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432A -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 Google Patents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432A
KR20030087432A KR1020020025787A KR20020025787A KR20030087432A KR 20030087432 A KR20030087432 A KR 20030087432A KR 1020020025787 A KR1020020025787 A KR 1020020025787A KR 20020025787 A KR20020025787 A KR 20020025787A KR 20030087432 A KR20030087432 A KR 2003008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joint
drainage
pipe
synthetic resin
drainag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비지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비지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비지니스
Priority to KR102002002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7432A/ko
Publication of KR2003008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43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형 이음관과; 상기 경사형 이음관의 내주면에 내장되며, 이와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질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소켓; 상기 경사형 이음관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짐과 동시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로; 구성됨으로써, 유체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시켜 소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incline type coupling pipe for drain}
본 발명은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음관 내외주면에 소음 방지용 부재를 설치하여, 유체 흐름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주거공간 내에서 안락하고 조용한 삶을 방해하는 배수소음의 근원은 공기진동에 의한 것으로, 음파가 건물을 자극하면서 발생하는 대기소음과, 고체가 건물에 부딪쳐 발생하는 물리적 소음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생활하수 배수시 파이프 벽에 끊임없이 부딪치는 물과 고체입자의 충돌은 물리적 소음의 원인을 가져오고, 부딪치는 효과는 배수관 벽 속으로 확장하며 배수관의 즉각적인 진동을 가져온다.
특히, 강한 진동은 배수관의 굽어진 부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배수흐름의 사나움에 기인한 물소리도 그 자체가 배수관 내에서 대기소음으로 재생산되어, 배수관 벽의 진동을 야기한다.
지금까지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관에서 발생되는 배수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배수관을 석면 등의 흡음 및 보온재로 감싸거나 배수관의 진동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두껍고 무거운 자재를 사용하였다.
이는 배수관 벽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진동을 주기는 어렵게 되고, 배수관 벽에 초래하는 진동이 작을수록 배수관으로부터 퍼지는 대기소음과 건물로 전달되는 물리적 소음은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관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배수관 벽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져야 될 뿐만 아니라 중량이 많이 나아가게 됨으로 말미암아 배수관의 시공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이음관의 내외주면에 소음방지용 부재를 설치하여, 이음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방지용 부재를 용이하게 이음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형 이음관과; 상기 경사형 이음관의 내주면에 내장되며, 이와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질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소켓; 상기 경사형 이음관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짐과 동시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의 제2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의 제3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의 제4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의 제5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의 제6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사형 이음관130 : 공간부
200 : 소켓210 : 안내부
240 : 고정부260 : 만곡부
270 : 공간300 : 커버
400 : 패킹420 : 연질부
440 : 경질부500 : 슬리브
600 : 유출관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형 이음관(100)과; 상기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주면에 내장되며, 이와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질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소켓(200)과; 상기 경사형 이음관(10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짐과 동시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3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크게 경사형 이음관(100), 소켓(200), 커버(300)로 3가지로 구성된다.
이는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외주면의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음방지용 부재를 설치하여, 경사형 이음관(100)에서 유체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시키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그 경사형 이음관(100)이 타 이음관에 비하여 슬리브(500)에 바로 밀착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타 이음관에 비하여 배수에 따른 낙차높이가 감소되어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200)은 그 일측단으로 내측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그 내에 삽입되는 슬리브(500)를 안내하는 안내부(210)와; 상기 안내부(210)로부터 아래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그 내에 삽입되는 슬리브(500)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고정부(240)로; 상기 고정부(240)로부터 소정의 원주를 가짐과 동시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만곡부(2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소켓(200)은 경사형 이음관(100)에 각각 끼워지고 걸리도록 안내부(210)와 고정부(240)가 형성되며,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만곡부(26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안내부(210)와 고정부(240)는 이 소켓(200)에 끼워지는 슬리브(500)를 용이하게 안내한 후 정확하게 그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만곡부(260)는 유체흐름을 원활하기 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그 좌우에 비해 완만하게 중앙부분이 솟아오른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그 좌우에 비해 볼록하게 다층으로 솟아오른 복수개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동일간격으로 반원형상이 다수개 형성되거나,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볼록한 부분과 경사진 부분으로 형성되거나,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불규칙한 간격으로 반원형상이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만곡부(260)는 필요에 따라 그 만곡부(260) 내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공간(270)이 별도로 형성되어, 유체 배수시 발생되는소음을 이 공간(270)에서 소음을 수용토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만곡부(260)의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시킬 수 있으므로, 어느 특정한 형상에 한정을 두어 설명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밝혀두며, 나아가 다양한 형상에도 그 권리범위가 미침을 밝혀두는 바이다.
