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321A - 화장용 솔 - Google Patents

화장용 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321A
KR20170120321A KR1020160048631A KR20160048631A KR20170120321A KR 20170120321 A KR20170120321 A KR 20170120321A KR 1020160048631 A KR1020160048631 A KR 1020160048631A KR 20160048631 A KR20160048631 A KR 20160048631A KR 20170120321 A KR20170120321 A KR 20170120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em
guide
lower portion
push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
Original Assignee
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운 filed Critical 백운
Priority to KR102016004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0321A/ko
Publication of KR2017012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45D34/04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with adjustable wip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3Brushes with a device for opening containers, e.g. shoes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46B5/007Inse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 e.g. springs,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에 결합되는 캡에 솔대가 수직으로 형성된 화장용 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을 용기에서 분리하면 모(毛) 다발이 지지관 내부로 진입되어 감추어지고, 분리된 캡의 하부로 돌출된 제2가이드관을 가볍게 당기면 모 다발이 지지관에서 인출되어 항상 일정량의 화장용액이 입혀진 모 다발을 사용하여 입술 화장을 할 수 있고, 캡 상부의 누름 작동구를 가볍게 눌러주면 다시 모 다발이 지지관에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의 속 뚜껑을 통해 진입되어 용기의 입구를 깨끗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캡(10)의 상부에 뚫려진 출입공(11)의 둘레에는 돌기(11a)가 형성되고, 캡(10)의 하부면 둘레에는 원형의 안내홈(14)이 형성되어 내벽(12)과 외벽(13)으로 구획되며, 캡(10)의 하측 내벽(12)에는 나선부(12a)가 형성되어 화장품용기(50)에 나사 결합되고, 캡(10)의 내벽(12) 양측에는 안내홈(14)과 통하는 트임홈(15)이 형성된 케이싱부(1); 상기 캡(10)의 내부를 수직 관통하는 솔대(20)의 하부에는 모 다발(20a)이 고정되고, 솔대(20)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 작동구(21)는 캡(10)의 출입공(11)을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스프링(22)으로 탄력 지지되며, 누름 작동구(21)의 내면 둘레에는 경사면(21b)이 형성되고, 외부면 둘레에는 돌기(21a)가 형성되어 출입공(11)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제1작동부(2); 상기 솔대(20)에 끼워져 누름 작동구(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체(30)의 양측에는 탄성편(31)이 형성되고, 탄성편(31)의 상단에 형성된 삼각 걸림편(31a)이 캡(10)의 내부 걸림턱(16)에 걸려진 상태에서 누름 작동구(21)의 경사면(21b)이 삼각 걸림편(31a)을 눌러주면 탄성편(31)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하강되는 제2작동부(3); 상기 솔대(20)의 외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지지관(40)의 상부에는 제1가이드관(41)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가이드관(42)이 형성되어 연결편(43)으로 연결되며, 제1가이드관(41)은 캡(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가이드관(42)의 내,외벽(12)(13)들 사이의 안내홈(14)을 통해 삽입되면서 연결편(43)은 내벽(12)의 양측 트임홈(15)을 통해 결합되고, 제1가이드관(41)의 상단 걸림돌기(41a)가 캡(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7a)에 걸려져 하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제3작동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솔{A cosmetic brush}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에 결합되는 캡에 솔대가 수직으로 형성된 화장용 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을 용기에서 분리하면 모(毛) 다발이 지지관 내부로 진입되어 감추어지고, 분리된 캡의 하부로 돌출된 제2가이드관을 가볍게 당기면 모 다발이 지지관에서 인출되어 항상 일정량의 화장용액이 입혀진 모 다발을 사용하여 입술 화장을 할 수 있고, 캡 상부의 누름 작동구를 가볍게 눌러주면 다시 모 다발이 지지관에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의 속 뚜껑을 통해 진입되어 용기의 입구를 깨끗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캡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술연지, 립글로스,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매니큐어와 