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711B1 -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711B1
KR102180711B1 KR1020200116157A KR20200116157A KR102180711B1 KR 102180711 B1 KR102180711 B1 KR 102180711B1 KR 1020200116157 A KR1020200116157 A KR 1020200116157A KR 20200116157 A KR20200116157 A KR 20200116157A KR 102180711 B1 KR102180711 B1 KR 10218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base plate
pipe
ribs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도
Original Assignee
김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도 filed Critical 김원도
Priority to KR102020011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판(11); 상기 베이스판의 관통공 테두리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중심측단부와, 상기 중심측단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연장단부를 가지는 복수의 메인리브(12); 상기 각각의 메인리브의 방사연장단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브이형리브(13); 및 상기 각각의 브이형리브의 연장단부들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리브의 방사상 벌어짐에 따라 외측부가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리브(14);를 포함하는 조인트(10); 및 상기 베이스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리브들의 중심측단부 사이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메인리브 및 이와 연결된 브이형리브와 밀착리브들을 방사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크류(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인트와 스크류만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임은 물론 단순히 스크류의 체결만으로 조인트가 파이프와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심플한 부품 개수로 인해 제작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동시에 파이프로의 연결 작업도 간편하게 되어 조립공수의 최소화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MULTI FUNCTION JOINT SET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파이프 연결시 일측의 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 기능 및 한 쌍의 파이프가 상대적으로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걸림 기능을 통해 파이프 서로 간의 길이 가변시 신축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용 조인트는 복수개의 파이프를 연이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보통 플랜지를 이용한 이음 방식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파이프용 조인트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배관용 덕트(파이프에 해당됨)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의 끝단 접합부위에 서로 대응되게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를 사이에 두고 일면이 대향되게 걸림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끼움형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기밀유지용 가스켓 및 상기 대향되게 배치된 끼움형 플랜지의 타면에 양단이 제각기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걸고리가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블록으로 분할 형성되되, 체결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끼움형 플랜지를 가스켓 측으로 가압 고정시켜 주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형 플랜지의 외주면에는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사분점에 클램프 체결용 평탄면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클램프 체결용 평탄면 중에서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적어도 두 개의 평탄면에는 상기 클램프의 체결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마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가스켓 결합홈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내주면에 단면이 소정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부재는 두 개의 돌출부 중 하나가 플랜지부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플랜지부와 끼움형 플랜지의 일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나머지 하나의 돌출부에는 상기 가스켓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사분점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형 플랜지의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플랜지부의 접합부위로 누출되는지의 여부를 색상변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해주는 누출감지수단을 포함하는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덕트연결용 플랜지 조립체는 끼움형 플랜지, 기밀유지용 가스켓 및 걸고리가 구비된 블록과, 클램프와, 제1부재와, 제2부재 등 그 구성 요소가 너무 많아 이를 가공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제작비용 상승 및 조립 과정이 복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9540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중공을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중공에서부터 베이스판의 테두리까지 방사상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리브(메인리브, 브이형리브, 밀착리브, 보조밀착리브, 지지리브)를 갖는 조인트와,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리브를 방사상으로 밀어내어 대상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임은 물론, 단순히 스크류의 체결만으로 조인트가 파이프와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와 연결된 파이프가 다른 파이프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최대한 인출시켰을 경우 상기 베이스판의 걸림턱이 상기 다른 파이프의 높이조절구의 테두리 하단면에 걸려 외부로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하는 