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378Y1 -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378Y1
KR200333378Y1 KR20-2003-0022033U KR20030022033U KR200333378Y1 KR 200333378 Y1 KR200333378 Y1 KR 200333378Y1 KR 20030022033 U KR20030022033 U KR 20030022033U KR 200333378 Y1 KR200333378 Y1 KR 200333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ipe
tube
inner tube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성
Original Assignee
이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성 filed Critical 이화성
Priority to KR20-2003-0022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오수관이나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지수단관을 맨홀에 조립할 때 배관의 신축으로 인한 결합부의 파손 및 이로 인한 누수방지와 더불어 하수관과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맨홀(1)의 측벽에 천공된 배관구멍(2)에 고정되는 외측관(10)과, 이 외측관(10)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은 맨홀(1)내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하수관과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내측관(20)과, 상기 외측관(10)의 말단에 나사결합되어 외측관(10)을 맨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30)와, 상기 외측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관(20)과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오-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관(20)은 그 중간에 신축부(24)가 형성되어 내측관(20)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도록 하여 내측관(20)에 결합된 하수관의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 신축부(24)는 내측관(20)과 하수관이 일직선을 이루지 않을 경우에도 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고 있어 하수관과의 맞대기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MOUNTING STRUCTURE FOR WATER STOP PIPE OF MANHOLE}
본 고안은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오수관이나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지수단관을 맨홀에 조립할 때 배관의 신축으로 인한 누수방지와 더불어 하수관과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맨홀에 고정되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 내부에 삽입되는 내측관을 포함하며, 내측관은 외측관 안에서 수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며, 내측관에 신축부가 형성되어 내측관에 결합된 하수관의 신축작용에도 불구하고 지수관이 맨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이나 오수관은 일정 길이마다 하수관이나 오수관 내를 통과하는 하수나 오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상부에 개폐가능한 뚜껑이 구비된 맨홀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맨홀에 오수관이나 하수관(이하, '하수관'이라 통칭함)을 누수없이 설치하기 위하여 통상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지수단관이 맨홀의 벽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맨홀이 형성되며, 이 지수단관에 하수관이 결합된다.
한편, 종래의 지수단관은 맨홀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를 이루고 있었으므로 하수관이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될 때 맨홀에 부착된 지수단관이 맨홀로부터 떨어져 나가거나 지수단관과 하수관과의 결합부위가 떨어지게 되어 이 부분을 통해 오염된 하수나 오수가 지중으로 누수되어 토양과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관작업시 맨홀에 부착된 지수단관과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과 일직선을 이루지 못할 경우에는 이를 일치시켜 맞대기결합시키거나 슬리브식으로 결합시키는 작업에 많은 고생을 하여야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수관이나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지수단관을 맨홀에 조립할 때 배관의 신축으로 인한 누수방지와 더불어 하수관과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맨홀의 측벽에 천공된 배관구멍에 고정되는 외측관과, 이 외측관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은 맨홀 내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하수관과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의 말단에 나사결합되어 외측관을 맨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와, 상기 외측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관과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내측관은 그 중간에 벨로우즈형의 신축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하수관의 신축작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 신축부는 유연성을 가져 하수관이 지수단관을 이루는 내측관과 일직선을 이루지 않을 경우에도 배관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내측관의 신축부 내측에는 신축부의 골 내부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내측관을 추가로 삽입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수단관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수단관 설치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수단관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수단관 설치구조에서 내측관의 신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지수단관 설치구조에서 내측관이 휘어진 상태로 설치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수단관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수단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맨홀 2 : 배관구멍
10 : 외측관 12 : 소직경부
14 : 대직경부 16 : 수나사부
18 : 오-링 삽입부 20 : 내측관
22 : 삽입관부 24 : 신축부
26 : 노출관부 30 : 고정너트
40 : 오-링 50 : 최내측관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수단관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수단관 설치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수단관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맨홀(1)의 측벽에 천공된 배관구멍(2)에 고정되는 외측관(10)과, 이 외측관(10)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은 맨홀(1)내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하수관과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내측관(20)과, 상기 외측관(10)의 말단에 나사결합되어 외측관(10)을 맨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30)와, 상기 외측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관(20)과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오-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측관(10)은 맨홀(1)의 배관구멍(2)에 삽입되는 소직경부(12)와, 이 소직경부(12)의 일단에서 연장된 대직경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소직경부(12)의 말단 외측에는 고정너트(30)가 나사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부(12)의 내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오-링 삽입홈(18)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관(10)의 설치는 소직경부(12)를 맨홀(1)의 배관구멍(2)에 삽입시키고 맨홀(1)내부에서 고정너트(30)를 상기 소직경부(12)의 수나사부(16)에 체결시키면 외측관(10)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외측관(10)과 맨홀(1)의 배관구멍(2)사이는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방수시멘트나 실리콘 등으로 코킹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외측관(10)은 맨홀(1)의 배관구멍(2)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 맨홀(1)의 측벽 내,외측으로 대직경부(14)와 고정너트(30)가 밀착되어 있게 되므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제지된다.