같이 액상의 화장품을 솔로 찍어서 화장하는 경우에는 주로 모(毛) 다발이 심어진 솔대의 상부 캡을 화장품용기에 나사 결합하여 솔대와 모 다발이 화장품용기 내부에 보관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필요시 캡을 분리하면 화장용액이 묻혀진 모 다발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화장용 솔은 캡을 용기에 나사 결합하였을 때 모 다발이 점도(粘度)가 높은 화장용액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화장용액의 저항에 의하여 모 다발이 트위스트 되면서 꼬여지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이 선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등록 제10-1157017호 "화장용 솔"(선행기술1) 및 특허등록 제10-1453922호 "화장용 솔"(선행기술2)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인이 선 등록한 선행기술1,2들은 캡이 화장품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모 다발이 지지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화장용액이 모 다발과 지지관 사이의 공간에 끼이면서 뭉쳐지므로 모 다발을 지지관에서 인출하였을 때 과도한 양의 화장용액이 모 다발에 입혀짐에 따라 정교한 입술화장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캡을 용기에 결합하면 지지관에서 모 다발이 인출된 상태에서 용기의 속 뚜껑을 통해 진입되는 구조이므로 모 다발에 묻혀진 화장용액이 속 뚜껑의 주위를 지저분하게 하면서 진입되어 결국 용기의 입구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캡을 용기에서 분리하면 모 다발이 지지관 내부로 진입되면서 인출되고, 제2가이드관을 가볍게 당기면 모 다발이 지지관에서 인출되어 항상 일정량의 화장용액이 입혀진 모 다발을 사용하여 정교한 입술 화장을 할 수 있고, 캡 상부의 누름 작동구를 가볍게 눌러주면 다시 모 다발이 지지관에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의 속 뚜껑을 통해 진입되어 용기의 입구를 깨끗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캡이 결합될 수 있는 화장용 솔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캡(10)의 상부에 뚫려진 출입공(11)의 둘레에는 돌기(11a)가 형성되고, 캡(10)의 하부면 둘레에는 원형의 안내홈(14)이 형성되어 내벽(12)과 외벽(13)으로 구획되며, 캡(10)의 하측 내벽(12)에는 나선부(12a)가 형성되어 화장품용기(50)에 나사 결합되고, 캡(10)의 내벽(12) 양측에는 안내홈(14)과 통하는 트임홈(15)이 형성된 케이싱부(1); 상기 캡(10)의 내부를 수직 관통하는 솔대(20)의 하부에는 모 다발(20a)이 고정되고, 솔대(20)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 작동구(21)는 캡(10)의 출입공(11)을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스프링(22)으로 탄력 지지되며, 누름 작동구(21)의 내면 둘레에는 경사면(21b)이 형성되고, 외부면 둘레에는 돌기(21a)가 형성되어 출입공(11)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제1작동부(2); 상기 솔대(20)에 끼워져 누름 작동구(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체(30)의 양측에는 탄성편(31)이 형성되고, 탄성편(31)의 상단에 형성된 삼각 걸림편(31a)이 캡(10)의 내부 걸림턱(16)에 걸려진 상태에서 누름 작동구(21)의 경사면(21b)이 삼각 걸림편(31a)을 눌러주면 탄성편(31)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하강되는 제2작동부(3); 상기 솔대(20)의 외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지지관(40)의 상부에는 제1가이드관(41)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가이드관(42)이 형성되어 연결편(43)으로 연결되며, 제1가이드관(41)은 캡(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가이드관(42)의 내,외벽(12)(13)들 사이의 안내홈(14)을 통해 삽입되면서 연결편(43)은 내벽(12)의 양측 트임홈(15)을 통해 결합되고, 제1가이드관(41)의 상단 걸림돌기(41a)가 캡(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7a)에 걸려져 하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제3작동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캡(10)을 화장품용기(50)에서 분리하면 모 다발(20a)이 지지관(40) 내부로 진입되어 감추어지면서 속 뚜껑(51)을 통해 인출되므로 지지관(40)이 깨끗한 상태로 인출되어, 화장품용기(50)의 입구가 지저분해지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입술화장을 할 때에는 캡(10)의 하부로 노출된 제2가이드관(42)의 플랜지(42a)를 가볍게 당기면 제1,2가이드관(41)(42)과 함께 지지관(40)이 상승되어 모 다발(20a)이 노출되므로 항상 일정양의 화장용액이 입혀진 모 다발(20a)을 사용하여 보다 정교한 입술화장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캡(10) 상부의 누름 작동구(21)를 가볍게 눌러주면 다시 모 다발(20a)이 지지관(40)에 수납되고, 모 다발이 수납된 지지관(40)이 화장품용기(50)의 속 뚜껑(51)을 통해 진입되어 용기의 입구를 깨끗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캡(10)을 화장품용기(5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고기능성의 화장용 솔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솔이 화장품용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솔의 저면을 나태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솔의 분해사시도,
