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226B1 -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226B1
KR102145226B1 KR1020190159969A KR20190159969A KR102145226B1 KR 102145226 B1 KR102145226 B1 KR 102145226B1 KR 1020190159969 A KR1020190159969 A KR 1020190159969A KR 20190159969 A KR20190159969 A KR 20190159969A KR 102145226 B1 KR102145226 B1 KR 102145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portion
pressing
bracket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승
Original Assignee
서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승 filed Critical 서현승
Priority to KR102019015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는,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와, 강재보에 결합되며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용 브라켓을 포함하며, 강재보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와, 상부 플랜지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웨브부와, 웨브부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배관용 브라켓은, 웨브부의 외벽면에 연결되며, 하부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브라켓 프레임부와, 브라켓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웨브부의 내벽면에 연결되어 웨브부를 브라켓 프레임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지지용 가압부와, 브라켓 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자기력에 의해 브라켓 프레임부를 웨브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자기력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Supporting device of sprinkler pipe and installation method of sprinkler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현장의 오염 없이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소화 설비인 스프링클러 설비는 통상 실내의 천장에 위치하면서 화재로 인한 실내온도 상승에 반응하여 합금편이 용융되고 개방하여 화염에 물을 분사하는 자동 소화 설비로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과 동시에 소화용수의 분무가 시작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설비는 초기화재 진압에 적합하고, 소화약제가 물이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감지부가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오동작이 적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설비는 조작이 쉽고 안전하며 자동적으로 화재의 감지 및 소화를 시작하므로, 실내 거주 인원이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인 화재진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고층빌딩 등에 설치되는 화재진압용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 천장 부위에서 고압의 물을 급수하여 살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보통 천장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주배관(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러한 주배관에 다수의 가지배관(분기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교차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주배관, 가지배관, 연결관은 천정 슬래브에 설치된 행거를 통해 지지되는데, 이러한 행거는 천정 슬래브의 콘크리트층에 앵커볼트로 고정된다.
그런데, 행거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 시공은 천정 슬래브를 천공하는 천공작업을 수반하게 되고, 이러한 천공 작업에 의해 많은 분진이 발생되어 작업 현장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3149호(2007.06.2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 분진 등을 발생시키는 천정 슬래브 천공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 현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 및 상기 강재보에 결합되며,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용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강재보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 상기 상부 플랜지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웨브부; 및 상기 웨브부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용 브라켓은, 상기 웨브부의 외벽면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브라켓 프레임부;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웨브부의 내벽면에 연결되어 상기 웨브부를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지지용 가압부; 및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자기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를 상기 웨브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자기력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하부벽부;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웨브부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1 프레임 측벽부;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부벽부; 상기 프레임 상부벽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 측벽부;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와 상기 제2 프레임 측벽부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와 상기 프레임 상부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격벽부; 및 상기 프레임 상부벽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용 가압부의 회동 축심인 회동 중심축을 지지하는 중심축 마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부벽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에 연결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웨브부에서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벽부; 및 상기 경사벽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측벽부에 연결되는 상단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가압부는, 상기 회동 중심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 및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를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는,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가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록 몸체; 및 상기 블록 몸체의 내벽면에 지지되고 상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이동 플레트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력 가압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와의 사이에 장착 슬롯을 형성하는 장착용 포켓부; 및 상기 장착 슬롯에 삽입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벽부에는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 몸체의 하부면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장홀을 관통하는 나사봉부가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나사봉부에 치합되고 상기 상단벽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용 가압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핑용 나비너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용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클램핑하는 배관 클램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클램핑부는,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와 프레임 격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부 클램핑 블록부; 상기 하부 클램핑 블록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부; 상기 하부 클램핑 블록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부에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클램핑 블록부;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 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클램핑 블록부를 상기 하부 클램핑 블록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클램핑용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에 결합되어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용 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를 위해 천정 슬래브를 천공할 필요가 없어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 의 배관용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에 스프링클러용 배관이 지지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의 배관용 브라켓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스토핑용 나비너트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의 배관용 브라켓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 의 배관용 브라켓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에 스프링클러용 배관이 지지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에서 가로 방향은 X로 세로 방향은 Y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10)와, 강재보(10)에 결합되며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하는 배관용 브라켓(100)을 포함한다.
