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833A - 시스템 레일 및 시스템 레일 유닛 - Google Patents

시스템 레일 및 시스템 레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833A
KR20120047833A KR1020110114261A KR20110114261A KR20120047833A KR 20120047833 A KR20120047833 A KR 20120047833A KR 1020110114261 A KR1020110114261 A KR 1020110114261A KR 20110114261 A KR20110114261 A KR 20110114261A KR 20120047833 A KR20120047833 A KR 20120047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rail
attached
bas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122B1 (ko
Inventor
시로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모니터의 설치, 증설 및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시스템 레일 및 시스템 레일 유닛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 레일 및 시스템 레일 유닛에서는,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에, 레일을 필요한 수만큼 설치하고, 모니터에 부착 베이스 혹은 지지 암을 고착하여, 모니터 등의 각종 기기를 레일(2)에 부착한다.

Description

시스템 레일 및 시스템 레일 유닛{SYSTEM RAIL AND SYSTEM RAIL UNIT}
본 발명은 모니터 및/또는 이것에 관련되는 각종 기기를 1대부터 복수대까지, 오피스나 학교, 가정 등에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시스템 레일, 및 다수의 모니터 및/또는 이것에 관련되는 각종 기기를 다수의 모니터의 집중 감시를 행하는 관리 센터나 컨트롤 센터 등의 옥내 시설에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시스템 레일 유닛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를 중심으로 하는 다수의 각종 기기를 설치하여, 다수의 모니터의 집중 감시를 행하는 관리 센터나 컨트롤 센터에서는 종래 다수의 모니터 및 이에 관련되는 각종 기기(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간단히 「모니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복수대의 테이블이나 대 위에 싣고 있었다. 이 때문에, 다수의 모니터의 배치나 레이아웃은 테이블이나 대 위에 한정되어, 자유도는 매우 제한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최근 다수의 모니터를 자유로운 배치로 설치하고, 또 그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전용의 래크에 수납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래크가 예를 들면 JP-2002-374079-A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의 래크는 병렬상태로 복수대 배치되고, 그 위에 모니터를 탑재하는 베이스 모듈과, 이 베이스 모듈 위에 탑재하는 모니터를 수납하고, 베이스 모듈 위에 겹쳐 쌓이는 1단 또는 복수단의 수납 모듈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베이스 모듈과 수납 모듈을 복수대 조합하고, 복수대의 모니터를 병렬, 또한 적당한 수의 단의 레이아웃에 의해 배치하도록 한 것으로, 다수의 모니터를 자유롭게 배치하고, 또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도 임의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JP-2002-374079-A
그러나, 상기 종래의 래크에서는, 다수의 모니터를 베이스 모듈이나 수납 모듈에 고정하는데 많은 볼트를 필요로 하여, 각 모니터를 설치할 때의 볼트의 부착 작업이나, 각 모니터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때의 볼트의 분리 및 부착 작업이 번잡해진다. 이 때문에, 다수의 모니터의 설치, 증설 및 그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간이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오피스나 학교, 가정 등에서 1대여도 복수대여도 모니터 및/또는 이것에 관련되는 각종 기기의 설치, 증설 및 그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시스템 레일, 및 관리 센터나 컨트롤 센터 등의 옥내 시설에서, 다수의 모니터의 설치, 증설 및 그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시스템 레일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 등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레일로서,
설치면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와,
상기 부착 부재에 부착되고, 부착 부재를 통해 설치면에 설치되는 레일로서, 상하에 한 쌍의 홈을 가지는 레일과,
상기 각 기기에 대하여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각 부착 베이스는,
상하 어느 하나의 제1측에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의 일방의 홈에 걸음 가능한 고정 클로와,
타방의 제2측에 출몰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상기 레일의 타방의 홈에 걸고빼기 가능한 가동 클로와,
상기 가동 클로를 출몰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가지고,
상기 조작 레버는 가동 클로를 상기 제2측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압압 가능한 수단과, 가동 클로의 상기 제2측으로부터의 돌출 상태를 로크 가능한 수단을 통해, 가동 클로에 작동 연결되고,
상기 각 기기가 상기 각 부착 베이스를 통해 상기 레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베이스는 또한
케이스형상으로 구성된 베이스 본체로서, 상기 고정 클로가 상하 어느 하나의 제1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고정 클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상하 어느 하나의 제2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개구의 내측에, 베이스 본체의 상기 제1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운동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운동 가이드 사이에 슬라이딩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에 근접하여 베이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클로는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개구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보통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베이스 본체 내부를 향하여 가압되어, 가동 클로와 함께 베이스 본체 내부로 몰입되어 있고,
상기 부착 베이스는 또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가동 부재에 링크 결합된 구동 레버와,
베이스 본체 내부에 배열설치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그 중간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면측에 축지지되고, 일단측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외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측이 상기 구동 레버를 통해 가동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레버는 조작 레버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를 향하여 연장되어, 가동 부재를 압압할 수 있도록 링크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는 구동 레버가 가동 부재를 압압하는 상태에서 로크되는 위치에, 조작 레버 및/또는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을 규제 가능하며,
상기 조작 레버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구동 레버로 가동 부재를 상기 제2면을 향하여 압압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가동 클로를 돌출시켜, 그 상태를 조작 레버 및 구동 레버와의 스토퍼의 걸어맞춤에 의해 로크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가동 클로에 대한 구동 레버의 압압을 해제하여, 가동 클로를 베이스 본체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내부로 몰입시킨다.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기기에 고착하기 위한 부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베이스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기기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중심에 구멍을 가지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서로 경사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이음매와 제2 이음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음매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측의 환형상부와, 이 전측의 환형상부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대략 환형상의 후측의 환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이 전측 및 후측의 환형상부의 내주면이 연속되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음매는 평판부와, 복수의 돌출형상부와, 원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부는 부착 베이스의 정면에 접합 가능한 대략 평판형상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는 평판부의 정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이음매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각 돌출형상부는 그 외측면에 제1 이음매의 내주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면 원호형상의 슬라이딩운동 부재를 가지고, 그 내측면에 선단으로부터 평판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은 전체적으로 평판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축소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의 선단측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을 가지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의 나사 구멍에 볼트가 통과되어 상기 평판부의 상기 보스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 내측에 압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각 부착 베이스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부착 플레이트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각 기기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부착 베이스의 정면과 상기 기기 혹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지지 암과, 이 제1 지지 암을 상기 부착 베이스의 정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암은 적어도 2개의 암으로 이루어지고, 이 암은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 등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레일로서,
설치면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와,
상기 부착 부재에 부착되고, 부착 부재를 통해 설치면에 설치되는 레일로서, 상하에 한 쌍의 홈을 가지는 레일과,
상기 각 기기에 대하여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상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암과,
상기 제1 지지 암을 상기 레일에 부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암은 적어도 2개의 암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암은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레일의 한 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한 부착판을 가지고, 상기 암의 하나에,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 기기가 상기 각 제1 지지 암을 통해 상기 레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기기에 고착하기 위한 부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암은 상기 부착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기기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중심에 구멍을 가지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서로 경사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이음매와 제2 이음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음매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측의 환형상부와, 이 전측의 환형상부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대략 환형상의 후측의 환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 및 후측의 환형상부의 내주면이 연속되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음매는 평판부와, 복수의 돌출형상부와, 원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제1 지지 암의 일단에 접합 가능한 대략 평판형상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는 평판부의 정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이음매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각 돌출형상부는 그 외측면에 제1 이음매의 내주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면 원호형상의 슬라이딩운동 부재를 가지고, 그 내면에 선단으로부터 평판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은 전체적으로 평판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축소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의 선단측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을 가지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의 나사 구멍에 볼트가 통과되어 상기 평판부의 상기 보스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 내측에 압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각 제1 지지 암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부착 플레이트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각 기기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모니터 등의 기기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레일 유닛으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시스템 레일을 복수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면에 상기 레일을 복수개, 수직 방향으로 병렬로,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복열 혹은 단열로, 또는 환형상의 배열로,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조합에 의해 설치하여 사용하는 시스템 레일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 유닛은 또한 상기 기기에 대하여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착 부재에 부착되는 제2 지지 암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부착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 암은 암 본체와, 상기 기기에 고착하기 위한 부착 플레이트와, 이 부착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암 본체의 선단에 부착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암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은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암 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부착 브래킷이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중심에 구멍을 가지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서로 경사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이음매와 제2 이음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음매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측의 환형상부와, 이 전측의 환형상부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대략 환형상의 후측의 환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 및 후측의 환형상부의 내주면이 연속되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음매는 평판부와, 복수의 돌출형상부와, 원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암 본체에 연결 가능하며, 중심에 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는 평판부의 정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이음매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각 돌출형상부는 그 외측면에 제1 이음매의 내주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면 원호형상의 슬라이딩운동 부재를 가지고, 그 내측면에 선단으로부터 평판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은 전체적으로 평판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축소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의 선단측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을 가지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의 나사 구멍에 볼트가 통과되어 상기 평판부의 상기 보스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 내측으로 압입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에 의해, 오피스, 학교, 가정 등의 옥내 공간의 벽면, 천정, 데스크, 테이블, 대 등의,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에 레일을 설치하고, 모니터에는 각각 부착 베이스를 부착한다. 이 각 기기를 당해 부착 베이스를 통해 레일에 부착하므로, 설치면에 있어서, 모니터의 설치, 증설 및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매우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에 의해, 오피스, 학교, 가정 등의 옥내 공간의 벽면, 천정, 데스크, 테이블, 대 등의,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에 레일을 설치하고, 모니터에는 각각 제1 지지 암을 부착한다. 이 각 기기를 당해 제1 지지 암을 통해 레일에 부착하므로, 설치면에 있어서, 모니터의 설치, 증설 및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매우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 유닛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에 의해, 관리 센터나 컨트롤 센터 등의 옥내 공간의 벽면, 천정, 데스크, 테이블, 대, 부스의 각 부 등, 다수의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각 설치면에, 상기 시스템 레일을 복수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설치면에 있어서, 다수의 모니터의 설치, 증설 및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매우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 유닛에 의하면, 제2 지지 암을 아울러 사용함으로써, 지지 암의 다방향으로의 신축 기능과, 유니버설 조인트의 다방향으로의 각도 조정 기능에 의해, 모니터의 방향이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레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시스템 레일의 특히 레일, 부착 베이스, 부착 부재(부착 브래킷 및 지주), 부착 플레이트, 및 유니버설 조인트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시스템 레일의 특히 레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브래킷 및 지주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시스템 레일의 특히 부착 베이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동 시스템 레일의 특히 부착 베이스 및 부착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시스템 레일의 특히 부착 베이스, 유니버설 조인트 및 부착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동 시스템 레일의 특히 제1 지지 암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동 시스템 레일의 레일을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지주를 나타내는 일부 대략 정면도이다.
