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548B1 -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548B1
KR101905548B1 KR1020160131128A KR20160131128A KR101905548B1 KR 101905548 B1 KR101905548 B1 KR 101905548B1 KR 1020160131128 A KR1020160131128 A KR 1020160131128A KR 20160131128 A KR20160131128 A KR 20160131128A KR 101905548 B1 KR101905548 B1 KR 101905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water
sensing sensor
extinguis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859A (ko
Inventor
한홍렬
Original Assignee
한홍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홍렬 filed Critical 한홍렬
Priority to KR102016013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5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공급관(111)이 상측에 연결되어 있고 측면에는 절개공(112)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절개공(112)을 따라 상,하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몸체(110) 내측에 설치되는 모터(M)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121)과 상기 회동축(121)에 체결되어 있는 연결바(122)와 상기 연결바(122)의 타측과 결합 되어 있는 회동플레이트(123)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23)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레일(124) 및 가이드레일(125)과 상기 회동플레이트(123) 전면에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126)로 이루어진 회동부(120)와, 상기 회동부(120)의 상면에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공급관(111)과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131)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132)과 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롤러(133)와 화점을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134)로 이루어진 물분사부(130)로 이루어진 소화장치(100)와;
상기 소화장치(100)의 타측에 구비되되 모터(M)에 의해 소화장치(100)와 연동해서 상,하로 움직이는 제1감지센서(200)와;
상기 소화장치(100)와 제1감지센서(200)의 외측을 커버하고 천장(301)에 부착되며 내측에 제어부(302)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센서를 이용해 화재가 시작된 화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한 후 그 지점에 물을 집중적으로 분사해 화재를 초기에 제압하는 것은 물론 물을 분사하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Installation in ceiling type extinguisher}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센서를 이용해 화재가 시작된 화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한 후 그 지점에 물을 집중적으로 분사해 화재를 초기에 제압하는 것은 물론 물을 분사하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시에 불을 진압하는 장치로는 집중분사식 소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소화장치는 분사노즐이 화재 발생 위치로 자동 작동되어 화염이 있는 위치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소방수를 살수하고, 화염이 소멸되면 소방수의 살수가 정지되게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하는 집중분사식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중분사식 소화장치는 자동소화설비의 일종으로서, 건물 천장에 배수관을 종횡으로 배치하고, 이 배수단 단부에 집중분사식 소화장치 헤드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급수원에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헤드가 화재로 인해 열을 받아 일정온도(67∼75℃)에 이르면 헤드를 막고 있던 퓨즈가 녹아서 방수구가 열리고, 압력수가 헤드의 살수판에 부딪쳐 넓은 범위에 물을 살수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자동소화설비는 온도변화에 감응하여 복수개의 집중분사식 소화장치가 동시 다발적으로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불씨가 없는 곳에도 살수가 이루어지는 등 불필요한 물 소비량이 발생하는 동시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가구나 집기들까지 물에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동시에 분사세기 및 범위가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스프링클러의 설치밀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러한 살수 동작을 제어하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따로 밸브를 잠그지 않는 한 살수가 계속해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한번 작동된 집중분사식 소화장치는 재생시 다시 퓨즈를 설치해야 하는 등 재생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국내 공개실용 제20-2016-000060호 국내 등록실용 제20-036080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하면 1차적으로 센서가 위치를 감지해 방향을 제시하고, 2차적으로 센서가 화재가 난 곳의 위치를 감지해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잡아주고, 3차적으로 센서가 화재가 난 곳의 화점을 감지해 파악한 후 그 지점에 물을 집중적으로 분사해 화재를 초기에 제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재가 발생한 화점만 정확히 파악한 후 그 부분에만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물이 분사되는 범위가 적어 건물 내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은 양의 물만으로 화재진압이 가능해 소방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물공급관(111)이 상측에 연결되어 있고 측면에는 절개공(112)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절개공(112)을 따라 상,하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몸체(110) 내측에 설치되는 모터(M)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121)과 상기 회동축(121)에 체결되어 있는 연결바(122)와 상기 연결바(122)의 타측과 결합 되어 있는 회동플레이트(123)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23)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레일(124) 및 가이드레일(125)과 상기 회동플레이트(123) 전면에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126)로 이루어진 회동부(120)와, 상기 회동부(120)의 상면에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공급관(111)과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131)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132)과 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롤러(133)와 화점을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134)로 이루어진 물분사부(130)로 이루어진 소화장치(100)와;
