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566B1 - 소방용 스프링쿨러 - Google Patents
소방용 스프링쿨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6566B1 KR102286566B1 KR1020200184860A KR20200184860A KR102286566B1 KR 102286566 B1 KR102286566 B1 KR 102286566B1 KR 1020200184860 A KR1020200184860 A KR 1020200184860A KR 20200184860 A KR20200184860 A KR 20200184860A KR 102286566 B1 KR102286566 B1 KR 1022865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fire
- reducer
- bracket
- figh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16L35/005—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는 층간 벽체와 마감 천장 사이에 설치되며, 주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주급수관(30)과 일단이 이음 연결되는 소방용 레듀샤(31);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관(32);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와 결합된 제1브라켓(40);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54); 및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에 체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용 스프링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벽체와 마감 천장 사이에 설치되며, 주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소방용 스프링쿨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 진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비록 소방차가 신속하게 출동하여 고가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고 하더라도, 화재가 번지기 전에 소방차가 출동하여 화재가 발생한 층까지 고가 사다리차를 운행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더욱이, 건물의 내부 깊숙한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불길을 진화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새로운 화재진압기구가 실용화되고 대중화되고 있다.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는 천장패널의 소정위치에 스프링쿨러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천장패널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스프링쿨러는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 발생으로 설정된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되어 건물 각 층의 천장에서 바닥 방향으로 높은 수압의 물을 살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쿨러 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일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먼저, 종래의 일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설치를 위해 주급수관(11), 분지급수관(12), 고정파이프(13), 및 연결파이프(14)가 층간 벽체(W)와 마감 천장(P)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급수관(11)은 외부로부터 천장(P) 내부로 급수를 공급하고, 분지급수관(12)은 주급수관(11)으로부터 공급된 급수를 이송한다. 고정파이프(13)는 분지급수관(12)의 하단에 연결파이프(14)를 결합시키며, 연결파이프(14)는 고정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스프링쿨러 헤드(15)가 마감 천장(P)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파이프(14)는 상단의 외주면과 하단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에는 고정파이프(3)가 나사결합 되도록 하고 하단에는 스프링쿨러 헤드(15)가 나사결합 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파이프(14)는 건축설계도에 따른 분지급수관(12)의 하단과 마감 천장(P) 사이의 높이(h)에 맞추어 이미 제작이 완료되어 있어, 현장에서 그대로 시공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실제 건축 현장에서는 분지급수관(12)의 하단과 마감 천장(P) 사이의 높이(h)가 건축설계도와 동일하지 않고 50mm 내외의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이때마다 공차범위에 맞추어 새로운 연결파이프를 절단한 후 나사 가공하여 재결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입주자가 마감 천장(P)에 인테리어 작업을 위해 판재(미도시) 등을 덧대는 경우, 이미 설치된 스프링쿨러 헤드(15)는 판재 등의 내측으로 묻혀버려 소방안전점검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이때마다 판재 등의 일부를 천공하고 새로운 연결파이프를 사용하여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반복적인 재시공에 의해 분지급수관(12)에 나사결합된 고정파이프(13)와 연결파이프(14)는 유격 및 마모가 생기기 쉬우며, 그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에, 시공회사에 따라 건물의 천장높이가 상이하여 스프링쿨러의 헤드를 마감 천장 높이에 맞추기 위한 종래의 다른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급수관(21), 중간이음관(22)과 소방용 레듀샤(23)를 층간 벽체(W)와 마감 천장(P) 사이에 차례로 연결 설치한다.
이때, 주급수관(21)과 소방용 레듀샤(23)의 사이에 연결된 중간이음관(22)은 주름관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중간이음관(22)의 양단은 소방용 레듀샤(23) 및 주급수관(21)의 내부에 각각 본드로 본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간이음관(22)을 주름관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하여 스프링쿨러의 헤드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주급수관(21)과 중간이음관(22)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질 경우 본드 성분이 높은 수압으로 인해서 벗겨져서 그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기도 하고, 차후에 중간이음관(22)을 교체하고자 할 때 본드로 본딩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14376 B1 (2017.12.27)호에서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가 조절될 때 높낮이 걸이(53)에 비틀림 하중이 가해져 높낮이 걸이(53)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가 조절될 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이 높은 소방용 스프링쿨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는 층간 벽체와 마감 천장 사이에 설치되며, 주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주급수관(30)과 일단이 이음 연결되는 소방용 레듀샤(31);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관(32);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와 결합된 제1브라켓(40);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54); 및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에 체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에 의하면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가 조절될 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단면도.