도 9는, 동 시스템 레일의 레일을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다른 지주를 나타내는 일부 대략 정면도이다.
도 10(a)는, 동 시스템 레일의 특히 부착 브래킷의 지주에 대한 부착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며, 도 10(b)는, 동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시스템 레일을 사용한 모니터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시스템 레일을 사용한 모니터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레일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레일 유닛에 사용하는 제2 지지 암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동 제2 지지 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동 제2 지지 암을 사용한 모니터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 제2 지지 암을 사용한 모니터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정면측 사시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레일을 나타낸다. 시스템 레일(1)은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에 고정되는 부착 부재(4)와, 부착 부재(4)를 통해 설치면에 설치되는 레일(2)과, 레일(2)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 베이스(3)를 구비한다. 레일(2)은 정면의 상하에 한 쌍의 홈(214, 216)을 가진다. 부착 베이스(3)는 상측에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2)의 상방의 홈(214)에 걸음 가능한 고정 클로(315)와, 하측에 출몰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레일(2)의 하방의 홈(216)에 걸고빼기 가능한 가동 클로(316)와, 가동 클로(316)를 출몰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35)를 가진다. 이 조작 레버(35)는 가동 클로(316)를 하측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압압 가능한 수단과, 가동 클로(316)의 하측으로부터의 돌출 상태를 로크 가능한 수단을 통해, 가동 클로(316)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2)은 레일 본체(21)와 레일 커버(22)로 이루어진다. 레일 본체(21)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긴 소정의 길이(이 실시태양에서는 1~3대의 모니터를 옆으로 늘어놓아 배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및 폭(이 실시태양에서는 모니터의 세로 방향의 치수의 3분의 1 정도)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평면의 상부 및 하부의 소정의 위치에 단면 사다리꼴의 오목부(211)가 좌우 양단간에 걸쳐서 형성되고, 그 소정의 위치에 볼트(414)를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212)이 설치된다. 레일 본체(21)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는 각각 정면측 및 배면측에 걸쳐서 단면 ㄷ자형으로 가공된다. 이것에 의해, 레일 본체(21)의 정면측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면 대략 L자형의 걸음부(213, 215)가 형성되어, 부착 베이스(3)를 위한 홈(214, 216)이 형성된다. 한편, 레일 본체(21)의 배면측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면 대략 L자형의 걸음부(217, 219)가 형성되어, 레일 커버(22)를 위한 홈(218, 220)이 형성된다. 레일 커버(22)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제이며, 레일 본체(21)의 배면측에 소정의 소공간을 형성하도록, 정면에 개구(221)를 가지는 얕은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또 이 레일 커버(22)의 정면 개구(221)의 상하에는 레일 본체(21)의 배면측의 걸음부(217, 219)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면 대략 ㄷ자형의 걸음부(222, 223)가 각각 형성된다.
후술하는 부착 부재(4)는 부착 브래킷(41)과 이 브래킷이 고정되는 지주(42)를 구비한다. 부착 브래킷(41)은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되고, 레일 커버(22)내에 고정되는 고정부(411)와, 레일 커버(22)로부터 돌출하여 지주(42)에 고정되는 지지부(416)로 이루어진다. 이 부착 브래킷(41)의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411)는 레일 커버(22)내의 소공간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 사이를 상부 개구, 중간 개구, 및 하부 개구가 관통하고 있다. 또 이 고정부(411)의 정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레일 본체(21)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의 걸음부(217, 219)에 걸음 가능한 단면 대략 L자형의 걸음부(412, 413)가 형성되고, 정면의 상부 및 하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볼트(414)를 위한 나사 구멍(415)이 설치된다. 지지부(416)는 고정부(411)의 배면에 돌출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돌출단의 중앙에는 나사부 삽입통과 구멍(417), 상하에는 나사부 삽입통과 구멍(417)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418)이 각각 설치된다.
레일(2)에 부착 브래킷(41)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 커버(22)의 정면 개구(221)로부터 부착 브래킷(41)을 삽입하여 고정부(411)를 끼워넣고, 레일 커버(22) 배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지지부(416)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레일 커버(22)의 정면 개구(221) 상에 레일 본체(21)를 맞추고, 레일 본체(21)의 배면측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의 걸음부(217, 219)에 레일 커버(22)의 상하 양측의 걸음부(222, 223)를 부착 브래킷(41)의 상하의 걸음부(412, 413)와 함께 걸어맞추어 부착한다. 또한, 레일 커버(22)의 길이 방향 양단 개구에는 각각 엔드 커버(23)가 장착되어, 레일 커버(22)의 양단을 폐색한다(도 1 참조).
도 2 및 도 4에 부착 베이스를 나타낸다. 부착 베이스(3)는 배면에 개구(310), 상면에 슬릿(311), 하면에 개구(312)를 가지는 케이스형상의 베이스 본체(31)와, 베이스 본체(31)의 배면에 고정되는 백 플레이트(32)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본체(31)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전체가 대략 세로로 긴 사각형의 케이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의 중앙 부분이 외측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뻗어나오고, 배면은 전체면이 개구된다. 베이스 본체(31) 상면의 슬릿(311)은 조작 레버(35)가 돌출 가능하며 또한 회전운동 가능하게, 상면의 정면측에 가늘고 길게 절결 형성된다. 베이스 본체(31) 하면의 개구(312)는 하면의 중앙에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개구(312)의 내측의 좌우 양측에, 베이스 본체(31)의 상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운동 가이드(313)가 형성된다. 또 이 부착 베이스(31)의 내부에는 대략 네 모서리 부근에 배면의 개구(310)를 향하여 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314)가 돌출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플레이트(32)는 알루미늄 합금의 평판에 의해, 베이스 본체(31)의 배면 개구(310)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당해 개구(310)와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평면의 대략 네 모서리 부근에 나사 삽입통과 구멍(320)이 뚫려있다.
베이스 본체(31)와 백 플레이트(32)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본체(31)의 배면 개구(310)에 백 플레이트(32)를 끼워넣고, 나사(321)를 백 플레이트(32)의 각 나사 삽입통과 구멍(320)에 통과시키고, 베이스 본체(31)의 보스(314)에 체결한다. 이렇게 하여 부착 베이스(3)는 전체가 세로로 긴 대략 사각형의 케이스 구조로 구성된다.
