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019Y1 -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019Y1
KR200350019Y1 KR20-2004-0004886U KR20040004886U KR200350019Y1 KR 200350019 Y1 KR200350019 Y1 KR 200350019Y1 KR 20040004886 U KR20040004886 U KR 20040004886U KR 200350019 Y1 KR200350019 Y1 KR 200350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bracket
bolt
piece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조
김문규
Original Assignee
김문규
황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규, 황순조 filed Critical 김문규
Priority to KR20-2004-0004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천정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에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된 장공과 앙카볼트를 끼울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공을 갖는 상부지지판 및 하단에 조절볼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너트편이 형성된 하부지지판으로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지지판이 끼워지도록 절곡된 가이드홈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너트편과 동일 수직선상의 하단 중앙부에 돌출된 고정편이 형성된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끼움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측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레듀샤와; 상기 가이드관의 고정편과 브라켓의 너트편에 끼워져 가이드관을 승하강토록 하여 레두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천정에 설치되는 소화배관과 스프링클러를 연결하는 레듀샤와 높이조절장치를 결합하여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레듀샤의 높이를 간단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된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The system control level Connection nine of springkler}
본 고안은 건물 천정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가 천정으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밀착되도록 설치하기 위해 마감재 상면에 위치되고 소화수 배관과 연결되는 레듀샤에 높이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스프링클러 설치시 천정마감재와의 높이를 간단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이나 대형건물에는 화재시 초기진압을 위해 천정에 소화설비를 설치하고 있으나 그중 가장많이 설치되고 있는 것이 스프링클러이다. 스프링클러는 화염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 스프링클러 헤드의 가용부(可溶部)가 이를 감지하여 용해 또는 파열됨으로서 배관 속에 상시 가압되어 있는 물을 살수하여 소화(消火)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고층건물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장의 마감재 상부와 천정 사이에 소화수배관을 설치하고 소화수배관 일측단부와 스프링클러를 연결하는 레듀샤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소화수 배관 단부에 레듀샤를 설치한 후에는 천정에 마감재 공사후 스프링클러를 마감재 외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소화수의 배관이 천정으로부터 크게 이격되면 마감재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가 마감재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설치되며, 소화수 배관이 천정에 너무 근접 설치되면 스프링클러가 마감재를 뚫고 들어가 내측에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는 관계로 스프링클러 시공시 레듀샤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설치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시 레듀샤를 해체한 후 적당한 간격이 되도록 배관 또는 레듀샤 위치를 조절한 후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함으로서 스프링클러 설치작업이 지연되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고층건물의 천정 마감부재에 스프링클러 설치시 상부에 소화수배관과 연결된 레듀샤의 높이 위치가 잘못되었을 경우 일측에 결합된 높이조절장치의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레듀샤의 위치를 교정함으로서 스프링클러가 천정의 마감재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밀착 설치되도록 함으로 스프링클러 시공의 간편성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목적으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는 브라켓의 상부지지판은 천정에 고정하고 하부지지판은 가이드관에 끼워져 조절볼트의 조작에 따라서 가이드관에 고정된 레듀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천정의 마감재 외면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를 밀착 시공할 수 있도록 된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레듀샤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례듀샤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정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높이조절장치 10:브라켓