등 한 쌍의 파이프가 상대적으로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걸림 기능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는,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연결 대상인 파이프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을 갖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관통공 중심부를 향해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중심측단부와, 상기 중심측단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연장단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상향 직립되고 서로 간의 중심측단부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면서 상기 베이스판의 원호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리브; 상기 각각의 메인리브의 방사연장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를 향해 양측으로 분기 연장되는 복수의 브이형리브; 및 상기 각각의 브이형리브의 연장단부들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리브의 방사상 벌어짐에 따라 외측부가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리브;를 포함하는 조인트; 및 상기 메인리브들의 중심측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간격보다 대직경 구조로 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조인트의 베이스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리브들의 중심측단부 사이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메인리브 및 이와 연결된 브이형리브와 밀착리브들을 방사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리브의 중심측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중심부를 향하는 선단면이 이웃하는 다른 메인리브들의 중심측단부 선단면들과 함께 전체적으로 원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라운드진 원호면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리브의 중심측단부는 상기 스크류와 직접 맞닿아 방사상으로 벌어지게 하는 상기 스크류의 가압력에 대응하여 폭이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확장면부와, 상기 각 확장면부의 단부에서 다시 내측으로 소폭 연장되는 한 쌍의 내측연장면부와, 상기 각 내측연장면부에서 다시 방사상으로 직선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연장면부를 통해 전체 형상이 화살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브이형리브는 상기 메인리브가 방사상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방향으로 유연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리브보다 폭이 좁은 소폭 직립판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밀착리브는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별도의 밀착돌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밀착돌부는 상기 밀착리브와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갖는 띠형상 막대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메인리브와 동일선상에 놓이는 상기 브이형리브의 중심부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방향으로 직선 연장되어 상기 메인리브의 방사상 벌어짐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보조밀착리브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밀착리브는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별도의 보조밀착돌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밀착돌부는 상기 보조밀착리브와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갖는 띠형상 막대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밀착돌부와 상기 보조밀착돌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각각의 밀착돌부와 보조밀착돌부의 방사상 확장시 서로 연동되면서 서로 간의 방사상 가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리브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밀착리브와 상기 보조밀착리브의 연장단부 간을 연결하여 서로 간의 상기 연결 대상 파이프 내측면으로의 가압력이 극대화되도록 상기 베이스판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호 형상 판재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밀착리브와 이 보조밀착리브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밀착리브 중 어느 하나의 밀착리브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밀착리브와는 열려 있는 연결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되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지지리브의 상측부가 방사상으로 벌어짐에 따른 하단부의 꺾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돌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메인리브와 브이형리브와 밀착리브 및 지지리브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밀착리브의 하단부만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상기 메인리브와 브이형리브 및 지지리브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 분리되어 있는 부분 일체형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는, 중공을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중공에서부터 베이스판의 테두리까지 방사상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리브(메인리브, 브이형리브, 밀착리브, 보조밀착리브, 지지리브)를 갖는 조인트와,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리브를 방사상으로 밀어내어 대상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임은 물론 단순히 스크류의 체결만으로 조인트가 파이프와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심플한 부품 개수로 인해 제작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동시에 파이프로의 연결 작업도 간편하게 되어 조립공수의 최소화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와 연결된 파이프가 다른 파이프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최대한 인출시켰을 경우 상기 베이스판의 걸림턱이 상기 다른 파이프의 높이조절구의 테두리 하단면에 걸려 