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902A -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 Google Patents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902A
KR20100065902A KR1020080124488A KR20080124488A KR20100065902A KR 20100065902 A KR20100065902 A KR 20100065902A KR 1020080124488 A KR1020080124488 A KR 1020080124488A KR 20080124488 A KR20080124488 A KR 20080124488A KR 20100065902 A KR20100065902 A KR 2010006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osing
unit assembly
component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522B1 (ko
Inventor
박종만
Original Assignee
박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만 filed Critical 박종만
Priority to KR102008012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5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단부를 막아 마감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부가적인 부품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이프 마감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파이프의 내부에 끼워져 밀착되는 단면 반타원 형상인 끼움결합부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단면 반타원 형상인 걸림마감부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결합부 및 걸림마감부의 내측면에는 단면 반원 형상인 결합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조립편이 상호 포개져 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마감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단위조립편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의 결합요홈 사이에 끼워져 진입되면서 상기 걸림마감부 및 끼움결합부의 사이 간격을 확장시켜 상기 마감부재의 끼움결합부가 파이프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확개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가 제공된다.
Figure P1020080124488
파이프, 마감부재, 확개고정핀

Description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FASTENER FOR PIPE END}
본 발명은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파이프의 단부를 막아 마감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부가적인 부품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이프 마감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단부를 마감하거나 다른 부품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부분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너트(1)나 부싱(2)을 파이프(3)의 단부에 위치한 입구에 진입시켜 끼우고, 이후 상기 인서트너트(1)나 부싱(2)이 끼워진 부위의 파이프(3) 외주연을 펀칭하여 상기 인서트너트(1)나 부싱(2)이 파이프(3)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서트너트(1)나 부싱(2)에 고정볼트(4)나 고정핀(5) 또는 부품이 끼워진 고정볼트(4)나 고정핀(5)을 체결하여 상기 파이프(3)의 단부를 마감하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3)의 단부에 부품을 연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3) 단부의 마감 작업은 인서트너트(1) 및 부싱(2)을 파이프(3)의 단부에 삽입한 후 상기 파이프(3)의 단부 외주연을 펀칭하여 상기 인서트너트(1)나 부싱(2)과 파이프(3)를 일체로 고정 결합해야 함으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펀칭 작업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인서트너트(1) 및 부싱(2)과 파이프(3)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상기 파이프(3)에서 인서트너트(1) 및 부싱(2)이 쉽게 이탈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인서트너트(1) 및 부싱(2)과 파이프(3)는 단지 펀칭에 의해서만 결합되어 있음으로 그 결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작은 충격이나 하중에도 상기 인서트너트(1) 및 부싱(2)이 파이프(3)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 예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3)의 외주연을 펀칭하지 않고 파이프(3)의 단부를 마감하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3)의 단부에 다른 부품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감 체결 부재가 제공되었는데, 그 구성은
파이프(3)의 입구에 끼워지는 진입부(11)의 후단부에 상기 파이프(3)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와셔부(12)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진입부(11) 및 걸림와셔부(12)의 내부에는 결합공(13)이 일자로 관통되어 연이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11)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밀착걸림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진입부(11)의 결합공(13)과 밀착걸림돌기(14) 사이에는 두 개의 절개부(15)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진입부(11)가 복수개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마감부재(10)와,
상기 마감부재(10)의 결합공(13)에 삽입되면서 진입부(11)의 결합공(13) 부 위를 확개시켜 상기 마감부재(10)의 밀착걸림돌기(14)가 파이프(3)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핀(2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마감 체결 부재를 이용해 파이프(3)의 단부를 마감하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3)의 단부에 다른 부품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마감부재(10)의 진입부(11)를 파이프(3)의 입구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마감부재(10)의 걸림와셔부(12)가 파이프(3)의 단부에 걸리도록 한 다음 상기 마감부재(10)의 결합공(13)에 결합핀(20)을 진입시켜 일체로 결합하게되면,
