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694Y1 - 관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관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694Y1
KR200372694Y1 KR20-2004-0029612U KR20040029612U KR200372694Y1 KR 200372694 Y1 KR200372694 Y1 KR 200372694Y1 KR 20040029612 U KR20040029612 U KR 20040029612U KR 200372694 Y1 KR200372694 Y1 KR 200372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fitted
downstrea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효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엔포텍워터
정동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포텍워터, 정동효 filed Critical (주)엔포텍워터
Priority to KR20-2004-0029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이종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내경이 상이한 관의 연결시에도 내부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관의 접합부위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관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양 선단이 개구되어 각 선단에 상류측 관과 하류측 관이 끼워지는 접속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관은 상류측 관이 끼워지는 선단의 중심축과 상기 하류측 관이 끼워지는 선단의 중심축이 어긋난 구조로 된 관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 접속장치{DEVICE FOR CONNECTING PIPE}
본 고안은 상/하수도용으로 사용되는 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관을 용이하게 연결함과 더불어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관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도에는 콘크리트관(흄관), PVC관, PE관 등 여러 종류의 관종이 사용된다. 그리고 많은 경우 이러한 관종이 혼용되어 사용되며, 종래에는 재료적 특성상 이종관을 연결하는 경우 적절한 연결방식이 없어 콘크리트 몰탈 등으로 감싸서 마감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관 접속구조는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없어 관 내로의 불명수 유입 또는 관 밖으로의 오수의 유출 원인이 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수관거는 공공하수도인 하수도 본관(100)과 택지내 배수관(110), 그리고 둘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1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배수관(110)과 연결관(120) 사이에는 오수받이(130)가 설치된다.
상기 하수본관의 경우에는 관종이 바뀌는 경우 반드시 맨홀을 설치해야 하므로 관종이 다르다 하더라도 맨홀에 접속되므로 이종관 간의 연결 문제점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배수관의 경우 구경이 작으므로 주로 PVC관이 적용되어 종점부에서 오수받이에 연결되며, 오수받이로부터 하수본관 사이에는 연결관이 설치되는 데 연결관에는 PVC관, PE관, 이중벽PVC관 등 다채로운 관종이 적용됨에 따라 종래의 콘크리트 몰탈에 의한 접속구조를 통해서는 완벽한 접속을 얻기 힘들다.
즉, 종래의 경우 상기 오수받이로 통상 콘크리트제 오수받이가 사용됨에 따라 콘크리트 몰탈에 의한 이종관의 연결이 가능하였으나, 최근들어 PVC 또는 PE 재질의 오수받이가 주로 적용되고 있어, 상기한 종래의 시공 방법을 통해서는 정밀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 경우 설치 후 외부의 진동 및 지각변동이 발생하면 쉽게 연결부위의 시멘트 몰탈이 파괴되어 떨어짐으로써 연결부분으로부터 누수현상이 발생되고 누수로 인하여 더욱 지반의 침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정밀시공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자체 탄력성이 없어 외부의 조건 즉, 계절에 따른 온도의 변화 및 충격에 의해 지반의 융기 및 침하작용이 발생하게 되면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구조의 경우 외경이 다른 이종관인 경우 상호 연결 자체가 어려울 뿐아니라, 호칭경이 같더라도 상호간에 내경 및 외경이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해 같은 KS규격의 PVC관이라 하더라도 VG1관과 VG2관은 외경이 같고 내경이 다르다. 그러므로 관들을 외경중심으로 연결하면 관 내부는 단차가 생기게 되고, 하수관의 경우 하수의 자연유하를 원칙으로 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관 내부 단차는 오수 또는 고형물의 퇴적 원인이 되며, 이러한 정체는 하수의 부패를 야기하여 악취 발생의 주된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종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관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경이 상이한 관의 연결시에도 내부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관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관의 접합부위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관 접속장치를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수관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장치의 또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접속관 11 : 상부끼움부