부착 베이스(3)의 하나의 면에는 고정 클로(315)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클로(315)는 베이스 본체(31)의 상면의 배면측에 일체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부착 베이스(3)의 하면의 개구(312)내의 한 쌍의 슬라이딩운동 가이드(313) 사이에는 가동 부재(33)가 슬라이딩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가동 부재(33)는 상부체(33U)와 하부체(33D)로 이루어진다. 상부체(33U)는 좌우 한 쌍의 원통부(331)를 가지고, 하단이 개구하고 있는 대략 역U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상부체(33U)의 상부 외면의 배면측에는 연결편(333)이 상방을 향하여 돌출설치되고, 이 연결편(333)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삽입통과부(332)를 가진다. 상부체(33U)의 상부 내면의 중앙에는 코일 스프링(334)을 장착하기 위한 돌기(335)가 돌출설치된다. 또 상부체(33U)의 상부의 좌우 양측에는 각 원통부(331)에 연통하는 나사 삽입통과부(336)가 형성된다. 하부체(33D)는 상부체(33U)의 한 쌍의 원통부(331)에 삽입통과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축(337)을 가지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다. 각 축(337)의 상단에는 나사 구멍(338)이 설치된다. 이 하부체(33D)의 하부 외면의 배면측에 일체적으로, 가동 클로(316)가 가로 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체(33D)의 한 쌍의 축(337)에는 각각 코일 스프링(340)이 감겨, 이들 축(337)이 코일 스프링(340)을 압축하면서 상부체(33U)의 한 쌍의 원통부(331)내에 삽입통과되고, 나사(339)가 상부체(33U)의 상부의 각 나사 삽입통과부(336)에 통과되고, 하부체(33D)의 각 축(337)의 상단의 나사 구멍(338)에 체결된다. 이렇게 하여 하부체(33D)와 상부체(33U)가 양자간에 탄성 작용을 갖고 조립된다.
가동 부재(33)는 보통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33)에 근접하여 부착 베이스(3)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부착 베이스(3)의 내부를 향하여 압압 가압되어, 가동 클로(316)와 함께 베이스 본체(31) 내부에 몰입되어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스프링 부재에 코일 스프링(334)이 채용된다. 베이스 본체(31)에는 상부체(33U)의 돌기(335)에 대향하는 소정의 위치에, 코일 스프링(334)을 압축하여 장착하기 위한 스토퍼(34)가 설치되고, 돌기(335)와 스토퍼(34) 사이에 코일 스프링(334)이 압축되어 장착된다. 이 코일 스프링(334)의 가압에 의해, 가동 부재(33)는 한 쌍의 슬라이딩운동 가이드(313) 사이에서 보통 상태로서 부착 베이스(3)의 상면을 향하여 가압되고, 가동 클로(316)와 함께 부착 베이스(3)의 개구(312)내에 유지된다.
부착 베이스(3) 내부에는 조작 레버(35)가 부착된다. 조작 레버(35)는 중간부가 부착 베이스(3) 내부에서 상면측으로 축지지되고, 일단측이 베이스 본체(31)의 외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돌출되며, 베이스 본체(31)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측이 구동 레버(36)를 통해 가동 부재(33)에 연결된다. 구동 레버(36)는 조작 레버(35)의 소정 방향의 회전운동에 의해 가동 부재(33)를 향하여 연장되고, 가동 부재(33)를 압압할 수 있도록 링크 결합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조작 레버(35)는 강판제이며, 대략 ヘ자형으로(둔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그 굴곡부에 회전운동 중심으로서 축 삽입통과부(3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축 삽입통과부(350)에는 축(351)이 삽입통과되고, 조작 레버(35)는 베이스 본체(31)내의 상면측에서, 가동 부재(33) 상부의 연결편(333)에 대향하는 위치에 축지지된다. 조작 레버(35)의 긴 일단측은 베이스 본체(31) 상면의 슬릿(31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돌출된다. 또 베이스 본체(31) 내부에 배치되는 조작 레버(35)의 타단과, 가동 부재(33) 상부의 연결편(333) 사이에는 구동 레버(36)가 축(361)을 통해 링크 결합된다.
조작 레버(35)와 가동 부재(33)를 이와 같이 연결함으로써, 조작 레버(35)를 코일 스프링(33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반시계 회전으로 회전운동 조작하면, 구동 레버(36)가 가동 부재(33)를 부착 베이스(3)의 하면을 향하여 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가동 클로(316)가 부착 베이스(3)의 개구(312)로부터 돌출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35)를 시계 회전으로 회전운동 조작하면, 가동 부재(33)에 대한 압압을 해제하여, 구동 레버(36)가 가동 부재(33)를 부착 베이스(3)의 하면에 대하여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가동 클로(316)를 베이스 본체(31)의 개구(312)로부터 몰입시킨다.
또한 부착 베이스(3)의 내부에는 구동 레버(36)가 가동 부재(33)를 압압하는 상태에서 로크되는 위치에, 조작 레버(35) 및/또는 구동 레버(36)의 회전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스토퍼(37)가 배열설치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가동 클로(316)의 돌출 상태를 안정적으로 로크하기 위해서, 조작 레버(35)와 구동 레버(36)의 연결점이 조작 레버(35)의 축지지점(351)과 가동 부재(33) 상부의 연결편(333)의 축지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조금 넘은 곳에서 정지하도록, 조작 레버(35)와 구동 레버(36)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37)를 베이스 본체(31)에 설치한다.
이 부착 베이스(3)는 모니터에 직접 고착해도 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부착 베이스(3)의 정면에 부착 플레이트(5)를 직접 고착하고, 또는 부착 플레이트(5)를 유니버설 조인트(6)를 통해 부착하여, 이 부착 플레이트(5)에 모니터를 고착하도록 하고 있다.
도 5에, 부착 베이스(3)의 정면에 부착 플레이트(5)를 직접 고착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부착 플레이트(5)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사각형(이 실시태양에서는 정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이 부착 플레이트(5)에는 평면의 중심에 원형의 구멍(50)이 형성되고, 배면측에 구멍(50)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원환형상으로 환형상부(51)가 형성된다. 이 환형상부(51)의 배면측에 나사 구멍(52)이 설치된다. 또한 이 환형상부(51)의 내주면(53)은 소정의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부착 플레이트(5)는 부착 베이스(3)의 정면에 배치되고, 베이스 본체(31)에 설치된 나사 삽입통과부에 통과된 나사(54)가 부착 플레이트(5)의 나사 구멍(52)에 체결되어 부착 베이스(3)에 고착된다.
도 6에, 부착 베이스의 정면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부착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부착 플레이트(5)는 이미 서술한 부착 플레이트(5)와 공통이며, 이 부착 플레이트(5)의 배면측의 환형상부(51)는 유니버설 조인트(6)의 일부를 이룬다.
이 유니버설 조인트(6)는 서로 경사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이음매(601)와 제2 이음매(602)를 구비한다. 제1 이음매(601)는 부착 플레이트(5)의 배면측에 구멍(50)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측의 환형상부(51)와, 이 전측의 환형상부(51)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대략 환형상의 후측의 환형상부(61)로 이루어지고, 전측 및 후측의 환형상부(51, 61)의 내주면(53, 62)은 연속되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제1 이음매(601)를 이루는 전측 및 후측의 환형상부(51, 61)는 각각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원환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측의 환형상부(51)의 배면측에 나사 구멍(52)이 설치되고, 후측의 환형상부(61)에 나사 삽입통과 구멍(620)이 관통 형성되어, 후측의 환형상부(61)가 나사(621)에 의해 전측의 환형상부(51)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 전측 및 후측의 환형상부(51, 61)의 내주면(53, 62)은 구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일체적인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부분 구면형상을 이룬다.
