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234Y1 - 파이프 이음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 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234Y1
KR200357234Y1 KR20-2004-0012193U KR20040012193U KR200357234Y1 KR 200357234 Y1 KR200357234 Y1 KR 200357234Y1 KR 20040012193 U KR20040012193 U KR 20040012193U KR 200357234 Y1 KR200357234 Y1 KR 200357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ing piece
packing
coupling
joi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원기
Original Assignee
문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원기 filed Critical 문원기
Priority to KR20-2004-0012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파이프의 확관부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파이프와의 기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결합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기 확관부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제1경사면을 형성하며 연장 확관된 제1확관부와, 상기 제1확관부의 길이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되 이 제1확관부들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조형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들의 내측면에 각각 개재되며 내경에 서로 상이한 탄력으로 상기 제1확관부에 끼워지는 파이프의 외주연부를 접촉하여 밀착시키는 가압편을 갖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파이프 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 개재되는 패킹의 내주연에는 내향 돌출되는 타원형의 가압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이음구조{Pipe jointing structure}
본 고안은 파이프 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파이프의 확관부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파이프와의 기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결합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을 습기 또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유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게 하는 파이프는 중공체인 다수의 결합파이프들을 서로 긴밀하게 결합시켜 이를 통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내용물을 목적지로 이송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이음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 일측에 소정 길이의 확관부(12)를 형성하여 이 확관부(12)에 다른 결합파이프(10)를 연설하기 위한 파이프 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12)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제1경사면(21)을 형성하며 연장 확관된 제1확관부(20)와; 상기 제1확관부(20)의 길이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되 이 제1확관부(20)들의 외경(20D)보다 큰 외경(22D)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며 그 일측벽에 제2경사면(22a)을 형성한 돌조형의 안착부(22)와; 상기 안착부(22)들의 내측면에 각각 개재되며, 내경에 서로 상이한 탄력으로 상기 제1확관부(20)에 끼워지는 결합파이프(10)의 외주연부를 접촉하여 밀착시키는 서브 및 메인가압편(34,36)을 형성하되 메인가압편(36)이 서브가압편(34)보다 더 작은 최소 내경(34d)을 갖도록 한 패킹(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다(참조: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334717호).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이음 구조는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파이프의 외주연이 고무패킹에 형성된 메인가압편과 서브가압편에 밀착되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파이프의 결합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결합파이프 외경에 닿는 메인가압편과 서브가압편이 접촉면이 비교적 커지게 되므로 따라서 마찰이 커져 상대적으로 삽입되는 결합파이프의 결합이 매우 어려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안착부를 일자로 형성하고 상기 고무패킹에 형성되는 가압편을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파이프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이음구조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결합파이프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파이프 10:결합파이프 10D, 20D, 22D:외경
12:확관부 12d, 20d, 32d, 34D, 34d:내경 20:제1확관부
21:제1경사면 22:안착부 22a:제2경사면
30:패킹 32:가압편 34:서브가압편
36:메인가압편 38:절개부 L:간격
W:폭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 확관부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제1경사면을 형성하며 연장 확관된 제1확관부와, 상기 제1확관부의 길이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되 이 제1확관부들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조형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들의 내측면에 각각 개재되며 내경에 서로 상이한 탄력으로 상기 제1확관부에 끼워지는 파이프의 외주연부를 접촉하여 밀착시키는 가압편을 갖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파이프 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 개재되는 패킹의 내주연에는 내향 돌출되는 타원형의 가압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킹(30)의 내주연에는, 타원형의 내향 돌출되는 가압편(32)이 1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결합파이프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확관부(12)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제1경사면(21)을 형성하며 연장 확관된 제1확관부(20)와, 상기 제1확관부(20)의 길이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되 이 제1확관부(20)들의 외경(20D)보다 큰 외경(22D)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조형의 안착부(22)와, 상기 안착부(22)들의 내측면에 각각 개재되며 내경에 서로 상이한 탄력으로 상기 제1확관부(20)에 끼워지는 결합파이프(10)의 외주연부를 접촉하여 밀착시키는 가압편(32)을 갖는 패킹(30)을 포함하는 구성되는 종래의 파이프 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2)는 직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킹(30)은 내주연에 내향으로 돌출되는 가압편(3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22)는 종래의 경사형과는 달리 “”형태의 직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30)은, 안착부(22)의 내측에 결합되어 삽입되는 결합파이프(10)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내주연부에는 상기 결합파이프(10)를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가압편(32)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편(32)은, 패킹(30)의 내주연에 내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편(32)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밀폐력이 우수한 고무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파이프 이음구조는 안착부(22)를 직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22) 내측에 결합되는 패킹(30)에는 가압편(32)을 형성함으로써,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파이프(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파이프 이음구조를 사용할 경우 결합파이프(10)와의 기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결합파이프(10)의 결합이 매우용이하다.
