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794Y1 -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794Y1
KR200376794Y1 KR20-2004-0034557U KR20040034557U KR200376794Y1 KR 200376794 Y1 KR200376794 Y1 KR 200376794Y1 KR 20040034557 U KR20040034557 U KR 20040034557U KR 200376794 Y1 KR200376794 Y1 KR 200376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toilet
low nois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길
김용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안
강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안, 강정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안
Priority to KR20-2004-0034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7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ushing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양변기를 통한 오수의 배수시 배관을 따라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여 배수소음을 차단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는 배수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관과, 상기 유입관과 배출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엘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부는 곡면을 이루면서 유입구와 배출구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배수소음을 억제하는 흡음관으로 이루어진 배수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의 내부바닥면으로는 간격을 이루면서 상향으로 돌출된 유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선부와 대향되는 내부천정면은 라운딩 처리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Structure of elbow pipe fitting low noise for western chamber pot}
본 고안은 배관용 엘보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배수소음을 줄일 수 있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Elbow pipe fitting)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급수 및 배수 배관계에서 밸브의 급조작에 의한 수격작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이상압력으로 파이프의 진동과 소음이 유발된다.
수격작용이란 배관 내에서 유량조절 밸브의 급 폐쇄 및 개방시 또는 펌프의 기동 및 정지시 관로내를 유동하는 유체의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비정상 유동이 되면 관내의 압력이 급상승하고, 이때 발생된 압력파가 관로내를 왕복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수격작용 또는 수격현상(Water hammer)이라 하고, 관로내의 수격현상은 배관의 진동과 소음의 주된 요인으로 배관의 파손 또는 부속기기나 계기의 파손, 접합부의 누설 등을 야기 시키며 배관계 전체 시스템의 내구 연한을 감소 시키게 된다.
특히, 양변기에 적용되는 엘보이음관은 그 특성상 급조작에 의해 배수를 처리함이 일반적이므로 심한 수격현상이 일어난다.
공지의 예로 전술한 수격현상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감쇄하기 위한 장치로서 한국특허출원번호 1999-0045617호 "파이프용 연결관"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배수시 발생하는 엘보이음관에 흡음관을 설치하고, 흡음관의 외경부 표면에 엠보싱 형상의 소음방지요철을 파형으로 다수개 형성시킨 후 배수시 유체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소음발생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위와같은 소음방지요철은 낙하하는 유체를 분산시켜 마찰저항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나, 낙하시 유체가 튀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여 또다른 소음을 유발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를 통한 오수의 배수시 배관을 따라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여 배수소음을 차단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엘보이음관은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기 위한 엘보이음관의 이상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이상적인 엘보이음관 구조에 있어서는, 배관체결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키를 제공하여 흡음관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유선형 돌기를 오수의 흐름방향으로 형성시켜 오수가 이를 따라 흐르게 하며, 오수가 흐르는 배관벽을 곡면형상의 라운드 처리하여 형성된 라운드를 따라 흐르게 하므로써 배관의 소음을 감소시킨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수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관과, 상기 유입관과 배출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엘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부는 곡면을 이루면서 유입구와 배출구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배수소음을 억제하는 흡음관으로 이루어진 배수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의 내부바닥면으로는 간격을 이루면서 상향으로 돌출된 유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선부와 대향되는 내부천정면은 라운딩 처리되므로서 달성된다.
상기 유선부의 상면은 좁은 원형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과 접하는 곳은 라운딩 처리되어 상기 상면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선부의 폭은 상기 배출구로 갈수록 넓어지는 유선형의 형상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선부는 상기 흡음관에 다수개로 간격에 따라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관의 유입구 플렌지면에는 일체로 연결된 방음용 방음돌기가 환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관은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이중벽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의 저면으로는 상기 방음돌기와 일체로 결합되는 방음홈이 일체로 형성되며, 연통되어 있는 원통형 내면은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노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관의 하단부 외주연으로는 상기 본체와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는 키가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내부로 개구된 에어쟈켓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는 상기 유입관이 삽입되는 안내면으로 키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성 및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조립단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분해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입관의 정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본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음관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는 배수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0)과,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관(20)과, 상기 유입관(10)과 배출관(2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엘보 형상의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그 내측은 곡면을 이루면서 유입구(42)와 배출구(44)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배수소음을 억제하는 흡음관(40)으로 이루어진 배수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40)의 내부바닥면으로는 간격을 이루면서 상향으로 돌출된 유선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선부(46)와 대향되는 내부천정면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음환경 문제는 주로 상하층간의 바닥충격음과 급배수 설비소음이 그 주를 이룬다.