제2 이음매(602)는 평판부(64)와, 복수의 돌출형상부(67)와, 원판부(69)로 이루어진다. 평판부(64)는 부착 베이스(3)의 정면에 접합 가능한 대략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63)를 가진다. 복수의 돌출형상부(67)는 평판부(64)의 정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이음매(601)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각 돌출형상부(67)의 외측면에는 제1 이음매(601)의 내주면(53, 62)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면 원호형상의 슬라이딩운동 부재(65)가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선단으로부터 평판부(64)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66)이 설치된다. 복수의 돌출형상부(67)에 설치된 경사면(66)은 전체적으로 평판부(64)를 향하여 점차 직경축소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한다. 원판부(69)는 복수의 돌출형상부(67)의 경사면(66)의 선단측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68)이 형성된다. 원판부(69)는 복수의 돌출형상부(67)의 경사면(66)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중심의 나사 구멍(68)에 볼트(681)가 통과되고, 평판부(64)의 보스(63)에 나사결합되어, 볼트(681)를 조임으로써 돌출형상부(67) 내측에 압입되어 장착된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제2 이음매(602)를 이루는 평판부(64) 및 복수의 돌출형상부(67)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평판부(64)는 후측의 환형상부(61)의 배면측의 개구보다 조금 작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형상부(67)는 평판부(64)의 정면측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소정의 길이의 지주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돌출형상부(67)의 선단측의 외측면에는 평판부(64)에 평행한 종단면이 대략 ㄷ자형의 슬라이딩운동 부재 부착부(671)가 형성된다. 슬라이딩운동 부재 부착부(671)는 돌출형상부(67)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돌출편과, 이 돌출편 사이의 중앙에 형성되는 볼록단차부(672)를 구비한다. 이 볼록단차부(672)는 돌출형상부(67)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돌출편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운동 부재(65)는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지는 작은 칩이며, 내측면이 각 돌출형상부(67)의 슬라이딩운동 부재 부착부(671)의 돌출편 사이에서 볼록단차부(672)에 끼워맞춤 가능한 단면 대략 ㄷ자형으로, 외측면이 제1 이음매(601)의 내주면(부분 구면)(53, 62)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면 원호형상 즉 부분 구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원판부(69)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원형 또한 우산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배면측의 중심에 원통부(690)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부(690)에는 나사 구멍(68)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유니버설 조인트(6)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돌출형상부(67)의 슬라이딩운동 부재 부착부(671)의 돌출편 사이에서 볼록단차부(672)에 슬라이딩운동 부재(65)를 끼워넣는다. 다음에 원판부(69)를 경사면(66)상에 배치함과 아울러, 중심의 나사 구멍(68)에 볼트(681)(이 실시태양에서는 헤드에 육각홈을 가지는 볼트)를 통과시켜 평판부(64)의 보스(63)에 나사결합한다. 이 볼트(681)를 조임으로써, 원판부(69)가 돌출형상부(67) 내측에 압입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제1 이음매(601)의 환형상부(51, 61) 내측에 제2 이음매(602)를 장착하고, 환형상부(51, 61)를 나사(621)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부착 플레이트(5)측의 제1 이음매(601)가, 부착 베이스(3)측의 제2 이음매(602)의 슬라이딩운동 부재(65)의 둘레에, 경사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부착 플레이트(5)의 중심의 구멍(50)으로부터 공구(이 경우, 육각 렌치)를 삽입하고, 볼트(681)를 조이면, 원판부(69)가 돌출형상부(67) 내측에 더욱 압입되어, 돌출형상부(67)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압압된다. 이것에 의해 각 돌출형상부(67)의 슬라이딩운동 부재(65)가 제1 이음매(601)의 내주면(53, 62)에 압접되어, 제1 이음매(601)가 제2 이음매(602)에 대하여 기울기 어렵고,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볼트(681)를 느슨하게 하면, 원판부(69)는 돌출형상부(67) 내측에서 압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돌출형상부(67)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의 압압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각 돌출형상부(67)의 슬라이딩운동 부재(65)가 제1 이음매(601)의 내주면(53, 62)에 대하여 압접하는 상태가 느슨해져, 제1 이음매(601)가 제2 이음매(602)에 대하여 기울기 쉽고, 회전하기 쉽도록 조정된다.
이 시스템 레일(1)에서는 또한 부착 베이스(3)와 부착 플레이트(5) 사이, 또는 부착 베이스(3)와 유니버설 조인트(6) 사이에, 지지 암을 개재시켜도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지지 암(7)은 복수의 암(71, 72)을 구비하고, 각 암(71, 72)은 힌지 장치(73)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암(71)은 기단측의 쇼트 암(71)이며, 암(72)은 선단측의 롱 암(72)이다. 쇼트 암(71)은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되고, 평단면이 대략 T자형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중앙의 블록(711)과, 블록(711) 전면의 일단측의 상부 및 하부에 있어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짧은 원통형의 전측 베어링(714F)과, 블록(711) 후면의 타단측의 상부 및 하부에 있어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짧은 원통형의 후측 베어링(714R)을 구비한다. 베어링(714F, 714R)에는 각각 단면 원형의 오목부(712)가 형성되고, 그 중심에 샤프트 삽입통과 구멍(713)이 뚫려 있다. 롱 암(72)은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되고, 쇼트 암(71)의 한 쌍의 베어링(714F) 사이에 배치 가능한, 쇼트 암(71)보다 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형상의 중앙의 블록(721)과, 블록(721) 전면의 일단측의 상부 및 하부에 있어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짧은 원통형의 전측 베어링(724)과, 블록(721) 후면의 타단측에 있어서 돌출하는 긴 원통형의 후측 베어링(726)을 구비한다. 전측 베어링(724)에는 각각 단면 원형의 오목부(722)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 샤프트 삽입통과 구멍(723)이 뚫려 있고, 후측 베어링(726)에는 상하 방향으로 샤프트 삽입통과부(725)가 뚫려 있다.
쇼트 암(71)의 한 쌍의 전측 베어링(714F) 사이에, 와셔(727)를 통해, 롱 암(72)의 후측 베어링(726)을 배치하고, 베어링(714F)의 샤프트 삽입통과 구멍(713) 및 베어링(726)의 샤프트 삽입통과부(725)중에 롱 샤프트(728)를 삽입통과시킨다. 이 롱 샤프트(728)는 쇼트 암(71)의 한 쌍의 베어링(714F) 사이를 삽입통과 가능한 샤프트이며, 그 상하 양단부에 볼트(729)를 위한 나사 구멍(7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롱 샤프트(728)의 상부 및 하부에 와셔(727), 접시 스프링 좌금(731) 및 와셔(732, 733)를 통과시켜, 한 쌍의 베어링(714F)의 오목부(712)내에 배치한 후, 롱 샤프트(728)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 나사 구멍(730)에 볼트(729)를 조인다. 또한 이들 오목부(712)에는 홀 플러그(734)가 끼움장착되어 폐색된다. 쇼트 암(71)과 롱 암(72)은 이러한 힌지 장치(73)에 의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7에 나타내는 태양에서는, 암(71)에는 후술하는 어태치먼트(74)가 부착되어 있지만, 이 실시태양에서는 이 어태치먼트(74) 대신에 부착 베이스(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베이스를 부착한다. 이 경우, 고정 베이스는 부착 베이스(3)에 부착 가능한 부착판과, 이 부착판의 일방의 평면의 좌우 방향 중앙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긴 원통형상의 베어링을 구비하고, 이 베어링은 상하 방향으로 샤프트 삽입통과부를 가진다. 이러한 부착판을 부착 베이스(3)에 고정하여, 지지 암(7)을 부착할 수 있다.
암(72)에는 부착 플레이트(5)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6)의 평판부(64)를 부착하기 위한 시트 플레이트(75)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플레이트(75)는 롱 암(72)의 한 쌍의 베어링(724) 사이에 끼워맞춤 가능한 평판형상의 시트 본체(751)와, 이 시트 본체(751)의 일방의 평면의 좌우 방향 중앙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긴 원통형상의 베어링(753)을 구비한다. 베어링(753)에는 상하 방향으로 샤프트 삽입통과부(752)가 설치되어 있다. 롱 암(72)의 한 쌍의 전측 베어링(724) 사이에 와셔(727)를 통해 시트 플레이트(75)의 베어링(753)을 배치하고, 베어링(724)의 샤프트 삽입통과 구멍(723) 및 베어링(753)의 샤프트 삽입통과부(752)중에 쇼트 샤프트(754)를 삽입통과시킨다. 이 쇼트 샤프트(754)는 롱 암(72)의 한 쌍의 베어링(724) 사이를 삽입통과 가능한 샤프트이며, 그 상하 양단부에 볼트(755)를 위한 나사 구멍(75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쇼트 샤프트(754)의 상부 및 하부에, 와셔(727), 접시 스프링 좌금(731) 및 와셔(732, 733)를 통과시켜, 한 쌍의 베어링(724)의 오목부(722)내에 배치한 후, 쇼트 샤프트(754)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 나사 구멍(756)에 볼트(755)를 조인다. 또한, 이들 오목부(722)에는 홀 플러그(734)가 끼움장착되어 폐색된다. 롱 암(72)과 시트 플레이트(75)는 이러한 힌지 장치(73)에 의해 시트 플레이트(75)가 롱 암(72)에 대하여 수평면에 있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서술한 지지 암(7)을 부착 베이스(3)에 부착하는 태양과는 별도로, 부착 베이스(3)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 암(7)을 레일(2)에 직접 부착하는 태양도 가능하다. 이 경우, 지지 암(7)을 부착 베이스(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베이스 대신에 레일(2)에 삽입하기 위한 어태치먼트(74)를 암(71)에 부착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74)는 레일(2)의 상하의 홈(214, 216)에 끼워맞춤 가능한 직사각형형상의 부착판(741)과, 이 부착판(741)의 일방의 평면의 좌우 방향 중앙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긴 원통형상의 베어링(743)을 구비한다. 베어링(743)에는 상하 방향으로 샤프트 삽입통과부(742)가 설치되어 있다. 쇼트 암(71)의 한 쌍의 후측 베어링(714R) 사이에 와셔(727)를 통해 어태치먼트(74)의 베어링(743)을 배치하고, 베어링(714R)의 샤프트 삽입통과 구멍(713) 및 베어링(743)의 샤프트 삽입통과부(742)중에 롱 샤프트(728)를 삽입통과시킨다. 이 롱 샤프트(728)는 이미 서술한 롱 샤프트(728)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 롱 샤프트(728)의 상부 및 하부에,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와셔(727), 접시 스프링 좌금(731), 및 와셔(732, 733)을 통과시켜, 한 쌍의 베어링(714R)의 오목부(712)내에 배치한 후, 롱 샤프트(728)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 나사 구멍(730)에 볼트(729)를 조인다. 또한, 이들 오목부(712)에는 홀 플러그(734)가 끼움장착되어 폐색된다. 이러한 힌지 장치(73)에 의해, 쇼트 암(71)이 어태치먼트(74)에 대하여 수평면에 있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스템 레일(1)은 이와 같이 구성되고, 오피스, 학교, 가정 등의 옥내 공간의 벽면, 천정, 데스크, 테이블, 대 등,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에, 부착 부재(4)를 통해 레일(2)을 설치하고, 각 모니터에 부착 베이스(3)를 고착하여, 이 기기를 당해 부착 베이스(3)를 통해 레일(2)에 부착한다.