도 5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및 소방용 레듀샤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도.
도 6은 높낮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의 소방용 레듀샤와 높낮이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단면도.
도 5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및 소방용 레듀샤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도.
도 6은 높낮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의 소방용 레듀샤와 높낮이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는 층간 벽체와 마감 천장 사이에 설치되며, 주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주급수관(30)과 일단이 이음 연결되는 소방용 레듀샤(31);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관(32);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와 결합된 제1브라켓(40);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54); 및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에 체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50);을 포함하되,
상기 제1브라켓(40)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는 제1하부 지지부(40a)와,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상부 지지부(40c)와, 상기 제1하부 지지부(40a)와 상기 제1상부 지지부(40c)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기둥부(40b)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50)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하부 지지부(50a)와, 상기 소방용 레듀샤(31)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제2상부 지지부(50c)와, 상기 제2하부 지지부(50a)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50c)를 연결하는 제2기둥부(50b)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40)의 상기 제1하부 지지부(40a)와 상기 제2브라켓(50)의 상기 제2상부 지지부(50c)에는 동일한 크기의 다각형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 지지부(40a)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50c)에 동시에 체결되는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는 단면이 상기 다각형의 홀과 대응되는 다각형 모양으로 구성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들에는 상기 소방용 레듀사(31)의 내면에 밀착되는 패킹(34)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와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은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 상부에 형성된 제1볼트부(37)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높낮이 조절관(32) 하부 내주면의 제1너트부(36)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주급수관(30)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와 연통되도록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54)는 상기 제2브라켓(50)의 하부 지지부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어 있는 조절볼트(51)와, 상기 조절볼트(51)에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어 있는 조절너트(52)와, 일단이 상기 조절너트(52)에 접속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집게 형상의 구조를 갖고 헤드 높낮이 걸이(53)로 구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54)는,
상기 조절너트(5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를 포위하며,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에 연결되는 높낮이 브라켓(55)을 더 구비하며,
상기 패킹(34)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31)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딩 돌출부(55a)를 구비하며,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55a)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S3)을 형성하며,
높이방향으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과 대향하는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에 고정되는 탄성부(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은,
상기 탄성부(70)가 삽입되는 삽입홈(S2)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및 소방용 레듀샤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 6은 높낮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의 소방용 레듀샤와 높낮이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제1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소방용 스프링쿨러는, 층간 벽체(미도시)와 마감 천장(P)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30)과, 상기 주급수관(30)에서 공급된 소화수를 살수하도록 마감 천장(P)에 고정된 스프링쿨러 헤드(33)와, 상기 주급수관(30)과 일단이 직접 이음 연결되는 소방용 레듀샤(31)와,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관(32)과,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에 결합된 제1브라켓(40)과,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54)와,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5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주급수관(30)은 소방용 레듀샤(31)와 연통되도록 소방용 레듀샤(31)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주급수관(30)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는 소방용 레듀샤(31)와 높낮이 조절관(32)을 통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3)에 전달되어 분사된다.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와 높낮이 조절관(32)은 스프링쿨러 헤드(33) 상부에 형성된 제1볼트부(37)와 이에 대응되는 높낮이 조절관(32) 하부 내주면의 제1너트부(36)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상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들에는 각각 패킹(34)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패킹(34)들은 소방용 레듀샤(31)와 높낮이 조절관(32)을 통해 스프링쿨러 헤드(33)로 전달되는 소화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높낮이 조절관(32)과 소방용 레듀샤(31)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높낮이 조절관(32)은 스테인리스강(STS:Stainless steel)이나 황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은 시공회사에 따라 건물의 천장높이가 상이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3)를 마감 천장 높이에 맞추려고 할 때,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성한 것으로, 상기 높이 조절관(32)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은 높낮이 조절부(54)에서 수행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54)는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볼트(51)와 조절너트(52) 및 헤드 높낮이 걸이(53)로 구성되어 있다. 