도 4a ∼ 도 4f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솔이 화장품용기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한 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솔은 케이싱부(1), 제1작동부(2), 제2작동부(3) 및 제3작동부(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부(1)는 화장품용기(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1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 캡(10)의 상부에는 출입공(11)이 뚫려진 구조이고, 출입공(11)의 둘레에는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10)의 하부면 둘레에는 원형의 안내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홈(14)에 의하여 캡(10)의 하부가 내벽(12)과 외벽(13)으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10)의 하측 내벽(12)에는 나선부(12a)가 형성되어 화장품용기(50)의 입구 나선부(50a)에 나사 결합되고, 캡(10)의 내벽(12) 양측에는 일정 폭을 갖는 트임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트임홈(15)은 안내홈(14)과 연통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1작동부(2)는 솔대(20), 누름 작동구(21) 및 스프링(2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캡(10)의 내부를 수직 관통하여 설치되는 솔대(20)의 하부에는 모 다발(20a)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솔대(20)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 작동구(21)는 캡(10)의 출입공(11)을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스프링(22)으로 탄력 지지되어 있고, 누름 작동구(21)의 내면 둘레에는 경사면(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 작동구(21)의 외부면 둘레에는 돌기(21a)가 형성되어 출입공(11)의 돌기(11a)에 걸려져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2작동부(3)는 탄성편(31)들이 형성된 승강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승강체(30)는 솔대(20)에 끼워져 누름 작동구(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체(30)의 양측에는 탄성편(31)들이 형성되고, 탄성편(31)의 상단에는 삼각 걸림편(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31)의 삼각 걸림편(31a)은 캡(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6)에 걸려진 상태이고, 누름 작동구(21)를 가볍게 눌러 양측 경사면(21b)이 삼각 걸림편(31a)을 내측으로 밀면 탄성편(31)들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스프링(22)의 탄발력으로 하강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3작동부(4)는 지지관(40), 제1가이드관(41) 및 연결편(42)으로 연결되는 제2가이드관(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관(40)은 솔대(20)의 외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구조이고, 지지관(40)은 화장품용기(50)의 속 뚜껑(51)을 통해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로 삽입된다.
상기 지지관(40)의 상부에는 제1가이드관(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1가이드관(41)의 하부에는 제2가이드관(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가이드관(42)은 일정 폭을 갖는 연결편(43)들에 의하여 제1가이드관(41)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관(41)은 캡(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체(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제2가이드관(42)은 내,외벽(12)(13)들 사이에 형성된 안내홈(14)을 통해 삽입된다.
이때, 제1,2가이드관(41)(42)들을 연결하는 연결편(43)들은 내벽(12)의 양측에 형성된 트임홈(15)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1가이드관(41)의 상단에는 걸림돌기(41a)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41a)는 캡(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7a)에 걸려져 하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관(42)의 하부 둘레에는 외향 플랜지(42a)가 형성되어 있고, 캡(10)의 외부로 노출된 플랜지(42a)를 손으로 잡아당겨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10)이 화장품용기(5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2가이드관(41)(42)과 함께 지지관(40)이 상승되어 모 다발(20a)이 노출된 상태로 화장용액에 잠겨져 있다.
이때에는 화장품용기(50)의 나선부(50a)가 캡(10)의 하부 내벽(12)에 형성된 나선부(12a)에 나사 결합될 때 화장품용기(50)의 상부가 제2가이드관(42)을 밀면서 결합되므로 지지관(40)에 수납된 모 다발(20a)이 노출된다.
