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381Y1 -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 Google Patents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381Y1
KR200289381Y1 KR2020020017801U KR20020017801U KR200289381Y1 KR 200289381 Y1 KR200289381 Y1 KR 200289381Y1 KR 2020020017801 U KR2020020017801 U KR 2020020017801U KR 20020017801 U KR20020017801 U KR 20020017801U KR 200289381 Y1 KR200289381 Y1 KR 200289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und absorbing
noise
inlet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안
Original Assignee
김용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안 filed Critical 김용안
Priority to KR2020020017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381Y1/ko

Links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오수 배출을위해 다수개의 관을 연결시켜 구성되어진 하수관에서 유체의 방향을 변경시키는데 사용되는 연결관의 내부에 낙수의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하는 흡음관의 내측곡면을 엠보싱 처리하고 외측곡면을 그물망형의 다수개의 소음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을 형성시켜 낙수의 충격에서 발생하는 마찰소음과 진동소음을 이중으로 방지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형 곡관의 일측단이 유입관(1)가 삽입되는 유입구(2)의 내주연에 고무링(3)이 삽입되는 끼움턱(4)과 돌설된 걸림턱(5)이 형성되고 외주연종단에 나사산(6)이 형성되며, 타측단이 배출관(7)가 삽입되는 배출구(8)의 내주연에 고무링(3)이 삽입되는 끼움턱(4)과 돌설된 걸림턱(5)이 형성되며 외주연 종단에 나사산(6)이 형성되고, 이음관(9) 외면을 덮개(10)로 감싸서 형성된 공간부(11)에 흡음제인 발포우레탄폼을 삽입하여 형성된 연결관(100)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2)배출구(8) 내주연예 형성된 돌설된 걸림턱(5)과 서로 걸려 고정되는 걸림단(12)이 구형 곡관의 양단에 형성되고 내측곡면을 엠보싱(13) 처리한 흡음관(200)이 삽설되어; 조임너트(300)로써 유입관(1)과 배출관(7)를 고정시키는 흡음관(200)이 내설된 연결관(100)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200)의 외측곡면을 그물망형으로 다수개의 소음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14)을 형성시키고 양단 걸림단 (12) 후단에 유격단(15)을 형성시켜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The connection pipe in sound-absorption rubber}
본 고안은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오수 배출을위해 다수개의 관을 연결시켜 구성되어진 하수관에서 유체의 방향을 변경시키는데 사용되는 연결관의 내부에 낙수의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하는 흡음관의 내측곡면을 엠보싱 처리하고 외측곡면을 그물망형의 다수개의 소음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을 형성시켜 낙수의 충격에서 발생하는 마찰소음과 진동소음을 이중으로 방지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혁명이후 산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도시화가 이루어지고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기위해 도시에 집중화되면서 도시 용지가 부족해지고 가격이 상승함에따라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위해 고층건물로 축조되고 있음이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같은 고층건물은 벽 하나를 두고 한 채의 건물 안에 여러 사람이 살게됨으로서 각종 소음으로 시달리면서 고통을 받게되는데, 특히 고층에서 오수를 배출하기위해 배관된 하수관에서 오수가 방향을 바꾸는 연결관이 낙수의 수저항을 많이 받아 심한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100334599호를 통해 연결관의 내부에 유체의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연질의 흡음관을 내설시키는 구조로 제시하여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등록된 파이프 연결관는 도 1과 같이 연결관 내부에 삽입되는 흡음관의 내측곡면을 연질의 재질로 엠보싱 처리하여 고층에서 떨어지는 낙수의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줄이는 한편, 흡음관의 내측곡면을 엠보싱 처리발생된 돌기가 소음을 흡수하여 최대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선출원은 낙수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연결관의 내외측면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낙수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받은 충격을 연결관에 