조절볼트(51)는 제2브라켓(50)의 하부 지지부(50a)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55)을 통해 삽입되어 있고, 조절너트(52)는 조절볼트(51)에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어 있고, 헤드 높낮이 걸이(53)는 일단이 조절너트(52)에 접속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집게 형상의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3과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40)은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는 제1하부 지지부(40a)와, 층간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상부 지지부(40b)와, 상기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1상부 지지부(40b)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기둥부(50c)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제2볼트부(42) 하부에 체결되는 것이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이 육각형 모양이므로,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에는 이에 대응되는 육각형 모양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브라켓(40)은 제1, 제2고정볼트(60, 61)에 의해서 층간 벽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50)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하부 지지부(50a)와, 소방용 레듀샤(31)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제2상부 지지부(50b)와, 상기 제2하부 지지부(50a)와 제2상부 지지부(50b)를 연결하는 제2기둥부(50c)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제2볼트부(42) 하부에 체결되는 것이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 즉 소방용 레듀샤(31)와 제2너트부(41) 사이에 마련되는 돌기(43)는 단면이 육각형 모양이므로,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에는 이에 대응되는 육각형 모양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브라켓(40)에 대해 소방용 레듀샤(31)의 결합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브라켓(40)이 층간 벽체에 결합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소방용 레듀샤(31)와 주급수관(3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소방용 레듀샤(31)의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제1브라켓(4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에 서로 대면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 즉 돌기(43)의 단면을 육각형 모양으로 구성한 것은 일 예일 뿐, 이에 국한 되지 않고 체결이 잘되는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에는 소방용 레듀샤(31)의 단면에 대응되는 다각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방용 레듀샤(31)는 상부에 돌출된 제2볼트부(42)와 이에 대응되는 제2너트부(41)의 상호 나사결합으로 제1브라켓(40)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높낮이 조절부(54)의 조절너트(52)를 조절볼트(5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진행되는 것으로, 조절너트(52)가 이동할 때 조절너트(52)의 일단과 높낮이 조절관(32)에 체결되어 있는 헤드 높낮이 걸이(53)가 함께 이동하면서 높낮이 조절관(3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제2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소방용 스프링쿨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와 비교할 때, 높낮이 조절관(32a) 상부의 패킹 및 그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 부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를 포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층간 벽체(미도시)와 마감 천장(P)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30)과, 상기 주급수관(30)에서 공급된 소화수를 살수하도록 마감 천장(P)에 고정된 스프링쿨러 헤드(33)와, 상기 주급수관(30)과 일단이 직접 이음 연결되고 제1브라켓(40)에 고정되는 소방용 레듀샤(31)와,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관(32a)과,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에 결합된 제1브라켓(40)과, 상기 높낮이 조절관(32a)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54)와,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5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주급수관(30)은 소방용 레듀샤(31)와 연통되도록 소방용 레듀샤(31)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급수관(30)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는 소방용 레듀샤(31)와 높낮이 조절관(32a)을 통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3)에 전달되어 분사된다.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와 높낮이 조절관(32a)은 스프링쿨러 헤드(33) 상부에 형성된 제1볼트부(37)와 이에 대응되는 높낮이 조절관(32a) 하부 내주면의 제1너트부(36)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관(32a)의 상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패킹(34a)들이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패킹(34a)들 사이 및 높이 조절관(32a) 상단 외주면에는 패킹(34a)들을 고정 시켜주기 위한 패킹 고정체(35)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패킹(34a)들은 소방용 레듀샤(31)와 높낮이 조절관(32a)을 통해 스프링쿨러 헤드(33)로 전달되는 소화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높낮이 조절관(32a)과 소방용 레듀샤(31)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은 스테인리스강(STS:Stainless steel)이나 황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관(32a)은 시공회사에 따라 건물의 천장높이가 상이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3)를 마감 천장 높이에 맞추려고 할 때,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성한 것으로, 상기 높이 조절관(32a)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은 높낮이 조절부(54)에서 수행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54)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볼트(51)와 조절너트(52) 및 헤드 높낮이 걸이(53)로 구성되어 있다. 조절볼트(51)는 제2브라켓(50)의 하부 지지부(50a)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55)을 통해 삽입되어 있고, 조절너트(52)는 조절볼트(51)에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어 있고, 헤드 높낮이 걸이(53)는 일단이 조절너트(52)에 접속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높낮이 조절관(32a)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집게 형상의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4와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40)은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는 제1하부 지지부(40a)와, 층간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상부 지지부(40b)와, 상기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1상부 지지부(40b)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기둥부(50c)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제2볼트부(42) 하부에 체결되는 것이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이 육각형 모양이므로,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에는 이에 대응되는 육각형 모양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브라켓(40)은 제1, 제2고정볼트(60, 61)에 의해서 층간 벽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50)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하부 지지부(50a)와, 소방용 레듀샤(31)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제2상부 지지부(50b)와, 상기 제2하부 지지부(50a)와 제2상부 지지부(50b)를 연결하는 제2기둥부(50c)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제2볼트부(42) 하부에 체결되는 것이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이 육각형 모양이므로,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에는 이에 대응되는 육각형 모양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에 서로 대면하고 있다.