상기 소화장치(100)의 타측에 구비되되 모터(M)에 의해 소화장치(100)와 연동해서 상,하로 움직이는 제1감지센서(200)와;
상기 소화장치(100)와 제1감지센서(200)의 외측을 커버하고 천장(301)에 부착되며 내측에 제어부(302)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300)로 이루어진 것과,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소화장치(100)의 몸체(110)를 4각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몸체(110) 외측 4면에 각각 회동부(120) 및 물분사부(130)를 설치해 동,서,남,북 방향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센서를 통해 화재가 난 곳의 화점을 정확히 파악한 후 그 지점에 물을 집중적으로 분사해 화재를 초기에 제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물이 분사되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건물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집기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적은 양의 물만으로 화재진압이 가능해 소방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회동부의 작동상태를 표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회동부의 작동상태를 표현한 측단면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이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이 천장에 설치된 후 화재가 발생하여 본 발명이 이동하는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이 화재를 진압하는 상태를 표현한 도면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장(301)에 체결되는 커버체(300)의 내측에 제1감지센서(200)와 소화장치(100)가 구비되어 화재시 자동으로 불을 진압하는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화장치(10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공급관(111)이 상측에 연결되어 있고 측면에는 절개공(112)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절개공(112)을 따라 상,하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동부(120)와, 상기 회동부(120)의 상면에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120) 상기 몸체(110) 내측에 설치되는 모터(M)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121)과, 상기 회동축(121)에 체결되어 있되 몸체(110)의 절개공(112)을 관통하는 연결바(122)와, 상기 연결바(122)의 타측과 결합 되어 있는 회동플레이트(123)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23)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레일(124) 및 가이드레일(125)과, 상기 회동플레이트(123) 전면에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126)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몸체(110) 외측에 설치된 후 상,하 유동하면서 화재가 난 위치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감지센서(126)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123)의 전면에 다수 개 설치해 화재가 난 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한 것으로, 이는 화재 지점을 정확히 파악한 후 물을 집중적으로 분사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물분사부(130)는 물공급관(111)과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131)과 상기 연결관(131)의 타측에 체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132)과, 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롤러(133)와, 화점을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134)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회동부(120)의 회동플레이트(123) 상면에서 좌,우로 이송하면서 화점을 정확히 파악한 후 그 지점에 물을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물분사부(130)는 회동플레이트(123)의 가이드레일(125) 상면에 위치한 후 가이드레일(125)을 따라 이동하되, 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롤러(133)가 회동플레이트(123)의 이송레일(124)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과적으로 물분사부(130)가 회동플레이트(123) 상면에서 좌,우로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각 형태로 구성되며, 4면에 각각 회동부(120)가 설치되어 결과적으로 동,서,남,북 모든 방향에 회동부(120) 및 물분사부(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을 실내 중앙 한곳에만 설치해도 4방향 어느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원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소화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화장치(10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체(300) 내측에 구비되되 커버체(300)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M)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것으로, 이때 소화장치(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감지센서(200) 또한, 모터(M)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며 소화장치(100)와 제1감지센서(20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감지센서(200)가 커버체(300) 외측에 위치해 있을 경우 소화장치(100)는 커버체(300)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화재가 발생해 소화장치(100)가 커버체(300) 외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1감지센서(200)는 커버체(3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1감지센서(20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 양측으로 삼각뿔 형태의 구조가 형성되어 각 면에 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실내에 본 발명을 설치할 경우 센서의 사정거리가 길어지는 것은 물론 모서리 구석진 부분까지 센서가 감지할 수 있어 화재발생시 초기에 신속하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각각의 감지센서에서 얻은 정보는 제어부(302)로 보내지고, 제어부(302)를 통해 각각의 모터(M) 또는 솔레노이드(미도시)를 컨트롤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내 천장(301)에 설치한 후 화재가 없는 일반적은 상태는 제1감지센서(200)가 커버체(300)의 외측 하단에 위치해 화재 감지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소화장치(100)는 커버체(300)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감지센서(200)가 화재를 감시하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우선 불의 크기 및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이 일정 수준에 못 미치면 사용자가 단순히 불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지하여 본 발명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하지만, 불의 크기 및 온도가 측정값에 도달할 정도로 실제 화재가 발생하면 1차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302)로 보내면, 제어부(302)에서 