11:상부지지편 12:하부지지편
13:너트편 14:장공
15:볼트공 16:침돌기
17:절결부 20:가이드관
21,21':가이드홈 22:고정편
23:끼움공 24,24':와셔
30:레듀샤 31,31':고정돌기
32:스프링 40:조절볼트
41:앙카볼트 42:스프링클러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면에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공(14)과 앙카볼트를 끼울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공(15)을 갖는 상부지지편(11) 및 하단에 조절볼트(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너트편(13)이 형성된 하부지지편(12)으로 이루어진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하부지지편(12)이 끼워지도록 절곡된 가이드홈(21)과 상기 하부지지편(12)의 너트편(13)과 동일 수직선상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편(22)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관(20)과;
상기 가이드관(20)의 끼움공(23)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측에 고정돌기(31)가 형성된 레듀샤(30)와;
상기 가이드관(20)의 고정편(22)과 브라켓(10)의 너트편(13)에 끼워져 가이드관(20)을 승하강토록 하여 레두샤(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볼트(40)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장치(1)의 구성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부지지편(11)에 다수의 침돌기(16)가 형성되어 앙카볼트(41)로 천정에 고정시 회전되지 않고 밀착되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레듀샤(30) 일면에 가이드홈(21')과 볼트공을 갖는 고정돌기(31')를 형성하고, 브라켓(10)의 하부지지편(12)은 고정돌기(31')의 가이드 홈(21')이 끼워지도록 절결부(17)를 갖고 상기 절결부 상단에 너트편(13)이 형성되어 조절볼트(40)로 너트편(13)과 고정돌기(31') 볼트공에 결합시켜 레듀샤(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브라켓(10)의 너트편(13)과 레듀샤(30)의고정돌기(31')사이의 조절볼트(40)에 스프링(32)이 끼워져 브라켓과 레듀샤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부지지편(11)에 다수의 침돌기(16)가 형성되고 앙카볼트를 체결하는 수단이 장공(14) 하나만으로 이루어져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미설명 부호 50은 소화수 배관이고, 51은 브라켓이 설치되는 천정이며, 52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되는 마감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레듀샤(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천정에 설치된 소화배관(50) 일측 단부에 레듀샤(30)를 결합하되 레듀샤(30)의 일측에 외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1)는 가이드관(20)에 형성된 끼움공(23)에 끼워 고정되도록하고 가이드관(20)에 대응되는 레듀샤(3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용착한다.
상기 레듀샤에 고정된 가이드관의 양측에 절곡된 가이드홈(21)에 브라켓(10)의 하부지지편(11) 양측면이 끼워지도록한 후 조절볼트(40)로 가이드관의 고정편(22)과 하부지지편(12)의 너트편(13)이 연결되도록 끼워결합한다. 이때 가이드관(20)의 고정편(22) 상부에는 와셔(24)가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도1 및 도2와 같이 조절볼트(40)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와셔는 조절볼트에 유착된 되고 상부의 너트편은 조절볼트에 나사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레듀샤(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등으로 조절볼트(40)의 머리부를 돌리면 와셔가 끼워진 하단 고정편(22)측의 조절볼트(40) 부분은 공회전만하고 조절볼트(4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하부지지편(12)의너트편(13)은 조절볼트(40)와 나사결합 된 상태로서 조절볼트의 회전에 따라서 가이드관(20)이 승하강된다.
이때 브라켓(10)의 상부지지편(11)은 천정에 앙카볼트(41)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부지지편(11)과 일체로된 하부지지편(12)의 너트편(13)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이므로 너트편에 끼워진 조절볼트가 회전되면서 레듀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즉, 조절볼트(40)를 회전시키면 조절볼트가 너트편에 의해 승하강되므로 조절볼트에 끼워진 가이드관(20)의 고정편(22) 역시 조절볼트(40)를 따라서 승하강하 게되므로 가이드관(20)의 끼움공(23)에 고정돌기(31)가 고정된 레듀샤(30)가 조절볼트의 승하강에 따라서 승강 또는 하강되므로 레듀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상기 브라켓(10)의 상부지지편(11)은 중앙부에 장공(14)이 형성되어 브라켓을 위치 고정시 좌우로 이동조절할 수 있게되므로 레듀샤(3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한 후 장공(14)에 앙카볼트(41)를 고정하게 되므로 소화수 배관(50) 단부에 결합되는 레듀샤의 위치와 브라켓의 거리를 갖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부지지편(11)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침돌기(16)가 형성되어 앙카볼트로 브라켓(10)을 천정(51)에 고정시 회전되지 않고 밀착력을 증진시켜 차후 레듀샤(30) 저부에 스프링클러(42)를 연결하여 회전시킬 때 높이조절장치(1)인 