외부로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하는 등 한 쌍의 파이프가 상대적으로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걸림 기능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 부품을 통한 다양한 기능성에 의해 결과적으로 제품 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의 조인트의 직경이 확장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의 조인트의 직경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가 별도의 높이 조절 포스트에 적용되는 일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가 별도의 높이 조절 포스트에 적용되는 일례를 나타낸 요부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가 별도의 높이 조절 포스트에 적용되는 일례를 나타낸 요부분해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는 베이스판(11)과, 메인리브(12)와, 브이형리브(13)와, 밀착리브(14)를 갖는 조인트(10) 및 스크류(20)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10)의 베이스판(11)은 중앙부에 관통공(11a)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연결 대상인 파이프(5)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11b)을 갖는 원판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10)의 메인리브(12)는 상기 베이스판(11)의 관통공(11a) 중심부를 향해 상기 관통공(11a)의 테두리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중심측단부(12a)와, 상기 중심측단부(12a)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연장단부(12b)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11) 상에서 상향 직립되는 직판 구조로써 서로 간의 중심측단부(12a)가 직경선상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면서 상기 베이스판(11)의 원호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10)의 브이형리브(13)는 상기 각각의 메인리브(12)의 방사연장단부(12b)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1)의 테두리를 향해 양측으로 분기 연장되는 브이자형 직판 구조로써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10)의 밀착리브(14)는 상기 각각의 브이형리브(13)의 연장단부들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밀착리브(14)의 방사상 벌어짐에 따라 그 외측부가 상기 파이프(5)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라운드진 곡판 구조로써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 상기 메인리브(12)의 중심측단부(12a)는 상기 관통공(11a)의 중심부를 향하는 선단면이 이웃하는 다른 메인리브(12)들의 중심측단부(12a) 선단면들과 함께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라운드진 원호면부(12a1)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원호면부(12a1)에 의해 진입되는 스크류(20)의 축 회전시 이 스크류(20)의 외주면을 원활하게 감쌀 수 있게 하여 상기 원호면부(12a1)와 스크류(20) 간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리브(12)의 중심측단부(12a)는 상기 스크류(20)와 직접 맞닿아 방사상으로 벌어지게 하는 상기 스크류(20)의 가압력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의 폭이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확장면부(12a2)와, 상기 각 확장면부(12a2)의 단부에서 다시 내측으로 소폭 연장되는 한 쌍의 내측연장면부(12a3)와, 상기 각 내측연장면부(12a3)에서 다시 방사상으로 직선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연장면부(12a4)를 통해 전체 형상이 화살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이형리브(13)는 상기 메인리브(12)가 방사상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1)의 테두리방향으로 유연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리브(12)보다 폭이 좁은 소폭 직립판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리브(14)는 상기 베이스판(11)의 테두리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별도의 밀착돌부(14a)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돌부(14a)는 상기 밀착리브(14)와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갖는 띠형상 막대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10)는 상기 메인리브(12)와 동일선상에 놓이는 상기 브이형리브(13)의 중심부에서 상기 베이스판(11)의 테두리방향으로 직선 연장되어 상기 메인리브(12)의 방사상 벌어짐에 따라 상기 파이프(5)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보조밀착리브(1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밀착리브(15)는 상기 베이스판(11)의 테두리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별도의 보조밀착돌부(15a)가 마련되되, 상기 보조밀착돌부(15a)는 상기 보조밀착리브(15)와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갖는 띠형상 막대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10)는 상기 밀착돌부(14a)와 상기 보조밀착돌부(15a)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각각의 밀착돌부(14a)와 보조밀착돌부(15a)의 방사상 확장시 서로 연동되면서 스크류(20)의 방사상 가압에 따른 서로 간의 방사상 가압력을 지지,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리브(16)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지지리브(16)는 상기 밀착리브(14)와 상기 보조밀착리브(15)의 연장단부 간을 연결하여 서로 간의 상기 연결 대상 파이프(5) 내측면으로의 가압력이 극대화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1)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호 형상 판재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16)는 상기 베이스판(11)의 원호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밀착리브(15)와 이 보조밀착리브(15)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밀착리브(14) 중 어느 하나의 밀착리브(14)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밀착리브(14)와는 열려 있는 연결 구조로 되어, 상기 밀착리브(14)의 방사상 벌어짐이 지지리브(16)에 제한되지 않고 원활하게 확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16)는 상기 베이스판(11)과 