이를 인식해 본 발명을 작동해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1감지센서(200)가 화재가 발생한 방향을 제시하면 제어부(302)에서 소화장치(100)를 커버체(300) 외측 하단으로 보내고 동시에 제1감지센서(200)는 커버체(300)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소화장치(100)가 하단으로 이송되는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방향의 회동부(120)가 제2감지센서(126)를 통해 화재 지점을 좀 더 자세하게 파악해 회동플레이트(123)를 상,하로 회동하면서 화재 지점으로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플레이트(123)를 화재 지점으로 각도를 조절해 화재 지점을 어느정도 파악한 후 물분사부(130)에 구비되어 있는 제3감지센서(134)가 화재의 화점을 정확하게 파악해 물분사부(130)를 좌,우로 이동시켜 정확한 화점의 위치로 방향을 잡고, 방향이 잡히는 동시에 분사노즐(132)을 통해 물을 분사하게 되는 것인데, 이는 물분사부(130)의 방향이 잡히는 동시에 제어부(302)에서 화재가 발생한 방향의 연결관(131)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벨브(미도시)를 개방해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물을 분사해 화재가 발생한 초기에 정확한 화점을 감지해 그곳에 집중적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어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100; 소화장치 110; 몸체
111; 물공급관 112; 절개공
120; 회동부 121; 회동축
122; 연결바 123; 회동플레이트
124; 이송레일 125; 가이드레일
126; 제2감지센서 130; 물분사부
131; 연결관 132; 분사노즐
133; 이송롤러 134; 제3감지센서
200; 제1감지센서 300; 커버체
301; 천장 M; 모터

Claims (4)

  1. 물공급관(111)이 상측에 연결되어 있고 측면에는 절개공(112)이 천공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절개공(112)을 따라 상,하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몸체(110) 내측에 설치되는 모터(M)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121)과 상기 회동축(121)에 체결되어 있는 연결바(122)와 상기 연결바(122)의 타측과 결합 되어 있는 회동플레이트(123)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23)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레일(124) 및 가이드레일(125)과 상기 회동플레이트(123) 전면에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126)로 이루어진 회동부(120)와, 상기 회동부(120)의 상면에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공급관(111)과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131)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132)과 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롤러(133)와 화점을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134)로 이루어진 물분사부(130)로 이루어진 소화장치(100)와;
    상기 소화장치(100)의 타측에 구비되되 모터(M)에 의해 소화장치(100)와 연동해서 상,하로 움직이는 제1감지센서(200)와;
    상기 소화장치(100)와 제1감지센서(200)의 외측을 커버하고 천장(301)에 부착되며 내측에 제어부(302)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100)의 몸체(110)를 4각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몸체(110) 외측 4면에 각각 회동부(120) 및 물분사부(130)를 설치해 동,서,남,북 방향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KR1020160131128A 2016-10-11 2016-10-11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KR101905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128A KR101905548B1 (ko) 2016-10-11 2016-10-11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128A KR101905548B1 (ko) 2016-10-11 2016-10-11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859A KR20180039859A (ko) 2018-04-19
KR101905548B1 true KR101905548B1 (ko) 2018-10-08

Family

ID=6208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128A KR101905548B1 (ko) 2016-10-11 2016-10-11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839B1 (ko) * 2018-12-05 2020-07-29 주식회사 태영테크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CN115405734B (zh) * 2022-10-31 2023-01-17 山东史达夫工控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灭火用多口连接的连通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90B1 (ko) * 2014-04-22 2015-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 기능을 갖는 플레어 타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1092B2 (ja) * 1997-09-05 2004-05-24 ニッタン株式会社 昇降式感知装置及びその感知装置の試験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90B1 (ko) * 2014-04-22 2015-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 기능을 갖는 플레어 타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859A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775B1 (ko)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CN102256667B (zh) 喷头
KR101905548B1 (ko)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US9573008B1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119665B1 (ko)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CN216061802U (zh) 一种大空间喷淋灭火装置
CN102631759B (zh) 采用两级传动机构的室内大空间自动灭火系统
KR20140084967A (ko) 화재 방지 시스템
KR100933004B1 (ko) 소방호스용 분사노즐
KR101828250B1 (ko) 건물의 외벽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장치
CN205235241U (zh) 一种消防喷头
KR200488385Y1 (ko) 소방용수 분사장치
KR200360805Y1 (ko) 집중분사식 소화장치
KR200349052Y1 (ko) 발화위치 추적 자동 소화 장치
CN215427082U (zh) 一种消防喷淋装置
KR101510274B1 (ko) 강판의 드롭마크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 드롭마크 발생 방지 방법
KR20210144435A (ko)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540384B1 (ko) 소방장치를 구비한 헬리데크
KR20180128270A (ko) 증발 냉방 장치와 연동되는 화재 확산 지연 장치
CN206745805U (zh) 一种消防用可调试喷水枪
KR20170009206A (ko)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KR102624604B1 (ko)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소방용 소방배관장치
CN220345002U (zh) 一种具有变向功能的消防水枪
CN215275530U (zh) 一种表面处理厂房加热镀槽水灭火一体化装置
KR101327327B1 (ko) 결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소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