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882B1 -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882B1
KR101098882B1 KR1020080047544A KR20080047544A KR101098882B1 KR 101098882 B1 KR101098882 B1 KR 101098882B1 KR 1020080047544 A KR1020080047544 A KR 1020080047544A KR 20080047544 A KR20080047544 A KR 20080047544A KR 101098882 B1 KR101098882 B1 KR 10109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arrel
pipe
sprinkler head
couple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133A (ko
Inventor
문경규
구경영
Original Assignee
(주)우리에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에프이씨 filed Critical (주)우리에프이씨
Priority to PCT/KR2008/00628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54689A1/en
Publication of KR2009004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8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배관(1)에 접속되는 외측 배럴(20)과, 이 외측 배럴(20)내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외측 배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하측에 스프링클러 헤드(8)가 결합되므로써, 급수배관(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8)로 공급되도록 하는 내측 배럴(40)을 구비하여 스프링클러 헤드(8)를 천장판(6)내로 배치되는 급수배관(1)과 접속되도록 하여 지지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는 외측 배럴(20)에 대해 내측 배럴(40)이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 급수배관(1)과 스프링클러 헤드(8)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이루어질 때 전체 길이를 축소시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층간 높이를 줄이기 위해 슬래브와 천장판 사이의 서비스 공간의 높이가 줄어드는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PIPING COUPLING DEVICE OF SPRINKLER HEAD }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 실내의 천장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천장내로 배치되는 급수배관과 접속되도록 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급수배관과 천장판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접속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되 급수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최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호환성을 갖도록 하고, 특히 급수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이루어질 때 전체 길이를 축소시키면서도 신장 길이를 가능한 길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급수배관과 천장판 사이의 간격이 다양한 경우에도 호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초기 소화의 이점으로 고층 빌딩, 고층 아파트, 극장, 백화점 등은 소방법으로 스프링클러(SPRINKLER)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클러에 대 한 기본적인 요건은 한국산업규격(KS) 규격번호 KSBISO6182-1 내지 10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클러는 감열체의 형태, 살수분포 형태, 설치위치, 감도특성 및 특수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열을 감지하는 감열체가 조립되어 있고, 이 감열체가 미리 정해진 온도에서 자동으로 작동하므로써 방수구(오리피스)가 개방되어 설계영역의 전체에 구체화된 분무형태와 일정한 양의 물을 자동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79-241호 "스프링클러헤드의 부착 장치"는 급수 본관과 스프링클러 헤드와의 사이에, 내측에 나사부를 갖는 외관과 외측에 나사부를 가지며 외관내에 수밀적으로 감삽되어 나사부의 나합에 의하여 외관내에서의 이동이 가능한 내관으로 구성되는 계수형 급수관이 부착된 스프링클러 헤드의 부착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329969호 "스프링클러헤드 조인트(JOINT FOR SPRINKLER HEAD)"는 제 1 원통형 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 원통형 부재를 구비하는 조인트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2 원통형 부재는 제 1 원통형 부재 사이에 오링이 개재되어 제 1 원통형 부재와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조인트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15614호 "스프링클러용 분기조인트"는 급수 본관의 토출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분기 조인트를 설치하고, 이 분기 조인트의 분기부에 나사결합되어 상하이송되는 급수관을 설치하여 스프링클러용 분기조인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급수관에 회동용 삽입결합부를 형성하고 이에 삽입결합되는 회동공구를 사용하여 급수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용 분기조인트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05046호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건축물의 천장에 수평적으로 설치된 소화용 급수강관에 장착된 T-형 또는 L-형 연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에 장착되어 연결관과 건축물의 옥내 천장 보드 간의 높이에 맞도록 조절 가능한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 있어서, 연결관에 나사 고정되는 몸체와, 옥내 천장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몸체에 대해 수직적으로 승강 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나사 고정 연결되는 레듀셔 및 몸체에 대한 레듀셔의 신축시 공급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594호 "소화배관용 높이조절장치"는 니플에 슬라이드부와 나사부를 형성하여 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이동되게 하되, 브라켓 내에 장착되는 조절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니플 나사부에 형성된 접촉면을 따라 조절구가 회전하여 니플이 브라켓을 중심으로 상하운동하는 스프링클러용 