연결되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지지리브(16)의 상측부가 방사상으로 벌어짐에 따른 하단부의 꺾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돌부(1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10)는 상기 메인리브(12)와 브이형리브(13)와 밀착리브(14) 및 지지리브(17)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미도시)로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밀착리브의 하단부만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상기 메인리브와 브이형리브 및 지지리브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 분리되어 있는 부분 일체형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류(20)는 상기 메인리브(12)들의 중심측단부(12a)가 서로 마주보는 간격보다 대직경 구조로 되고 상기 파이프(5)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조인트(10)의 베이스판(11)의 관통공(11a)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리브(12)들의 중심측단부(12a) 사이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메인리브(12) 및 이와 연결된 브이형리브(13)와 밀착리브(14)들을 방사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가 별도의 높이 조절 포스트에 적용되는 것을 살펴보았을 때, 우선, 파이프(5)의 하단 개구를 통해 상기 조인트(10)를 삽입하여 베이스판(11)의 걸림턱(11b)이 상기 파이프(5)의 하단 개구 테두리에 걸리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베이스판(11)의 관통공(11a)을 통해 별도의 스크류(20)를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스크류(20)가 관통공(11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리브(12)의 중심측단부(12a)를 방사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진입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스크류(20)에 의해 밀리는 메인리브(12)들은 그 방사연장단부(12b)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브이형리브(13)를 밀어내게 되고, 이 브이형리브(13)는 베이스판(11)의 테두리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이웃하는 다른 브이형리브(13)와 함께 밀착리브(14)를 파이프(5)의 내주면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는 동시에 메인리브(12)의 방사연장단부(12b)와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보조밀착리브(15)를 파이프(5)의 내주면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각각의 밀착리브(14) 단부의 밀착돌부(14a)와 보조밀착리브(15) 단부의 보조밀착돌부(15a)가 파이프(5)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조인트(10)와 파이프(5)의 연결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10)는 베이스판(11)의 걸림턱(11b)이 파이프(5)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대상 메인파이프(30)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개구를 통해 높이조절구(40)의 삽입부(41)의 장착절개부(41a)로 메인파이프(30)의 장착돌부(32)가 맞물리도록 하여 높이조절구(40)의 삽입부(41)를 삽입 고정시키고 그 상방의 수나사산(43)에 파이프고정캡(50)의 암나사산(51)을 가체결 나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상 메인파이프(30)의 하단개구 중공(31)을 통해 상기 승강파이프(5)를 삽입시켜 그 상단부가 메인파이프(30)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메인파이프(30)에 대해 상기 승강파이프(5)를 원하는 높이만큼 상하 출몰시키면서 전체 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 높이에서 파이프고정캡(50)을 완전히 조이게 되면 이 파이프고정캡(50)의 가압면(52)이 높이조절구(40)의 조임편(44)을 가압하여 승강파이프(5)가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승강파이프(5)는 상방으로 최대한 인출시켰을 경우 베이스판(11)의 걸림턱(11b)이 상기 높이조절구(40)의 테두리 하단면에 걸려 외부로의 이탈이 저지된다.
이렇게 하여 본원발명의 다기능 조인트 세트는 승강파이프(5)의 일단부에는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대상 메인파이프(30)에 대해 외부로 출몰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부로의 이탈은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는, 중공을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중공에서부터 베이스판의 테두리까지 방사상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리브(메인리브, 브이형리브, 밀착리브, 보조밀착리브, 지지리브)를 갖는 조인트와,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리브를 방사상으로 밀어내어 대상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임은 물론 단순히 스크류의 체결만으로 조인트가 파이프와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심플한 부품 개수로 인해 제작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동시에 파이프로의 연결 작업도 간편하게 되어 조립공수의 최소화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와 연결된 파이프가 다른 파이프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최대한 인출시켰을 경우 상기 베이스판의 걸림턱이 상기 다른 파이프의 높이조절구의 테두리 하단면에 걸려 외부로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하는 등 한 쌍의 파이프가 상대적으로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걸림 기능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 부품을 통한 다양한 기능성에 의해 결과적으로 제품 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5 : 승강파이프 5a : 중공
10 : 조인트 11 : 베이스판
11a : 관통공 11b: 걸림턱
12 : 메인리브 12a : 중심측단부
12a1 : 원호면부 12a2 : 확장면부
12a3 : 내측연장면부 12a4 : 직선연장면부
12b : 방사연장단부 13 : 브이형리브
14 : 밀착리브 14a : 밀착돌부
15 : 보조밀착리브 15a : 보조밀착돌부
16 : 지지리브 17 : 지지돌부
20 : 스크류 30 : 메인파이프
31 : 중공 32 : 장착돌부
40 : 높이조절구 41 : 삽입부
41a : 장착절개부 42 : 중공
43 : 수나사산 44 : 조임편
45 : 조임절개부 50 : 파이프고정캡
51 : 암나사산 52 : 가압면

Claims (5)

