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141B1 - 치약 일체형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 일체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141B1
KR101710141B1 KR1020160154647A KR20160154647A KR101710141B1 KR 101710141 B1 KR101710141 B1 KR 101710141B1 KR 1020160154647 A KR1020160154647 A KR 1020160154647A KR 20160154647 A KR20160154647 A KR 20160154647A KR 101710141 B1 KR101710141 B1 KR 10171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piston
steriliz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예은
신유빈
Original Assignee
신예은
신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예은, 신유빈 filed Critical 신예은
Priority to KR102016015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 일체형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약이 칫솔 내부에 구비하여 칫솔 하부에서 가압하면 칫솔모에 치약이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치약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치약 일체형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은 칫솔모를 살균하고 본체의 상단에 결합하는 살균장치;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치약 배출구 및 치약저장부의 하부를 가압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상기 치약저정부; 상기 치약저장부를 삽입하는 치약삽입부, 상기 치약삽입부의 상단에 결합하는 관통형의 칫솔목,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본체의 하부와 결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본체; 상기 살균장치와 상기 본체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칫솔모, 상기 칫솔모로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공급부, 헤드부를 고정하는 돌기형상의 하나 이상의 걸림장치 및 상기 본체의 상기 배출구를 막는 치약마개를 포함하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가압수단과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약 일체형 칫솔{Toothpaste combination toothbrush}
본 발명은 치약 일체형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약이 칫솔 내부에 구비하여 칫솔 하부에서 가압하면 칫솔모에 치약이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치약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치약 일체형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 및 치약은 치아를 닦는데 사용하는 구강위생용구로서, 다양한 구성과 종류의 칫솔과 치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칫솔과 치약은 별도로 구매해 사용하고 있는데, 가정내에서 사용 시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여행 등 야외활동의 경우에 있어서는 칫솔과 치약을 각각 별도로 보관, 휴대하게 되어 번거로운 점이 있고,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치약과 칫솔 모두를 구비하지 못하고 치약 또는 칫솔 중에 어느 하나만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새로 구매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운 문제와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약을 칫솔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칫솔과 치약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지 못함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구성의 치약 일체형 칫솔들이 고안되어 왔다.
기존의 치약 일체형 칫솔은 손잡이 부분에 치약 튜브를 구비하고 손잡이를 폴더형으로 접어서 치약을 짜내어 사용토록 하는 등의 여러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 제안된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281492호(공고일자 2002년 07월 19일)에서는, 치약이 내부에 저장된 몸체와, 선단에 치모가 구비된 머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에 저장된 치약을 치모쪽으로 배출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치약을 배출하기 위하여 회전손잡이를 회전시켜 치약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치약이 몸체 내부에 저장되어 몸체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와 맞닿아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치약을 다 사용하고 나서 재충전할 때 내부의 위생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치약을 재충전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구강 위생에 좋지 않고, 몸체 내부에 구비된 가압판과 나사봉 사이에 치약이 유입되어 사용 중 가압판이 나사봉에 들러붙어 동작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칫솔을 장시간 사용했을 경우 칫솔모가 손상되는데 종래기술은 칫솔모를 교체하지 못해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약이 칫솔 내부에 구비하여 칫솔 하부에서 가압하면 칫솔모에 치약이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치약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치약의 별도의 용기에 담아 재충전시 용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칫솔 본체가 치약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약 일체형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칫솔모를 교체할 수 있어 칫솔모 손상시 칫솔 전체가 아닌 칫솔모만 교체가 가능한 치약 일체형 칫솔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시실예의 치약 일체형 칫솔은, 칫솔모를 살균하고 본체의 상단에 결합하는 살균장치;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치약 배출구 및 치약저장부의 하부를 가압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상기 치약저정부; 상기 치약저장부를 삽입하는 치약삽입부, 상기 치약삽입부의 상단에 결합하는 관통형의 칫솔목,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본체의 하부와 결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본체; 상기 살균장치와 상기 본체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칫솔모, 상기 칫솔모로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공급부, 헤드부를 고정하는 돌기형상의 하나 이상의 걸림장치 및 상기 본체의 상기 배출구를 막는 치약마개를 포함하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가압수단과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헤드부를 살균하는 살균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기 걸림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헤드부를 고정하는 걸림장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하부를 개폐하고 상기 치약삽입부에 삽입하는 상기 치약저장부를 고장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살균부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으로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칫솔목과 상기 살균장치의 일측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압수단을 상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치약저장부를 내부로 수축하고 상기 치약저장용기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치약이 칫솔 내부에 구비되어 휴대 및 보관이 쉽고, 치약튜브의 하부에서부터 가압하여 치약을 배출할 수 있어 치약튜브 내부에 소모되지 않고 남는 치약의 양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칫솔모 손상과 치약을 다 사용한 후 새로운 칫솔모와 치약으로 교체가 용이하며, 살균장치를 통해 칫솔모를 살균처리해 위생적으로 이점이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치약저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헤드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치약 일체형 칫솔은, 살균장치(110), 본체(120), 치약저장부(130), 스프링(140) 및 헤드부(150)를 포함한다.