특히, 상기 소켓(200)은 그 외주면이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주면과 밀착 결합시 소정 간격을 두고 공간부(130)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유체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먼저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부에 연질의 소켓(200)을 내장시키고, 외부로는 커버(300)를 덮어씌우며, 경사형 이음관(100)에는 각각 슬리브(500)와 유출관(600)이 경사형 이음관(10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슬리브(500)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될 때 상기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부에 내장된 소켓(200)에 부딪쳐 방향이 전환된다.
즉, 상기 소켓(200)에서 유체 흐름의 방향이 전환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은 소켓(200)이 연질의 고무재나 연질합성수지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므로 낙하충격을 감소시켜 1차적으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200)의 외주면과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주면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소켓(200)의 밀착삽입시에 자연발생적으로 공간부(130)가 이 형성됨으로 말미암아, 상기 소켓(200)을 배수되는 오수를 소켓(200)에서 1차적으로 감소시키고, 그 후 공간부(130)에서 2차적으로 감소시키기 때문에 경사형 이음관(100)의 외부로 소음이 배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형 이음관(100)의 외면에는 또한 소음방지용 부재인 커버(300)가 씌워져 있음으로 말미암아 경사형 이음관(100)의 외부로 소음이 배출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차단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먼저 경사형 이음관(100)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300)를 덮어씌운 후, 그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부에 소켓(200)을 끼우는 바, 소켓(200)은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경사형 이음관(100)에 비해 그 재질이 고무재나 연질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손으로 만지면 물렁물렁한 감촉을 느낄 수 있다.
경사형 이음관(100)내에 소켓(200)을 끼우되, 소켓(200)을 압착시켜 경사형 이음관(100)내에 삽입시키면 압착된 소켓(200)이 경사형 이음관(100)내에서 팽창되며, 이때 경사형 이음관(100)내에 소켓(20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면, 경사형 이음관(100)내에 소켓(200)을 설치하는 작업은 완료된다.
즉, 손으로 경사형 이음관(100)의 유입구 측으로 집어넣어 결합하는 것으로, 연질의 소켓(200)이 경사형 이음관(100)에 내장되면 서서히 팽창될 때, 손으로 이들 결합부위를 정확히 일치시키면 결합부위가 조정하면 경사형 이음관(100)과 소켓(200)은 정확히 일치되어 한 몸체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은 모든 과정이 실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소켓(200)의 형태가 변형되는 일은 결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소켓(200)이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부에 내장될 때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도 있으나, 소켓(200)이 연질이므로 신축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 말미암아, 다량의 배수일 경우에는 소켓(200)이 많이 팽창하고, 소량의 배수일 경우에는 그 수축량이 적어, 배수량에 따라 소켓(200)이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그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부에 연질소켓(200)의 내장은 45도 및 90도 곡관 등 단순한 형태의 이음관 뿐만 아니라 이음관의 형상이 복잡한 Y형, T형, 이경소켓, P트랩등 다양한 이음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을 실시예를 예로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형 이음관(100)과; 상기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주면에 내장되며, 이와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소켓(200)과; 상기 경사형 이음관(10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짐과 동시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300)와; 상기 경사형 이음관(100)의 일측단부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삽입되는 고무패킹(4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크게 경사형 이음관(100), 소켓(200), 커버(300), 고무패킹(400)의 4가지로 구성된다.
이는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외주면에 그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음 및 누수방지용 부재를 설치하여, 통상의 이음관에서 유체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 및 누수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200)은 그 일측단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그 내에 삽입되는 슬리브(500)을 안내하는 안내부(210)와; 상기 안내부(210)로부터 아래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그 내에 삽입되는 슬리브(500)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고정부(240)로; 상기 고정부(240)로부터 소정의 원주를 가짐과 동시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만곡부(2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소켓(200)은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부에 각각 끼워지고 걸리도록 안내부(210)와 고정부(240)가 형성되며,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만곡부(26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안내부(210)와 고정부(240)는 이 소켓(200)에 끼워지는 슬리브(500)를 용이하게 안내한 후 정확하게 그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만곡부(260)는 유체흐름을 원활하기 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이루어지는 바, 그 좌우에 비해 완만하게 중앙부분이 솟아오른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그 좌우에 비해 볼록하게 다층으로 솟아오른 복수개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동일간격으로 반원형상이 다수개 형성되거나,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볼록한 부분과 경사진 부분으로 형성되거나,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불규칙한 간격으로 반원형상이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만곡부(260)는 필요에 따라 그 만곡부(260) 내측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공간(270)이 별도로 형성되어, 유체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을 이 공간(270)에서 소음을 수용토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만곡부(260)의 형상 이외에도 다양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시킬 수 있으므로 어느 특정한 형상에 한정을 두어 설명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밝혀두며, 다양한 형상에도 그 영향을 미침을 밝혀두는 바이다.