이어서, 화장품용기(50)에 결합된 캡(10)을 회전시키면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관(40)은 화장품용기(50)의 속 뚜껑(51)에 끼워져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캡(10)과 함께 솔대(20)가 상승되므로 모 다발(20a)이 지지관(40)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캡(10)이 상승된다.
이후,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10)이 화장품용기(50)에서 완전히 분리되면 모 다발(20a)은 지지관(40)의 내부로 진입되어 수납되고, 제2가이드관(42)은 캡(10)의 하부로 인출되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가이드관(41)의 상단 걸림돌기(41a)는 캡(10)의 내부 걸림돌기(17a)에 걸려져 하부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모 다발(20a)은 지지관(4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속 뚜껑(51)을 통해 인출되므로 지지관(40)이 깨끗한 상태로 인출되어, 화장품용기의 입구가 지저분해지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입술화장을 할 때에는 도 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10)의 하부로 노출된 제2가이드관(42)의 플랜지(42a)를 가볍게 당기면 제1,2가이드관(41)(42)과 함께 지지관(40)이 상승되어 모 다발(20a)이 노출되므로 입술화장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캡(10)을 분리하면 화장용액에 잠겨져 항상 노출되어 있는 모 다발(20a)이 지지관(40)의 내부에 수납되면서 인출되고, 제2가이드관(42)을 당기면 모 다발(20a)이 곧 바로 노출되므로 항상 일정양의 화장용액이 모 다발(20a)에 입혀져 것이므로 보다 정교한 입술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입술화장이 완료되면 도 4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솔대(20)의 상부로 노출된 누름 작동구(21)를 가볍게 눌러주면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21b)이 삼각 걸림편(31a)을 내측으로 밀어 탄성편(31)들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승강체(30)의 걸림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도 4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2)의 탄발력에 의하여 승강체(30)가 하강되면서 제1가이드관(41)을 밀어 제2가이드관(42) 및 지지관(40)이 하강되어 모 다발(20a)이 지지관(4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관(40)을 화장품용기(50)의 속 뚜껑(51)을 통해 삽입하여 캡(10)을 나사 결합하면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10)이 화장품용기(50)에 결합되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모 다발(20a)이 지지관(40)에 수납된 상태에서 화장품용기(50)의 속 뚜껑(51)을 통해 진입되므로 용기 및 속 뚜껑의 입구를 깨끗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캡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케이싱부 2 : 제1작동부
3 : 제2작동부 4 : 제3작동부
10 : 캡 11 : 출입공
11a : 돌기 12 : 내벽
12a : 나선부 13 : 외벽
14 : 안내홈 15 : 트임홈
16 : 걸림턱 17a : 걸림돌기
20 : 솔대 20a : 모 다발
21 : 누름 작동구 21a : 돌기
21b : 경사면 22 : 스프링
30 : 승강체 31 : 탄성편
31a : 삼각 걸림편 40 : 지지관
41 : 제1가이드관 41a : 걸림돌기
42 : 제2가이드관 42a : 외향돌기
43 : 연결편 50 : 화장품용기
50a : 나선부 51 : 속 뚜껑

Claims (2)

  1. 캡(10)의 상부에 뚫려진 출입공(11)의 둘레에는 돌기(11a)가 형성되고, 캡(10)의 하부면 둘레에는 원형의 안내홈(14)이 형성되어 내벽(12)과 외벽(13)으로 구획되며, 캡(10)의 하측 내벽(12)에는 나선부(12a)가 형성되어 화장품용기(50)에 나사 결합되고, 캡(10)의 내벽(12) 양측에는 안내홈(14)과 통하는 트임홈(15)이 형성된 케이싱부(1);
    상기 캡(10)의 내부를 수직 관통하는 솔대(20)의 하부에는 모 다발(20a)이 고정되고, 솔대(20)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 작동구(21)는 캡(10)의 출입공(11)을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스프링(22)으로 탄력 지지되며, 누름 작동구(21)의 내면 둘레에는 경사면(21b)이 형성되고, 외부면 둘레에는 돌기(21a)가 형성되어 출입공(11)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제1작동부(2);
    상기 솔대(20)에 끼워져 누름 작동구(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체(30)의 양측에는 탄성편(31)이 형성되고, 탄성편(31)의 상단에 형성된 삼각 걸림편(31a)이 캡(10)의 내부 걸림턱(16)에 걸려진 상태에서 누름 작동구(21)의 경사면(21b)이 삼각 걸림편(31a)을 눌러주면 탄성편(31)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하강되는 제2작동부(3);