강재보(10)는, 도 1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11)와, 상부 플랜지부(11)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웨브부(12)와, 웨브부(12)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플랜지부(11)와 웨브부(1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부 플랜지부(13)는 웨브부(12)에 용접결합된다. 이러한 하부 플랜지부(13)에는 체결용 볼트(G)가 관통하는 체결홀(13a)이 형성된다.
상술한 한 쌍의 웨브부(12)와 하부 플랜지부(13)에 의해 상측으로 개구된 절개홈(1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개홈(14)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보(10)에 배관용 브라켓(100)이 장착된 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강재보(10)와 콘크리트가 합성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재보(10)는 자기력에 반응할 수 있는 철재질로 마련된다.
배관용 브라켓(100)은 강재보(10)에 결합된다. 이러한 배관용 브라켓(100)은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브라켓(100)은, 도 2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부(12)의 외벽면에 연결되며 하부 플랜지부(13)에 체결되는 브라켓 프레임부(110)와, 브라켓 프레임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웨브부(12)의 내벽면에 연결되어 웨브부(12)를 브라켓 프레임부(110) 방향으로 가압하는 지지용 가압부(120)와, 브라켓 프레임부(110)에 지지되며 자기력에 의해 브라켓 프레임부(110)를 웨브부(12) 방향으로 가압하는 자기력 가압부(130)를 포함한다.
브라켓 프레임부(110)는 웨브부(12)의 외벽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브라켓 프레임부(110)는 하부 플랜지부(1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프레임부(11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부(13)가 삽입되는 끼움홈(111a)이 형성되는 프레임 하부벽부(111)와, 프레임 하부벽부(111)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마련되며 웨브부(12)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1 프레임 측벽부(112)와, 제1 프레임 측벽부(112)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프레임 하부벽부(111)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부벽부(113)와, 프레임 상부벽부(113)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마련되며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 측벽부(116)와, 제1 프레임 측벽부(112)와 제2 프레임 측벽부(116)에 연결되며 프레임 하부벽부(111)와 프레임 상부벽부(113)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격벽부(117)와, 프레임 상부벽부(113)에 연결되며 지지용 가압부(120)의 회동 축심인 회동 중심축(119)을 지지하는 중심축 마운트부(118)를 포함한다.
프레임 하부벽부(11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프레임 하부벽부(111)에는 하부 플랜지부(13)의 말단부 영역이 삽입되는 끼움홈(111a)이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 하부벽부(111)에는 상술한 체결용 볼트(G)에 치합되는 체결용 나사공(11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체결용 볼트(G)가 하부 플랜지부(13)의 체결홀(13a)을 관통하여 프레임 하부벽부(111)의 체결용 나사공(111b)에 치합됨으로써, 프레임 하부벽부(111)가 하부 플랜지부(13)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측벽부(11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1 프레임 측벽부(112)는 프레임 하부벽부(111)에서 절곡되며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측벽부(112)는 웨브부(12)의 외벽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프레임 상부벽부(11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프레임 상부벽부(113)는 제1 프레임 측벽부(112)에서 절곡되어 형성되어 프레임 하부벽부(111)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상부벽부(113)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측벽부(112)에 연결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웨브부(12)에서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벽부(114)와, 경사벽부(114)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 프레임 측벽부(116)에 연결되는 상단벽부(115)를 포함한다.
경사벽부(114)는 제1 프레임 측벽부(112)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사벽부(114)는 상측으로 갈수록 웨브부(12)에서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단벽부(115)는 경사벽부(114)에서 절곡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단벽부(115)는 제2 프레임 측벽부(116)에 연결된다.
제2 프레임 측벽부(116)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 프레임 측벽부(116)는 상단벽부(115)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연결된다.