그 중 급배수 설비소음 중 배수설비 특히, 변기 또는 욕조, 세면기를 통해서 배수되는 배수소음은 주로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배수연결관에서 발생되며, 이것은 양변기의 배수 관로에 설치되어 배수시 배출되는 양변기의 오수 및 오물을 미도시된 정화조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수연결관은 슬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콘크리트의 단면 결손부위 사이 설치되어 전달되는 오수의 소음을 최소화 하도록 한다.
다시, 배수연결관은 하향으로 흐르는 오수를 안내하는 유입관(10)이 장착되어 있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입관(10)은 이중관의 형태로 이중관 사이에 공기층이 충진된 방음공간(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층은 유입관(10) 내부로 흐르는 오수의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의 역할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본체(30)와 결합된다.
본체(30)와 결합되는 유입관(10)의 하단부(14)는 본체(30)와 견고히 결합되어 있어야 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결합되는 상대물과 회전을 방지하면서 고정하는 키(14a)를 적용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결합방법인 나사체결의 단점을 극복한 것으로, 나사체결시 발생하는 비틀림응력에 의한 상대물의 뒤틀림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일실시예에 불과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키(14a)를 하단부(14)의 외주연에 4개를 설치하고, 그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대물과 본드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시킨다. 즉, 상대물과의 위치 결정 및 기본적 결합에는 키(14a)를 사용한 후 본딩에 의하여 상대물과의 결합을 마무리한다.
한편, 하단부(14)의 저면으로는 후술하는 흡음관(40)과 결합되어지는 방음홈(14b)이 환형의 음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외부의 공기층과의 접촉을 차단시켜 오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이중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종래의 나사체결로 인하여 발생하는 뒤틀림으로 누설공간이 형성되고, 누설공간으로 발생되는 오수의 누설 또는 오수의 소음을 미연에 차단한다.
계속하여, 전술한 유입관(10)이 삽입되어지는 본체(30)에는 유입관(10)의 하단부(14)를 안내하면서 서로 끼워지게 결합시키는 유입관 안내면(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유입관(10)이 삽입되는 유입관 안내면(32)에는 전술한 키(14a)가 삽입된 다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키고정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관(20)이 삽이되는 안내면에는 전술한 키고정홈(34)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한편, 유입관(10)과 배출관(20)의 유입관 안내면(32)과 배출관 안내면(32a)에는 후술하는 흡음관(40)과 결합되어지도록 삽입홈(32b)이 일정한 깊이로, 바람직하게는 삽입되는 상대물보다 긴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30)의 측면으로는 본체(30) 내부로 개구되어 있는 에어쟈켓(36)이 형성되어 있고, 에어쟈켓(36)은 발생되는 오수소음을 이중으로 차단하는 역할로 특히, 내부에 개구되어 있는 공간으로 소음이 유도되어 소음을 마지막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본체(30)의 내부에는 오수의 배수소음을 차단하는 흡음관(40)이 장착되어 있고, 흡음관(40)에는 오수가 흐르도록 유입구(42)와 배출구(44)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유입구(42)에는 본체(30)와 결합시키면서 방음의 역할을 수행하는 플렌지부(42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는 스커트단(42a')이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본체(30)의 삽입홈(32b)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
특히 도 1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홈(32b)은 스커트단(42a')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유입구(42)와 플렌지부(42a)가 교차하는 곳에서는 전술한 유입관(10)의 하단부(14)가 서로 만나 유선형의 곡면을 형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배출구(44)와 배출관(20)이 교차하는 곳에서는 완만한 각도로 하향 연장된 배수안내단(44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배관과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줄여 배수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유입관(10)의 원통형 내면은 하단부(14)로 갈수록 좁아지는 노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것은 전술한 오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흡음관(40)의 유입구(42)와 유선형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본체(30)와 흡음관(40)을 결합시킨 후 유입관(10)의 하단부(14)를 본체(30)의 배출관 안내면(32a)에 삽입시켜 유입관(10)의 키(14a)를 키고정홈(34)에 끼워 고정시키면, 미리 장착되어 있는 흡음관(40)의 플렌지부(42a)는 전술한 하단부(14)의 저면과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흡음관(40)의 플렌지부(42a)에는 일체로 연결된 방음용 방음돌기(42b)가 환형으로 돌출되어 있어, 유입관(10)의 하단부(14)에 형성된 방음홈(14b)에 삽입되어지고, 그 역할은 전술한 바와같다.