높이조절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들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급수배관에 접속시켜서 천장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접속기구를 제안한 것으로, 스프링클러 헤드와 급수배관 사이의 간격에 따라 배관접속기구의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를 제안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는 그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최대로 연장시킬 수 있는 길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배관접속기구가 설치되는 천장판내의 허용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그 길이를 축소한 형태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는 슬래브와 천장판(6) 사이의 서비스 공간(S)내에 설치되고, 실제 배관접속기구의 허용 높이는 급수배관(1)의 끝단에서 천장판(6) 사이의 간격(L)이 된다. 이때,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층간 높이가 시공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데, 층간 소음방지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되면서 슬래브의 높이가 더욱 두껍게 되므로, 이와 같은 서비스 공간(S)을 최대한 축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배관접속기구의 설치에 부여되는 천장판(6)과 급수배관(1) 사이의 간격(L)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접속기구는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서비스 공간(S)에 적용하도록 하는 제품과 별도의 제품을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통상 천장판(6)과 급수배관(1) 사이의 간격(L)은 주관(2)에 결합되는 T 또는 L관 등의 연결관(3)의 끝단으로부터 천장판(6)까지의 거리가 되므로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가 위치될 수 있는 길이가 그 만큼 줄어들게 되고, 스프링클러 헤드(8)가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의 경우 그 간격(L)은 더욱 감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배관접속기구는 천장판(6)과 급수배관(1) 사이의 간격(L)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그 길이를 절단하거나 별도로 제작되는 제품을 적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통상 배관을 연결하는 방식에 비해 복잡하고, 그 구성요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제공되지 않아 작업시 누수를 위한 별도의 대책(실링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급수배관과 천장판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접속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되 급수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최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호환성을 갖도록 하여 급수배관과 천장판 사이의 간격이 다양한 경우에도 호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급수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이루어질 때 전체 길이를 축소시키면서도 신장 길이를 가능한 길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층간 높이를 줄이기 위해 슬래브와 천장판 사이의 서비스 공간의 높이가 줄어드는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배관연결구조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각 구성의 체결만으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8)를 천장판(6)내로 배치되는 급수배관(1)과 접속되도록 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1)에 접속되는 외측 배럴(20) 및; 상기 외측 배럴(20)내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측 배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하측에 스프링클러 헤드(8)가 결합되므로써, 상기 급수배관(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8)로 공급되도록 하는 내측 배럴(40)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 배럴(20)은 하측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21)의 내주면(24)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나사가 형성되는 지지부(22)와, 상측 외부에 위치되고,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배관(1)내로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배관 체결부(28) 및, 하측의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 체결부(28)를 상기 급수배관(1)에 체결할 때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되는 제 1 공구결합부(30)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배럴(40)은 하측 내부에 위치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41)의 하측에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8)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나사가 형성되는 헤드 체결부(42)와,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외측 배럴(20)의 중공(21)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 배럴(20)의 중공(21)의 내주면(24)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에 걸리므로써 상기 외측 배럴(20)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춤되도록 하는 머리부(60)와, 상기 머리부(60)의 외측 둘레로 결합되어 상기 외측 배럴(20)의 중공(21)의 내주면(24)과 상기 머리부(60) 사이에 위치되는 오링(64)과, 상기 머리부(60)의 하측 외주면상에서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에 나사결합되는 위치 조절부(46)와, 상기 위치 조절부(46)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외측 배럴(20)의 하단에 걸리므로써 상기 외측 배럴(20)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춤되도록 하는 멈춤링(52)과, 상기 멈춤링(5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위치 조절부(46)를 