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25B1 -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725B1
KR102541725B1 KR1020230010680A KR20230010680A KR102541725B1 KR 102541725 B1 KR102541725 B1 KR 102541725B1 KR 1020230010680 A KR1020230010680 A KR 1020230010680A KR 20230010680 A KR20230010680 A KR 20230010680A KR 102541725 B1 KR102541725 B1 KR 102541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hape
sprinkler head
fixing member
hea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순
Original Assignee
임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순 filed Critical 임영순
Priority to KR102023001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1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결착부재; 상기 제1결착부재의 제1관통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하는 고정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상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함에 따라 상기 제1결착부재와 함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결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Bracket for sprinkler head}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는 물을 뿌리는 기구이다. 특히 상기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천정에 장착되어 화재 발생 시 물을 뿌림으로써 화재 초기 진압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스프링클러는 물이 분사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가 건물의 천정에 배치된 빔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를 빔에 고정하는 장치가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이다.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의 경우, 한번 고정된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의 위치를 다시 재 설정하기 어려워 정확한 작업이 어렵고, 한 손으로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이 정해진 위치에 있도록 지지하고 나머지 손으로 고정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이 불편하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고정 작업을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의 측면 방향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335984호에는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고정장치)을 개시한다. 여기 개시된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은 작업자가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를 스프링클러 스프링클러몸체에 고정한 후 다른 손으로 손잡이를 눌러 고정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35984호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체결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1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결착부재; 상기 제1결착부재의 제1관통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하는 고정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상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함에 따라 상기 제1결착부재와 함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결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하는 방향에서 바라보는 상기 고정형상의 형상은 제1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고정형상의 내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의 형상은 제2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은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헤드,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나사선을 포함하는 나사선부 및 상기 나사선부에 연결되고 단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은 상기 고정부재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형상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고정형상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형상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고정형상의 경사진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결착부재 및 제2결착부재가 상호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체결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의 체결 과정을 각각 위(a) 및 아래(b)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의 체결 시 고정부재 및 고정형상의 이동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시 예를 따르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을 스프링클러 헤드에 결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100)을 스프링클러 헤드(10)에 결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100)은, 스프링클러 헤드(10)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1관통홀(111)을 포함하는 제1결착부재(110); 상기 제1결착부재(110)의 제1관통홀(111)을 관통하는 고정부재(130); 및 상기 제1관통홀(111)을 관통한 고정부재(1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하는 고정형상(12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상(121)에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함에 따라 상기 제1결착부재(110)와 함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결착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는 스프링클러 헤드(10)를 감싸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9 참조). 이를 위해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갖거나 홈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는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하여 배치된 2개의 판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판 사이에 배치된 연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판은 각각 'ㄷ'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는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닫힘 상태가 됨으로써 스프링클러 헤드(10)의 외주면에 결착되거나, 열림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는 힌지부재(140)에 의해 상호간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140)는 핀일 수 있으며,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차부는 상기 힌지부재(140)가 삽입되는 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의 2개의 판의 일단에 상기 힌지부재(140)가 삽입되는 홀이 배치되며, 상기 제1결착부재(110)의 일단 및 상기 제2결착부재(120)의 일단이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힌지부재(140)를 중심으로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지 않으면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150)는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에 힘을 가하여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부재(150)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의 코일부분이 상기 힌지부재(140)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결착부재(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결착부재(12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는 고정부재(130)가 삽입되는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착부재(110)는 일단에 상기 고정부재(130)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1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결착부재(120)는 상기 고정부재(130)가 적어도 일부 삽입되는 고정형상(121)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가 닫힘 상태인 경우 상기 제1관통홀(111) 및 고정형상(121)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착부재(110)의 2개의 판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되는 홀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3에서 고정부재(130)가 먼저 삽입되는 판에 형성된 홀이 제1관통홀(111)이고 나중에 삽입되는 판에 형성된 홀이 제2관통홀(112)이다. 또한, 상기 제2결착부재(120)의 2개의 판 중 상기 제1결착부재(110)의 제1관통홀(111)에 겹치도록 배치된 판에는 상기 고정부재(130)를 측면에서 감싸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판에는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하는 고정형상(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130)를 상기 제1결착부재(110)에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결착부재(120)를 결착하여 스프링클러 헤드(1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의 2개의 판의 일단에 상기 힌지부재(140)가 삽입되는 홀이 배치되며,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각각의 타단이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결착부재(110)의 타단 및 상기 제2결착부재(120)의 타단이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30)에 의해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의 홀 및 홈에 삽입하여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가 스프링클러 헤드(10)를 조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나사선을 가진 볼트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130)는 헤드,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나사선을 포함하는 나사선부(132) 및 상기 나사선부(132)에 연결되고 단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130)에 힘을 가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나사선부(132)는 상기 고정부재(130)가 상기 제1관통홀(1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을 따라 이동하고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테이퍼부(133)는 상기 고정부재(130)가 상기 고정형상(12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30)가 상기 제2결착부재(120)에 가하는 힘을 증가하여 쉽게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테이퍼부(133)는 단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도 3과 같이 삼각원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제1결착부재(110)의 제1관통홀(111), 제2관통홀(112) 및 상기 제2결착부재(120)의 고정형상(121) 순서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착부재(120)가 삽입 방향(b)에 수직 방향(a)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형상(121)의 내주면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30)가 b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제2결착부재(120)가 a 방향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결착부재(110)의 제1관통홀(111)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재(130)의 나사선부(132)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112)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없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130)가 제2관통홀(112) 및 고정형상(121)에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적당한 힘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결착부재(120)의 고정형상(121)은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30)에 의해 압박을 받음으로써 상기 제2결착부재(120)가 상기 제1결착부재(110)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가 스프링클러 헤드를 강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형상(121)은 상기 제2결착부재(120)를 관통하는 홀 또는 상기 제2결착부재(120)의 측면으로부터 내부 쪽으로 함몰하여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결착부재(120)의 고정형상(121)은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형상(121)은 삼각형 또는 물방울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형상(121)은 사각형, 마름모형, 원형, 타원형, 기타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형상(121)은 상기 제2결착부재(120)를 관통하되 일부 내주면이 측면으로 개방된 홈일 수 있으며, 이 때에도 상기 홈은 곡면을 갖는 형상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형상(121)은 홈이며,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30)가 상기 고정형상(121)에 삽입되는 초기에는 상기 고정부재(130)의 뾰족한 부분이 고정형상(121)의 폭이 작은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다(도 7(a)). 이후 상기 고정형상(121)이 b 방향으로 더욱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30)가 상기 고정형상(121)의 내주면에 맞닿는 부분의 단면적이 넓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형상(121)이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7(b)). 이를 통해 상기 제1결착부재(110) 및 제2결착부재(120)는 내부의 스프링클러 헤드(10)를 강하게 조이게 되어 고정력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스프링클러 헤드(10)의 하부에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재(13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스프링클러 헤드(10)를 고정할 수 있는 바, 작업이 간단하고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고정형상(121)의 내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의 형상은 제2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은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형상(121)의 내주면은 상기 고정부재(130)가 삽입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테이퍼(taper)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는 테이퍼가 형성된 고정형상(121)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30)는 일단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0)의 테이퍼부(133)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형상(121)의 경사진 내주면이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130)에 의해 상기 제2결착부재(120)가 a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의 전달이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0)가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도 상기 고정부재(130) 및 고정형상(121)이 접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130)가 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110: 제1결착부재
111: 제1관통홀 112: 제2관통홀
120: 제2결착부재 121: 고정형상
130: 고정부재 131: 헤드
132: 나사선부 133: 테이퍼부
140: 힌지부재 150: 스프링부재
10: 스프링클러 헤드 a: 제1방향 b: 제2방향