이 시스템 레일(1)의 부착예를 도 1에 나타낸다. 이 태양에서는, 부착 부재(4)로서 지주(42) 및 상기 서술한 부착 브래킷(41)을 사용하여, 시스템 레일(1)을 설치면에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지주(42)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절결부(420)를 가지는 중공의 사각기둥형상의 기둥재로 이루어지는 지주 본체(421)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형성되고, 지주 본체(421)의 하부에 고착되는 사각형의 평판형상의 지주 시트(422)로 이루어진다. 지주 본체(421)의 절결부(420)에는 지주 커버(43)가 장착된다. 지주 커버(43)는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되고, 지주 본체(421)의 절결부(420)를 덮는 가늘고 긴 띠형상의 커버와, 절결부(420)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커버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절결부(420)의 좌우 양측의 에지에 내측으로부터 걸음 가능한 한 쌍의 걸음 클로로 이루어진다. 커버의 이면과 걸음 클로에 의해 절결부(420)의 좌우 양측의 각 에지를 협지하여, 지주 커버(43)를 절결부(420)상에 고정한다. 또, 지주 본체(421)의 정부에는 탑 커버(44)가 장착된다. 탑 커버(44)는 ABS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지주 본체(42)의 정부와 대략 동일형태의 평판형상의 커버와, 지주 본체(421) 내부에 형성된 단면 C자형 또는 O자형의 복수의 핀 삽입통과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커버의 이면에 설치된 복수의 핀으로 이루어진다. 각 핀을 각 핀 삽입통과부에 삽입하여 걸어맞추어, 탑 커버(44)를 지주 본체(421)의 정부상에 고정한다. 지주 시트(422)의 상면의 네 모서리에는 볼트 삽입통과부(423)가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주 시트(422)를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통과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주(42)는 지주 시트(422)를 책상, 테이블, 대 등의 설치면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하여 부착된다. 또한, 지주 시트(422)의 각 볼트 삽입통과부(423)에는 볼트 숨김용의 캡이 장착된다.
또 지주(4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 시트(422)의 하부에 클램프 부재(45)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이 클램프 부재(45)는 대략 ㄷ자형의 앵글재(451)와, 앵글재(451)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454)에 통과되는, 정부에 누름 플레이트(452)를 가지는 수나사 부재(453)로 이루어지고, 앵글재(451)의 상면이 지주 시트(422)의 하면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지주(42)에 일체적으로 부착설치된다. 이 지주(42)는 도 8의 지주(42)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지주(42)의 각 부에 도 8과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이 지주(42)는 클램프 부재(45)에 의해, 즉 앵글재(451)와 그것에 조여지는 수나사 부재(453)의 누름 플레이트(452)에 의해, 책상, 테이블, 대 등의 설치면을 협지하고 고정되어 부착된다.
레일(2)은 상기 서술한 부착 브래킷(41)을 부착한 후, 클램프 레버를 사용하여 부착 브래킷(41)을 지주(42)에 고정함으로써, 지주(42)에 부착할 수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2)에 부착한 부착 브래킷(41)의 돌출단을, 지주 본체(421)의 절결부(420)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이너 너트(450)를, 지주 본체(421) 내측의 이것에 대향하는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부착 브래킷(41)의 상하의 각 나사 삽입통과 구멍(418)에 나사(46)를 삽입통과시키고, 이너 너트(450)측의 각 나사 구멍에 조여서 장착한다. 이와 같이 이너 너트(450)와 부착 브래킷(421)이 지주 본체(421)의 절결부(420)의 양측을 표리로부터 끼운 상태에서, 클램프 레버(47)의 나사부(471)를 부착 브래킷(41)의 나사부 삽입통과 구멍(417)에 통과시키고, 이너 너트(450)측의 나사 구멍에 걸어맞추어, 클램프 레버(451)의 레버를 돌림으로써, 부착 브래킷(41)의 돌출단과 이너 너트(450)가 체결되어, 레일(2)이 지주(42)에 고정된다. 이 경우, 이너 너트(450)의 나사 구멍에 맞추는 부착 브래킷(41)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418)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부착 브래킷(41), 따라서 이것에 부착한 레일(2)을 지주(42)에 대하여 적당한 각도로 조정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 작업은 지주 본체(421)에 지주 커버(43)나 탑 커버(44)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행해진다.
도 11, 도 12에 시스템 레일(1)을 책상, 테이블, 대 등 위에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2대의 모니터를 부착 가능한 레일(2)과, 모니터를 각각 부착하기 위한 2개의 부착 베이스(3)를 사용한다. 또한 이 부착 베이스(3)는 정면에 지지 암(7), 유니버설 조인트(6), 및 부착 플레이트(5)를 구비하는 형식의 것을 사용한다. 우선 레일(2)을 부착 부재(4)(부착 브래킷(41) 및 지주(42))에 의해 설치면에 설치하는 한편, 모니터에 부착 플레이트(5)를 고착하고, 그것에 유니버설 조인트(6) 및 지지 암(7)을 통해 부착 베이스(3)를 부착한다. 그리고 부착 베이스(3)의 상하를 레일(2)의 상하에 맞추어, 고정 클로(315)를 레일(2)의 상측의 홈(214)에 걸어맞춘 후, 조작 레버(35)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구동 레버(36)로 가동 부재(33)를 하방으로 압압하고, 개구(312)로부터 가동 클로(316)를 돌출시켜 레일(2)의 하측의 홈(216)에 걸어맞춘다. 이 상태를 조작 레버(35) 및 구동 레버(36)와 스토퍼(37)의 걸어맞춤에 의해 로크한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가 레일(2)에 부착된다. 또 이 경우, 부착 베이스(3)와 부착 플레이트(5)는 유니버설 조인트(6)를 통해 부착되어 있으므로, 모니터를 상하 좌우 임의의 방향으로 각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 베이스(3)와 유니버설 조인트(6) 사이에 지지 암(7)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모니터를 레일(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각도 조정하거나, 레일(2)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끌어내거나, 밀어 되돌리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암(7)을 유니버설 조인트(6)와 아울러 사용함으로써, 모니터의 방향이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모니터를 레일(2)로부터 분리하는 경우는, 조작 레버(35)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가동 클로(316)에 대한 구동 레버(36)의 압압을 해제하여, 가동 클로(316)를 부착 베이스(3)내에 몰입시킨다. 이것에 의해, 레일(2)로부터 모니터를 분리할 수 있다.
또, 설치면에 3대 이상의 모니터를 설치하는 경우는, 3대 이상의 모니터를 부착 가능한 레일, 또는 1대 혹은 복수대의 모니터를 부착 가능한 레일을 적당히 조합하여 사용하고, 3개 이상의 부착 베이스에 각각 모니터를 1대씩 부착하여, 이들 부착 베이스를 통해 레일에 부착하면 된다.
또 이 시스템 레일(1)을 사용하여, 모니터를 천정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레일(2)을 천정용의 부착 브래킷에 의해 천정에 설치하고, 모니터에 부착 베이스(3)를 부착한다. 다음은 상기 서술한 책상 등의 설치면 위에 설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부착 베이스(3)를 레일(2)에 착탈함으로써, 레일(2)에 대하여 모니터를 착탈할 수 있다.
또 이 경우도, 유니버설 조인트(6) 및/또는 지지 암(7)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니터의 방향이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 베이스(3)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 암(7)을 직접 레일(2)에 부착해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니터의 방향이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 레일(1)을 사용하여, 모니터를 벽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레일(2)을 벽면용의 부착 브래킷에 의해 벽면에 설치하고, 모니터에 부착 베이스(3)를 부착한다. 다음은 상기 서술한 책상 등의 설치면 위에 설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부착 베이스(3)를 레일(2)에 착탈함으로써, 레일(2)에 대하여 모니터를 착탈할 수 있다.