브라켓(10)이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천정(51)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스프링클러(42)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부지지편(11)의 장공(14) 일측에는 2개의 볼트공(15)이 형성되어 브라켓을 고정시 장공(14)을 이용하여 레듀샤의 좌우 위치를 정한 후 장공을 통하여 앙카볼트(41)를 천정(51)에 고정하고 다시 일측의 2개의 볼트공(15)에 앙카볼트(41)를 체결함으로서 앙카볼트의 체결형상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브라켓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참고로 볼트의 결합방법은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되도록 체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체결방법이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의 높이 조절장치(1)는 천정의 마감재(52) 상부에 위치되어 마감재(52)를 설치후에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되며 스프링클러(42)는 마감재(52)의 외부에서 레듀샤(30)에 결합되며 마감재(52)와 스프링클러(42)의 간격은 드라이버등으로 조절볼트(40)를 조작하여 간격이 넓을 경우 조절볼트를 조이면 하부지지편에 끼워진 가이드관(20)이 승하강되므로 가이드관에 고정된 레듀샤가 상부로 승강되어 스프링클러(42)가 마감재(52)에 밀착되도록 하고, 간격이 너무 좁을 경우에는 조절볼트를 풀면 가이드관이 브라켓의 하부지지편(12)을 따라서 하강함으로 가인드관에 고정된 레듀샤가 하강되어 스프링클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3과 같이 브라켓(10)의 하부지지편(12)에 절결부(17)를 형성하고 절결부 상단에는 너트편(13)을 형성하며, 레듀사 일측면에 가이드홈(21')과 볼크공을 갖는 고정돌기(31')를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돌기(31')의 가이드홈(21')에 브라켓의 하부지지편(12)의 절결부(17)가 끼워지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레듀샤(30)의 고정돌기(31') 가이드홈(21') )에 하부지지편(12)의 절결부(17)가 끼워지도록한 후에는 조절볼트(40)를 고정돌기(31')의 볼트공(15)에 끼운후 다시 스프링(32)을 끼우고 하부지지편(12)의 너트편(13)에 결합하면 고정돌기(31')와 너트편(13) 사이의 조절볼트(40)에 스프링(32)이 끼워져 고정돌기와 너트편을 스프링(32)의 탄발력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에 브라켓과 레듀샤는 흔들거리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레듀샤를 하부지지편의 절결부에 직접 결합시킨 후 레듀샤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고정돌기와 너트편(13)을 결합한 조절볼트(40)를 회전시키면 레듀샤의 고정돌기는 조절볼트에 의해 회전하려는 작용이 발생되나 고정돌기의 양측 가이드홈(21')에 하부지지편의 절결부(17) 양측면이 끼워진 상태이므로 고정돌기는 하부지지편의 절결부를 따라서 회전운동에서 직선운동을하게 됨으로 조절볼트의 회전에 따라서 레듀샤는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도3과 같은 높이 조절장치는 도1에서 사용되는 가이드관이 필요없게 되므로 재료비의 절감을 갖는 동시에 구성부품을 간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의 하부지지편(12)의 너트편(13)과 레듀샤의 고정돌기(31')사이의 조절볼트(40)에는 스프링(32)이 끼워져 조절볼트를 조작시 유격에 의하여 흔들거리지 않고 스프링의 지지력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레듀샤를 승하강 시킬 수 있게되므로 조작시 유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절볼트의 간단한 조작으로서 레듀샤의 설치높이를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조절하여 천정의 마감재에 스프링클러를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소화수 배관과 스프링클러를 연결하는 레듀샤와 높이조절장치를 결합하여 높이조절장치의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레듀샤의 높이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서 천정의 마감재에 스프링클러를 밀착 설치 함과 동시에 스프링클러 설치작업시 레듀샤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여 마감재와 소화수 배관의 연결부를 해체한 후 다시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스프링클러 설치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스프링클러와 소화수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레듀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된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공(14)과 앙카볼트를 끼울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공(15)을 갖는 상부지지편(11) 및 하단에 조절볼트(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너트편(13)이 형성된 하부지지편(12)으로 이루어진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하부지지편(12)이 끼워지도록 절곡된 가이드홈(21)과 상기 하부지지편(12)의 너트편(13)과 동일 수직선상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편(22)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관(20)과;
    상기 가이드관(20)의 끼움공(23)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측에 고정돌기(31)가 형성된 레듀샤(30)와;