상기 내측관(20)은 외측관(10)의 소직경부(12)에 삽입되는 삽입관부(22)와, 외부로 노출되어 도시안된 하수관과 결합되는 노출관부(26)와, 상기 삽입관부(22)와 노출관부(26)사이에 형성되는 신축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신축부 (24)는 다수의 골과 산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벨로우즈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내측관(20)의 축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신축부(24)는 벨로우즈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곡선형으로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을 갖고 있어 후술하는 하수관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측관(20)은 외측관(10)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내측관(20)의 삽입관부(22)가 외측관(10)의 소직경부(12)에 끼워지고, 내측관(20)의 신축부(24)는 외측관(10)의 대직경부(14)내부에 헐겁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내측관(20)의 삽입관부(22)외측면은 외측관(10)의 소직경부(12)내측에 형성된 오-링 삽입홈(18)에 끼워진 복수개의 오-링(30)에 맞닿아 수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며, 내측관(20)의 신축부(24)는 외측관(10)의 대직경부(14)에 의해 보호되어 지중에 매립되더라도 신축부(24)가 흙에 덮이는 것이 방지되어 정상적으로 신축작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링(30)은 동일한 내경을 갖는 것을 다중으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내측관(20)의 외경 칫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내경을 갖는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수단관 설치구조에서 내측관의 신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안된 하수관과 결합된 내측관(20)이 그 신축부(24)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되어지게 되므로 하수관이 온도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것을 이 내측관(20)이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되므로 하수관과 지수단관의 결합부위나 또는 지수단관과 맨홀과의 결합부위가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게 되는 것이며, 내측관(20)은 외측관(10)과 복수의 오-링(40)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신축작용시 받게 되는 축방향으로의 신축력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5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관의 신축부(24)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는 기능에 추가하여 그 구조가 곡선형으로 휘어질 수도 있으므로 맨홀이 매립된 부분과 배관이 매립된 부분의 지반이 부등침하가 일어나게 되더라도 이 신축부(24)가 휘어지면서 전단력을 흡수하게 되므로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시공현장에서 맨홀에 부착된 지수단관과 하수관이 일직선을 이루지 않더라도 내측관의 신축부를 하수관의 방향에 일치되도록 구부려 줌으로써 하수관과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수단관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지수단관은 외측관(10), 내측관(20), 고정너트(30) 및 복수개의 오-링(40)으로 이루어진 점에 있어서는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나 외측관(10)과 내측관(20)이 보다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첫번째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외측관(10)이 동일직경으로 연장형성되어 있고, 내측관(20)도 신축부없이 동일직경으로 형성되어 외측관(10)에 오-링(40)의 개재하게 삽입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내측관(20)은 외측관(1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슬라이드작동에도 불구하고 복수개의 오-링(40)에 의해 내,외측관사이에 견고한 수밀유지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수단관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서 내측관(20)의 내측에 최내측관(50)을 더 삽입시켜 내측관(20)의 신축부(24)에 오수나 하수에 함유된 각종 고형물을 비롯한 이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맨홀에 설치되는 지수단관이 외측관과 이 외측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측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하수관이 신축되더라도 내측관이 슬라이드작용과 신축작용을 하게 되어 결합부위의 파손 및 이로 인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부는 곡선형으로 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하수관과의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반의 부등침하시에도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맨홀(1)의 측벽에 천공된 배관구멍(2)에 고정되는 외측관(10)과, 이 외측관(10)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은 맨홀(1)내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하수관과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내측관(20)과, 상기 외측관(10)의 말단에 나사결합되어 외측관(10)을 맨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30)와, 상기 외측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관(20)과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오-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지수단과 설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20)은 그 중간에 신축부(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20)의 신축부(24)내측에는 최내측관(50)이 추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KR20-2003-0022033U 2003-07-09 2003-07-09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KR200333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33U KR200333378Y1 (ko) 2003-07-09 2003-07-09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33U KR200333378Y1 (ko) 2003-07-09 2003-07-09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378Y1 true KR200333378Y1 (ko) 2003-11-15

Family

ID=4941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033U KR200333378Y1 (ko) 2003-07-09 2003-07-09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3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390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отводной трубы
US6332632B1 (en) Push-in closet flange
US5451081A (en) Freeze proof adapter
KR200333378Y1 (ko)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CA2360875C (en) Sewer pipe coupling
EP0225305A1 (en) Pipe connector device
KR100647525B1 (ko) 하수관 연결용 엘보
KR200424708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0701459B1 (ko) 맨홀의 이송관 연결구
KR100477145B1 (ko) 배수관 연결소켓 조립방법
KR100623930B1 (ko) 긴밀한 결합을 갖는 하수도관 연결구조
CN217653441U (zh) 一种活动式直壁卡扣接头
JPH11269901A (ja) 継ぎ手構造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CN218468444U (zh) 一种埋地排水排污用增强聚丙烯双壁波纹管
KR200372694Y1 (ko) 관 접속장치
KR200163392Y1 (ko) 주하수관에분기하수관을연결시키기위한체결구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20080105687A (ko) 하수도 분기관 연결구조
KR200193880Y1 (ko) 배관용 슬리브
KR200299981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181891Y1 (ko) 하수관 분기 연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