Claims (11)

  1. 스프링클러 헤드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1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결착부재;
    상기 제1결착부재의 제1관통홀을 관통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하는 방향에서 바라보는 고정형상의 형상은 제1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단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형상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고정형상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하는 고정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상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함에 따라 상기 제1결착부재와 함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결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하는 방향에서 바라보는 상기 고정형상의 형상은 제1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상의 내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의 형상은 제2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헤드,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나사선을 포함하는 나사선부 및 상기 나사선부에 연결되고 단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은 상기 고정부재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상의 내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의 단면의 형상은 제2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단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형상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고정형상의 경사진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부재 및 제2결착부재가 상호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부재 및 제2결착부재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KR1020230010680A 2023-01-27 2023-01-27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KR10254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680A KR102541725B1 (ko) 2023-01-27 2023-01-27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680A KR102541725B1 (ko) 2023-01-27 2023-01-27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725B1 true KR102541725B1 (ko) 2023-06-13

Family

ID=8676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680A KR102541725B1 (ko) 2023-01-27 2023-01-27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7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84B1 (ko) 2013-08-09 2013-12-04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US20200069986A1 (en) * 2014-06-27 2020-03-05 Anvil International, Llc Adjustable bracket and hub for flexible hose sup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84B1 (ko) 2013-08-09 2013-12-04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스프링클러헤드 고정장치
US20200069986A1 (en) * 2014-06-27 2020-03-05 Anvil International, Llc Adjustable bracket and hub for flexible hose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1100B2 (ja) 固定システム
US4167355A (en)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US9829026B2 (en) Anchor bolt
US2899225A (en) Uwversm
KR102541725B1 (ko) 스프링클러 헤드 브라켓
JPH086729B2 (ja) 管状支柱を柱に取外し自在に固定する結合装置ならびにその結合装置を用いる結合構造
JP2000042812A (ja) 連結装置
US20070189850A1 (en) Pipe joint
WO2012132788A1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KR101891136B1 (ko) 파이프 연결구
JP3185701U (ja) クランプボルト
JP6307371B2 (ja) 穴吊りクランプ
JP6218834B2 (ja) アンカーボルト
US2256624A (en) Wrench joint
JPWO2007080897A1 (ja) 伸縮装置
JP5912555B2 (ja) 2つの部品を結合するための機構、その機構ための取付部材、及びその機構を備える自動車用ミラーアセンブリ
JP2814047B2 (ja) 機器の接続装置
KR200482863Y1 (ko) 셋트 앙카 볼트
US2889730A (en) Swivel jaw pliers
JPH034816Y2 (ko)
KR200480132Y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부재
JP2011047482A (ja) 緩み防止機構付き結合部材
CN113374769A (zh) 锁固组件
US2391329A (en) Brake head retaining mechanism for brake beams
TWM565225U (zh) 續接器及具有該續接器之連接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