또 이 경우도, 유니버설 조인트(6) 및/또는 지지 암(7)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니터의 방향이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 베이스(3)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 암(7)을 직접 레일(2)에 부착해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니터의 방향이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시스템 레일(1)을 사용하면, 오피스, 학교, 가정 등의 옥내 공간의 벽면, 천정, 데스크, 테이블, 대 등,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에, 레일(2)을 설치하고, 모니터에 부착 베이스(3)를 부착하여, 이 기기를 부착 베이스(3)를 통해 레일(2)에 부착하므로, 종래와 같이 많은 볼트를 사용하여 각종 기기를 래크에 부착하는 것과는 상이하게, 설치면에 대한 모니터의 설치, 증설 및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매우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시스템 레일(1)을 사용하면, 각종의 부착 브래킷(4), 유니버설 조인트(6), 지지 암(7) 등의 부대 부품을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모니터를 실용상 최적의 방향이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부착 베이스(3)의 상측에 고정 클로(315)가 돌출설치되고, 하측에 가동 클로(316)가 출몰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있지만, 부착 베이스(3)의 상측에 가동 클로가 출몰 가능하게 배열설치되고, 하측에 고정 클로가 돌출설치되어도 된다. 또 조작 레버(35)는 부착 베이스(3)의 상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부착 베이스(2)의 좌측부, 우측부, 혹은 하부로부터 돌출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부착 베이스는 케이스형상으로 구성된 베이스 본체(31)로서, 고정 클로가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본체와, 당해 개구의 내측에 베이스 본체의 하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운동 가이드와, 이 슬라이딩운동 가이드 사이에 슬라이딩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부재와, 이 가동 부재에 근접하여 베이스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가동 클로는 가동 부재의 개구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가동 부재는 보통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베이스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압압 가압되어, 가동 클로와 함께 베이스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몰입되어도 된다. 이 경우, 조작 레버는 그 중간부가 베이스 본체 내부에서 하면측에 축지지되고, 일단측은 베이스 본체의 외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돌출됨과 아울러, 베이스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측이 구동 레버를 통해 회전운동 부재에 연결된다. 구동 레버는 조작 레버의 회전운동에 의해 가동 부재를 향하여 연장되어, 가동 부재를 압압할 수 있도록 링크 결합된다.
도 13에 다수의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레일 유닛(11)을 나타낸다. 시스템 레일 유닛(11)은 복수의 레일(2)과, 복수의 부착 베이스(3)와, 필요에 따라서 부착 브래킷(4), 유니버설 조인트(6), 지지 암(7), 및 후술하는 지지 암(8)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들 각 부재(2, 3, 4, 6, 7)의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관리 센터나 컨트롤 센터 등의 옥내 공간의 벽면(A), 천정(B), 데스크 또는 테이블(C), 부스(D)의 각 부 등, 다수의 모니터를 중심으로 하는 각종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각 설치면에, 복수의 레일(2)을 수직 방향으로 병렬로,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복열 혹은 단열로, 또는 환형상의 배열로,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조합에 의해 설치하고, 다수의 모니터의 각각에 부착 베이스(3)를 부착하여, 당해 부착 베이스(3)를 통해 각 레일(2)에 부착한다. 또한, 각 부(A, B, C, D) 등에 있어서의 부착 베이스(3)의 레일(2)에 대한 부착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7에 본 발명의 시스템 레일 유닛에 사용할 수 있는 지지 암(8)을 나타낸다. 지지 암(8)은 암 본체(80)와, 모니터에 고착하기 위한 부착 플레이트(82)와, 부착 플레이트(82)에 고정되고, 암 본체(80)의 선단에 부착되는 유니버설 조인트(81)를 구비한다. 지지 암(8)은 부착 부재(83)를 통해, 책상, 테이블, 대 등의 설치면에 부착하는 것이며, 상기 지지 암(7)과 같이 레일(2)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본체(80)는 상기 서술한 지지 암(7)과 마찬가지의 복수의 암(71, 72)을 구비하고, 암(71과 72)은 상기 서술한 지지 암(7)과 마찬가지의 힌지 장치(73)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암(71)에는 암 본체(80)를 부착 부재(83)를 이루는 지주(83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브래킷(831)이 부착되고, 암(72)에는 부착 플레이트(82)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81)의 평판부(64)를 부착하기 위한 시트 플레이트(75)가 설치된다.
부착 부재(83)를 이루는 부착 브래킷(831)은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되고, 지주(832)의 부착면에 부착 가능한 평판(841)과, 이 평판(841)의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긴 원통형상의 베어링(843)을 구비한다. 베어링(843)에는 상하 방향으로 샤프트 삽입통과부(842)가 설치되어 있다. 평판(841)의 타단측의 중앙에는 나사부 삽입통과 구멍(844), 그 상하에는 각각 나사 삽입통과 구멍(845)이 설치된다. 쇼트 암(71)의 한 쌍의 후측 베어링(714R) 사이에 와셔(727)를 통해 부착 브래킷(831)의 베어링(843)을 배치하고, 베어링(714R)의 샤프트 삽입통과 구멍(713) 및 베어링(843)의 샤프트 삽입통과부(842)중에 롱 샤프트(728)를 삽입통과시킨다. 이 롱 샤프트(728)는 이미 서술한 롱 샤프트(728)와 공통이다. 그리고 이 롱 샤프트(728)의 상부 및 하부에,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와셔(727), 접시 스프링 좌금(731), 및 와셔(732, 733)를 통과시켜, 한 쌍의 베어링(714R)의 오목부(712)내에 배치한 후, 롱 샤프트(728)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 나사 구멍(730)에 볼트(729)를 조인다. 또한, 이들 오목부(712)에는 홀 플러그(734)가 끼움장착되어 폐색된다. 이러한 힌지 장치(73)에 의해, 쇼트 암(71)이 부착 브래킷(831)에 대하여 수평면에 있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트 플레이트(75)는 롱 암(72)의 한 쌍의 베어링(724) 사이에 끼워맞춤 가능한 평판형상의 시트 본체(751)와, 이 시트 본체(751)의 일방의 평면의 좌우 방향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긴 원통형상의 베어링(753)을 구비한다. 베어링(753)에는 상하 방향으로 샤프트 삽입통과부(752)가 설치되어 있다. 롱 암(72)의 한 쌍의 전측 베어링(724) 사이에 와셔(727)를 통해 시트 플레이트(75)의 베어링(753)을 배치하고, 베어링(724)의 샤프트 삽입통과 구멍(723) 및 베어링(753)의 샤프트 삽입통과부(752)에 쇼트 샤프트(754)를 삽입통과시킨다. 이 쇼트 샤프트(754)는 롱 암(72)의 한 쌍의 베어링(724) 사이를 삽입통과 가능한 샤프트이며, 그 상하 양단부에 볼트(755)를 위한 나사 구멍(75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쇼트 샤프트(754)의 상부 및 하부에, 와셔(727), 접시 스프링 좌금(731) 및 와셔(732, 733)를 통과시켜, 한 쌍의 베어링(724)의 오목부(722)내에 배치한 후, 쇼트 샤프트(754)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 나사 구멍(756)에 볼트(755)를 조인다. 또한, 이들 오목부(722)는 홀 플러그(734)가 끼움장착되어 폐색된다. 롱 암(72)과 시트 플레이트(75)는 이러한 힌지 장치(73)에 의해, 시트 플레이트(75)가 롱 암(72)에 대하여 수평면에 있어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플레이트(82)는 상기 서술한 부착 플레이트(5)와 마찬가지의 부품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부착 플레이트(5)의 배면측의 환형상부(51)는 유니버설 조인트(81)의 일부를 이룬다.
이 유니버설 조인트(81)는 상기 서술한 유니버설 조인트(6)와 마찬가지의 부품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암(8)은 이와 같이 구성되고, 오피스, 학교, 가정 등의 옥내 공간의 벽면, 천정, 데스크, 테이블 등,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에 부착되고, 이 지지 암(8)의 선단의 부착 플레이트(82)에 모니터가 부착된다.
