 수밀링의 내측 단부면(41)사이의 밀봉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둘레 돌출부(31)의 외측 밀착면은 주배관(1)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밀착면에도 하나 이상의 밀봉 둘레돌출턱(311)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봉 둘레돌출턱(311)을 통해 주배관(1)의 내부 표면과 수밀링의 내측 단부면(41)사이의 밀봉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선부(32)와 누름너트(5)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는 사다리꼴나사나 사각나사로 구성됨으로써, 누름너트(5)의 고정력을 최대로 향상시켜 시공후 누름너트(5)가 외측으로 후퇴되어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배관(2) 외부의 외측 둘레에는 밴드 클램프(7)를 둘레에 고정시키는 둘레 함몰홈(34)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밴드 클램프(7)는, 연결구본체(3)의 외측 둘레를 긴장되게 감싸줌으로써, 연결구본체(3)의 외부 둘레면과 연결구본체(3)의 내부 둘레면의 밀착력을 좀더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 연결구를 이용하여 주배관(1)의 관통홀(11)에 연결배관(2)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배관(1)의 관통홀(11)에 탄성체인 연결구본체(3)의 내측을 삽입함에 따라, 연결구본체(3)의 내측에 형성된 둘레 돌출부(31)가 관통홀(11)의 내측 둘레면에 밀착되게 한다.
다음 연결구본체(3)의 내부로 연결배관(2)을 삽입하여 연결배관(2)의 내측단부와 연결구본체(3)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밀착 돌출턱(33)이 밀착되게 한다.
다음 연결구본체(3)의 외부에 수밀링(4)을 삽입하고, 수밀링(4)의 외측에 미끄럼 판형링(6)을 삽입한 후, 연결구본체(3)의 외부에 형성된 나선부(32)에 누름너트(5)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너트(5)를 손잡이판(511)을 이용하여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회전시킴으로써, 수밀링(4)을 큰 압력으로 눌러주는 상태로 주배관(1)과 연결배관(2)을 견고하게 밀봉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배관(1)과 연결배관(2)을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구본체(3)의 외부 둘레에 형성된 둘레 함몰홈(34)에 밴드 클램프(7)를 더 장착함으로써, 주배관(1)과 연결배관(2)을 좀더 견고하게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밀링(4)을 누름너트(5)의 체결을 통한 적은 힘의 회전력으로도 수밀링(4)의 누름압력을 높임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즉 누름너트(5)의 1회전시 나선부(32)의 1피치만큼만 누름너트(5)가 내측으로 전진됨으로써 적은 힘의 회전력으로 수밀링(4)의 누름압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나사의 체결을 통해 수밀링의 누름 압력을 높임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켜 시공 후 누수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누름너트(5)를 탄성체로 구성하고, 상기 수밀링(4)은 상면에서 탄성력을 가진 누름너트(5)가 원활하게 미끄러지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탄성력을 가진 누름너트(5)의 미끄럼 회전을 가능할 수 있도록 미끄럼 판형링(6)을 사용해야 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누름너트(5)를 탄성체로 구성하고 수밀링(4)을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하면 일 실시예의 미끄럼 판형링(6)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밀링(4)의 충분한 밀봉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주배관(1)에 형성된 관통홀(11)의 내측 둘레면에 내측 외부에 형성된 둘레 돌출부(31)가 밀착되게 삽입 관통되고 외측 외부에는 나선부(32)가 형성되며 내부의 둘레에는 연결배관(2)의 단부가 밀착되는 밀착 돌출턱(33)이 형성된 연결구본체(3)와,
    상기 연결구본체(3)의 외부에 삽입되는 수밀링(4)과,
    상기 나선부(32)에 체결되어 잠금 체결을 통해 수밀링(4)을 눌러주는 누름너트(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4)과 누름너트(5)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밀링(4)과 누름너트(5)의 사이에는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된 미끄럼 판형링(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너트(5)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밀링(4)은 상면에서 누름너트(5)가 원활하게 미끄러지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32)와 누름너트(5)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는 사다리꼴나사나 사각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4)의 내측 단부면(41)은 주배관(1)의 외부표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단부면(41)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둘레돌출턱(411)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돌출부(31)의 외측 밀착면은 주배관(1)의 내측 표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이 외측 밀착면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둘레돌출턱(311)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KR1020100002319A 2010-01-11 2010-01-11 하수관 연결구 KR20110082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319A KR20110082365A (ko) 2010-01-11 2010-01-11 하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319A KR20110082365A (ko) 2010-01-11 2010-01-11 하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365A true KR20110082365A (ko) 2011-07-19

Family

ID=4492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319A KR20110082365A (ko) 2010-01-11 2010-01-11 하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23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94B1 (ko) * 2011-12-16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101490720B1 (ko) * 2013-11-19 2015-02-09 최승선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US9781994B2 (en) 2012-12-07 2017-10-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Wafer clean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94B1 (ko) * 2011-12-16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US9781994B2 (en) 2012-12-07 2017-10-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Wafer cleaning
KR101490720B1 (ko) * 2013-11-19 2015-02-09 최승선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9072C (en) Bathtub drain and overflow kit
JP6948372B2 (ja) 管継手
KR100788190B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와 수압/고정플러그의 구조 및 이를이용한 수전시공방법
IL209938A (en) Mounting clamp with bushing for clamping element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KR200389191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110033548A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20110082365A (ko) 하수관 연결구
KR200394863Y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KR101031515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관 연결용 플랜지 어셈블리
KR20110123980A (ko) 슬리브의 배관 결합구조
KR100772683B1 (ko) 연결소켓 및 방향전환용 조립식 pc맨홀
KR101179435B1 (ko)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1996303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로 누수차단용 배관구조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20170127619A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JP2007263146A (ja) 管継手
KR100659226B1 (ko) 공동주택의 맨홀에 설치하는 연결관 밀폐장치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CN215981278U (zh) 一种法兰式铜箍管接头
CN217234725U (zh) 一种给排水设计用管道连接结构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KR100675144B1 (ko) 상수도용 고밀폐 관접속구
JPH02129490A (ja) スパイラル管の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