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017B1 - 화장용 솔 - Google Patents

화장용 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017B1
KR101157017B1 KR1020110105951A KR20110105951A KR101157017B1 KR 101157017 B1 KR101157017 B1 KR 101157017B1 KR 1020110105951 A KR1020110105951 A KR 1020110105951A KR 20110105951 A KR20110105951 A KR 20110105951A KR 101157017 B1 KR101157017 B1 KR 101157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ap
cosmetic
support tub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
Original Assignee
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운 filed Critical 백운
Priority to KR1020110105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017B1/ko
Priority to PCT/KR2012/008420 priority patent/WO20130585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45D34/04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with adjustable wip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에 결합되는 캡에 솔대가 수직으로 형성된 화장용 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캡을 회전시켜 용기에 나사 결합하거나 분리하면 모 다발이 지지관의 내부에서 출입되어 점도가 높은 화장용액 내부에서 모 다발이 회전되면서 비틀림에 의하여 꼬여지는 등의 폐단을 방지하고, 항상 일정량의 화장용액이 솔에 묻혀지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화장용 솔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캡(1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솔대(50)의 하단에는 모 다발(51)이 고정되고, 캡(10)을 화장품용기(70)의 입구에 나사 결합시키면 솔대(50)가 용기(70)의 속뚜껑(21)에 뚫려진 폭 좁은 출입공(21a)을 통해 삽입되는 화장용 솔(1)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상부에 결합공(11)이 형성되고, 작동핀(21) 상부에 작동구(22)가 형성된 작동캡(20)이 캡(10)의 상부에 씌워지며, 작동구(22)가 끼워지는 출입공(31)이 형성된 외부캡(30)이 캡(10)에 씌워져 고정되고, 캡(1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된 지지관(40)의 양측에 스토퍼(42a)를 갖는 가이드공(42)이 형성되고, 지지관(40)의 상부에는 작동공(41)이 형성되어 솔대(50)의 상부 작동봉(52)이 결합되며, 솔대(50)의 양측에는 가이드공(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핀(53)이 끼워지고, 솔대(50)의 핀(53)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을 따라 이동되는 솔대(50)가 지지관(40)에 삽입되어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60)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며, 캡(10)을 결합시켜 지지관(40)이 용기(70)의 속뚜껑(71)에 뚫려진 출입공(71a)을 통해 삽입되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을 통해 돌출되는 핀(53)이 출입공(71a)의 주연부에 걸려져 솔대(50)와 모 다발(51)이 상승되어 지지관(4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솔{A cosmetic brush}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에 결합되는 캡에 솔대가 수직으로 형성된 화장용 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캡을 회전시켜 용기에 나사 결합하거나 분리하면 모 다발이 지지관의 내부에서 출입되어 점도가 높은 화장용액 내부에서 모 다발이 회전되면서 비틀림에 의하여 꼬여지는 등의 폐단을 방지하고, 항상 일정량의 화장용액이 솔에 묻혀지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화장용 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술연지, 립글로스,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매니큐어와 같이 액상의 화장품을 솔로 찍어서 화장하는 경우에는 주로 모(毛) 다발이 심어진 솔대의 상부 캡을 화장품용기에 나사 결합하여 솔대와 모 다발이 화장품용기 내부에 보관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필요시 캡을 분리하면 화장용액이 묻혀진 모 다발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캡을 용기에 나사 결합하였을 때 모 다발이 점도(粘度)가 높은 화장용액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화장용액의 저항에 의하여 모 다발이 트위스트 되면서 꼬여지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꼬여진 모 다발은 화장품을 필요한 곳에 정확하게 칠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정교한 화장이 불가능하였을 뿐 아니라 결국 화장용 솔의 꼬여짐은 화장용액을 끝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솔대가 속 뚜껑에 출입되는 과정에서 펌핑 현상이 발생되어 내용물이 위로 토출됨에 따라 용기와 뚜껑이 내용물에 의하여 더럽혀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현대에는 점도가 매우 높은 다양한 화장용액이 개발되는 추세이고, 화장용액은 사용하면 할수록 용제(溶劑)가 휘발되어 