지지 암(8)은 부착 부재(83)로서 지주(832)를 사용하여, 설치면에 부착된다. 이 지주(832)는 도 8에 나타내는 지주(42) 혹은 도 9에 나타내는 클램프 부재(46)를 구비하는 지주(42)와 마찬가지의 부품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암(8)은 클램프 레버를 사용하여 부착 브래킷(831)을 지주(832)에 고정함으로써, 지주(832)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암(8)의 부착 브래킷(831)의 돌출단을 지주(832)의 지주 본체(421)의 절결부(420)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이너 너트(450)를 지주 본체(421) 내측의 이것에 대향하는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부착 브래킷(831)의 상하의 각 나사 삽입통과 구멍(845)에 나사를 삽입통과시켜, 이너 너트(450)측의 나사 구멍에 조여서 장착한다. 이와 같이 이너 너트(450)와 부착 브래킷(831)이 지주 본체(421)의 절결부(420)의 표리를 끼운 상태에서, 클램프 레버(451)의 나사부를 부착 브래킷(831)의 나사부 삽입통과 구멍(844)에 통과시키고, 이너 너트(450)측의 나사 구멍에 걸어맞추어, 클램프 레버(451)의 레버를 돌림으로써, 부착 브래킷(831)의 돌출단과 이너 너트(450)가 체결되어, 지지 암(8)이 지주(832)에 고정된다. 또한 이 부착 작업은 지주(832)에 지주 커버(43)나 탑 커버(44)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행해진다.
도 16, 도 17에, 지주(832)를 통해 지지 암(8)을 책상, 테이블, 대 등 위에 설치하고, 이 지지 암(8)에 모니터를 부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2대의 모니터를 부착하기 위해서, 2개의 지지 암(8)을 부착 부재(83)(부착 브래킷(831) 및 지주(832))에 의해 설치면에 설치하고, 모니터를 지지 암(8) 선단의 부착 플레이트(82)에 고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니터의 각각이 각 지지 암(8)에 부착되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832)의 정면에 병렬로 배치하거나, 또, 지주의 정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를 조정하거나, 지주(832)의 정면으로 밀어 되돌리거나 할 수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암(8)을 지주(832)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시켜, 모니터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지지 암(8)의 유니버설 조인트(81)의 기능에 의해, 모니터를 상하좌우 방향 임의의 방향으로 각도 조정할 수 있어, 기기의 방향이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지지 암(8)을 천정 또는 벽면에, 천정용 또는 벽면용의 부착 부재를 통해 부착할 수도 있고, 모니터를 이 지지 암(8)을 통해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암(8)을 사용하고, 암 본체(80)를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에 설치하여, 암 본체(80)의 선단에 유니버설 조인트(81)를 통해 연결된 부착 플레이트(82)에 모니터를 고착하여 부착하므로, 지지 암(8)의 다방향으로의 신축 기능과, 유니버설 조인트(81)의 다방향으로의 각도 조정 기능에 의해, 모니터를 방향이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설치할 수 있고, 복수의 모니터를 다양한 레이아웃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시스템 레일 유닛(11)을 사용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센터나 컨트롤 센터 등의 옥내 공간의 벽면, 천정, 데스크, 테이블, 부스의 각 부 등, 다수의 모니터를 설치하기 위한 각 설치면에, 복수개의 레일(2)을 수직 방향으로 병렬로,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복열 또는 단열로, 또는 환형상의 배열로,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조합에 의해 설치하고, 다수의 모니터의 각각에 부착 베이스(3)를 부착하여, 이들 기기를 각각 당해 부착 베이스(3)를 통해 각 레일(2)에 부착하므로, 각 설치면에 대한 다수의 모니터의 설치, 증설 및 그 설치후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매우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시스템 레일 유닛(11)을 사용하면, 각종의 부착 브래킷(4), 유니버설 조인트(6), 지지 암(7) 등의 부대 부품을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모니터를 실용상 최적의 방향이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1…시스템 레일
11…시스템 레일 유닛
2…레일
21…레일 본체
211…오목부
212…나사 구멍
213…걸음부
214…홈
215…걸음부
216…홈
217…걸음부
218…홈
219…걸음부
220…홈
22…레일 커버
221…개구
222…걸음부
223…걸음부
23…레일 커버
3…부착 베이스
31…베이스 본체
310…개구
311…슬릿
312…개구
313…슬라이딩운동 가이드
314…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
315…고정 클로
316…가동 클로
32…백 플레이트
320…나사 삽입통과 구멍
321…나사
33…가동 부재
33U…상부체
33D…하부체
331…원통부
332…축 삽입통과부
333…연결편
334…코일 스프링
335…돌기
336…나사 삽입통과부
337…축
338…나사 구멍
339…나사
340…코일 스프링
34…스토퍼
35…조작 레버
350…축 삽입통과부
351…축
36…구동 레버
361…축
37…스토퍼
4…부착 부재
41…부착 브래킷
411…고정부
412…걸음부
413…걸음부
414…볼트
415…나사 구멍
416…지지부
417…나사부 삽입통과 구멍
418…나사 삽입통과 구멍
42…지주
420…절결부
421…지주 본체
422…지주 시트
423…볼트 삽입통과부
43…지주 커버
44…탑 커버
45…클램프 부재
450…이너 너트
451…앵글재
452…누름 플레이트
453…수나사 부재
454…나사 구멍
46…나사
47…클램프 레버
471…나사부
5…부착 플레이트
50…구멍
51…환형상부
52…나사 구멍
53…내주면
54…나사
6…유니버설 조인트
601…제1 이음매
602…제2 이음매
61…환형상부
62…내주면
620…나사 삽입통과 구멍
621…나사
63…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
64…평판부
65…슬라이딩운동 부재
66…경사면
67…돌출형상부
671…슬라이딩운동 부재 부착부
672…볼록단차부
68…나사 구멍
681…볼트
69…원판부
690…원통부
7…지지 암
71…암(쇼트 암)
711…중앙의 블록
712…홈
713…샤프트 삽입통과 구멍
714F…베어링
714R…베어링
72…암(롱 암)
721…중앙의 블록
722…홈
723…샤프트 삽입통과 구멍
724…베어링
725…샤프트 삽입통과부
726…베어링
727…와셔
728…롱 샤프트
729…볼트
730…나사 구멍
731…접시 스프링 좌금
732…와셔
733…와셔
734…홀 플러그
73…힌지 장치
74…어태치먼트
741…부착판
742…샤프트 삽입통과부
743…베어링
75…시트 플레이트
751…시트 본체
752…샤프트 삽입통과부
753…베어링
754…쇼트 샤프트
755…볼트
756…나사 구멍
8…지지 암
80…암 본체
81…유니버설 조인트
82…부착 플레이트
83…부착 부재
831…부착 브래킷
832…지주
841…평판
842…샤프트 삽입통과부
843…베어링
844…나사부 삽입통과 구멍
845…나사 삽입통과 구멍
846…나사

Claims (10)

  1. 모니터 등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레일로서,
    설치면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와,
    상기 부착 부재에 부착되고, 부착 부재를 통해 설치면에 설치되는 레일로서, 상하에 한 쌍의 홈을 가지는 레일과,
    상기 각 기기에 대하여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각 부착 베이스는,
    상하 어느 하나의 제1측에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의 일방의 홈에 걸음 가능한 고정 클로와,
    타방의 제2측에 출몰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상기 레일의 타방의 홈에 걸고빼기 가능한 가동 클로와,
    상기 가동 클로를 출몰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가지고,
    상기 조작 레버는 가동 클로를 상기 제2측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압압 가능한 수단과, 가동 클로의 상기 제2측으로부터의 돌출 상태를 로크 가능한 수단을 통해, 가동 클로에 작동 연결되고,
    상기 각 기기가 상기 각 부착 베이스를 통해 상기 레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베이스는 또한
    케이스형상으로 구성된 베이스 본체로서, 상기 고정 클로가 상하 어느 하나의 제1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고정 클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상하 어느 하나의 제2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개구의 내측에, 베이스 본체의 상기 제1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운동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운동 가이드 사이에 슬라이딩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에 근접하여 베이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클로는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개구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보통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베이스 본체 내부를 향하여 가압되어, 가동 클로와 함께 베이스 본체 내부로 몰입되어 있고,
    상기 부착 베이스는 또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가동 부재에 링크 결합된 구동 레버와,
    베이스 본체 내부에 배열설치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그 중간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면측에 축지지되고, 일단측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외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측이 상기 구동 레버를 통해 가동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레버는 조작 레버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를 향하여 연장되어, 가동 부재를 압압할 수 있도록 링크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는 구동 레버가 가동 부재를 압압하는 상태에서 로크되는 위치에, 조작 레버 및/또는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을 규제 가능하며,
    상기 조작 레버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구동 레버로 가동 부재를 상기 제2면을 향하여 압압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가동 클로를 돌출시켜, 그 상태를 조작 레버 및 구동 레버와의 스토퍼의 걸어맞춤에 의해 로크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가동 클로에 대한 구동 레버의 압압을 해제하여, 가동 클로를 베이스 본체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내부로 몰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기기에 고착하기 위한 부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베이스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기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중심에 구멍을 가지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서로 경사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이음매와 제2 이음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음매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측의 환형상부와, 이 전측의 환형상부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대략 환형상의 후측의 환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이 전측 및 후측의 환형상부의 내주면이 연속되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음매는 평판부와, 복수의 돌출형상부와, 원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부는 부착 베이스의 정면에 접합 가능한 대략 평판형상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는 평판부의 정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이음매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각 돌출형상부는 그 외측면에 제1 이음매의 내주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면 원호형상의 슬라이딩운동 부재를 가지고, 그 내측면에 선단으로부터 평판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은 전체적으로 평판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축소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의 선단측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을 가지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의 나사 구멍에 볼트가 통과되어 상기 평판부의 상기 보스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 내측에 압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각 부착 베이스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부착 플레이트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각 기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부착 베이스의 정면과 상기 기기 혹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지지 암과, 이 제1 지지 암을 상기 부착 베이스의 정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암은 적어도 2개의 암으로 이루어지고, 이 암은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6. 모니터 등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레일로서,
    설치면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와,
    상기 부착 부재에 부착되고, 부착 부재를 통해 설치면에 설치되는 레일로서, 상하에 한 쌍의 홈을 가지는 레일과,
