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752B1 -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 Google Patents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752B1
KR101794752B1 KR1020170085755A KR20170085755A KR101794752B1 KR 101794752 B1 KR101794752 B1 KR 101794752B1 KR 1020170085755 A KR1020170085755 A KR 1020170085755A KR 20170085755 A KR20170085755 A KR 20170085755A KR 101794752 B1 KR101794752 B1 KR 10179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member
horizontal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섭
김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그널웍스
주식회사 솔투스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그널웍스, 주식회사 솔투스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그널웍스
Priority to KR1020170085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은 일측에 고정면과 결합되거나 또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지지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직 부재; 상기 수직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부재; 모니터 장치의 뒷면에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Multi Monitor Variable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장치는 그 자체만으로 지면이나 벽면에 설치할 수 없어서 통상 거치대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거치대는 크게 바닥면 또는 벽면 또는 천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모니터 장치를 연결하여 모니터 장치의 시야각을 조절하게 하는 연결암과 상기 연결암을 모니터 장치에 고정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거치대는 모니터 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그 구조가 결정되고 결정된 구조에 따라 각각의 작동 용도가 결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스텐드 형태의 거치대는 베이스가 바닥면에 설치됨에 따라 연결암이 틸팅되게 하거나 연결암을 이용해 모니터 장치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모니터장치가 사용자 시야각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벽걸이형 거치대 또는 천장형 거치대는 스텐드 형태의 거치대 달리 모니터장치의 시야각 조절이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단지 상하 방향 각도만을 조절하여 사용자 시야각을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다.
이처럼 모니터 거치대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스텐드 형태나 벽걸이 또는 천장 형태로 구분되어 있어 사용자가 사전에 설치 목적에 맞게 거치대를 구매해야 함으로 모니터 장치 설치를 변경할 경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모니터 장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대략 50 인치 이상의 대형 모니터 장치가 많이 사용되는데, 대형화된 모니터 장치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모니터 장치 연결 구조보다 다소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며, 그 기능 또한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더욱이, 이러한 대형 모니터 장치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모니터 장치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무게가 증가하므로, 모니터 장치를 다수개 거치하여 하는 경우, 매우 까다로운 작업이 될 가능성이 높고, 설치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3788호. (2010.04.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자가 모니터 장치를 간단하게 거치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자가 다수의 모니터 장치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고정면과 결합되거나 또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지지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직 부재; 상기 수직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부재; 모니터 장치의 뒷면에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부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서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부재의 높이는 1200 mm 내지 2400 mm 사이에서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부재는, 상기 수평 부재의 하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부재는, 상기 수직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수평 부재가 관통하여 유동 또는 고정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수직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수직 부재를 중심 축으로 360ㅀ 회전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부재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브라켓들이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수평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수평 부재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평 부재의 외형에 대응하여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U'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체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모니터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틸트(tilt) 가능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모니터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 장치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pivot)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직 부재 및 수직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어 있는 수평 부재에 모니터 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을 장착할 때, 브라켓에 수평 부재에 대해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1차 거치 가능한 장착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가 모니터 장치를 간단하게 거치할 수 있고, 다수의 모니터 장치를 거치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스탠드형 거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후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천정형 거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후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부재에 고정 부재가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부재의 회전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포함되는 장착 부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틸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피봇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스탠드형 거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후면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천정형 거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후면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100)은 일측에 고정면과 결합되거나 또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지지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111)를 포함하는 수직 부재(110), 수직 부재(110)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부재(120), 모니터 장치(200)의 뒷면에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홈(도 9 참조)을 포함하는 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30)은 수평 부재(120)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고, 모니터 장치(200)가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130)을 수평 부재(120)에 장착하는 구조로 간단하게 모니터 장치(200)를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100)에 거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부재(110)는 고정면 또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지지대에 결합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지지대는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단에 복수개의 캐스터(caster)를 포함하는 이동 부재(101)일 수 있으며, 고정면은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장면일 수 있고, 수직 부재(110)에서 결합부(111)가 위치하는 일 측을 천장면을 향하게 위치시키는 것으로 이동 부재(101)에 결합되는 스탠드형 또는 천장면에 결합되는 천장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도 1 내지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수직 부재(110)에 대해서 복수개의 수평 부재(120)가 장착되어 다수의 모니터 장치(200)를 거치하는 구조가 가능하며, 모니터 장치(200)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거치하는 구조 또한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수평 부재(120)에 대해서 수직 부재(110)를 기준으로 좌측에 하나 이상의 브라켓들(130)이 장착되고, 우측에 하나 이상의 브라켓들(130)이 장착되어 하나의 수평 부재(120)에 대해 다수의 모니터 장치(200)가 거치되는 구조 또한 가능하다.