점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 다발의 꼬여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화장용 솔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선 등록한 "화장용 솔(특허등록 제10-635017호 참조 바람)"에서 모다발이 솔대의 내부로 진입되어 수납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인의 선 등록은 솔대가 지지관 내부에 진입되어 모 다발이 지지관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화장용 솔에 묻혀지는 화장용액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캡을 회전시켜 용기에 나사 결합하거나 분리하면 모 다발이 지지관의 내부에서 출입되어 점도가 높은 화장용액 내부에서 모 다발이 회전되면서 비틀림에 의하여 꼬여지는 등의 폐단을 방지하고, 항상 일정량의 화장용액 등의 내용물이 솔에 묻혀지는 등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화장용 솔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캡(1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솔대(50)의 하단에는 모 다발(51)이 고정되고, 캡(10)을 화장품 용기(70)의 입구에 나사 결합시키면 솔대(50)가 용기(70)의 속뚜껑(71)에 뚫려진 폭 좁은 출입공(71a)을 통해 삽입되는 화장용 솔(1)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상부에 결합공(11)이 형성되고, 작동핀(21) 상부에 작동구(22)가 형성된 작동캡(20)이 캡(10)의 상부에 씌워지며, 작동구(22)가 끼워지는 출입공(31)이 형성된 외부캡(30)이 캡(10)에 씌워져 고정되고, 캡(1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된 지지관(40)의 양측에 스토퍼(42a)를 갖는 가이드공(42)이 형성되고, 지지관(40)의 상부에는 작동공(41)이 형성되어 솔대(50)의 상부 작동봉(52)이 결합되며, 솔대(50)의 양측에는 가이드공(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핀(53)이 끼워지고, 솔대(50)의 핀(53)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을 따라 이동되는 솔대(50)가 지지관(40)에 삽입되어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60)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며, 캡(10)을 결합시켜 지지관(40)이 용기(70)의 속뚜껑(71)에 뚫려진 출입공(71a)을 통해 삽입되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을 통해 돌출되는 핀(53)이 출입공(71a)의 주연부에 걸려져 솔대(50)와 모 다발(51)이 상승되어 지지관(4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캡(10)을 화장품용기(7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캡(10)을 회전시키면 모 다발(51)이 지지관(40)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짧은 시간 화장용액에 노출되고, 짧은 길이만 노출되어 모 다발(51)이 화장용액의 저항을 거의 받지 않는 것이므로 모 다발(51)의 비틀림 및 꼬여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화장용액을 정확하게 칠할 수 있고, 화장용 솔(1)은 모 다발(51)의 비틀림 및 꼬여짐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화장용액을 전부 사용할 때까지 모 다발(51)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것이므로 소비자들에게 고품질의 화장용 솔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정량의 내용물만 모 다발(13)에 묻혀지는 것이므로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솔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소비자들에 고품질의 화장용 솔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화장품용기와 분리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화장품용기가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모 다발이 들어가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모 다발이 나와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내부 바닥에 밀폐소재가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a는 화장용 솔이 화장품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실물사진,
도 8b는 화장용 솔이 화장품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실물사진,
도 8c는 용기에서 분리된 화장용 솔의 실물사진,
도 9a는 용기에서 분리된 화장용 솔의 솔대 내부에 모 다발이 수납되어 감추어진 상태를 예시한 실물사진,
도 9b는 솔대에서 모 다발이 돌출되어 노출되고, 화장용액이 묻혀진 상태를 예시한 실물사진,
도 9c 모 다발에 묻혀진 화장용액을 사용하고 난 후를 예시한 실물사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솔(1)은 원통형 캡(10)과 모 다발(51)이 고정된 솔대(5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원통형 캡(10)의 내부 중앙에는 솔대(50)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솔대(50)의 하단에는 모 다발(51)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캡(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10a)를 화장품용기(70)의 입구 외주연부에 형성된 나선부(70a)에 나사 결합시키면 솔대(50)가 용기(70)의 속뚜껑(71)에 뚫려진 폭 좁은 출입공(71a)을 통해 삽입된다.