상기 결합핀(20)에 의해 마감부재(10)의 진입부(11)가 벌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진입부(11)의 외주연에 형성된 밀착걸림돌기(14)가 파이프(3)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3)와 마감부재(10)와 결합핀(20)이 상호 일체로 고정 결합되면서 파이프(3)의 단부를 마감하거나 또는 다른 부품을 파이프(3)의 단부에 장착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마감 체결 부재는 결합핀(20)이 마감부재(10)의 결합공(13)에 진입될 경우, 상기 마감부재(10)의 걸림와셔부(12)에는 외부로 터진 절개부(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직경이 확개되지 않기 때문에, 상호 접촉되는 상기 결합핀(20)의 외주면과 마감부재(10)의 결합공(13) 내주면이 깎이면서 상기 결합핀(20)과 마감부재(10)가 변형 및 파손됨은 물론 상기 걸림와셔부(12)의 결합공(13)을 지나면서 그 외주연이 깎여 직경이 변형 축소된 결합핀(20)이 상기 마감부재(10)의 진입부(11)에 위치한 결합공(13)을 원활하게 확개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에는 상기 마감부재(10)의 밀착걸림돌기(14)가 파이프(3)의 내면에 원활하게 밀착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파이프(3)와 마감부재(1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파이프(3)의 단부에서 마감부재(10)가 쉽게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이프의 외주연을 펀칭하지 않으면서도 파이프의 단부를 마감하거나 또는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다른 부품을 원활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파이프의 내부에 끼워져 밀착되는 단면 반타원 형상인 끼움결합부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단면 반타원 형상인 걸림마감부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결합부 및 걸림마감부의 내측면에는 단면 반원 형상인 결합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조립편이 상호 포개져 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마감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단위조립편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의 결합요홈 사이에 끼워져 진입되면서 상기 걸림마감부 및 끼움결합부의 사이 간격을 확장시켜 상기 마감부재의 끼움결합부가 파이프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확개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인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는 파이프의 단부에 체결되는 마감부재의 끼움결합부 및 걸림마감부가 복수개로 분리된 후 연결밴드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회동되면서 포개지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 상기 포개진 마감부재의 끼움결합부 및 걸림마감부의 사이에 위치한 결합요홈에 확개고정핀이 진입되어 고정 결합될 경우, 상기 확개고정핀이 마감부재의 결합요홈에 밀착되어 걸리면서 깎여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확개고정핀의 변형 및 파손 없이 포개진 마감부재의 결합요홈에 원활하게 진입되면서 끼움결합부를 확개시켜 파이프에 밀착 고정시키게됨으로 상기 파이프와 마감부재와 확개고정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면서도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확개고정핀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포개진 마감부재의 끼움결합부 및 걸림마감부의 사이 간격이 축소되기 때문에 파이프의 단부에서 마감부재를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 조립작업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된 파이프의 교체 및 유지 보수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의한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100)는
파이프(200)의 내부에 끼워져 밀착되는 단면 반타원 형상인 끼움결합부(111)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단면 반타원 형상인 걸림마감부(113)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결합부(111) 및 걸림마감부(113)의 내측면에는 단면 반원 형상인 결합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조립편(110')이 상호 포개져 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마감부재(110)와;
상기 복수개의 단위조립편(110')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110)의 결합요홈(114) 사이에 끼워져 진입되면서 상기 걸림마감부(113) 및 끼움결합부(111)의 사이 간격을 확장시켜 상기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가 파이프(20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확개고정핀(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복수개의 단위조립편(110') 단부가 연결밴드부(11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밴드부(112)를 중심으로 단위조립편(110')이 상호 회동되면서 상호 포개져 일체로 조립되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인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파이프(200)가 끼워지는 삽입공(131)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파이프(200)의 단부가 걸리는 파이프걸림턱(132)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파이프(200)의 단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장착부품(300)의 단부가 걸리는 부품걸림턱(13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연결끼움부싱(130)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걸림마감부(113)에 연이어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결합요홈(114)을 갖는 연결부싱부(115)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싱부(115)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끼움부싱(130) 및 마감부재(110)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장착부품(300)의 단부가 걸리도록 부품걸림턱(116)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걸림마감부(113)와 인접된 끼움결합부(111)의 외주연에는 경우에 따라 상기 파이프(200)의 절단 작업시 파이프(200) 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절단스커트(210)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걸림단턱요홈(111a)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결합요홈(114)에는 상기 단위조립편(110')의 걸림마감부(113)에서 끼움결합부(111)로 진행되면서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확개경사면(114a)이 형성되어,상기 확개고정핀(120)의 진입에 따라 결합요홈(114)의 사이 간격이 원활하게 벌어지면서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가 파이프(20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걸림마감부(113)에 위치한 결합요홈(114)의 단부에는 체결경사면(114b)이 형성되어, 상기 확개고정핀(120) 대용으로 통상적인 나사못이 체결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결합요홈(114)에는 경우에 따라 나사산(114c)이 형성되어, 상기 확개고정핀(120) 대신 통상적인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및 걸림마감부(113)의 내측면에는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결합돌조(114d)와 돌조끼움홈(114e)이 