즉, 종래의 패킹(30)에 형성된 가압편(32)의 구조는 서브가압편(34)과 메인가압편(36)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끼워지는 결합파이프(10)의 외주연과 접촉면이 비교적 커지므로 결합시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다시 말해, 종래의 패킹(30)에 형성된 가압편(32)은 서브가압편(34)과 메인가압편(36)으로 형성되어 결합파이프(10)의 외주연과 면(面)접촉으로 결합되므로 마찰이 커 결합하기 매우 힘든 반면, 본 고안의 패킹(30)은 가압편(32)이 타원형이므로 결합파이프(10)의 외주연과의 접촉이 거의 선(線)접촉으로 이루어지므로 마찰이 적어 결합파이프(10)의 결합이 그만큼 용이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패킹(30)에 형성된 가압편(32)은 결합파이프(10)가 들어갈 때는 상기와 같이 마찰이 적어 손쉽게 결합되나 결합파이프(10)가 어느 정도 끼워지면 탄성력에 의해 일그러져 면접촉을 이루므로 밀폐력 또한 우수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압편이 형성된 패킹을 파이프 확관부 내측에 다수로 설치하여 상기 파이프의 확관부측에 연결설치되는 결합파이프와의 기밀을 향상시키고, 패킹이 내부에 결합되는 결합파이프를 지지함으로써 파이프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상기 확관부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제1경사면을 형성하며 연장 확관된 제1확관부와, 상기 제1확관부의 길이를 따라 다수로 설치되되 이 제1확관부들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조형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들의 내측면에 각각 개재되며 내경에 서로 상이한 탄력으로 상기 제1확관부에 끼워지는 파이프의 외주연부를 접촉하여 밀착시키는 가압편을 갖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파이프 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 개재되는 패킹의 내주연에는 내향 돌출되는 타원형의 가압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내주연에는, 타원형의 내향 돌출되는 가압편이 1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구조.
KR20-2004-0012193U 2004-04-30 2004-04-30 파이프 이음구조 KR200357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193U KR200357234Y1 (ko) 2004-04-30 2004-04-30 파이프 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193U KR200357234Y1 (ko) 2004-04-30 2004-04-30 파이프 이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234Y1 true KR200357234Y1 (ko) 2004-07-23

Family

ID=4934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193U KR200357234Y1 (ko) 2004-04-30 2004-04-30 파이프 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23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183B1 (ko) 2005-03-17 2007-03-20 김원주 파이프 이음장치
KR100715393B1 (ko) * 2006-12-11 2007-05-08 김학건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0851675B1 (ko) 2006-12-11 2008-08-13 김학건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500B1 (ko) * 2010-04-16 2011-03-07 미래화학 주식회사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의 생산방법
KR200479984Y1 (ko) * 2014-11-17 2016-04-11 주식회사 대흥하이텍 파이프연결구조
KR20180016865A (ko) 2016-08-08 2018-02-20 (주)준성이엔씨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183B1 (ko) 2005-03-17 2007-03-20 김원주 파이프 이음장치
KR100715393B1 (ko) * 2006-12-11 2007-05-08 김학건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0851675B1 (ko) 2006-12-11 2008-08-13 김학건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500B1 (ko) * 2010-04-16 2011-03-07 미래화학 주식회사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의 생산방법
KR200479984Y1 (ko) * 2014-11-17 2016-04-11 주식회사 대흥하이텍 파이프연결구조
KR20180016865A (ko) 2016-08-08 2018-02-20 (주)준성이엔씨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8206A (en) Flexible packing for sealing pipeline joints
US6343623B2 (en) Sealing ring for connecting the spigot of a corrugated pipe with a pipe socket having a smooth inside wall
US8794639B2 (en) Sealing assembly having liquid-filled seal
AU2002359216A1 (en) End connection for tubes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KR200357234Y1 (ko) 파이프 이음구조
KR860002683A (ko) 가요성 신축관 커플링
KR20190073237A (ko) 배관 연결용 패킹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CZ20003750A3 (en) Sealing ring for plastic-made corrugated tube
KR102066746B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용 패킹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WO2006112604A1 (en) Rubber packing for pipe connection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JP2002188768A (ja) 管継手
KR200339782Y1 (ko) 파이프 이음구조
CN110307421B (zh) 复合连接管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JP2002364788A (ja) パッキングリング
KR200448884Y1 (ko) 합성수지관용 패킹
KR200340910Y1 (ko) 이중벽관용 배관 연결구
KR102144410B1 (ko) 가스켓
JP5514414B2 (ja) 差込式管継手
KR200232326Y1 (ko) 패킹
CN205261075U (zh) 一种管接头的加强密封元件
JPH09329280A (ja) 可撓可能な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