따라서, 화장용 솔(1)의 캡(10)이 화장품용기(70)에 나사 결합되어 솔대(50)와 모 다발(51)이 화장품용기(70)의 내부에 보관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화장용 솔(1)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 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캡(10)을 용기(70)에 결합 및 분리하면 모 다발(51)이 지지관(40)의 내부에서 출입되어 모 다발(51)의 꼬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정량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즉, 상기 캡(10)의 상부 중앙에는 결합공(11)이 뚫려져 있고, 캡(10)의 상부에는 작동캡(20)이 씌워져 결합된다. 상기 작동캡(20)은 관으로 구성된 작동구(22)와 내부의 작동핀(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캡(10)에는 외부캡(30)이 씌워져 결합되고, 외부캡(30)에는 출입공(31)이 뚫려져, 작동캡(20)의 작동구(22)가 끼워져 출입된다.
상기 캡(10)에는 지지관(40)이 결합되고, 캡(10)의 결합공(11)을 통해 돌출되는 지지관(40)의 상부에는 작동공(41)이 뚫려지며, 지지관(40)의 양측에는 가이드공(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42)의 상부 양측에는 돌기형 스토퍼(42a)가 형성되어 상승된 솔대(50)를 임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40)의 내부에는 단턱(43)이 형성되고, 지지관(40) 내부에 삽입된 솔대(50)의 턱(54)이 단턱(43)에 밀착되어 화장용액의 역류(逆流)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40)에 삽입되는 솔대(50)의 상부에는 작동봉(52)이 형성되고, 솔대(50)의 상부에는 핀(53)이 끼워져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을 통해 승강된다.
상기 솔대(50)의 핀(53)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을 따라 승강될 때 솔대(50)의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6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된다.
따라서, 캡(10)을 용기(70)에 결합하여 지지관(40)을 용기(70)의 속뚜껑(71)에 뚫려진 출입공(71a)을 통해 삽입하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을 통해 돌출된 핀(53)의 양측이 출입공(71a)의 주연부에 걸려져 솔대(50)와 함께 모 다발(51)이 상승되면서 모 다발(51)이 지지관(40)의 내부에 수납되어 외부에서는 볼 수 없게 된다.
이때, 솔대(50)의 핀(53)은 가이드공(42) 상측의 스토퍼(42a)에 걸려져 임시로 고정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 다발(51)에 대신에 플로킹(flocking) 처리한 브러시(55)를 솔대(50)의 하부에 결합하거나,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솔대(50)의 하단에 마스카라솔(56)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리콘 편으로 구성된 브러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10)에 탄성편(12)을 일체로 형성하여 캡(10)의 상면에 작동캡(20)이 맞닿았을 때 탄력적으로 눌려지고 복원되면서 작동캡(20)의 유동(流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장품용기(70)에 나사 결합된 캡(10)을 분리하면 모 다발(51)이 지지관(40)의 내부에 수납되어 외부에서는 볼 수 없고, 화장용액은 속뚜껑(71)에 뚫려진 출입공(71a)을 통해 인출될 때 닦여져 솔대(50)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는 깨끗한 상태의 솔대(50)만 볼 수 있다.