다시, 흡음관(40)의 내부바닥면으로는 간격을 이루면서 상향으로 돌출된 유선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유선부(46)의 상면(46a)은 좁은 원형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바닥면과 접하는 곳은 라운딩 처리되어 상면(46a)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선부(46)의 폭(W)은 배출구(44)로 갈수록 넓어지는 유선형의 형상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유선형의 유선부(46)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유입관(10)을 타고 흐르는 오수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고, 특히 오수와 흡음관(40)과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줄여 오수의 배수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유선부(46)는 내부바닥면에 다수개로 일정한 간격에 따라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선부(46)와 대향되는 내부천정면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어 오수가 타고 내려오는 것을 라운딩된 곳에서 다시 내부천정면으로 흐르게 하여 최종적으로 배출구(44)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로 지적되었던 오수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배수소음을 줄일 수 있다.
계속하여, 배출구(44)의 배수안내단(44a) 저면에 위치하고, 본체(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배출관 안내면(32a)을 따라 삽입되는 이중관 형식의 배출관(20)이 장착된다.
배출관(20)에는 이중관 내부의 공기층을 밀폐하는 패킹(22)이 선후단으로 끼워져 있으며, 이것은 배출관 안내면(32a)을 따라 삽입된 후 흡음관(40)의 플렌지부(42a)에 밀착된다.
이때 배출관(20)과 밀착되는 플렌지부(42a)에는 방음돌기(42b)가 없으며, 전술한 배수안내단(44a)이 돌출되어 있다.
위와같은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이중관, 패킹(22) 등에 의하여 더욱 완벽히 배출관(20)의 내외부를 밀폐할 수 있다.
이렇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배출관 안내면(32a)을 따라 삽입된 배출관(20)은 다시 배출관 안내면(32a)의 상측에 형성된 나사돌기(32c)와, 나사돌기(32c)를 따라 조이는 캡(50)에 의해서 배출관 안내면(32a)에 견고히 조여지게 된다.
한편, 흡음관(30)과 배출관(40) 사이의 더욱 견고한 밀폐를 위하여, 오링(60)을 배출관 안내면(32a)과 캡(50) 사이에 설치하고, 각각의 이음부에는 본드등 접착제를 사용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이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을 따라 흐르는 오수의 흐름 및 본 고안에 따른 구조로 인한 방음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미도시된 양변기의 배수 레버를 작동시키면 양변기의 오수는 급격하게 배관을 타고 내려오면서 본 고안에 따른 유입관(10)에 이른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관 형식의 유입관(10)에 이른 오수는 이중관의 특성으로 배수소음이 차단되면서 유입관(10)의 하단부(14)로 흐른다.
하단부(14)는 전술한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노즐 형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연속해서 이어지는 흡음관(40)과 유선형으로 연결되어 자연스럽게 오수의 흐름을 유도한다.
이렇게 유도된 오수는 계속하여 흡음관(40)의 유선부(46)와 내부천정면의 곡면형상으로 라운딩된 곳으로 흘러 급격한 난류를 형성하지 않고 배수되므로, 결국 난류로 인한 오수의 배수소음은 급격히 감소된다.