전달하여 충격음이 발생하므로서 소음을 완벽히 줄이지 못하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것으로 유체의 흐름을 변경하는 연결관 내부에 소음을 방지하는 흡음관의 내측곡면을 엠보싱 처리하고 외측곡면을 그물망형으로 다수개의 소음공을 둘 수 있는 요철을 형성시켜 고층에서 떨어지는 낙수의 충격을 흡음관의 내측면에 형성된 엠보싱에서 흡수하여 소음을 줄이고 부차적으로 파생되는 소음을 그물망형으로 다수개의 소음공실로 형성된 요철에서 소음을 분산시키고 낙수의 충격을 연결관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을 제공하므로서 완벽하게 소음을 제거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가"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결관 200: 흡음관 300: 조임너트
1:유입관 2:유입구 3:고무링
4:끼움턱 5:걸림턱 6:나사산
7:배출관 8:배출구 9:이음관
10: 덮개 11:공간부 12:걸림단
13:엠보싱 14:요철 15:유격단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형 곡관의 일측단이 유입관(1)가 삽입되는 유입구(2)의 내주연에 고무링(3)이 삽입되는 끼움턱(4)과 돌설된 걸림턱(5)이 형성되고 외주연 종단에 나사산(6)이 형성되며, 타측단이 배출관(7)가 삽입되는 배출구(8)의 내주연에 고무링(3)이 삽입되는 끼움턱(4)과 돌설된 걸림턱(5)이 형성되며 외주연 종단에 나사산(6)이 형성되고, 이음관(9) 외면을 덮개(10)로 감싸서 형성된 공간부(11)에 흡음제인 발포우레탄폼을 삽입하여 형성된 연결관(100)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2)배출구(8) 내주연에 형성된 돌설된 걸림턱(5)과 서로 걸려 고정되는 걸림단(12)이 구형 곡관의 양단에 형성되고 내측곡면을 엠보싱(13) 처리한 흡음관(200)이 삽설되어; 조임너트(300)로써 유입관(1)과 배출관(7)를 고정시키는 흡음관(200)이 내설된 연결관(100)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200)의 외측곡면을 그물망형으로 다수개의 소음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14)을 형성시키고 양단 걸림단 (12) 후단에 유격단(15)을 형성시켜서 구성되어진 구조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흡음관(200)은 연질의 재질로서 연결관(100)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이음관(9)의 구경에 내삽되는 크기로 형성하게되는데, 연질의 흡음관(200)을 연결관(100)에 삽입시키면 흡음관(200)에 형성된 걸림단(12)이 연결관(100)의 걸림턱(5)에 걸려 고정되고 걸림단(12) 후단에 형성된 유격단(15)은 흡음관(200) 곡면에서 돌설되어있어 이음관(9)과 접촉시는 이음관(9)과 이격되고 또한 그물망형으로 다수개의 소음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14)이 형성된 흡음관(200)의 곡면은 곡면 중심을 기준으로 갈수록 반지름이 조금씩 작아져 이음관(9) 중심에서는 흡음관(200)의 양단보다 이음관(9)과 이격보다 조금 더 경사각이 크게 형성되어져 낙수의 큰 충격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흡음관(200)이 내설된 연결관(100)을 하수관에 설치시에는 유입구(2)와 배출구(8)에 유입관(1)과 배출관(7)을 대접하여 가압시키면 유입관(1)과 배출관(7)이 고무링(3)을 통과하여 흡음관(200)의 걸림단(12)까지 밀려들어 가고 조임너트(300)를 조우면 고무링(3)이 유입관(1)과 배출관(7)을 압착하여 기밀이 유지되게 설치가 되는데, 유입관(1)으로 유입된 유수가 연결관(100)을 통과하여 배출관(7)으로 배출될때 유수의 방향을 바뀌는 연결관(100)의 절곡된 이음관(9)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삽설된 흡음관(200)이 낙수의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줄이게 된다.
여기서, 흡음관(200)은 소정의 신축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재작되어 유입관(1)으로부터 유입된 낙수의 충격을 흡수하는 신축성으로 소음을 줄이고, 내곡면은 엠보싱(13) 처리되어 낙수의 절곡면에 부딪쳐 발생하는 소음을 엠보싱(13)의 높이차에의한 분산으로 소음을 줄이게되며, 특히, 종래에 흡입관의 외곡면이 단순한 곡면으로 되어 낙수에서 받은 충격을 흡음관(200)에서 흡수하여 이음관(9)으로 전부 전달함으로서 소음을 완벽하게 줄이지 못하던 구조와는 달리 흡입관의 외곡면을 그물망형으로 다수개의 소음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14)을 형성시켜 낙수의 충격을 받은 면이 차이가 나게 하고 그물망형의 다수개의 소음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14)은 사각의 격자로 형성시켜 낙수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이완할때 이음관(9)과 접촉되는 요철(14)이 각기 독립된 공간을 차지하여 소음을 제거하므로서 분산되어 이음관(9) 외부로 빠져나가는 소음을 완벽히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흡음관(200) 양단 걸림턱(5) 후단에 형성된 유격턱은 흡음관(200)이 연결관(100)의 이음관(9)과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토록하며 낙수의 충격이 조금의 변화가 일어나도 복원되도록하여 흡음관(200)이 낙수의 충격을 최대로 흡음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입구(2) ·배출구(8)의 내주연에 형성된 끼움턱(4)은 고무링(3)()이삽입되어 고정이되는데 조임너트(300)를 조우면 유입관(1)과 배출관(7)을 압착하게 되어 흡음관(200)에서 