중심축 마운트부(118)는 프레임 상부벽부(113)에 연결된다. 이러한 중심축 마운트부(118)에는 지지용 가압부(120)의 회동 축심인 회동 중심축(119)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 중심축(119)은 프레임 하부벽부(111)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지지용 가압부(120)는 브라켓 프레임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용 가압부(120)는 웨브부(12)의 내벽면에 연결되어 웨브부(12)를 브라켓 프레임부(110) 방향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용 가압부(120)는 하부 플랜지부(13)에 체결된 프레임 하부벽부(111)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용 가압부(120)가 프레임 하부벽부(111)보다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웨브부(12)를 브라켓 프레임부(110) 방향으로 가압하는 작용에 의해 제1 프레임 측벽부(112)의 상측 부분이 웨브부(12)의 외벽면에 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과도한 응력이 인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프레임 하부벽부(111)를 하부 플랜지부(13)에 체결하는 체결용 볼트(G)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용 브라켓(100)의 무게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위치하므로, 배관용 브라켓(100)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moment)에 의해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과도한 굽힘 응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과도한 응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 하부벽부(111)보다 상측에 배치된 지지용 가압부(120)가 웨브부(12)를 브라켓 프레임부(110)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에 대한 반작용으로 회동 중심축(119)에서 웨브부(12)의 상측 부분을 향하여 반력이 인가된다. 이러한 반력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는 배관용 브라켓(100)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와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반력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 배관용 브라켓(100)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가 상쇄되고, 그에 따라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과도한 굽힘 응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용 가압부(120)는, 도 2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중심축(119)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와,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와,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에 연결되고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의 이동을 안내하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를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126)를 포함한다.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는 회동 중심축(119)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126)는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에 연결되고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126)는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를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126)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가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록 몸체(127)와, 블록 몸체(127)의 내벽면에 지지되고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에 연결되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이동 플레트용 탄성체(128)를 포함한다.
블록 몸체(127)는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블록 몸체(127)의 일측 외벽에는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몸체(127)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블록 몸체(127)의 내벽면을 따라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가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러한 블록 몸체(127)에는, 블록 몸체(127)의 내벽면에 결합되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몸체(127)의 타측 외벽에는 블록 몸체(127)의 중공된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관통공(127a)이 형성된다.
이동 플레트용 탄성체(128)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플레트용 탄성체(128)의 일단부는 블록 몸체(127)의 내벽면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에 연결된다.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는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는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몸체(127)의 내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블록(123)과, 슬라이딩 블록(123)에 연결되고 블록 몸체(127)에 형성된 관통공(127a)을 관통하는 이동 플레이트용 가로 몸체(124)와, 이동 플레이트용 가로 몸체(124)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동 플레이트용 세로 몸체(125)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블록(123)은 블록 몸체(127)의 내부에 배치되어 블록 몸체(127)의 내벽면에 가이드되어 이동한다.
이동 플레이트용 가로 몸체(124)는 슬라이딩 블록(123)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 플레이트용 가로 몸체(124)는, 지지용 가압부(120)가 웨브부(12)를 브라켓 프레임부(110) 방향으로 가압 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부(11)에 접촉된다.
이동 플레이트용 세로 몸체(125)는 이동 플레이트용 가로 몸체(124)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 플레이트용 세로 몸체(125)는 지지용 가압부(120)가 웨브부(12)를 브라켓 프레임부(110) 방향으로 가압 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부(12)의 내벽면에 접촉된다.
한편, 자기력 가압부(130)는 브라켓 프레임부(110)에 지지된다. 이러한 자기력 가압부(130)는 자기력에 의해 브라켓 프레임부(110)를 웨브부(12) 방향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 가압부(130)는, 도 2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측벽부(112)의 내벽면에 결합되며 제1 프레임 측벽부(112)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장착 슬롯(134)을 형성하는 장착용 포켓부(131)와, 장착 슬롯(134)에 삽입되는 자성체(135)를 포함한다.
장착용 포켓부(131)는 제1 프레임 측벽부(112)의 내벽면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장착용 가로 플레이트(132)와, 가로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제1 프레임 측벽부(11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장착용 세로 플레이트(1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용 세로 플레이트(133)는 제1 프레임 측벽부(112)와의 사이에 자성체(135)가 삽입되는 장착 슬롯(134)을 형성한다.