12 : 하부끼움부 13 : PE관연결부
14 : PVC관연결부 15 : 돌기
20 : 단차부재 30 : 체결밴드
40 : VG2관 41 : VG1관
50 : PE관 51 : 이중벽 PVC관
60 : PE단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관 연결장치는 양 선단이 개구되어 각 선단에 상류측 관과 하류측 관이 끼워지고, 상류측 관이 끼워지는 선단의 중심축과 상기 하류측 관이 끼워지는 선단의 중심축이 어긋난 구조의 접속관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관은 상류측 선단의 중심축에 대해 하류측 선단의 중심축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갖는 이종관을 연결함에 있어 접속관을 포함하는 상류측 관과 하류측 관의 내측 저부만큼은 단차진 부분없이 평탄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접속관의 양쪽 외측면에 체결되어 접속관의 양단에 끼워진 각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밴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관은 하류측 관이 끼워지는 쪽의 선단의 직경이 다른쪽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커 하류쪽으로 단차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관의 상류측에 끼워지는 관은 KS 규격의 PVC(polyvinylchloride)재질인 VG1관 또는 VG2관임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속관의 하류측에 끼워지는 관은 PE(polyethylene)관 또는 외부에 굴곡이 많은 이중벽 PVC(polyvinyl chloride)관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속관의 중간부에는 상이한 중심축을 갖는 상류측 관과 하류측 관의 내경 사이를 부드럽게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류측 관과 하류측 관이 측단에 각각 접하는 단차부재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차부재의 내주면은 저부가 평탄하고 상부로 갈수록 중심축이 아래로 이동되어 있는 접속관의 하류측에 끼워진 하류측 관 내경을 향해 하향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재의 상류측 높이는 상기 VG2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VG2관의 두께에 대응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같은 외경을 가지나 내경이 상이한 VG1관이 상기 접속관에 끼워지더라도 하향으로 단차가 생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차부재의 하류측 높이는 상기 PE관의 두께에 대응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속관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관의 하류측 선단은 내경이 2단으로 확장되어 상기 PE관이 끼워지는 PE관 연결부와, PE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상기 이중벽 PVC관이 끼워지는 PVC관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접속관은 상기 이중벽 PVC관이 끼워지는 경우 상기 단차부재와 이중벽 PVC관의 내측 선단 사이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접속관 내부의 상기 PE관 연결부에 끼워지는 PE단관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PE단관은 그 길이가 상기 접속관의 PE관 연결부의 길이와 대응되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수관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관 접속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하수관거는 공공하수도인 하수도 본관(100)과 택지내 배수관(110) 그리고 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120)을 포함하며, 배수관(110)과 연결관(120) 사이에는 오수받이(130)가 설치된다.
상기 오수받이(130)에 연결되는 연결관(120)은 다양한 관종이 선택사용되며 이에 따라 내경의 크기 또는 외경의 크기가 각각 상이한 이종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본 실시예의 관 접속장치는, 일측 선단에 상기 오수받이(130)에 연결된 상류측 관이 끼워지고 반대쪽 선단에는 상기 하수도 본관(100)에 연결된 하류측 관이 끼워지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상부끼움부(11)와 하부끼움부(12)를 이루고 상기 상부끼움부(11)의 중심축 선보다 상기 하부끼움부(12)의 중심축 선이 낮도록 형성된 고무재질의 접속관(10)과, 상기 접속관(10)의 상부끼움부(11)와 하부끼움부(12) 사이에 중심축이 이격된 상류측 관과 하류측 관의 내경 사이를 부드럽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속관(10)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류측 관과 하류측 관이 측단에 각각 접하는 단차부재(20), 상기 상부끼움부(11)와 하부끼움부(12) 외주면에 각각 체결되어 접속관(10)을 각 끼움부에 결합된 관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밴드(3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상류측이라 함은 