살균장치(110)는 본 발명의 칫솔의 헤드부(150)를 살균하는 장치이다. 살균장치(110)는 자외선 및 적외선 방법으로 헤드부(150)의 치약을 배출하는 공급부(151) 및 칫솔모(154)를 살균할 수 있으며 살균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장치(110)는 본체(120)의 상부인 칫솔목(121)의 상단에 결합하여, 칫솔목(121)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본체(120)의 칫솔목(121)과 살균장치(110)의 일측면에서 헤드부(15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즉, 헤드부(150)는 살균장치(110)와 칫솔목(121)의 사이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탈착식으로 본체(120)와 결합한다.
살균장치(110)와 헤드부(150)가 슬라이딩 형식의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장치(110) 양외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헤드부(150)를 홈에 결합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장치(110)는 하측면에 걸림장치 삽입부(112)가 형성되어 헤드부(150)의 걸림장치(152)가 삽입된다.
살균부(111)는 살균장치(110) 중앙 내부에 위치하여 헤드부(15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살균장치(110)는 자외선 및 적외선 살균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장치(110)는 헤드부(150)를 살균하는 살균부(111) 및 헤드부(150)의 걸림장치(152)가 삽입되는 걸림장치 삽입부(112)를 포함한다.
살균장치(110)는 상측면 및 하측면에 걸림장치 삽입부(112)를 포함하며, 걸림장치 삽입부(112)에 헤드부(150)의 걸림장치(152)가 삽입된다.
살균부(111)는 살균장치(110) 중앙 내부에 위치하여 헤드부(150)를 살균한다. 살균장치(110)는 자외선 및 적외선 살균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장치 삽입부(112)는 살균장치(110) 상측면 및 하측면에 일부 관통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장치 삽입부(112)에 헤드부(150)의 걸림장치(152)가 삽입되어 헤드부(150)가 칫솔목(121)의 아래 방향으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고정할 수 있으며, 헤드부(150)가 살균장치(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는 칫솔목(121), 치약삽입부(122), 바닥부(123) 및 가압수단(124)을 포함한다.
본체(120)는 칫솔목(121)의 하단부와 결합하고, 칫솔목(121)의 직경보다 외경이 크거나 같은 치약삽입부(122)를 포함하고, 치약삽입부(122)는 치약저장부(130)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져 있으며 하부가 개방형이다. 따라서, 치압삽입부(122)의 하부는 바닥부(123)에 의해 개폐되며, 가압수단(124)은 치약삽입부(122)에 삽입된 치약에 압력을 가하여, 치약을 상부로 올려준다.
칫솔목(121)은 헤드부(150)와 결합하는 방향에 배출구(125)를 구비하고 있어 치약삽입부(122)에서 전달되는 치약을 헤드부(150)에 공급한다.
배출구(125)는 칫솔목(121)의 헤드부(150)와 결합하는 방향의 상측면에 관통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치약삽입부(122)에서 전달되는 치약이 칫솔목(121)을 통과하여 배출구(125)를 통해 헤드부(150)에 공급된다.
바닥부(123)는 본체(120)의 하부에서 치약삽입부(122)가 개폐하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바닥부(123)는 치약저장부(130)를 치약삽입부(122) 내부에 고정하며, 치약저장부(130)의 치약을 다 사용했을 경우, 바닥부(123)를 열어 치약저장부(130)를 교체할 수 있다.
