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878B1 - 립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립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878B1
KR102418878B1 KR1020200113095A KR20200113095A KR102418878B1 KR 102418878 B1 KR102418878 B1 KR 102418878B1 KR 1020200113095 A KR1020200113095 A KR 1020200113095A KR 20200113095 A KR20200113095 A KR 20200113095A KR 102418878 B1 KR102418878 B1 KR 102418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stick
movable wall
inner movable
protrus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1313A (ko
Inventor
김규진
Original Assignee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8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2Casings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e stick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립스틱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립스틱이 쉽게 인출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립스틱 용기{Lipstick case}
본 발명은 립스틱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립스틱이 구비되는 립스틱홀더(100);와,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부에 함몰홈(211)을 포함하는 연결넥(210)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220)가 형성되는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연결넥(210)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넥(210)과 연결되는 내부가동월(320)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이탈가이드부재(300);와,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내측에 결합되되, 하부에 상기 함몰홈(21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10)가 돌출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내부가동월(320)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돌기(42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내부가동월(320)을 벌려주어 상기 내부가동월(32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연결넥(210)를 이탈시는 푸싱부재(400);와, 상기 삽입돌기(4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함몰홈(211)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0); 및 내부에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가 결합되고, 상기 립스틱홀더(100)를 감싸되, 상, 하부에 각각 제1, 2 노출공(610, 620)이 타공형성되는 덮개부재(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형 립스틱은 뚜껑을 개방한 다음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체를 회전시켜서 고형의 스틱(stick)을 용기 외부로 승, 하강시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예컨대, 립스틱을 사용하고자 할 때, 먼저 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후, 회전체를 회전시켜서 스틱을 승강시켜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사용 후에는 스틱을 하강시켜 용기 내로 스틱이 수용되게 이루어진 것이 보통이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기 특허문헌 1의 “립스틱 용기(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1614호)”는 립스틱(2)이 립스틱 홀더(3)에 끼워지며, 립스틱 홀더(3)의 고정돌기(4)가 회전관(5)의 내부에 형성된 나선홈(6)에 끼워지면서 립스틱 홀더(3)와 회전관(5)이 결합된다. 안내관(7)은 립스틱 홀더(3)와 회전관(5) 사이에 삽입되어 환돌기(9)에 의하여 회전관(5)에 끼움 결합된다. 한편, 립스틱 홀더(3)의 고정돌기(4)는 안내관(7)의 안내홈(8) 안에 위치하며 동시에 나선홈(6)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립스틱 용기” 안내관(7)을 손으로 잡고 회전관(5)을 돌리면 나선홈(6)과 안내홈(8) 사이에 걸린 고정돌기(4)가 상승하여 립스틱(2)이 인출되는 구조로서,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사용자가 핸드백 같은 곳에 휴대시 회전관(5)의 회전이 쉽게 이루어져 의도와 상관없이 립스틱(2)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161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쉽게 립스틱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립스틱이 쉽게 인출되지 않는 립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용기는, 립스틱이 구비되는 립스틱홀더(100);와,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부에 함몰홈(211)을 포함하는 연결넥(210)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220)가 형성되는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연결넥(210)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넥(210)과 연결되는 내부가동월(320)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이탈가이드부재(300);와,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내측에 결합되되, 하부에 상기 함몰홈(21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10)가 돌출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내부가동월(320)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돌기(42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내부가동월(320)을 벌려주어 상기 내부가동월(32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연결넥(210)를 이탈시는 푸싱부재(400);와, 상기 삽입돌기(4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함몰홈(211)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0); 및 내부에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가 결합되고, 상기 립스틱홀더(100)를 감싸되, 상, 하부에 각각 제1, 2 노출공(610, 620)이 타공형성되는 덮개부재(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넥(2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걸림턱(212)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가동월(320)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턱(212)이 지지되도록 지지턱(321)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가동월(320)의 양측에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로면(32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로면(322)에는 상기 가압돌기(420)가 위치되어, 상기 푸싱부재(400)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경사로면(322)에 맞닿아 있는 상기 가압돌기(420)에 의해 상기 내부가동월(320)이 벌어져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제2 삽입부(310)로부터 상기 연결넥(210)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턱(212)을 지지하는 이탈방지턱(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싱부재(400)의 외측면에는 소정 높이의 이동제한홈(430)이 대칭으로 함몰형성되고,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제한홈(430)에 삽입되어 상기 푸싱부재(400)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동제한돌기(34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재의 상부에 구비된 푸싱부재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덮개부재 내에 위치된 립스틱홀더가 탄성력에 의해 덮개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노출되어 립스틱 홀더를 쉽게 거치하여 립스틱 화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사용시에는 립스틱홀더가 덮개부재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임의로 립스틱홀더가 외부로 인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용기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용기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용기의 구성 중 이탈가이드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용기의 구성 중 푸싱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용기의 정면측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용기의 작동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용기(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용기(1)는 크게, 립스틱홀더(100), 고정부재(200), 이탈가이드부재(300), 푸싱부재(400), 탄성부재(500) 및 덮개부재(6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구조상 대칭 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한 쪽의 구성요소만을 설명하는 것에 유의 하여야 한다.