형성되어,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및 걸림마감부(113)가 정확하게 포개져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확개고정핀(120)의 단부에는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확개걸림부(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를 확개시키면서 결합요홈(114)에 끼워진 확개고정핀(120)이 마감부재(110)와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 및 걸림단턱요홈(111a)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돌기(111f)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200)의 단부에 끼워진 마감부재(110)의 결합요홈(114)에 확개고정핀(120)이 진입되어 걸림와셔부(112) 및 끼움결합부(111)가 확개될 경우, 상기 탄성돌기(111f)에 파이프(200)의 절단스커트(210)가 파고 들면서 상기 파이프(200)와 마감부재(110)가 보다 견고하고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개고정핀(120)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키돌기편(121)이 연이어지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재(110)의 단위조립편(110') 사이에 상기 키돌기편(121)이 끼워지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결합요홈(114)에 확개고정핀(120)이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외주면에 다수의 밀착걸림쐐기(111b)가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확개고정핀(120)이 복수개의 단위조립편(110')이 포개져 이루어진 마감부재(110)의 결합요홈(114)에 진입되면서 결합요홈(114)을 확개할 경우 상기 밀착걸림쐐기(111b)가 파이프(200)의 내면에 밀착되어 걸리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가 파이프(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외주연에 다수의 엠보싱쐐기(111c)가 형성되어, 상기 확개고정핀(120)이 마감부재(110)의 결합요홈(114) 사이에 진입되면서 결합요홈(114)의 사이 간격을 확개할 경우 상기 엠보싱쐐기(111c)가 파이프(200)의 내면을 밀착되어 걸리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가 파이프(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구홀(111d)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홀(111d)에는 구형상의 금속재질인 쐐기볼(111e)이 결합되어, 상기 확개고정핀(120)이 마감부재(110)의 결합요홈(114)에 진입되면서 결합요홈(114)의 사이 간격을 확개할 경우 상기 쐐기볼(111e)이 파이프(200)의 내면을 파고 들면서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와 파이프(20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연결끼움부싱(130)의 삽입공(131) 내주면에는 상기 쐐기볼(111e)에 밀려 절곡되는 파이프(200) 절곡부위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쐐기요홈(131a)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100)를 이용해 파이프(200)의 단부를 마감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파이프(200)의 입구에 마감부재(110)의 연결밴드부(112)에 의해 연결되어 포개진 끼움결합부(111)가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포개진 마감부재(110)의 걸림마감부(113)가 파이프(200)의 단부에 걸리도록 한 다음 상기 포개진 마감부재(110)의 걸림마감부(113) 및 끼움결합부(111)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요홈(114)에 확개고정핀(120)을 진입시켜 고정하게 되면,
상기 포개진 마감부재(110)의 걸림마감부(113) 및 끼움결합부(111)의 사이 간격과 결합요홈(114)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가 파이프(20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200)와 마감부재(110)와 확개고정핀(120)이 상호 일체로 고정 결합되면서 파이프(200)의 단부를 마감하게된다.
또한, 본 발명인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100)를 이용해 파이프(200)의 단부에 장착부품(300)을 장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파이프(200)의 외주연에 연결끼움부싱(130)의 삽입공(131)을 끼워 결합하고, 이후 부품걸림턱(116)이 구비된 포개진 마감부재(110)와 상기 연결끼움부싱(130)에 각각 선택적으로 장착부품(300)을 끼우며, 이후 상기 포개진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가 파이프(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포개진 마감부재(110)의 걸림마감부(113)가 연결끼움부싱(130)의 파이프걸림턱(132)의 단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포개진 마감부재(110)의 연결부싱부(115) 및 끼움결합부(111)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요홈(114)에 확개고정핀(120)을 진입시켜 고정하게 되면,
상기 포개진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의 사이 간격과 결합요홈(114)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가 파이프(20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200)와 마감부재(110)와 확개고정핀(120)이 상호 일체로 고정 결합되면서 파이프(200)의 단부에 장착부품(300)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즉 상기 마감부재(110)의 결합요홈(114) 사이에 확개고정핀(120)이 진 입되어 결합될 경우, 상기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에 위치한 형성된 밀착걸림쐐기(111b) 또는 엠보싱쐐기(111c) 또는 쐐기볼(111e)은 파이프(20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거나 또는 파고들어 고정되며, 상기 마감부재(110)의 걸림단턱요홈(111a)에는 상기 파이프(200)의 절단 작업 시 발생될 수 있는 절단스커트(210)가 끼워져 고정 결합됨으로 상기 마감부재(110)와 파이프(20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단부를 마감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의한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의한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감 체결 부재
110 : 마감부재 111 : 끼움결합부
111a : 걸림단턱요홈 111b : 밀착걸림쐐기
111c : 엠보싱쐐기 111d : 반구홀
111e : 쐐기볼 111f : 탄성돌기
112 : 연결밴드부 113 : 걸림마감부
114 : 결합요홈 114a : 확개경사면
114b : 체결경사면 114c : 나사산
114d : 결합돌조 114e : 돌조끼움홈
115 : 연결부싱부 116 : 부품걸림턱
120 : 확개고정핀 121 : 키돌기편
122 : 확개걸림부
130 : 연결끼움부싱 131 : 삽입공
131a : 쐐기요홈 132 : 파이프걸림턱
133 : 부품걸림턱
200 : 파이프 210 : 절단스커트
300 : 장착부품

Claims (15)

  1. 파이프(200)의 내부에 끼워져 밀착되는 단면 반타원 형상인 끼움결합부(111)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단면 반타원 형상인 걸림마감부(113)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결합부(111) 및 걸림마감부(113)의 내측면에는 단면 반원 형상인 결합요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조립편(110')이 상호 포개져 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마감부재(110)와;