흡음관(40)을 통과한 오수는 다시 배출관(20)으로 흐르고, 본 고안에 적용된 배출관(20) 역시 이중관 또는 저소음관으로 형성되어 배수소음을 더욱 감소시킨다.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각종 패킹(22), 오링(60) 등을 각 배관의 이음부에 적용시켜 배관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기밀로 인해 배관 내부로 흐르는 오수의 배수소음을 감소시킨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고안은 개선된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를 제공하여 오수를 배수하는 경우 배수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배관설비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한편, 이 명세서에서 말하는 엘보이음관은,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즉 넓게 모든 배관에 적용되는 곡관과 같은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써, 단순히 양변기에만 적용되는 엘보이음관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에 의하면, 유입관(10)과 본체(30)를 키(14a)로 결합시켜 결합시 뒤틀림현상을 최소화하여 배수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하고, 방음돌기(42b)를 흡음관(40)에 일체로 형성시켜 배수소음을 이중으로 차단하며, 유선부(46)를 흡음관(40)의 내부에 형성시켜 난류로 흐르는 배수를 층류로 흐르게 하여 배수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수소음을 완벽히 차단하는 효과를 발생시켜 배관의 제품 신뢰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조립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분해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입관의 정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본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음관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입관 12: 방음공간
14: 하단부 14a: 키
14b: 방음홈 20: 배출관
22: 패킹 30: 본체32: 유입관 안내면 32a: 배출관 안내면32b: 삽입홈 32c: 나사돌기34: 키고정홈 36: 에어쟈켓40: 흡음관 40a: 플렌지부40a': 스커트단 42: 유입구42a: 플렌지부 42b: 방음돌기44: 배출구 46: 유선부50: 캡 60: 오링W: 폭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9)

  1. 배수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관과, 상기 유입관과 배출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엘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부는 곡면을 이루면서 유입구와 배출구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배수소음을 억제하는 흡음관으로 이루어진 배수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의 내부바닥면으로는 간격을 이루면서 상향으로 돌출된 유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선부와 대향되는 내부천정면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부의 상면은 얇은 원형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과 접하는 곳은 라운딩 처리되어 상기 상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부의 폭은 상기 배출구로 갈수록 넓어지는 유선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부는 상기 흡음관에 다수개로 간격에 따라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의 유입구 플렌지면에는 일체로 연결된 방음용 방음돌기가 환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이중벽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의 저면으로는 상기 방음돌기와 일체로 결합되는 방음홈이 일체로 형성되며, 연통되어 있는 원통형 내면은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노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하단부 외주연으로는 상기 본체와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는 키가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내부로 개구된 에어쟈켓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는 상기 유입관이 삽입되는 안내면으로 키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배출구에는 완만한 각도로 하향 연장된 배수안내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KR20-2004-0034557U 2004-12-06 2004-12-06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KR200376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57U KR200376794Y1 (ko) 2004-12-06 2004-12-06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57U KR200376794Y1 (ko) 2004-12-06 2004-12-06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791A Division KR100631621B1 (ko) 2004-12-06 2004-12-06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794Y1 true KR200376794Y1 (ko) 2005-03-11

Family

ID=4367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557U KR200376794Y1 (ko) 2004-12-06 2004-12-06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79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266B1 (ko) 2011-09-09 2013-01-28 홍성정 소음방지수단을 구비한 좌변기의 배관구조
KR101621031B1 (ko) * 2015-08-20 2016-05-23 통일에스앤에스(주) 옥상에 설치하는 통기관과 그 제조방법
KR101827385B1 (ko) * 2016-04-19 2018-02-12 주식회사 진안 절수형 양변기용 관 연결 조립체
KR101971165B1 (ko) * 2017-10-25 2019-04-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트랩의 설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266B1 (ko) 2011-09-09 2013-01-28 홍성정 소음방지수단을 구비한 좌변기의 배관구조
KR101621031B1 (ko) * 2015-08-20 2016-05-23 통일에스앤에스(주) 옥상에 설치하는 통기관과 그 제조방법
KR101827385B1 (ko) * 2016-04-19 2018-02-12 주식회사 진안 절수형 양변기용 관 연결 조립체
KR101971165B1 (ko) * 2017-10-25 2019-04-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트랩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4580B2 (en) Flexible flange apparatus for connecting conduits and methods for connecting same
JP6647793B2 (ja) サイホン排水構造
US20040163165A1 (en) Flexible sleeve for connection to a plumbing fixture
MXPA03007344A (es) Ensamble de sobreflujo para tinas y similares.
KR200376794Y1 (ko)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JP2002302977A (ja) サイホン型排水システム
KR100631621B1 (ko) 양변기용 저소음 엘보이음관의 구조
US20070251002A1 (en) Plumbing trap system
JP2003113990A (ja) 排水管路およびこの排水管路に用いる配管材
KR100562165B1 (ko) 소음방지용 이음관
US20200205618A1 (en) Drain fixture
KR101845641B1 (ko) 양변기의 배수관 조립체
KR101827385B1 (ko) 절수형 양변기용 관 연결 조립체
JP2015194076A (ja) 通気一体型継手と継手
US832710A (en) Drainage and sewer sanitary appliance.
KR100723004B1 (ko) 엘보 이음관
JP2007138654A (ja) 排水トラップ
JP6339410B2 (ja) 旋回継手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水システム
US6341390B1 (en) Plumbing trap system
JP3711192B2 (ja) 排水装置
JP2001262655A (ja) 排水用通気装置
KR200351106Y1 (ko) 소음 감소용 양변기 전용엘보
KR200266214Y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하수관용 엘보우
JP4274976B2 (ja) 内副管用継手
CN217601605U (zh) 一种自清洁水路的智能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195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811

Effective date: 2006012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811

Effective date: 20060126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