특히, 상기 소켓(200)은 그 외주면이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주면과 밀착 결합시 소정 간격을 두고 공간부(130)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유체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경사형 이음관(100)은 그 일측단부에 패킹(400)이 삽입되되, 상기 패킹(400)은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질부(420)와; 상기 연질부(420)에 인접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경질부(4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패킹(400)은 경사형 이음관(100)과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바, 이는 유체 배수시 외부로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패킹(400)은 연질부(420)와 경질부(440)의 2개의 다른 재질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하며, 이는 경사형 이음관(100)의 내측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연질재질로 하고, 끝부분은 경질재질로 하여 재질의 상이성으로 인하여 경사형 이음관(100)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경사형 이음관, 소켓, 커버로 이루어진 3중 구조이기 때문에 유체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시켜 소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은 이음관 내측에 설치하는 소켓을 비숙련자라도 용이하게 이음관내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형 이음관과;
    상기 경사형 이음관의 내주면에 내장되며, 이와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질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소켓;
    상기 경사형 이음관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짐과 동시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그 일측단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그 내에 삽입되는 슬리브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로부터 아래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그 내에 삽입되는 슬리브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소정의 원주를 가짐과 동시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만곡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비해 완만하게 중앙부분이 솟아오른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비해 볼록하게 다층으로 솟아오른 복수개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동일간격으로 반원형상이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볼록한 부분과 경사진 부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불규칙한 간격으로 반원형상이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8. 제3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내측에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9.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형 이음관과;
    상기 경사형 이음관의 내주면에 내장되며, 이와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질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소켓;
    상기 경사형 이음관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짐과 동시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와;
    상기 경사형 이음관의 일측단부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삽입되는 고무패킹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질부와; 상기 연질부에 인접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경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그 일측단의 내측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그 내에 삽입되는 슬리브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로부터 아래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그 내에 삽입되는 슬리브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소정의 원주를 가짐과 동시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만곡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비해 완만하게 중앙부분이 솟아오른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비해 볼록하게 다층으로 솟아오른 복수개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동일간격으로 반원형상이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볼록한 부분과 경사진 부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좌우에 끝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불규칙한 간격으로 반원형상이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17. 제12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그 내측에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KR1020020025787A 2002-05-10 2002-05-10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KR20030087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787A KR20030087432A (ko) 2002-05-10 2002-05-10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787A KR20030087432A (ko) 2002-05-10 2002-05-10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432A true KR20030087432A (ko) 2003-11-14

Family

ID=3238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787A KR20030087432A (ko) 2002-05-10 2002-05-10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7432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693A (ja) * 1992-04-24 1993-11-16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20000000416A (ko) * 1999-10-20 2000-01-15 김용안 파이프용 연결관
KR200168589Y1 (ko) * 1999-08-31 2000-02-15 평화프라스틱공업주식회사 소음방지 배수용 이음관
KR200181293Y1 (ko) * 1999-12-08 2000-05-15 골든리버주식회사 소음감소용 파이프
KR20010044523A (ko) * 2001-03-03 2001-06-05 박점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693A (ja) * 1992-04-24 1993-11-16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200168589Y1 (ko) * 1999-08-31 2000-02-15 평화프라스틱공업주식회사 소음방지 배수용 이음관
KR20000000416A (ko) * 1999-10-20 2000-01-15 김용안 파이프용 연결관
KR200181293Y1 (ko) * 1999-12-08 2000-05-15 골든리버주식회사 소음감소용 파이프
KR20010044523A (ko) * 2001-03-03 2001-06-05 박점순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770B1 (ko) 아파트 욕실 층간 방음 구조
KR100562165B1 (ko) 소음방지용 이음관
KR100561622B1 (ko) 배수용 엘보형 이음관
KR100561621B1 (ko) 배수용 곡관형 이음관
KR200285527Y1 (ko) 배수용 엘보형 이음관
KR100561618B1 (ko) 배수용 소켓형 이음관
KR100561619B1 (ko) 배수용 y형 이음관
KR20030087432A (ko)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KR100561620B1 (ko) 배수용 엘티형 이음관
KR200261548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200453858Y1 (ko) 배수관 연결구
KR100723004B1 (ko) 엘보 이음관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200376794Y1 (ko)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200266214Y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하수관용 엘보우
KR200198021Y1 (ko) 폴리 프로필렌 방음 파이프
JP2002138545A (ja) 排水接続管
KR200351106Y1 (ko) 소음 감소용 양변기 전용엘보
KR200186136Y1 (ko) 소음방지용 관 연결구
JP200620085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201079Y1 (ko) 맨홀 방수용 러버 씰의 구조
KR100631621B1 (ko)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JP3825775B2 (ja) マンホール内副管継手のスペーサ
KR200289381Y1 (ko)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