먼저, 립스틱홀더(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립스틱홀더(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내측에 립스틱이 수용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덮개부재(600)의 내측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고정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후술할 이탈가이드부재(300)와의 연결관계에 따라 상기 립스틱홀더(100)를 상기 덮개부재(600)의 내측에 수용시키거나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하부를 상기 덮개부재(600)로부터 노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연결넥(210) 및 제1 삽입부(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넥(210)은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부에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제2 삽입부(310)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는 후술할 삽입돌기(410) 및 탄성부재(500)가 수용되도록 함몰홈(2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넥(2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걸림턱(212)이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넥(210)이 상기 제2 삽입부(310)에 위치한 상태에서 후술할 푸싱부재(400)의 가압여부에 따라 후술할 지지턱(32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재(200)가 고정되거나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정부재(200)가 하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삽입부(220)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에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립스틱홀더(100)를 잡아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삽입부(220)의 내측은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삽입부(220)의 외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파여진 형태의 변형가이드홈(2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200)가 상기 덮개부재(50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변형가이드홈(230)이 소성변형되어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외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임의의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립스틱홀더(100)가 상기 덮개부재(600)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이탈가이드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측에는 상기 푸싱부재(400)가 결합되고, 하부측에는 상기 고정부재(200)가 결합되어 상기 푸싱부재(400)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200)가 하강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 삽입부(310), 내부가동월(320), 이탈방지턱(330) 및 이동제한돌기(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310)는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 하 개구된 공간으로서, 상기 연결넥(210)이 삽입된다.
상기 내부가동월(320)은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내측에 대칭구조로 형성되고, 연질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부가동월(320)의 전면에는 지지턱(321)이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삽입부(310)에 상기 연결넥(2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212)이 지지되어 상기 푸싱부재(400)에 의한 가압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상기 고정부재(200)와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준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가동월(320)의 양측에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로면(322)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경사로면(322)에는 후술할 가압돌기(420)가 위치되어 상기 푸싱부재(400)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420)가 상기 경사로면(322)을 타고 눌러줌으로써, 상기 내부가동월(322)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게 해 주어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또한,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하부에는 단턱구조의 이탈방지턱(3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푸싱부재(4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고정부재(20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삽입부(310)로부터 상기 연결넥(210)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한편,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내측면에는 이동제한돌기(34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상기 이동제한홈(430)에 삽입되어 상기 푸싱부재(400)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푸싱부재(400)가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다음으로, 푸싱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푸싱부재(400)는 도 1,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200)를 고정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삽입돌기(410), 가압돌기(420), 이동제한홈(430) 및 버튼부(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돌기(410)는 상기 푸싱부재(400)의 하부에 길게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삽입부(220)에 삽입된다.
상기 가압돌기(420)는 상기 푸싱부재(400)의 내측면에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대칭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푸싱부재(400)가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로면(322)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푸싱부재(400)의 가압에 따라 상기 경사로면(322)을 가압하여 상기 내부가동월(320)을 벌려주어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내부가동월(32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연결넥(210)를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재(200)을 하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동제한홈(430)은 상기 가압돌기(420)의 외측면에 대칭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푸싱부재(400)가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돌기(410)가 삽입되어 상기 삽입돌기(410)에 의해 상기 푸싱부재(400)의 상, 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가이드 한다.
상기 버튼부(440)는 상기 푸싱부재(4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후술할 덮개부재(600)의 제1 노출공(610)에 그 상부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쉽게 푸싱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편의를 위해 그 상부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탄성부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삽입돌기(4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함몰홈(211)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푸싱부재(400)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강이동을 가이드 함으로써,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하부가 후술할 덮개부재(600)의 제2 노출공(620)을 통해 최대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덮개부재(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덮개부재(6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부에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가 결합되고, 상기 립스틱홀더(100)를 감싸 수용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에는 상기 버튼부(440)가 노출되도록 제1 노출공(610)이 타공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제2 노출공(620)이 타공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 용기(1)의 작동과정 중 립스틱홀더(100)가 상기 덮개부재(600)로부터 탈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립스틱홀더(100)는 상기 고정부재(200)에 의해 상기 덮개부재(60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이고, 상기 고정부재(200)와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는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에 지지된 상태로 인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푸싱부재(400)를 가압하게 되면, 먼저 상기 푸싱부재(400)가 하강하면서 상기 가압돌기(420)가 상기 경사로면(322)을 가압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가압돌기(420)가 상기 경사로면(322)의 경사면을 따라 계속 가압하게 되면, 상기 내부가동월(320)이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턱(212)이 자유로운 상태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200)를 더욱 강하게 하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2 노출공(620)을 통해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하부가 상기 덮개부재(600)로부터 노출되어 사용자가 노출된 상기 립스틱홀더(100)를 잡고 인위적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립스틱홀더(100)를 상기 덮개부재(600)로부터 탈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립스틱 용기
100: 립스틱홀더
200: 고정부재 210: 연결넥
211: 함몰홈 221: 걸림턱
220: 제1 삽입부 230: 변형가이드홈
240: 리브
300: 이탈가이드부재 310: 제2 삽입부
320: 내부가동월 321: 지지턱
322: 경사로면 330: 이탈방지턱
340: 이동제한돌기
400: 푸싱부재 410: 삽입돌기
420: 가압돌기 430: 이동제한홈
440: 버튼부
500: 탄성부재
600: 덮개부재 610: 제1 노출공
620: 제2 노출공