상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상에서 상하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되는 제 2 공구결합부(48) 및, 상기 내측 배럴(40)의 상측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중공(41)의 상측에서 상기 외측 배럴(20)에 결합시킬 때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되는 제 3 공구결합부(4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서 상기 외측 배럴(20)은 상기 배관 체결부(28)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외경이 상기 급수배관(1)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수배관(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연장부(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 의하면, 외측 배럴(20)에 대해 내측 배럴(40)이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 급수배관(1)과 스프링클러 헤드(8)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이루어질 때 전체 길이를 축소시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층간 높이를 줄이기 위해 슬래브와 천장판 사이의 서비스 공간의 높이가 줄어드는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배럴(40)이 외측 배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되고, 내측 배럴(40)이 외측 배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그 연장길이를 최대로 늘릴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신장 길이를 가능한 길게 하여 급수배관과 천장판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접속 길이를 가변가능하므로 급수배관과 천장판 사이의 간격이 다양한 경우에도 호환성을 갖는다. 또한, 외측 배럴(20)에 제 1 공구결합부(30)가 구성되고, 내측 배럴(40)에 제 2 공구 결합부(48) 및 제 3 공구 결합부(44)가 구성되므로, 외측 배럴(20)과 내측 배럴(40)을 결합시키는 경우, 외측 배럴(20)을 급수배관(1)에 체결시키는 경우, 내측 배럴(40)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경우 등 배관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수밀을 확보하고, 조립을 편리하게 하며, 사용 높이를 가변하는 전체 구성요소가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로 이루어지므로, 일반적인 배관연결구조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조립이 가능하고, 각 구성의 체결만으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결합ㆍ고 정을 위한 핀, 홀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프링클러의 종류 및 그의 특성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보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가 최소의 길이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가 최대의 길이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가 최소의 길이로 설정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가 최대의 길이로 설정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서 제 1 공구결합부의 다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서 제 3 공구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서 스프링클러 헤드를 직렬로 접속시키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는 급수배관(1)에 접속되는 외측 배럴(20)과, 이 외측 배럴(20)내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외측 배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하측에 스프링클러 헤드(8)가 결합되므로써, 급수배관(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8)로 공급되도록 하는 내측 배럴(40)을 구비하여 스프링클러 헤드(8)를 천장판(6)내로 배치되는 급수배관(1)과 접속되도록 하여 지지한다.
이때, 외측 배럴(20)은 지지부(22), 배관 체결부(28) 및 제 1 공구결합부(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외측 배럴(20)은 미가공된 중공(21)이 형성되도록 주조되는 관체의 소재를 기계가공하므로써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와 같은 일체형의 외측 배럴(20)은 이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는 하측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21)의 내주면(24)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나사가 형 성된다. 그리고, 배관 체결부(28)는 상측 외부에 위치되고, 나사가 형성되어 급수배관(1)내로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제 1 공구결합부(30)는 하측의 외부에 형성되고, 배관 체결부(28)를 급수배관(1)에 체결할 때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된다.
여기서, 배관 체결부(28)의 나사는 통상 적용되는 급수배관(1)의 끝단에 위치되는 연결관(3)의 규격에 대응되는 형상과 치수로 형성될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평행나사를 적용한 예를 보이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배관 체결부(28)의 나사는 통상 급수배관{1, 즉 연결관(3)}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공구결합부(30)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 체결을 위한 공구로 사용되는 스패너(spanner), 렌치(wrench)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육각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도 7a 및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전용 클램프(clamp)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는 배관 체결부(28)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배관(1)의 연결관(3)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그 축소길이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연장길이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천장판(6)상의 서비스 공간(S)내에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의 최소 설치 높이(L1)와 최대 설치 높이(L2)의 차이를 가능한 크게 가지게 된다.