이때, 외부캡(30)의 상부로 돌출된 작동캡(20)의 작동구(22)를 눌러주면 작동핀(21)이 솔대(50)의 작동봉(52)을 밀어, 솔대(50)의 핀(53)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에 형성된 스토퍼(42a)에서 이탈되므로 솔대(50)의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60)의 탄발 복원력에 의하여 솔대(50)가 하강되어 솔대(50) 하단의 모 다발(51)이 지지관(40)에서 노출된다. 이때, 모 다발(51)에는 일정용량의 화장용액이 묻혀진 상태로 노출되므로 간편하게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화장품용기(70)에서 캡(10)을 결합할 때를 설명하면, 화장품용기(70)의 속뚜껑(71)의 출입공(71a)으로 지지관(40)을 삽입하여 캡(10)을 나사 결합하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으로 돌출된 솔대(50)의 핀(53)이 출입공(71a)의 주연부에 걸려져 핀(53)이 가이드공(42)을 따라 상승하면서 솔대(50)와 모 다발(51)이 함께 상승하여 지지관(40) 내부에 수납되어 모 다발(51)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화장품용기(70)와 캡(10)을 나사결합 하는 과정에서 핀(53)이 가이드공(42)을 따라 상승하면서 스토퍼(42a)를 지나쳐 상승을 멈추면 핀(53)이 스토퍼(42a)에 걸려져 상승된 솔대(50)가 임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모 다발(51)이 지지관(40)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모 다발(51)이 화장용액의 저항을 거의 받지 않는 것이므로 모 다발(51)의 비틀림 및 꼬여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모 다발(51)이 화장용액을 묻힌 상태에서 지지관(40)의 내부로 수납되므로 모 다발(51)에 일정량의 화장용액을 묻혀주는 것으로서 항상 일정한 양의 화장용액을 인출하여 정확하고 세밀한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관(40)의 단턱(43)과 솔대(50)의 턱(54)을 구성한 것은 단턱(43)과 턱(54)이 맞닿은 상태로 화장품용기(70)와 캡(10)이 결합되면 지지관(40)을 통하여 화장용액의 역류(逆流)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캡(10)에 탄성편(12)을 형성한 것은 작동캡(20)이 눌려진 후 자동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솔대(50)에 브러시(55)를 결합하거나 마스카라솔(56) 및 실리콘 편 브러시를 형성한 경우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한편, 필요한 경우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품용기(70)의 내부 바닥에는 밀폐소재(72)가 부착되고, 밀폐소재(72)에는 지지관(40)의 하단이 밀착되어 지지관()의 하단을 화장용액과 차단하여 깨끗하게 하므로 지지관()이 속뚜껑(71)의 출입공(71a)을 통해 빠져 나올 때 속뚜껑(71)이 화장용액이 묻혀져 지저분해지는 폐단이 방지되고, 항상 일정량의 화장용액이 인출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화장용액의 역류(逆流)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상기 밀폐소재(72)는 밀폐력이 우수한 실리콘고무나 천연고무, 연질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실리콘고무를 사용하면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화장용 솔 10 : 캡
10a, 70a : 나선부 11 : 결합공
12 : 탄성편 20 : 작동캡
21 : 작동핀 22 : 작동구
30 : 외부캡 31 : 출입공
40 : 지지관 41 : 작동공
42 : 가이드공 42a : 스토퍼
43 : 단턱 50 : 솔대
51 : 모 다발 52 : 작동봉
53 : 핀 54 : 턱
55 : 브러시 56 : 마스카라솔
60 : 스프링 70 : 화장품용기
71 : 속뚜껑 71a : 출입공
72 : 밀폐소재

Claims (4)

  1. 캡(1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솔대(50)의 하단에는 모 다발(51)이 고정되고, 캡(10)을 화장품 용기(70)의 입구에 나사 결합시키면 솔대(50)가 용기(70)의 속뚜껑(71)에 뚫려진 폭 좁은 출입공(71a)을 통해 삽입되는 화장용 솔(1)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상부에 결합공(11)이 형성되고, 작동핀(21) 상부에 작동구(22)가 형성된 작동캡(20)이 캡(10)의 상부에 씌워지며, 작동구(22)가 끼워지는 출입공(31)이 형성된 외부캡(30)이 캡(10)에 씌워져 고정되고, 캡(1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된 지지관(40)의 양측에 스토퍼(42a)를 갖는 가이드공(42)이 형성되고, 지지관(40)의 상부에는 작동공(41)이 형성되어 솔대(50)의 상부 작동봉(52)이 결합되며, 솔대(50)의 양측에는 가이드공(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핀(53)이 끼워지고, 솔대(50)의 핀(53)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을 따라 이동되는 솔대(50)가 지지관(40)에 