오수받이(130) 쪽을 의미하며 하류측이라 함은 하수도 본관(100) 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접속관(10)의 상부끼움부(11)에 끼워지는 상기 상류측 관으로 KS 규격의 PVC(polyvinyl chloride)재질인 VG2관(40)(또는 VG1관(41))이 사용되고, 상기 접속관(10)의 하부끼움부(12)에 설치되는 하류측 관으로 PE(polyethylene)관(50) 또는 외부에 굴곡이 많은 이중벽 PVC(polyvinyl chloride)관(51)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KS 규격의 VG1관(41)과 VG2관(40)은 하수,배수관으로 사용되는 일반 경질염화비닐관으로 양자의 외경은 동일하나 두께가 서로 상이하여 내경이 서로 다른 구조로 되어 있으며, VG2관(40)과 비교하여 VG1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각 구성부를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접속관(10)은 원통형태로 상부끼움부(11)와 하부끼움부(12)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의 돌기(15)가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어 체결밴드(30)가 놓여지는 자리를 마련하게 되며, 상기 하부끼움부(12)는 선단을 향해 내경이 2단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단차가공되어 상기 PE관(50)이 끼워지는 PE관연결부(13)와, PE관(5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상기 이중벽 PVC관(51_이 끼워지는 PVC관연결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끼움부(11)와 하부끼움부(12)는 각각 그 중심축이 이루는 중심축선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형성되는 데, 그 이유는 상부끼움부(11)와 하부끼움부(12)에 장착되는 관의 내경이 상이하더라도 오수가 흘러나가는 관의 저부에서만큼은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관(10)은 상부끼움부(11)에 끼워지는 VG2관(40)의 내주면 저부와 상기 하부끼움부(12)에 끼워지는 PE관(50)의 내주면 저부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상부끼움부(11)의 중심축선에서 상기 하부끼움부(12)의 중심축선을 아래로 일정 거리(D) 이격시킨 상태로 상부끼움부(11)와 하부끼움부(12)를 연결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관의 연결부에서의 단차발생을 피해 오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차부재(20)는 상기 접속관(10)의 상부끼움부(11)와 하부끼움부(12) 사이에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끼움부(11)에 끼워진 상류측 관(VG2관(40) 또는 VG1관(41))과 상기 하부끼움부(12)에 끼워진 하류측 관(PE관(50) 또는 이중벽 PVC관(51))을 단차없이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재(20)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만 그 높이에 있어서 상기 상부끼움부(11) 쪽의 측단 높이는 상기 상류측 관과 대응되는 높이를 이루고 상기 하부끼움부(12) 쪽의 측단 높이는 상기 하류측 관과 대응되는 높이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차부재(20)의 상부끼움부(11)쪽 측단 높이는 상기 VG2관(40)의 두께와 대응되고, 상기 단차부재(20)의 하부끼움부(12)쪽 측단 높이는 상기 PE관(50)의 두께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접속관(10)의 저부에서는 VG2관(40)과 단차부재(20) 및 PE관(50)의 내주면이 동일 선상에 놓여져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며, 저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VG2관(40)과 PE관(50)의 내주면 높이차가 발생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단차부재(20)의 내주면이 점차적으로 하향경사져 경사면(C)을 이루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상류측 관인 VG2관(40)과 하류측 관인 PE관(50)의 내경이 상이하더라도 중간의 단차부재(20)가 경사진 형태로 이들을 부드럽게 연결시켜 양자는 단차없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VG2관(40) 이외에 상류측 관으로써 VG1관(41)이 사용되는 경우가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데, 이 경우 VG1관(41)의 두께가 VG2관(40)보다 두껍기 때문에 단차부재(20)보다 위쪽으로 돌출되나, 오수가 흐르는 하류쪽으로 단차가 발생함에 따라 오수가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밴드(30)는 예컨대,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단에 웜기어가 설치되어 웜기어의 회전에 따라 밴드를 조이고 풀수 있도록 된 구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 이외에 접속관(10)을 조일 수 있는 구조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접속관(10)은 PVC관 연결부(14)에 상기 이중벽 PVC관(51)이 끼워지는 경우 상기 PE관연결부(13)에서 높이차에 의한 단차가 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 상기 단차부재(20)와 이중벽 PVC관(51)의 내측 선단 사이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접속관(10) 내부의 상기 PE관연결부(13)에 끼워지는 PE단관(60)을 더욱 포함한다.