이때,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을 육각형 모양으로 구성한 것은 일예일 뿐, 이에 국한 되지 않고 체결이 잘되는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에는 소방용 레듀샤(31)의 단면에 대응되는 다각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방용 레듀샤(31)는 상부에 돌출된 제2볼트부(42)와 이에 대응되는 제2너트부(41)의 상호 나사결합으로 제1브라켓(40)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높낮이 조절부(54)의 조절너트(52)를 조절볼트(5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진행되는 것으로, 조절너트(52)가 이동할 때 조절너트(52)의 일단과 높낮이 조절관(32a)에 체결되어 있는 헤드 높낮이 걸이(53)가 함께 이동하면서 높낮이 조절관(32a)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높낮이 조절관(32) 상부에 적어도 1개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패킹(34)들을 배치하여 고정시켰는데 비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높낮이 조절관(32a) 외측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패킹(34a)들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홈에 패킹(34)들을 배치하였으므로 별도로 패킹(34)을 고정하는 구성이 없었는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패킹(34a)들 사이에 패킹 고정체(35)들을 배치하여 패킹(34a)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상기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 및 높이 조절방법이 동일하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서, 소방용 레듀샤(31)에 구비되며, 주급수관(30)이 결합되는 결합구(31a)는 주급수관(30)을 향하여 단면이 확장되는 확관부(31b)를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소방용 레듀샤(31)와 주급수관(30)의 결합을 위해, 소방용 레듀샤(31)의 내면에 도포하는 접착제가 높낮이 조절관(32) 측으로 유입되어 높낮이 조절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소방용 레듀샤(31)의 내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주급수관(30)의 삽입과정에서 소방용 레듀샤(31)의 내측으로 밀리더라도 확관부(31b)에 의해 소방용 레듀샤(3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하여, 본 개시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서, 조절볼트(51)가 제2브라켓(50)과 소방용 레듀샤(3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므로, 층간 벽체(w)와 마감 천장(p)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물에 의해 조절볼트(51)의 승강이 방해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소방용 스프링쿨러의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7은 소방용 스프링쿨러를 높이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아래에서 설명될 높낮이 브라켓(55) 및 소방용 레듀샤(31)를 수평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유추 가능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겠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스프링쿨러의 높낮이 조절부(54)는 상기 조절너트(5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를 포위하며,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에 연결되는 높낮이 브라켓(5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은 상기 조절너트(52)와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조절너트(52)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외면을 포위하여 하중을 상기 소방용 레듀사(31)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은 상기 소방용 레듀사(31)와 접촉한 상태에서 높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은 상기 높낮이 조절관(32)를 지지하는 상기 높낮이 걸이(53)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상기 소방용 레듀사(31)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31)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딩 돌출부(55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는 외면에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55a)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S3)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은 상기 조절너트(52)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55a)가 상기 슬라이딩 홈(S3) 상에서 슬라이딩 된다는 점에서, 상기 소방용 레듀사(31)와 연결 관계를 유지하며 상기 소방용 레듀사(31)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킹(34)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34)이 배치되는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홈들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홈에 배치되는 상기 패킹(34)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이 높이방향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패킹(34)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방용 레듀사(31)와 비 접촉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이 상기 소방용 레듀사(31)와 부딪힌다는 점에서, 상기 패킹(34)은 지속적으로 상기 소방용 레듀사(31)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방용 스프링쿨러는 높이방향으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과 대향하는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에 고정되는 탄성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70)는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소방용 레듀사(31)에 부딪히기 전, 탄성력으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을 밀어낸다는 점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이 높이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은 상기 탄성부(70)가 삽입되는 삽입홈(S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에 대향하는 상기 탄성부(70)의 자유단이 상기 십입홈(S2)에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상기 높낮이 브라켓(55)에 대해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31: 소방용 레듀샤
32: 높낮이 조절관
40: 제1브라켓
54: 높낮이 조절부
50: 제2브라켓
32: 높낮이 조절관
40: 제1브라켓
54: 높낮이 조절부
50: 제2브라켓
Claims (1)
- 층간 벽체와 마감 천장 사이에 설치되며, 주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
를 살수시키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소방용 스프링쿨러에 있어서,
상기 주급수관과 일단이 이음 연결되는 소방용 레듀샤;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관;