그리고, 외측 배럴(20)의 체결시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공구결합부(30)가 외측 배럴(20) 자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관 배럴(20)을 급수배관(1)의 연결관(3)에 결합시키고, 그 위치를 조절할 때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에서 외측 배럴(20)은 배관 체결부(28)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외경이 급수배관(1)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급수배관(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연장부(26)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연장부(26)는 도 4a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 배럴(40)을 연결관(30)의 내측으로 외측 배럴(20)과 내측 배럴(40) 사이를 밀폐시키는 오링(64)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더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의 설치에 소요되는 높이(L1)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의 내측 배럴(40)은 헤드 체결부(42), 머리부(60), 오링(64), 위치 조절부(46), 멈춤링(52) 및 제 2 공구결합부(4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내측 배럴(40)은 전술한 외측 배럴(20)과 동일하게 미가공된 중공(41)이 형성되도록 주조되는 관체의 소재를 기계가공하므로써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내측 배럴(40)의 헤드 체결부(42)는 하측 내부에 위치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41)의 하측에서 스프링클러 헤드(8)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머리부(60)는 상측에 위치되고, 외측 배럴(20)의 중공(21)에 삽입되도록 외측 배럴(20)의 중공(21)의 내주면(24)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에 걸리므로써 외측 배럴(20)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춤되도록 한다. 오링(64)은 머리부(60)의 외측 둘레로 결합되어 외측 배럴(20)의 중공(21)의 내주면(24)과 머리부(60) 사이에 위치된다. 위치 조절부(46)는 머리부(60)의 하측 외주면상에서 나사가 형성되어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에 나사결합된다. 멈춤링(52)은 위치 조절부(46)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외측 배럴(20)의 하단에 걸리므로써 외측 배럴(20)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춤되도록 한다. 제 2 공구결합부(48)는 멈춤링(5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위치 조절부(46)를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상에서 상하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된다.
여기서, 헤드 체결부(42)의 나사는 통상 적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8)의 규격에 대응되는 형상과 치수로 형성될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관용나사를 적용한 예를 보이고 있는데, 이와 같은 헤드 체결부(42)의 나사는 통상 스프링클러 헤드(8)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에서 내측 배럴(40)은 외주면상에 상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오링(64)이 결합되는 홈(62)이 형성되는 머리부(60),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의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는 위치 조절부(46), 멈춤링(52)이 결합되는 홈(50), 제 2 공구결합부(4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 배럴(40)은 머리부(60)의 홈(62)에 오링(64)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 2 공구결합부(48)가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외측 배럴(20)의 상측에서 중공(21)으로 삽입되어 위치 조절부(46)의 나사가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의 나사에 결합되도록 한 후, 위치 조절부(46)의 하측에 형성된 홈(50)이 하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멈춤링(52)을 위치 조절부(46) 하측에 형성된 홈(50)에 결합시키면 제품의 기본적인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는 내측 배럴(40)이 외측 배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내측 배럴(40)의 머리부(60)가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에 걸리는 것에 의해 내측 배럴(40)이 외측 배럴(20)로부터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멈춤링(52)에 의해 내측 배럴(40)이 외측 배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멈춤링(52)에 의해 정지되는 위치는 오링(64)이 외측 배럴(20)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조립시 작업자는 내측 배럴(40)의 조임 또는 풀림 높이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안정적인 수밀을 확보하면서 조립을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의 내측 배럴(40)에 형성되는 제 2 공구결합부(48)는, 도 3 내지 도 4b, 도 7a 및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 체결을 위한 공구로 사용되는 스패너(spanner), 렌치(wrench)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육각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전술한 외측 배럴(20)의 제 1 공구결합부(30)의 기능과 같이 내측 배럴(40)의 위치를 조절할 때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에서 내측 배럴(4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 내부에 위치되고, 중공(41)의 상측에서 외측 배럴(20)에 결합시킬 때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되는 제 3 공구결합부(44)를 더 형성하므로써, 내측 배럴(40)를 외측 배럴(20)에 결합시키는 초기 단계의 조립을 편리하게 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8)를 닛플(nipple) 형태로 구성하여 조립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는 오링(64) 및 멈춤링(52)이 결합되는 내측 배럴(40)과 외측 배럴(20)만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구성요소를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측 배럴(20)에 대해 내측 배럴(40)이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므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배관(1)과 