한편, 수직 부재(110)는,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부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112) 및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베이스 부재(112)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서브 부재(113)를 포함하는 2단 구조로서, 서브 부재(113)가 베이스 부재(112)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베이스 부재(112)와 서브 부재(113)가 결합되는 부위에 위치한 높이 조절 부재(114)를 통해 수직 부재(11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100)을 천장형으로 사용할 때는 서브 부재(113)가 하단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베이스 부재(112)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114)는 베이스 부재(112)와 서브 부재(113) 사이를 고정하는 구조라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조임 부품을 포함하는 조절 핸들을 통해 베이스 부재(112) 내부에 서브 부재(113)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고정하는 구조 또는 베이스 부재(112)의 외면에 결합되어 나사 등의 조임에 의해 내부에 서브 부재(113)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12)의 외면을 조이는 구조 등 일 수 있으나 이러한 구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직 부재(110)의 높이는 베이스 부재(112) 및 서브 부재(113)의 길이에 따라 대략 1200mm 내지 2400mm 사이에서 조절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으며, 수직 부재(110)에 거치되는 모니터 장치(200)의 높이가 대략 700mm 내지 2800mm 사이에서 조절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부재에 고정 부재가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부재의 회전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를 도 2 및 4와 함께 참조하면, 수평 부재(120)는, 수직 부재(110)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시키는 고정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50)는, 수평 부재(120)가 관통하여 유동 또는 고정되는 제 1 고정부(151) 및 제 1 고정부(151)와 결합되어 수직 부재(110)에 유동 또는 고정되는 제 2 고정부(152)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수직 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제 1 고정부(151) 및 제 2 고정부(152)가 결합되는 구조로 수평 부재(120)가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고, 상기 고정은 나사 등의 부재를 통해 제 1 고정부(151) 및 제 2 고정부(152) 사이를 조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유동 또는 고정되는 구조는, 완전히 고정되기 이전에 수평 부재(120)가 수직 부재(110)에 대해 상하 이동 또는 회전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며, 예를 들어, 수평 부재(120)를 수직 부재(110)에 완전히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직 부재(110)에 대해 고정 부재(150)를 상하 이동하여 수평 부재(12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부재(110)를 중심 축으로 수평 부재(120)를 360도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수평 부재(120)는 브라켓(130)에 의해 대형 모니터 장치(200)를 다수개 거치하는 구조를 필요로 하는 바, 고정 부재(150)에 의해 수직 부재(110)에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모니터 장치(200)의 개수 및 무게 등을 고려할 때, 수평 부재(120)의 하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예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수직 부재(110)는, 수평 부재(120)의 하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15)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115)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높이에 복수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평 부재(120)가 분리되어 있는 제 1 고정부(151) 및 제 2 고정부(152)의 결합에 의해 수직 부재(110)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돌출부(115)에 의해 수평 부재(120)의 장착이 제한되지는 않을 수 있다.