    상기 솔대(20)의 외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지지관(40)의 상부에는 제1가이드관(41)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가이드관(42)이 형성되어 연결편(43)으로 연결되며, 제1가이드관(41)은 캡(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가이드관(42)의 내,외벽(12)(13)들 사이의 안내홈(14)을 통해 삽입되면서 연결편(43)은 내벽(12)의 양측 트임홈(15)을 통해 결합되고, 제1가이드관(41)의 상단 걸림돌기(41a)가 캡(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7a)에 걸려져 하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제3작동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관(42)의 하부 둘레에는 플랜지(42a)가 형성되고, 캡(10)의 외부로 노출된 플랜지(42a)를 손으로 잡아당겨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장품용기(50)의 속 뚜껑(51)을 통해 삽입된 지지관(40)은 밀착된 상태에서 승강(乘降)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
KR1020160048631A 2016-04-21 2016-04-21 화장용 솔 KR20170120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31A KR20170120321A (ko) 2016-04-21 2016-04-21 화장용 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31A KR20170120321A (ko) 2016-04-21 2016-04-21 화장용 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321A true KR20170120321A (ko) 2017-10-31

Family

ID=6030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631A KR20170120321A (ko) 2016-04-21 2016-04-21 화장용 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03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970A (zh) * 2018-11-21 2019-03-26 浙江阿克希龙舜华铝塑业有限公司 一种按压使用的唇彩包装瓶
JP2020036632A (ja) * 2018-08-31 2020-03-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容器
KR102232090B1 (ko) * 2020-12-15 2021-03-24 백운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6632A (ja) * 2018-08-31 2020-03-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容器
CN109515970A (zh) * 2018-11-21 2019-03-26 浙江阿克希龙舜华铝塑业有限公司 一种按压使用的唇彩包装瓶
CN109515970B (zh) * 2018-11-21 2024-04-05 浙江阿克希龙舜华铝塑业有限公司 一种按压使用的唇彩包装瓶
KR102232090B1 (ko) * 2020-12-15 2021-03-24 백운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8046B2 (ja) 化粧用ブラシ
US8286647B2 (en) Cosmetics receptacle
US20220125181A1 (en) Cosmetic case
KR100626175B1 (ko) 화장품 및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KR200335614Y1 (ko) 솔대 인출구조를 갖는 마스카라 용기
KR200388883Y1 (ko) 립스틱 용기
KR20170120321A (ko) 화장용 솔
RU2677090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астообразного или жидкого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продукта с убираемым элементом нанесения
KR100635017B1 (ko) 화장용 솔
KR20110006239U (ko) 화장품용기
KR200479583Y1 (ko) 뷰러 내장형 마스카라 용기
US9179755B2 (en) Assembly for dispensing a cosmetic stick
KR101453922B1 (ko) 화장용 솔
KR101515386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341777Y1 (ko) 승강기 마스카라
KR101918617B1 (ko) 치솔형 마스카라 솔대의 2중 와이핑 구조
KR200461892Y1 (ko) 솔대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AU2022358642B2 (en) Cosmetic case
KR102232090B1 (ko) 화장품 용기
KR101157017B1 (ko) 화장용 솔
KR100586797B1 (ko) 브러시 일체형 승강식 립스틱
KR200197520Y1 (ko) 화장용품 케이스
KR200202816Y1 (ko) 화장용 브러쉬
KR20190131662A (ko) 립스틱 인출이 편리한 립스틱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