미세하게 세어나갈 수 있는 소음을 완벽히 차단하고 또한 부차적으로 기밀을 유지하여 유수가 누수되는 것를 막게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변경하는 연결관(100) 내부에 내측곡면을 엠보싱(13) 처리하고 외측곡면을 그물망형으로 다수개의 소음 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14)이 형성된 흡음관(200)을 내설함으로 낙수가 흡음관(200)에 직접 부딪쳐 발생되는 충격음을 내측곡면에 형성된 엠보징이 분산하고 산란시켜 1차적으로 소음을 차단하고, 줄어들고 미세하게 세어나가는 소음을 외측곡면을 그물망형으로 다수개의 소음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14)이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소음의 제거와 동시에 기밀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형 곡관의 일측단이 유입관(1)가 삽입되는 유입구(2)의 내주연에 고무링(3)이 삽입되는 끼움턱(4)과 돌설된 걸림턱(5)이 형성되고 외주연 종단에 나사산(6)이 형성되며, 타측단이 배출관(7)가 삽입되는 배출구(8)의 내주연에 고무링(3)이 삽입되는 끼움턱(4)과 돌설된 걸림턱(5)이 형성되며 외주연 종단에 나사산(6)이 형성되고, 이음관(9) 외면을 덮개(10)로 감싸서 형성된 공간부(11)에 흡음제인 발포우레탄폼을 삽입하여 형성된 연결관(100)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2)배출구(8) 내주연에 형성된 돌설된 걸림턱(5)과 서로 걸려 고정되는 걸림단(12)이 구형 곡관의 양단에 형성되고 내측곡면을 엠보싱(13) 처리한 흡음관(200)이 삽설되어; 조임너트(300)로써 유입관(1)과 배출관(7)를 고정시키는 흡음관(200)이 내설된 연결관(100)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200)의 외측곡면을 그물망형으로 다수개의 소음공실을 둘 수 있는 요철(14)을 형성시키고 양단 걸림단 (12) 후단에 유격단(15)을 형성시켜서 구성되어진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KR2020020017801U 2002-06-04 2002-06-04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KR200289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01U KR200289381Y1 (ko) 2002-06-04 2002-06-04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801U KR200289381Y1 (ko) 2002-06-04 2002-06-04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381Y1 true KR200289381Y1 (ko) 2002-09-16

Family

ID=7312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801U KR200289381Y1 (ko) 2002-06-04 2002-06-04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3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889B1 (ko) 2012-07-03 2014-01-20 한국과학기술원 방음용 엘보우
KR101376800B1 (ko) 2012-06-26 2014-03-21 (주)피피아이평화 흡음 및 방진을 위한 배관용 엘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800B1 (ko) 2012-06-26 2014-03-21 (주)피피아이평화 흡음 및 방진을 위한 배관용 엘보
KR101352889B1 (ko) 2012-07-03 2014-01-20 한국과학기술원 방음용 엘보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1707A (en)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sound-absorbing system
KR200289381Y1 (ko)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CN107524868A (zh) 一种隔音降噪排水管道
KR200261548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100562165B1 (ko) 소음방지용 이음관
KR200428192Y1 (ko) 압축용 피스톤 결합구조를 갖는 압축 흡입식 배수관 청소기
KR100767964B1 (ko) 배수관 소음저감을 위한 이음장치
CN115163495A (zh) 消声单元和消声结构
CN213578015U (zh) 接管结构以及具有其的空调器
KR101089588B1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KR200436876Y1 (ko) 소음방지용 배수관
WO2018000203A1 (zh) 一种高静音管道风机
CN210636522U (zh) 地漏连接管
KR100647525B1 (ko) 하수관 연결용 엘보
KR101554108B1 (ko) 방음부스
KR101901367B1 (ko) 소음저감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배관 연결장치
KR101376799B1 (ko) V형 파이프 이음관
KR100561618B1 (ko) 배수용 소켓형 이음관
KR101376800B1 (ko) 흡음 및 방진을 위한 배관용 엘보
JP2002227270A (ja) Sトラップ
KR102440207B1 (ko) 배수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트랩
CN114704694B (zh) 一种用于建筑室内的排水静音管道
JP6482293B2 (ja) 栓取付装置
KR20036648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200359234Y1 (ko) 배관용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