스프링클러 헤드(8)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이루어질 때 전체 길이를 축소시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층간 높이를 줄이기 위해 슬래브와 천장판 사이의 서비스 공간의 높이가 줄어드는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면서도 그 연장길이를 최대로 늘릴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신장 길이를 가능한 길게 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의 요구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보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가 최소의 길이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가 최대의 길이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가 최소의 길이로 설정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가 최대의 길이로 설정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서 제 1 공구결합부의 다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서 제 3 공구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서 스프링클러 헤드를 직렬로 접속시키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급수배관 2 : 주관
3 : 연결관 6 : 천장판
8 : 스프링클러 헤드 20 : 외측 배럴
21, 41 : 중공 22 : 지지부
24 : 내주면 26 : 연장부
28 : 배관 체결부 30 : 제 1 공구결합부
40 : 내측 배럴 42 : 헤드 체결부
44 : 제 3 공구결합부 46 : 위치 조절부
48 : 제 2 공구결합부 52 : 멈춤링
60 : 머리부 64 : 오링

Claims (3)

  1. 스프링클러 헤드(8)를 천장판(6)내로 배치되는 급수배관(1)의 연결관(3)과 접속되도록 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1)의 연결관(3)에 접속되는 외측 배럴(20) 및;
    상기 외측 배럴(20)내에 삽입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측 배럴(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하측에 스프링클러 헤드(8)가 결합되므로써, 상기 급수배관(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8)로 공급되도록 하는 내측 배럴(40)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 배럴(20)은 하측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21)의 내주면(24)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나사가 형성되는 지지부(22)와,
    상측 외부에 위치되고,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배관(1)의 연결관(3)내로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배관 체결부(28) 및,
    하측의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 체결부(28)를 상기 급수배관(1)의 연결관(3)에 체결할 때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되는 제 1 공구결합부(30)를 구비하여, 상기 배관 체결부(28)가 상기 급수배관(1)의 연결관(3)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그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천장판(6)상의 서비스 공간(S)내에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10)의 최소 설치 높이(L1)와 최대 설치 높이(L2)의 차이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내측 배럴(40)은 하측 내부에 위치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41)의 하측에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8)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나사가 형성되는 헤드 체결부(42)와,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외측 배럴(20)의 중공(21)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 배럴(20)의 중공(21)의 내주면(24)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에 걸리므로써 상기 외측 배럴(20)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춤되도록 하는 머리부(60)와,
    상기 머리부(60)의 외측 둘레로 결합되어 상기 외측 배럴(20)의 중공(21)의 내주면(24)과 상기 머리부(60) 사이에 위치되는 오링(64)과,
    상기 머리부(60)의 하측 외주면상에서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에 나사결합되는 위치 조절부(46)와,
    상기 위치 조절부(46)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외측 배럴(20)의 하단에 걸리므로써 상기 외측 배럴(20)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춤되도록 하는 멈춤링(52) 및,
    상기 멈춤링(5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위치 조절부(46)를 상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상에서 상하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되는 제 2 공구결합부(48)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 배럴(40)은 외주면상에 상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오링(64)이 결합되는 홈(62)이 형성되는 상기 머리부(60), 상기 위치 조절부(46), 상기 멈춤링(52)이 결합되는 홈(50), 상기 제 2 공구결합부(48)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배럴(40)은 상기 머리부(60)의 홈(62)에 오링(64)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공구결합부(48)가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외측 배럴(20)의 상측에서 중공(21)으로 삽입되어 위치 조절부(46)의 나사가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의 나사에 결합되도록 한 후, 위치 조절부(46)의 하측에 형성된 홈(50)이 하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멈춤링(52)을 위치 조절부(46) 하측에 형성된 홈(50)에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외측 배럴(20)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내측 배럴(40)의 머리부(60)가 상기 외측 배럴(20)의 지지부(22)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내측 배럴(40)이 상기 외측 배럴(20)로부터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멈춤링(52)에 의해 상기 내측 배럴(40)이 상기 외측 배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멈춤링(52)에 의해 정지되는 위치는 상기 오링(64)이 상기 외측 배럴(20)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080047544A 2007-10-24 2008-05-22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 KR10109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6280 WO2009054689A1 (en) 2007-10-24 2008-10-23 Pipe coupling device for use in sprinkler h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16 2007-10-24