본체(120)와 바닥부(123)는 힌지나 나사홈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치약삽입부(122)가 개폐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압수단(124)은 피스톤(133)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바닥부(123)를 관통하여 바닥부(123)보다 길게 형성된다. 가압수단(124)는 본체(120)의 내부로 상하 이동하기 때문에, 가압수단(124)이 본체(120) 내부로 삽입되면서, 피스톤(133)을 가압하여 치약저장부(13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배출구(125)로 치약이 배출되게 한다. 가압수단(124)은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턱이 있어 스프링(140)을 고정한다. 따라서, 칫솔을 사용할 때 스프링(14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가압수단(124)이 피스톤(133)을 가압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수단(124)을 눌러서 압력을 가하는 방식과 나선홈을 통해 가압수단(124)을 돌려서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피스톤(133)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치약저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저장부(130)는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131), 치약이 배출되는 치약 배출구(132) 및 피스톤(133)을 포함한다.
치약저장용기(131)는 치약을 저장하며, 상부의 치약 배출구(132)로 치약을 배출한다.
치약 배출구(132)는 치약저장부(130)의 상측에 관통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20)에 삽입된 치약저장부(130)에 있는 치약이 치약 배출구(132)를 통해 본체(120)의 칫솔목(121)을 관통하여 칫솔목(121)의 배출구(125)로 이동하여, 헤드부(150)로 배출된다.
피스톤(133)은 치약저장부(130) 하면에 삽입되며 내측면에는 치약이 세지 않도록 오링이 결합된다. 또한, 피스톤(133)은 하면에 다수개의 턱을 구비하여, 스프링(140)을 고정한다. 따라서, 칫솔을 사용할 때 스프링(14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140)은 가압수단(124)에 구비된 다수개의 턱과 피스톤(132)에 구비된 다수개의 턱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압수단(124)으로 압력을 가하면 스프링(140)은 피스톤(132)을 밀어 치약저장부(130)의 치약을 밀어 올린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의 헤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50)는 치약을 공급하는 공급부(151), 걸림장치(152) 및 본체(120)의 배출구(125)를 막는 치약마개(153) 및 칫솔모(154)를 포함한다.
헤드부(150)는 상부 일측면에는 칫솔모(154)와 함께 관통형으로 공급부(151)가 형성되어, 공급부(151)를 통해 치약을 칫솔모(154)에 공급하며, 헤드부(150)의 칫솔모(154)가 있는 부분의 하부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걸림장치(152)가 형성되어 있어 걸림장치 삽입부(112)에 삽입된다.
또한, 헤드부(150)는 하부 일측면의 칫솔모(154)가 없는 부분의 하부 일측면에는 치약마개(153)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120)의 배출구(125)를 막아 치약이 세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헤드부(150)는 살균장치(110)와 칫솔목(121)에 슬라이딩 방식의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살균장치(110)와 칫솔목(121)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50)가 살균장치(110)가 있는 쪽에 위치할 때는 살균장치(110)는 공급부(151) 및 칫솔모(154)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50)가 칫솔목(121)에 있을 때는 치약을 공급받고 다시 헤드부(150)를 살균장치(110)로 이동시켜 양치를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일체형 칫솔로 양치를 하기 위해서, 헤드부(150)를 본체(120)에 칫솔목(121)의 배출구(125) 부분까지 내려 위치시켜 걸림장치(152)가 걸림장치 삽입부(112)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압수단(124)을 눌러 스프링(140)을 압축하여 피스톤(133)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른 반작용으로 치약저장부(130) 내 치약이 치약 배출구(131)를 통해 칫솔목(121)의 배출부(125)를 거쳐 헤드부(150)의 공급부(151)를 통해 칫솔모(154)에 공급된다.