도 4와 도 5는 각각 상기 접속관(10)의 하부끼움부(12)에 PE관(50)과 이중벽 PVC관(51)이 끼워진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는 데, 도 4에서와 같이 PE관(50)은 하부끼움부(12)의 PE관연결부(13)로 끼워져 단차부재(20) 측단에 접하게 되며 이 경우 PE단관(60)은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PE관(50)이 연결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밴드(30)는 상기 하부끼움부(12)의 PE관연결부(13)에 장착되어 조여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중벽 PVC관(51)이 끼워지는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PE관(50)보다는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이중벽 PVC관(51)이 상기 하부끼움부(12)의 PVC관연결부(14)에 끼워지고 하부끼움부(12) 내측에서 상기 이중벽 PVC관(51)과 단차부재(20) 측면 사이에는 상기 PE단관(60)이 PE관연결부(13)에 미리 끼워져 상기 단차부재(20)와 이중벽 PVC관(51)을 단차없이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중벽 PVC관(51)이 연결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밴드(30)는 상기 하부끼움부(12)의 PVC관연결부(14)에 장착되어 이중벽 PVC관(51)을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PE단관(60)은 그 길이가 상기 접속관(10) PE관연결부(13)의 길이와 대응되록 하여, 단차부재(20)와 이중벽 PVC관(51)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PE단관(60)은 제품 출하시 상기 접속관(10) 내의 PE관연결부(13) 내에 미리 장착한 상태로 출하하여, 최종 시공시 상기 접속관(10)에 PE관(50)이 접속되는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PE단관(60)을 제거하고 연결시키며, 이중벽 PVC관(51)이 접속되는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PE단관(60)을 그대로 존치시킨 상태로 이중벽 PVC관(51)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어느 관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관내면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수리학적으로 오수 및 고형물의 흐름을 최대한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종관을 원활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관 접속장치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관 접속장치에 의하면, 상류쪽으로의 단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서로 상이한 크기와 내경을 갖는 이종관을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자연유하를 원칙으로 하는 하수관에 있어서 연결부위에서 오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고형물의 퇴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물성의 관들을 연결하기 위해 고무부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밴드를 체결하여 연결함에 따라 상이한 물성 간의 접합이 용이해지고 기밀성을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양 선단이 개구되어 각 선단에 상류측 관과 하류측 관이 끼워지는 접속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관은 상류측 관이 끼워지는 선단의 중심축과 상기 하류측 관이 끼워지는 선단의 중심축이 어긋난 구조로 된 관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은 상류측 선단의 중심축에 대해 하류측 선단의 중심축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의 중간부에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양 측면이 각각 상기 상류측 관과 하류측 관이 측단에 각각 접하는 단차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관은 KS 규격의 VG1관 또는 VG2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관은 PE(polyethylene)관 또는 이중벽 PVC(polyvinyl chloride)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재의 상류측 높이는 상기 VG2관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VG2관의 두께에 대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재의 하류측 높이는 상기 PE관의 두께에 대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의 하류측 선단은 내경이 2단으로 확장되어 상기 PE관이 끼워지는 PE관 연결부와, 상기 이중벽 PVC관이 끼워지는 PVC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은 상기 PE관연결부 내측에 상기 PVC연결부에 끼워진 이중벽 PVC관의 내측 선단과 상기 단차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PE단관이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의 양쪽 외측면에 체결되어 접속관의 양단에 끼워진 각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KR20-2004-0029612U 2004-10-20 2004-10-20 관 접속장치 KR200372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612U KR200372694Y1 (ko) 2004-10-20 2004-10-20 관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612U KR200372694Y1 (ko) 2004-10-20 2004-10-20 관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694Y1 true KR200372694Y1 (ko) 2005-01-14

Family

ID=4944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612U KR200372694Y1 (ko) 2004-10-20 2004-10-20 관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6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536B1 (ko)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를 구비한 빗물받이 및, 이 빗물받이를 이용한 우수관거 시공방법
US3904228A (en) Septic tank tee
KR200372694Y1 (ko) 관 접속장치
US3986963A (en) Septic tank tee
US20170074438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KR200480536Y1 (ko) 각도조절가능한 자바라슬리브 구비한 빗물받이
US6460896B1 (en) Sewer pipe coupling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KR200352987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실링패킹
KR100477145B1 (ko) 배수관 연결소켓 조립방법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KR200358337Y1 (ko) 하수관용 분기관 연결링
KR100955478B1 (ko)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EP3697974A1 (en) Overflow pipe system
US20170074431A1 (en) Pipe Coupling Apparatus
JP7217459B2 (ja) 排水ます
KR200416955Y1 (ko) 관접속장치
JP3258505B2 (ja) 雑排水管の接続構造
KR200333378Y1 (ko) 맨홀의 지수단관 설치구조
JP2007120218A (ja) 蛇腹管接続用サイフォン排水継手
KR200195785Y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부재
KR200438914Y1 (ko) 교량배수관용 연결구
JP2614964B2 (ja) 汚水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