KR20070017216 200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33A KR20090042133A (ko) 2009-04-29
KR101098882B1 true KR101098882B1 (ko) 2011-12-26

Family

ID=4076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544A KR101098882B1 (ko) 2007-10-24 2008-05-22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8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721A (ko) * 2015-12-11 2017-06-21 (주)다산테크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20170069725A (ko) * 2015-12-11 2017-06-21 장선우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1823556B1 (ko) * 2016-04-22 2018-02-19 (주)다산테크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2321048B1 (ko) * 2020-11-16 2021-11-02 조규식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KR102321051B1 (ko) * 2020-12-24 2021-11-02 조규식 높이조절브라켓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분사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493B1 (ko) * 2011-03-30 2012-01-19 김대희 상하 길이 조절용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KR200473206Y1 (ko) * 2011-08-04 2014-06-17 김환영 소방용 스프링쿨러 연결장치
JP5925010B2 (ja) * 2012-03-30 2016-05-25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2346646B1 (ko) 2021-08-06 2022-01-03 송주봉 내진 기능을 가지는 소방 배관의 연결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소방 설비
KR102650320B1 (ko) * 2023-08-21 2024-03-27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고정바의 위치 조절이 용이한 플렉시블 스프링클러 호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35B1 (ko) * 2007-03-19 2008-01-03 (주)화이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35B1 (ko) * 2007-03-19 2008-01-03 (주)화이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조립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721A (ko) * 2015-12-11 2017-06-21 (주)다산테크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20170069725A (ko) * 2015-12-11 2017-06-21 장선우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1875129B1 (ko) * 2015-12-11 2018-08-02 장선우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1877842B1 (ko) * 2015-12-11 2018-08-09 (주)다산테크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1823556B1 (ko) * 2016-04-22 2018-02-19 (주)다산테크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2321048B1 (ko) * 2020-11-16 2021-11-02 조규식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WO2022103135A1 (ko) * 2020-11-16 2022-05-19 조규식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KR102321051B1 (ko) * 2020-12-24 2021-11-02 조규식 높이조절브라켓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분사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33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882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
KR100705046B1 (ko)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US6044911A (en) Parallel-fed nonstagnant integr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sprinkler application
US20120090700A1 (en) Pip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use
EP2014838B1 (en) Wall bend fixture for water pipes leading through a wall
CA3087665A1 (en) Exposed secondary showerhead system
KR101994299B1 (ko)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결장치
WO2009054689A1 (en) Pipe coupling device for use in sprinkler head
KR102286566B1 (ko) 소방용 스프링쿨러
KR200402042Y1 (ko) 스프링클러설비의 신축배관 설치높이장치
KR200470466Y1 (ko) 스프링쿨러 헤드용 연결관 승강장치
US6241024B1 (en) Parallel-fed nonstagnant integr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sprinkler application
KR100822946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EP1132528B1 (en) Parallel-fed nonstagnant integr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sprinkler application
KR20070059889A (ko) 스프링클러의 높이조절장치
AU2017101338A4 (en) Rigid Thread Extender
GB2545470A (en) Plumbing fixtures
KR200394531Y1 (ko) 디퓨져 조립체
KR101875129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JP2006275074A (ja) 配管固定具
KR200473206Y1 (ko) 소방용 스프링쿨러 연결장치
KR102057664B1 (ko) 스프링클러용 다목적 커넥터
KR100886651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부재
US20180099302A1 (en) Adjustable drop nipple for dry pendent valve
CA2277317C (en) Parallel-fed nonstagnant integr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sprinkler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