그리고 헤드부(150)는 살균장치(110) 방향으로 올려 위치시킨 후 양치를 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50)의 치약마개(153)가 본체(120)의 배출구(125)를 막아 치약이 세는 것을 방지하며, 걸림장치(152)가 걸림장치 삽입부(112)에 걸려 더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살균장치 111: 살균부
112 : 걸림장치 삽입부 120 : 본체
121 : 칫솔목 122 : 치약삽입부(122)
123 : 바닥부 124 : 가압수단
125 : 배출구 130 : 치약저장부
131 : 치약 배출구 132 : 치약저장용기
133 : 피스톤 140 : 스프링
150 : 헤드부 151 : 공급부
152 : 걸림장치 153 : 치약마개
154 : 칫솔모

Claims (6)

  1. 칫솔모를 살균하고 본체의 상단에 결합하는 살균장치;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치약 배출구 및 치약저장부의 하부를 가압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상기 치약저장부;
    상기 치약저장부를 삽입하는 치약삽입부, 상기 치약삽입부의 상단에 결합하는 관통형의 칫솔목,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본체의 하부와 결합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본체;
    상기 살균장치와 상기 본체 사이를 이동하는 상기 칫솔모, 상기 칫솔모로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공급부, 헤드부를 고정하는 돌기형상의 하나 이상의 걸림장치 및 상기 본체의 상기 배출구를 막는 치약마개를 포함하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가압수단과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치약 일체형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헤드부를 살균하는 살균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기 걸림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헤드부를 고정하는 걸림장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치약 일체형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하부를 개폐하고 상기 치약삽입부에 삽입하는 상기 치약저장부를 고장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치약 일체형 칫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으로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일체형 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칫솔목과 상기 살균장치의 일측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일체형 칫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을 상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치약저장부를 내부로 수축하고 상기 치약저장용기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일체형 칫솔.
KR1020160154647A 2016-11-21 2016-11-21 치약 일체형 칫솔 KR10171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647A KR101710141B1 (ko) 2016-11-21 2016-11-21 치약 일체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647A KR101710141B1 (ko) 2016-11-21 2016-11-21 치약 일체형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141B1 true KR101710141B1 (ko) 2017-02-24

Family

ID=5831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647A KR101710141B1 (ko) 2016-11-21 2016-11-21 치약 일체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1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77B1 (ko) * 2017-12-01 2018-06-14 이동훈 휴대용 칫솔
KR20220164895A (ko) 2021-06-07 2022-12-14 유수민 합체 칫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233B1 (ko) * 1992-10-21 1999-11-15 앰. 그린하우스 알버트 칫솔구조물
KR20070051452A (ko) * 2005-11-15 2007-05-18 김진일 발광다이오드 미백치료기가 장치된 칫솔
JP2010213831A (ja) * 2009-03-16 2010-09-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歯ブラシ
KR20110005753U (ko) * 2009-12-03 2011-06-10 김영진 압력 토출식 치약 제공 장치를 구비한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233B1 (ko) * 1992-10-21 1999-11-15 앰. 그린하우스 알버트 칫솔구조물
KR20070051452A (ko) * 2005-11-15 2007-05-18 김진일 발광다이오드 미백치료기가 장치된 칫솔
JP2010213831A (ja) * 2009-03-16 2010-09-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歯ブラシ
KR20110005753U (ko) * 2009-12-03 2011-06-10 김영진 압력 토출식 치약 제공 장치를 구비한 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77B1 (ko) * 2017-12-01 2018-06-14 이동훈 휴대용 칫솔
WO2019107634A1 (ko) * 2017-12-01 2019-06-06 이동훈 휴대용 칫솔
KR20220164895A (ko) 2021-06-07 2022-12-14 유수민 합체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5808C2 (ru) Систем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6932604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9907390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KR20120096104A (ko) 구강 관리 시스템
KR100683475B1 (ko) 치간 분출 칫솔
US4139312A (en) Disposable toothbrush
KR101710141B1 (ko) 치약 일체형 칫솔
KR100899904B1 (ko) 다용도 칫솔
US9814301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US9629449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US10143297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US7048460B1 (en) Portable combination toothbrush and toothpaste dispenser
US20090183327A1 (en) Fingernail cleaning brush
EP0051047A1 (en) A kit for cleaning the teeth with a toothbrush storable in the toothpaste holder
KR200457723Y1 (ko) 구강 위생 용구
KR101157017B1 (ko) 화장용 솔
KR20130006445U (ko) 다기능 칫솔
KR101951667B1 (ko) 치약용기가 수용가능한 칫솔
KR200417715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101378541B1 (ko) 기능성 칫솔
KR101993996B1 (ko) 입술 세척솔을 구비한 칫솔
KR20170077675A (ko) 치약튜브 홀딩기능을 갖는 칫솔
AU2018100506A4 (en) The Self loading Toothbrush
KR200472528Y1 (ko) 휴대용 칫솔
KR101896107B1 (ko) 휴대용 다용도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