    상기 가이드관(20)의 고정편(22)과 브라켓(10)의 너트편(13)에 끼워져 가이드관(20)을 승하강토록 하여 레두샤(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볼트(40)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장치(1)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부지지편(11)에 다수의 침돌기(16)가 형성되어앙카볼트(41)로 천정에 고정시 회전되지 않고 밀착되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레듀샤(30) 일면에 가이드홈(21')과 볼트공을 갖는 고정돌기(31')를 형성하고, 브라켓(10)의 하부지지편(12)은 고정돌기(31')의 가이드홈(21')이 끼워지도록 절결부(17)를 갖고 상기 절결부 상단에 너트편(13)이 형성되어 조절볼트(40)로 너트편(13)과 고정돌기(31') 볼트공에 결합시켜 레듀샤(3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브라켓(10)의 너트편(13)과 레듀샤(30)의 고정돌기(31')사이의 조절볼트(40)에 스프링(32)이 끼워져 브라켓과 레듀샤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5. 제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부지지편(11)에 다수의 침돌기(16)가 형성되고 앙카볼트를 체결하는 수단이 장공(14) 하나만으로 이루어져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KR20-2004-0004886U 2004-02-24 2004-02-24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KR200350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86U KR200350019Y1 (ko) 2004-02-24 2004-02-24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86U KR200350019Y1 (ko) 2004-02-24 2004-02-24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019Y1 true KR200350019Y1 (ko) 2004-05-08

Family

ID=4942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886U KR200350019Y1 (ko) 2004-02-24 2004-02-24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0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46B1 (ko) * 2007-02-27 2008-04-16 동아금속주름관(주)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1647971B1 (ko) 2015-06-17 2016-08-19 김선학 소방용 스프링클러
KR101938499B1 (ko) 2017-12-19 2019-01-14 송완진 케이블 베어 활주용 가이드장치
KR102286566B1 (ko) * 2020-12-28 2021-08-05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소방용 스프링쿨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46B1 (ko) * 2007-02-27 2008-04-16 동아금속주름관(주)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1647971B1 (ko) 2015-06-17 2016-08-19 김선학 소방용 스프링클러
KR101938499B1 (ko) 2017-12-19 2019-01-14 송완진 케이블 베어 활주용 가이드장치
KR102286566B1 (ko) * 2020-12-28 2021-08-05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소방용 스프링쿨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634B2 (en) Decorative support panel
KR10228675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1814376B1 (ko)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KR101778487B1 (ko)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KR200350019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US20240060578A1 (en) Bracket assembly for fire sprinkler support assembly
KR101828250B1 (ko) 건물의 외벽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1994299B1 (ko)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결장치
KR200402042Y1 (ko) 스프링클러설비의 신축배관 설치높이장치
KR200329043Y1 (ko) 스프링클러헤드 고정 구조
KR20090008679U (ko) 소방쿨러 설치용 엘보브래킷 어셈블리
KR102484755B1 (ko)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0931113B1 (ko) 스프레이 장치
KR20080005578U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 구조
KR100822946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242899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20036080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케트
KR20110097372A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KR200274207Y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KR0150088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수평조절장치
WO2003076838A1 (en) Combined structure of sprinkler head for extinguishing a fire
KR101131300B1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2624402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JP6934775B2 (ja) 消火栓装置及び消火器箱
KR102006768B1 (ko) 스프링쿨러 헤드용 천장 처짐 방지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