삽입되어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60)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며, 캡(10)을 결합시켜 지지관(40)이 용기(70)의 속뚜껑(71)에 뚫려진 출입공(71a)을 통해 삽입되면 지지관(40)의 가이드공(42)을 통해 돌출되는 핀(53)이 출입공(71a)의 주연부에 걸려져 솔대(50)와 모 다발(51)이 상승되어 지지관(4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상면에 탄성편(12)이 형성되어 작동캡(20)이 캡(10)의 상면에 맞닿았을 때 탄력적으로 눌려지고 복원되면서 작동캡(20)의 유동(流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대(50)의 하부에 플로킹(flocking) 처리한 브러시(55)가 결합되거나, 솔대(50)의 하단에 마스카라솔(56)이 결합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용기(70)의 내부 바닥에는 밀폐소재(72)가 부착되고, 밀폐소재(72)에는 지지관(40)의 하단이 밀착되어 지지관()의 하단이 화장용액과 차단되며,
    상기 밀폐소재(72)는 실리콘고무, 천연고무, 연질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솔.
KR1020110105951A 2011-10-17 2011-10-17 화장용 솔 KR101157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51A KR101157017B1 (ko) 2011-10-17 2011-10-17 화장용 솔
PCT/KR2012/008420 WO2013058513A1 (ko) 2011-10-17 2012-10-16 화장용 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51A KR101157017B1 (ko) 2011-10-17 2011-10-17 화장용 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017B1 true KR101157017B1 (ko) 2012-06-21

Family

ID=4668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951A KR101157017B1 (ko) 2011-10-17 2011-10-17 화장용 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671Y1 (ko) * 2017-07-07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232090B1 (ko) * 2020-12-15 2021-03-24 백운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013A (ja) * 1993-02-05 1995-02-21 Yves Saint Laurent Sarl マスカラ用アプリケータ
KR200350227Y1 (ko) * 2004-01-02 2004-05-13 임경환 노크식 브러쉬
KR100635017B1 (ko) * 2006-02-09 2006-10-18 백운 화장용 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013A (ja) * 1993-02-05 1995-02-21 Yves Saint Laurent Sarl マスカラ用アプリケータ
KR200350227Y1 (ko) * 2004-01-02 2004-05-13 임경환 노크식 브러쉬
KR100635017B1 (ko) * 2006-02-09 2006-10-18 백운 화장용 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671Y1 (ko) * 2017-07-07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232090B1 (ko) * 2020-12-15 2021-03-24 백운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502292A (ja) マスカラ等の製品用の携帯包装ユニット
US20180055194A1 (en) Applicator with interchangeable wands
KR100635017B1 (ko) 화장용 솔
TWM271464U (en) Mascara makeup tool
US8961049B2 (en) Container for liquid cosmetics
KR101157017B1 (ko) 화장용 솔
KR200479583Y1 (ko) 뷰러 내장형 마스카라 용기
KR100696364B1 (ko) 액상체 화장기구
KR200456832Y1 (ko) 마스카라 브러시
KR101453922B1 (ko) 화장용 솔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1710141B1 (ko) 치약 일체형 칫솔
KR100398162B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KR20160136077A (ko) 원 터치 오픈 마스카라
US3015836A (en) Fluid applicators
KR20210030119A (ko) 도포 부재 리필 화장품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200483326Y1 (ko) 받침가드를 가지는 마스카라 어셈블리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KR20200130623A (ko) 분리형 듀얼 마크네틱 메이크업 브러쉬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260197Y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KR101074834B1 (ko) 정량 인출 용기
KR200190338Y1 (ko) 매니큐어 용기
KR200492025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