자성체(135)는 장착 슬롯(134)에 삽입되어 장착용 가로 플레이트(132)에 지지된다. 이러한 자성체(135)는 자기력에 의해 철 재질의 웨브부(12)에 인력을 인가함으로써, 제1 프레임 측벽부(112)를 웨브부(12)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자성체(135)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하부벽부(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프레임 측벽부(112)를 웨브부(12)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술한 지지용 가압부(120)와 마찬가지로 배관용 브라켓(100)의 하중에 의해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인가되는 모멘트와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를 발생시켜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과도한 굽힘 응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 하부벽부(111)의 끼움홈(111a)에 하부 플랜지부(13)의 말단부 영역을 삽입한 상태에서 배관용 브라켓(100)을 강재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프레임 하부벽부(111)의 체결용 나사공(111b)과 하부 플랜지부(13)의 체결홀(13a)을 일치시킨다.
이후, 체결용 볼트(G)를 체결용 나사공(111b)에 치합시켜 프레임 하부벽부(111)를 하부 플랜지부(13)에 체결한다.
다음,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를 회동 중심축(119)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지지용 가압부(120)를 회동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용 세로 몸체(125)가 웨브부(12)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데크 플레이트(W)를 강재보(10) 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강재보(10)의 절개홈(1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강재보(10)와 배관용 브라켓(100)을 결합한다.
다음,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프레임 상부벽부(113)와 프레임 격벽부(117)의 사이 및 프레임 격벽부(117)와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끼워 넣은 후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프레임 격벽부(117)와 프레임 하부벽부(111) 상에 내려놓아 스프링클러용 배관(P)이 프레임 격벽부(117)와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지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용 배관(P)이 프레임 격벽부(117)와 프레임 하부벽부(111) 각각에 지지되는데, 이와 달리 어느 하나 상에만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통신용 배관(미도시) 또는 전기설비용 배관(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는,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10)에 결합되어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하는 배관용 브라켓(100)을 구비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설치를 위해 천정 슬래브를 천공할 필요가 없어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의 배관용 브라켓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스토핑용 나비너트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배관용 브라켓의 일부 구성과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를 더 구비하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배관용 브라켓의 일부 구성과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단벽부(115)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홀(H)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블록 몸체(127)의 하부면에는 장홀(H)을 관통하는 나사봉부(K)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나사봉부(K)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마련되며, 나사봉부(K)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는, 나사봉부(K)에 결합되고 상단벽부(115)에 연결되어 지지용 가압부(1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에는 내주면에 나사봉부(K)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토핑용 나사공(24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는 블록 몸체(127)의 회동에 의해 나사봉부(K)가 장홀(H)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봉부(K)에 결합된다. 작업자가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는 회전시키면,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는 나사봉부(K)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벽부(115)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가 상단벽부(115)에 연결된 상태(도 6 참조)에서는, 지지용 가압부(120)가 회동 중심축(119)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려고 해도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가 장홀(H)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지지용 가압부(120)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는, 상단벽부(115)에 연결되어 지지용 가압부(1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를 구비함으로써, 지지용 가압부(120)의 회동에 의해 지지용 가압부(120)의 웨브부(1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의 배관용 브라켓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배관 클램핑부(350)를 더 구비하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배관 클램핑부(3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브라켓은, 브라켓 프레임부(110)에 지지되며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클램핑하는 배관 클램핑부(350)를 구비한다. 도 8에는 배관 클램핑부(350)가 프레임 하부벽부(111)와 프레임 격벽부(117) 각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프레임 하부벽부(111)와 프레임 격벽부(117)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클램핑부(350)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하부벽부(111)와 프레임 격벽부(117)에 결합되는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와,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에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부(352)와,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의 상측에 배치되며 가이드 샤프트부(352)에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와, 가이드 샤프트부(352)에 지지되고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에 연결되며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를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클램핑용 탄성체(354)를 포함한다.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는 프레임 하부벽부(111)와 프레임 격벽부(117) 각각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는 사각의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의 상부면에는 스프링클러용 배관(P)이 삽입되는 오목홈(R)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와 같은 방진재질로 마련된다.