    상기 복수개의 단위조립편(110')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110)의 결합요홈(114) 사이에 끼워져 진입되면서 상기 걸림마감부(113) 및 끼움결합부(111)의 사이 간격을 확장시켜 상기 마감부재(110)의 끼움결합부(111)가 파이프(20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확개고정핀(1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복수개의 단위조립편(110') 단부가 연결밴드부(11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걸림마감부(113)와 인접된 끼움결합부(111)의 외주연에 걸림단턱요홈(111a)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고정핀(120)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키돌기편(121)이 연이어지게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결합요홈(114)에 나사산(114c)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고정핀(120)의 단부에는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확개걸림부(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및 걸림단턱요홈(111a)의 외주연에 탄성돌기(111f)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결합요홈(114)에 확개경사면(114a)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걸림마감부(113)에 위치한 결합요홈(114)의 단부에 체결경사면(114b)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파이프(200)가 끼워지는 삽입공(131)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파이프(200)의 단부가 걸리는 파이프걸림턱(132)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장착부품(300)의 단부가 걸리는 부품걸림턱(133)이 형성된 연결끼움부싱(130)이 포함되며;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걸림마감부(113)에 연이어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결합요홈(114)을 갖는 연결부싱부(115)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싱부(115)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끼움부싱(130) 및 마감부재(110)에 끼워지는 장착부품(300)의 단부가 걸리는 부품걸림턱(116)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외주면에 다수의 밀착걸림쐐기(111b)가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외주연에 다수의 엠보싱쐐기(111c)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구 홀(111d)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홀(111d)에는 구형상의 금속재질인 쐐기볼(111e)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끼움부싱(130)의 삽입공(131) 내주면에는 쐐기요홈(131a)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10)의 구성요소인 포개진 단위조립편(110')의 끼움결합부(111) 및 걸림마감부(113)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결합돌조(114d)와 돌조끼움홈(114e)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1020080124488A 2008-12-09 2008-12-09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101160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488A KR101160522B1 (ko) 2008-12-09 2008-12-09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488A KR101160522B1 (ko) 2008-12-09 2008-12-09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02A true KR20100065902A (ko) 2010-06-17
KR101160522B1 KR101160522B1 (ko) 2012-07-03

Family

ID=4236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488A KR101160522B1 (ko) 2008-12-09 2008-12-09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11B1 (ko) * 2020-09-10 2020-11-19 김원도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3113A (ja) * 1997-11-21 1999-06-08 Nifco Inc クリップ
JP2000062377A (ja) * 1998-08-17 2000-02-29 Yutaka Ito 止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11B1 (ko) * 2020-09-10 2020-11-19 김원도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522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262B1 (ko) 고정구
EP1861628B1 (en) T-bolt clamp quick attach latch
RU25560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делки кабел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онцовки и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абеля
JP4757870B2 (ja) ホース留め具
US6726417B2 (en) Clip
RU2372544C2 (ru) Сегментное замковое кольцо, соединение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этого соединения
WO2011089650A1 (ja) 締結部品及び締結構造
KR101850986B1 (ko) 풀림 방지 너트
US10221879B2 (en) Panel mount fastener having an outer sleeve with a collapsible end portion
KR20140008346A (ko) 관 조인트
KR101059518B1 (ko)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101845007B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101257766B1 (ko) 주름관 연결장치
JP6435231B2 (ja) 留め具
KR20100065902A (ko)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US200300227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n articulation pin for a chain particularly for bicycles
KR20160104443A (ko) 가구용 풀림방지 볼트
JP2005248981A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KR20140046297A (ko) 자석을 이용한 풀림방지 체결구
KR101915633B1 (ko) 풀림 방지 너트용 체결공구
KR200417340Y1 (ko) 커튼봉 고정구
JP6231506B2 (ja) アンカーボルト
JP200718505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00320515A (ja) 固定装置
KR101510059B1 (ko) 개량된 볼트가 결합한 앵커 볼트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608

Effective date: 201204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