    상기 각 기기에 대하여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상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암과,
    상기 제1 지지 암을 상기 레일에 부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암은 적어도 2개의 암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암은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레일의 한 쌍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한 부착판을 가지고, 상기 암의 하나에,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 기기가 상기 각 제1 지지 암을 통해 상기 레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기기에 고착하기 위한 부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암은 상기 부착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기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레일은 또한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중심에 구멍을 가지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서로 경사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이음매와 제2 이음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음매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측의 환형상부와, 이 전측의 환형상부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대략 환형상의 후측의 환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 및 후측의 환형상부의 내주면이 연속되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음매는 평판부와, 복수의 돌출형상부와, 원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제1 지지 암의 일단에 접합 가능한 대략 평판형상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는 평판부의 정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이음매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각 돌출형상부는 그 외측면에 제1 이음매의 내주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면 원호형상의 슬라이딩운동 부재를 가지고, 그 내면에 선단으로부터 평판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은 전체적으로 평판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축소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의 선단측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을 가지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의 나사 구멍에 볼트가 통과되어 상기 평판부의 상기 보스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 내측에 압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각 제1 지지 암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부착 플레이트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각 기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9. 복수의 모니터 등의 기기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레일 유닛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스템 레일을 복수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면에 상기 레일을 복수개, 수직 방향으로 병렬로,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복열 혹은 단열로, 또는 환형상의 배열로,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조합에 의해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레일 유닛은 또한 상기 기기에 대해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부착 부재에 부착되는 제2 지지 암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부착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 암은 암 본체와, 상기 기기에 고착하기 위한 부착 플레이트와, 이 부착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암 본체의 선단에 부착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암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은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암 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부착 브래킷이 힌지 장치를 통해 수평면에 있어서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임의의 회전운동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부착 플레이트는 중심에 구멍을 가지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서로 경사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이음매와 제2 이음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음매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측의 환형상부와, 이 전측의 환형상부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대략 환형상의 후측의 환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 및 후측의 환형상부의 내주면이 연속되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음매는 평판부와, 복수의 돌출형상부와, 원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암 본체에 연결 가능하며, 중심에 나사 구멍이 있는 보스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는 평판부의 정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이음매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각 돌출형상부는 그 외측면에 제1 이음매의 내주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단면 원호형상의 슬라이딩운동 부재를 가지고, 그 내측면에 선단으로부터 평판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은 전체적으로 평판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축소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의 선단측의 내경과 대략 동일 직경이며, 중심에 나사 구멍을 가지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의 경사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의 나사 구멍에 볼트가 통과되어 상기 평판부의 상기 보스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복수의 돌출형상부 내측으로 압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레일 유닛.
KR1020110114261A 2010-11-04 2011-11-04 시스템 레일 및 시스템 레일 유닛 KR101886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7582A JP5193264B2 (ja) 2010-11-04 2010-11-04 システムレール及びシステムレールユニット
JPJP-P-2010-247582 2010-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833A true KR20120047833A (ko) 2012-05-14
KR101886122B1 KR101886122B1 (ko) 2018-08-07

Family

ID=4626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261A KR101886122B1 (ko) 2010-11-04 2011-11-04 시스템 레일 및 시스템 레일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93264B2 (ko)
KR (1) KR101886122B1 (ko)
CN (1) CN1025733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77B1 (ko) * 2012-06-27 2014-07-04 한국산업은행 전자칠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508Y1 (ko) * 2012-07-25 2013-02-22 추정석 다중 모니터 장치
JP5971268B2 (ja) * 2014-02-05 2016-08-17 横河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208627B2 (en) * 2015-12-10 2019-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assembly lift systems
KR101794752B1 (ko) * 2017-07-06 2017-11-08 주식회사 시그널웍스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US20220078313A1 (en) * 2018-12-25 2022-03-10 Huawei Technologies Co. , Ltd. Camera assembly and terminal device
CN110333136B (zh) * 2019-08-08 2024-03-29 西南交通大学 一种模拟深埋隧道多角度穿越断层的断层错动试验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4079A (ja) 2001-06-13 2002-12-26 Nihon Form Service Co Ltd モニター監視用ラック
KR20030015642A (ko) * 2001-08-17 2003-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판 모니터용 스탠드 장치
US6554238B1 (en) * 1999-11-18 2003-04-29 Claiteal Pty. Limited Support arm for visual display unit
KR200326988Y1 (ko) * 2003-06-05 2003-09-19 김시연 Lcd모니터 지지대
US20100128423A1 (en) * 2009-03-10 2010-05-27 Jerry Moscovitch Stand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9397A (ja) * 1998-07-13 2000-01-28 Purse Japan:Kk ディスプレイ装置のための自在ホルダー
JP3711451B2 (ja) * 2002-02-12 2005-11-02 日研工業株式会社 表示用ホルダ
JP2004191601A (ja) * 2002-12-10 2004-07-08 Celestar Lexico-Sciences Inc 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並びにマルチディスプレイの使用方法
CN2599373Y (zh) * 2003-01-30 2004-01-14 捷联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器调整支架
JP2005245962A (ja) * 2004-03-08 2005-09-15 Olympus Corp 医療用モニター装置
US8407944B2 (en) * 2004-12-06 2013-04-02 Steelcase Inc. Multi-use conferencing space, table arrangement and display configuration
CN201215231Y (zh) * 2008-06-19 2009-04-01 联福生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固定座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4238B1 (en) * 1999-11-18 2003-04-29 Claiteal Pty. Limited Support arm for visual display unit
JP2002374079A (ja) 2001-06-13 2002-12-26 Nihon Form Service Co Ltd モニター監視用ラック
KR20030015642A (ko) * 2001-08-17 2003-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판 모니터용 스탠드 장치
KR200326988Y1 (ko) * 2003-06-05 2003-09-19 김시연 Lcd모니터 지지대
US20100128423A1 (en) * 2009-03-10 2010-05-27 Jerry Moscovitch Stand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77B1 (ko) * 2012-06-27 2014-07-04 한국산업은행 전자칠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3380B (zh) 2016-02-10
JP2012100151A (ja) 2012-05-24
JP5193264B2 (ja) 2013-05-08
KR101886122B1 (ko) 2018-08-07
CN102573380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7833A (ko) 시스템 레일 및 시스템 레일 유닛
US7481410B2 (en) Equipment security apparatus
US7958684B2 (en) Track suspension device
JP2695358B2 (ja) テーブル
US7226261B1 (en) Toggle assembly
JP2005526202A (ja) 太陽電池パネル用支持システム
US20150090849A1 (en) Medical device supporting apparatus
US10767807B2 (en) Appliance stand
KR20100096069A (ko) 삼각대 머리
JP2009517607A (ja) 偏心締結装置
JP2018179021A (ja) ボルト連結具
EP3207300B1 (de) Sicherungselement für stativvorrichtung sowie dazu korrespondierend ausgebildete komponenten
KR20210091607A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WO2018147035A1 (ja) 斜度調整ユニットおよび家具
US20040115030A1 (en) Detachable connection arrangement
JP5586496B2 (ja) 配線・配管材配設具、配線・配管材配設装置、配線・配管材の配設方法、および配線・配管材配設装置体
JP6739503B2 (ja) ボルト連結具
JP2018179280A (ja) ボルト連結具
JP2010196856A (ja) 取付部品、取付部品による縦横材の組付け構造体及びその組付け方法
JP2018179022A (ja) ボルト連結具
KR101634335B1 (ko) 낚시대 클램프
US10808881B1 (en) Structure base with pivot bolts
JP6188901B1 (ja) フリーロックジョイント
JP2014091981A (ja) 吊設機器の振れ止め措置構造
JP6808509B2 (ja) 貫通孔隠しカバー装置及び下地材構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