도 7 및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포함되는 장착 부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브라켓(130)에 포함되는 장착 부재(140)는, 수평 부재(120)가 삽입되는 삽입부(141) 및 수평 부재(120)가 삽입부(14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부(142)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41)는, 수평 부재(120)의 외형에 대응하여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U'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체결부(142)는 삽입부(14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구조로, 체결 부재(14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체결홈(144)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조는, 도 7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원형을 가지는 수평 부재(120)에 대해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장착되는 'U'자 형상의 삽입부(141)에 수평 부재(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부재(120)를 벗어나는 범위로 연장되어 있는 체결부(142)의 체결홈(144)에 체결 부재(143)가 삽입되는 구조로서, 도 8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결 부재(143)의 조임에 의해 체결부(142)가 좁혀지는 구조를 가지며, 삽입부(141)에 수평 부재(120)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수평 부재(1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삽입부(141) 간격 조절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브라켓(130)에 결합되어 있는 모니터 장치(200)를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100)에 거치하는 작업 중에서, 수평 부재(120)가 삽입부(141) 삽입된 형태로 1차 거치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체결 부재(143)를 체결홈(144)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 장치(200)의 크기 또는 무게에 구애 받지 않고 안정적이고 빠르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틸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의 피봇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9를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브라켓(130)의 복수개의 결합홈(131)은 각각 아치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아치형 구조를 가지는 결합홈(131)의 공간을 따라서 모니터 장치(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피봇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1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라켓(130)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대략 5ㅀ 가량 회전이 가능하며, 반 시계 방향으로 5ㅀ 가량 회전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으며, 이러한 피봇 각도는 결합홈(131)의 형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도 11의 구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앞서 도 7 및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착 부재(140)는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원형을 가지는 수평 부재(120)에 대해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장착되는 'U'자 형상의 삽입부(141)에 수평 부재(120)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장착 부재(140)의 고정 강도에 따라 브라켓(130)이 유동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10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모니터 장치(200)의 경우, 하단 방향으로 최대 17ㅀ 가량 틸트가 가능하며, 상단 방향으로 최대 90ㅀ 가량 틸트가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틸트 구조는, 수직 부재(110)와 장착 부재(140)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보다 넓은 틸트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 10의 구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101: 이동 부재
110: 수직 부재
111: 결합부
112: 베이스 부재
113: 서브 부재
114: 높이 조절 부재
115: 돌출 부재
120: 수평 부재
130: 브라켓
131: 결합홈
140: 장착 부재
141: 삽입부
142: 체결부
143: 체결 부재
144: 체결홈
145: 간격 조절부
150: 고정 부재
151: 제 1 고정부
152: 제 2 고정부
200: 모니터 장치

Claims (10)

  1. 일측에 고정면과 결합되거나 또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지지대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직 부재;
    상기 수직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부재;
    모니터 장치의 뒷면에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수평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수평 부재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평 부재의 외형에 대응하여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U'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체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수평 부재에 대해서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삽입부에 상기 수평 부재가 삽입된 형태로 1차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에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부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서브 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의 높이는 1200 mm 내지 2400 mm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는, 상기 수평 부재의 하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부재는, 상기 수직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도록 장착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수평 부재가 관통하여 유동 또는 고정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수직 부재에 유동 또는 고정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수직 부재를 중심 축으로 360ㅀ 회전 가능한,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부재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브라켓들이 장착되는,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모니터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틸트(tilt) 가능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모니터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 장치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pivot) 가능한,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KR1020170085755A 2017-07-06 2017-07-06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KR10179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755A KR101794752B1 (ko) 2017-07-06 2017-07-06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755A KR101794752B1 (ko) 2017-07-06 2017-07-06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752B1 true KR101794752B1 (ko) 2017-11-08

Family

ID=6038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755A KR101794752B1 (ko) 2017-07-06 2017-07-06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7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151A (ja) * 2010-11-04 2012-05-24 Takigen Mfg Co Ltd システムレール及びシステムレール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151A (ja) * 2010-11-04 2012-05-24 Takigen Mfg Co Ltd システムレール及びシステムレール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9096C (en) Display mount with adjustable position tilt axis
US8693172B2 (en) Flat panel display mount
EP1769306B1 (en) Display apparatus
EP1754928B1 (en) Tilting mechanism
CA2497543C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US7731143B2 (en) Mounting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s
KR100488534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7497408B2 (en) Monitor apparatus
JP3117675U (ja) 表示装置
US8746639B2 (en) Flat panel wall mount
US20070023599A1 (en) Adjustable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US20070023593A1 (en) Flat panel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WO2003050786A1 (fr) Systeme d'orientation de dispositif d'affichage
JP2006526163A (ja) 調節可能な傾斜台
KR101738926B1 (ko) 멀티비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고정장치
KR200489848Y1 (ko) 평면 tv용 벽걸이 거치대
KR101794752B1 (ko) 멀티 모니터 가변 프레임
KR101045945B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KR20090130549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JP4371419B2 (ja) 壁掛け取り付け台
KR100541283B1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JP6926612B2 (ja) 電子機器の支持機構
JP2018152690A (ja) テレビ及び傾斜角度調整スタンド
JP2017092829A (ja) 映像表示装置用支持スタンド及びこれを備えた複合表示システム
KR200800469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용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