Claims (5)

  1. 립스틱이 구비되는 립스틱홀더(100);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부에 함몰홈(211)을 포함하는 연결넥(210)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립스틱홀더(100)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220)가 형성되는 고정부재(200);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연결넥(210)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넥(210)과 연결되는 내부가동월(320)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이탈가이드부재(300);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내측에 결합되되, 하부에 상기 함몰홈(21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10)가 돌출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내부가동월(320)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돌기(42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내부가동월(320)을 벌려주어 상기 내부가동월(32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연결넥(210)를 이탈시는 푸싱부재(400);
    상기 삽입돌기(4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함몰홈(211)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0); 및
    내부에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가 결합되고, 상기 립스틱홀더(100)를 감싸되, 상, 하부에 각각 제1, 2 노출공(610, 620)이 타공형성되는 덮개부재(60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넥(2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걸림턱(212)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가동월(320)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턱(212)이 지지되도록 지지턱(32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내부가동월(320)의 양측에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로면(32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로면(322)에는 상기 가압돌기(420)가 위치되어, 상기 푸싱부재(400)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경사로면(322)에 맞닿아 있는 상기 가압돌기(420)에 의해 상기 내부가동월(320)이 벌어져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용기(1).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212)이 상기 지지턱(321)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제2 삽입부(310)로부터 상기 연결넥(210)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턱(212)을 지지하는 이탈방지턱(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용기(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재(400)의 외측면에는 소정 높이의 이동제한홈(430)이 대칭으로 함몰형성되고,
    상기 이탈가이드부재(3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제한홈(430)에 삽입되어 상기 푸싱부재(400)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동제한돌기(34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용기(1).

KR1020200113095A 2020-09-04 2020-09-04 립스틱 용기 KR102418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095A KR102418878B1 (ko) 2020-09-04 2020-09-04 립스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095A KR102418878B1 (ko) 2020-09-04 2020-09-04 립스틱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313A KR20220031313A (ko) 2022-03-11
KR102418878B1 true KR102418878B1 (ko) 2022-07-08

Family

ID=8081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095A KR102418878B1 (ko) 2020-09-04 2020-09-04 립스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8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614Y1 (ko) 1998-12-09 2001-11-22 강성일 립스틱 용기
FR2943897B1 (fr) * 2009-04-03 2014-06-13 Dior Christian Parfums Distributeur de produit.
KR200487954Y1 (ko) * 2017-03-20 2018-11-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313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773B1 (ko) 립스틱 용기
KR100656846B1 (ko) 승강장치를 구비한 립스틱 용기
KR102015834B1 (ko) 화장품 용기용 원터치 캡
JP7407921B2 (ja) 出没式容器
KR101201734B1 (ko) 립스틱 용기
KR101424591B1 (ko) 콤팩트
KR101625329B1 (ko) 스틱형 화장품용기
KR200495563Y1 (ko) 스틱용기
KR102418878B1 (ko) 립스틱 용기
KR20170067561A (ko) 립스틱 용기 조립체
JPH0426343Y2 (ko)
KR200471805Y1 (ko)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KR101784337B1 (ko) 쿠션 콤팩트 용기
KR200483398Y1 (ko) 꺾인 안내슬릿을 구비한 립스틱 용기
JPH058898Y2 (ko)
KR20210050838A (ko) 출몰식 용기
KR200461892Y1 (ko) 솔대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448156Y1 (ko) 사용 규제가 가능한 립스틱
KR200445313Y1 (ko) 거울 인출식 콤팩트 용기
KR102232090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3596Y1 (ko) 선스틱 용기
KR200338764Y1 (ko) 립스틱 용기
KR200213790Y1 (ko) 병 뚜껑에 부착되는 오프너
JP2522240Y2 (ja) 注出口体付き包装容器
JPH04487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