가이드 샤프트부(352)는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 샤프트부(352)는, 하단부가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에 고정되며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의 상면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몸체(352a)와, 샤프트 몸체(352a)에 결합되며 샤프트 몸체(352a)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헤드(352b)를 포함한다.
샤프트 몸체(352a)는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의 상면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샤프트 몸체(352a)의 하단부는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에 고정된다.
샤프트 헤드(352b)는 샤프트 몸체(352a)에 결합된다. 이러한 샤프트 헤드(352b)는 샤프트 몸체(352a)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샤프트 헤드(352b)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의 샤프트 헤드(352b)는 샤프트 몸체(352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 샤프트부(35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는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는 사각의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의 하부면에는 스프링클러용 배관(P)이 삽입되는 오목홈(R)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에는 샤프트 몸체(352a)가 관통하는 가이드공(353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는 샤프트 몸체(352a)에 안내되어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러한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와 같은 방진재질로 마련된다.
클램핑용 탄성체(354)는 가이드 샤프트부(352)의 샤프트 헤드(352b)에 지지되고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에 연결된다. 이러한 클램핑용 탄성체(354)는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를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는,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클램핑하는 배관 클램핑부(350)를 구비함으로써, 스프링클러용 배관(P)에서 수격작용 등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클램핑부(350)는,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를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클램핑용 탄성체(354)를 구비함으로써, 빠르고 간편하게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클램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강재보 11: 상부 플랜지부
12: 웨브부 13: 하부 플랜지부
100: 배관용 브라켓 110: 브라켓 프레임부
111: 프레임 하부벽부 112: 제1 프레임 측벽부
113: 프레임 상부벽부 114: 경사벽부
115: 상단벽부 116: 제2 프레임 측벽부
117: 프레임 격벽부 118: 중심축 마운트부
119: 회동 중심축 120: 지지용 가압부
121: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 122: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
126: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 127: 블록 몸체
128: 이동 플레트용 탄성체 130: 자기력 가압부
131: 장착용 포켓부 134: 장착 슬롯
135: 자성체 240: 스토핑용 나비너트부
350: 배관 클램핑부 351: 하부 클램핑 블록부
352: 가이드 샤프트부 353: 상부 클램핑 블록부
354: 클램핑용 탄성체 H: 장홀
K: 나사봉부 P: 스프링클러용 배관

Claims (4)

  1. 건축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10); 및
    상기 강재보(10)에 결합되며,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지지하는 배관용 브라켓(100)을 포함하며,
    상기 강재보(10)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11);
    상기 상부 플랜지부(11)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웨브부(12); 및
    상기 웨브부(12)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13)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용 브라켓(100)은,
    상기 웨브부(12)의 외벽면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부(13)에 체결되는 브라켓 프레임부(110);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웨브부(12)의 내벽면에 연결되어 상기 웨브부(12)를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0) 방향으로 가압하는 지지용 가압부(120); 및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0)에 지지되며, 자기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0)를 상기 웨브부(12) 방향으로 가압하는 자기력 가압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0)는,
    상기 하부 플랜지부(13)가 삽입되는 끼움홈(111a)이 형성되는 프레임 하부벽부(111);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111)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웨브부(12)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제1 프레임 측벽부(112);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112)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111)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부벽부(113);
    상기 프레임 상부벽부(113)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111)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 측벽부(116);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112)와 상기 제2 프레임 측벽부(116)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111)와 상기 프레임 상부벽부(113)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격벽부(117); 및
    상기 프레임 상부벽부(113)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용 가압부(120)의 회동 축심인 회동 중심축(119)을 지지하는 중심축 마운트부(118)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상부벽부(113)는,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112)에 연결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웨브부(12)에서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벽부(114); 및
    상기 경사벽부(114)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측벽부(116)에 연결되는 상단벽부(115)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용 가압부(120)는,
    상기 회동 중심축(119)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 및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를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126)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용 가이드 블록부(126)는,