  1.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연결 대상인 파이프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을 갖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관통공 중심부를 향해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중심측단부와, 상기 중심측단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연장단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상향 직립되고 서로 간의 중심측단부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면서 상기 베이스판의 원호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리브;
    상기 각각의 메인리브의 방사연장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를 향해 양측으로 분기 연장되는 복수의 브이형리브; 및
    상기 각각의 브이형리브의 연장단부들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리브의 방사상 벌어짐에 따라 외측부가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리브;
    를 포함하는 조인트; 및
    상기 메인리브들의 방사연장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간격보다 대직경 구조로 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조인트의 베이스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리브들의 중심측단부 사이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메인리브 및 이와 연결된 브이형리브와 밀착리브들을 방사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크류;
    를 포함하는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이형리브는 상기 메인리브가 방사상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방향으로 유연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리브보다 폭이 좁은 소폭 직립판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리브는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별도의 밀착돌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메인리브와 동일선상에 놓이는 상기 브이형리브의 중심부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방향으로 직선 연장되어 상기 메인리브의 방사상 벌어짐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보조밀착리브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메인리브와 브이형리브와 밀착리브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KR1020200116157A 2020-09-10 2020-09-10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KR10218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157A KR102180711B1 (ko) 2020-09-10 2020-09-10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157A KR102180711B1 (ko) 2020-09-10 2020-09-10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711B1 true KR102180711B1 (ko) 2020-11-19

Family

ID=7367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157A KR102180711B1 (ko) 2020-09-10 2020-09-10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834B1 (ko) * 2023-05-30 2024-02-07 주식회사 바이오플레이 냉매팩의 모듈형 연결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3113A (ja) * 1997-11-21 1999-06-08 Nifco Inc クリップ
JP2000062377A (ja) * 1998-08-17 2000-02-29 Yutaka Ito 止め具
JP2006145041A (ja) * 2005-12-07 2006-06-08 Mitsutomo:Kk 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KR20100065902A (ko) * 2008-12-09 2010-06-17 박종만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101539540B1 (ko) 2014-10-08 2015-07-24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20190079572A (ko) * 2017-12-27 2019-07-05 김원도 기둥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3113A (ja) * 1997-11-21 1999-06-08 Nifco Inc クリップ
JP2000062377A (ja) * 1998-08-17 2000-02-29 Yutaka Ito 止め具
JP2006145041A (ja) * 2005-12-07 2006-06-08 Mitsutomo:Kk 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KR20100065902A (ko) * 2008-12-09 2010-06-17 박종만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101539540B1 (ko) 2014-10-08 2015-07-24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20190079572A (ko) * 2017-12-27 2019-07-05 김원도 기둥 결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834B1 (ko) * 2023-05-30 2024-02-07 주식회사 바이오플레이 냉매팩의 모듈형 연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0199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222305B2 (ja) 段付きボールジョイントパイプクランプおよびその予め取り付ける構成部品
US5829794A (en) Vacuumtight connection
KR100227971B1 (ko) 개스킷 리테이너를 갖춘 유체 커플링
US5815892A (en) Profile clamp
JP2003097517A (ja) 管締め付け具、特に管継手
JP3137110B2 (ja) 成形されたクリップ
CZ372399A3 (cs) Trubní objímka
JP6683826B2 (ja) プロファイルドクランプ用のプレポジショナおよびそのようなプレポジショナを備える連結配置
JP2008530465A (ja) ガスケットを備えた中心リブを有するパイプクランプ
KR102180711B1 (ko)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KR100393087B1 (ko) 두관을 연결하기 위한 링 클램프
US6170886B1 (en) Quick connector
JP3396128B2 (ja) 分岐管の接続装置
EP3636866B1 (en) A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part being releasably attached
JP7138120B2 (ja) プリアセンブリを用いて二つの管を連結する装置
JP2007154969A (ja) 接続支管
KR20190131335A (ko) 보일러의 연도관 연결구조
AU695807B2 (en) Quick connector
JP3508108B2 (ja) 空調用ダクトの接続装置
JP2605479Y2 (ja) 給排気筒の継手構造
JP2862811B2 (ja) 管継手
CN214947187U (zh) 连接管组件及空调室内机
JPH0234551Y2 (ko)
JP3323931B2 (ja) 管継手用管離脱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