상기 소방용 레듀샤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와 결합된 제1브라켓;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 및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에 체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는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1상부 지지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기둥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하부 지지부와, 상기 소방용 레듀샤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제2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2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기둥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상부 지지부에는 동일한 크기의 다각형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에 동시에 체결되는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상부는 단면이 상기 다각형의 홀과 대응되는 다각형 모양으로 구성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들에는 상기 소방용 레듀사의 내면에 밀착되는 패킹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와 상기 높낮이 조절관은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 상부에 형성된 제1볼트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높낮이 조절관 하부 내주면의 제1너트부 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주급수관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와 연통되도록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제2브라켓의 하부 지지부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어 있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어 있는 조절너트와, 일단이 상기 조절너트에 접속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집게 형상의 구조를 갖고 헤드 높낮이 걸이로 구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조절너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소방용 레듀샤를 포위하며, 상기 소방용 레듀샤에 연결되는 높낮이 브라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패킹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높낮이 브라켓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딩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방용 레듀샤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며,
높이방향으로 상기 높낮이 브라켓과 대향하는 상기 소방용 레듀샤에 고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조절너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높낮이 브라켓과 대향하는 상기 소방용 레듀샤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높낮이 브라켓이 높이방향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높낮이 브라켓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소방용 스프링쿨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860A KR102286566B1 (ko) | 2020-12-28 | 2020-12-28 | 소방용 스프링쿨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860A KR102286566B1 (ko) | 2020-12-28 | 2020-12-28 | 소방용 스프링쿨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6566B1 true KR102286566B1 (ko) | 2021-08-05 |
Family
ID=7731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4860A KR102286566B1 (ko) | 2020-12-28 | 2020-12-28 | 소방용 스프링쿨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656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70306A (zh) * | 2022-05-06 | 2022-08-09 | 北京泰和佳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柜式七氟丙烷灭火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0019Y1 (ko) * | 2004-02-24 | 2004-05-08 | 김문규 |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
KR101814376B1 (ko) * | 2017-02-14 | 2018-01-30 |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
-
2020
- 2020-12-28 KR KR1020200184860A patent/KR1022865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0019Y1 (ko) * | 2004-02-24 | 2004-05-08 | 김문규 |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높이 조절장치 |
KR101814376B1 (ko) * | 2017-02-14 | 2018-01-30 |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70306A (zh) * | 2022-05-06 | 2022-08-09 | 北京泰和佳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柜式七氟丙烷灭火装置 |
CN114870306B (zh) * | 2022-05-06 | 2022-12-16 | 北京泰和佳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柜式七氟丙烷灭火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4376B1 (ko) |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 |
AU2010292369B9 (en) | Flexible assembly for sprinklers | |
KR101098882B1 (ko) |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 | |
KR101055583B1 (ko) | 화재진압용 스프링쿨러 | |
KR102286566B1 (ko) | 소방용 스프링쿨러 | |
MX2007015443A (es) | Rociador residencial oculto de placa plana. | |
US3847392A (en) | Adjustable drop or riser nipple | |
KR100791035B1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조립체 | |
JP2008082037A (ja) | 雨水貯留槽壁を備えた建物 | |
CN201168364Y (zh) | 消防楼梯扶手 | |
AU2004100402B4 (en) | Integrated water supply system for multi-floor buildings | |
US5794853A (en) | Institutional sprinkler head nipple | |
US6533041B1 (en) | Fire sprinkler apparatus and method | |
CN217448799U (zh) | 一种可调节消防喷头安装高度的连接件 | |
WO2009054689A1 (en) | Pipe coupling device for use in sprinkler head | |
KR20090092853A (ko) | 건물 설치용 살수 방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의 확산을방지하는 방법 | |
KR101107493B1 (ko) | 상하 길이 조절용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 |
JP2000282623A (ja) | 建造物の柱材及びこの柱材を使用した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 |
KR100294743B1 (ko) | 화재 진압용 물분사장치 | |
WO2012081757A1 (ko) | 상하 길이 조절용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 |
KR102163929B1 (ko) | 소방설비 시공방법 | |
KR20090008363U (ko) | 분배기를 이용한 스프링쿨러 연결장치 | |
KR102626141B1 (ko) |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 |
KR102361093B1 (ko) | 화재확산 방지 소방배관장치 | |
KR200363632Y1 (ko) |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