    상기 가압용 고정 플레이트부(121)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어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가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록 몸체(127); 및
    상기 블록 몸체(127)의 내벽면에 지지되고 상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용 이동 플레이트부(12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이동 플레트용 탄성체(128)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력 가압부(130)는,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112)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측벽부(112)와의 사이에 장착 슬롯(134)을 형성하는 장착용 포켓부(131); 및
    상기 장착 슬롯(134)에 삽입되는 자성체(135)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벽부(115)에는 장홀(H)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 몸체(127)의 하부면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장홀(H)을 관통하는 나사봉부(K)가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나사봉부(K)에 치합되고 상기 상단벽부(115)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용 가압부(1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핑용 나비너트부(240)를 더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브라켓(100)은,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0)에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클러용 배관(P)을 클램핑하는 배관 클램핑부(3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관 클램핑부(350)는,
    상기 프레임 하부벽부(111)와 프레임 격벽부(1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
    상기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에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부(352);
    상기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부(352)에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부(352)에 지지되고 상기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클램핑 블록부(353)를 상기 하부 클램핑 블록부(35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클램핑용 탄성체(354)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KR1020190159969A 2019-12-04 2019-12-04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KR102145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69A KR102145226B1 (ko) 2019-12-04 2019-12-04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69A KR102145226B1 (ko) 2019-12-04 2019-12-04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226B1 true KR102145226B1 (ko) 2020-08-18

Family

ID=7226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969A KR102145226B1 (ko) 2019-12-04 2019-12-04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464B1 (ko) * 2022-05-25 2023-07-05 주식회사 선이엔지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635B1 (ko) * 2004-01-08 2006-07-19 송영우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KR100733149B1 (ko) 2007-01-31 2007-06-28 (주)설화엔지니어링 건축천정 설비배관 매달기 레벨조정장치
JP4584891B2 (ja) * 2006-09-29 2010-11-24 未来工業株式会社 配設体、及び配設体の取り付け方法
KR101422086B1 (ko) * 2012-04-16 2014-07-23 임영순 소방 스프링클러를 고정하는 센터 브라켓
KR101778487B1 (ko) * 2017-01-17 2017-09-26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KR101966663B1 (ko) * 2011-08-24 2019-04-09 빅톨릭 컴패니 브라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635B1 (ko) * 2004-01-08 2006-07-19 송영우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JP4584891B2 (ja) * 2006-09-29 2010-11-24 未来工業株式会社 配設体、及び配設体の取り付け方法
KR100733149B1 (ko) 2007-01-31 2007-06-28 (주)설화엔지니어링 건축천정 설비배관 매달기 레벨조정장치
KR101966663B1 (ko) * 2011-08-24 2019-04-09 빅톨릭 컴패니 브라킷
KR101422086B1 (ko) * 2012-04-16 2014-07-23 임영순 소방 스프링클러를 고정하는 센터 브라켓
KR101778487B1 (ko) * 2017-01-17 2017-09-26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464B1 (ko) * 2022-05-25 2023-07-05 주식회사 선이엔지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0700B (zh) 支座
US10016644B2 (en)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KR101759163B1 (ko)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US9206927B2 (en) Utility conduit suppor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145226B1 (ko)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KR101778487B1 (ko)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KR102340752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1814376B1 (ko)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JP2012207476A (ja) 仮設ガイドレール用固定装置
JP6349207B2 (ja) バルコニーの耐火構造
JP6180556B2 (ja) 配管支持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支持方法
KR102117113B1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102163929B1 (ko) 소방설비 시공방법
KR200402042Y1 (ko) 스프링클러설비의 신축배관 설치높이장치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200314392Y1 (ko) 스프링클러 플렉시블 죠인트용 고정장치
JPH09126542A (ja)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200350019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JPH11151319A (ja) 住戸内スプリンクラー設備におけ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取付け構造
JP6934775B2 (ja) 消火栓装置及び消火器箱
KR101006190B1 (ko) 레버형 사각바 조립클립
JPH0748277Y2 (ja) 梁下壁間のダクト等の貫通部構造
JP7024627B2 (ja) スプリンクラー用継手ユニット
JP2011202408A (ja) 壁施工方法
JP2831341B2 (ja) 天井埋め込み式エアコンなどの吊り下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