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706B1 -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706B1
KR101809706B1 KR1020170105315A KR20170105315A KR101809706B1 KR 101809706 B1 KR101809706 B1 KR 101809706B1 KR 1020170105315 A KR1020170105315 A KR 1020170105315A KR 20170105315 A KR20170105315 A KR 20170105315A KR 101809706 B1 KR101809706 B1 KR 101809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sprinkler
bal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여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10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삽입부(21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체플랜지(21b)의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받침부(11)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회전발생기구(20)와; 회전발생기구(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회전발생기구(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을 갖춘 스프링클러(3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Connection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소방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를 일정 주기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재진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하는 스프링클러는 화재의 초기 소화나 조경, 냉각 등의 목적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장치이다. 초기 화재진압에 기여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는 현대 건축에서 필수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스프링클러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이상고온(약 70도 경계)을 감지하면 가용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퓨즈가 끊어져 천장의 배관에서 소방수를 분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스프링클러는 주변으로 소방수를 흩어 뿌리는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분사 범위가 좁아 화재의 신속한 초기 진압이 어려웠다.
더욱이, 현재 시대는 고층건물이 많이 건축되어, 소방 사다리가 접근하지 못하는 건물이 많아, 스프링클러의 신속한 초기 화재 진압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좁은 분사범위로 인해 고층건물의 초기 화재 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211호(2017.01.20. 등록)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소방수 분사범위를 확대하여 화재진압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삽입부(21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체플랜지(21b)의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받침부(11)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회전발생기구(20)와; 회전발생기구(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회전발생기구(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을 갖춘 스프링클러(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하우징(10)의 탄발기구(13)와 회전발생기구(20)의 스토퍼(24)가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소방수의 공급만으로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켜,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소방수가 날개(22)에 부딪힐 시 회전발생기구(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날개(22)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날개(22)가 회전 시 스프링클러(30)을 사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X-X'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Y-Y'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Z-Z'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제1동작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X-X' 단면도의 제1동작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X-X' 단면도의 제2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제2동작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Y-Y' 단면도의 제1동작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Z-Z' 단면도의 제1동작도이다.
도 11은 도 5에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Y-Y' 단면도의 제2동작도이다.
도 12는 도 5에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Z-Z' 단면도의 제2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3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Z-Z'선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하우징(10), 회전발생기구(20) 및 스프링클러(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지지체(11), 덮개(12) 및 다수 개의 탄발기구(13)를 갖춘다.
상기 지지체(11)는 지지부(11b) 및 받침부(11a)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11b)는 상하로 개구된 관 형상으로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1b)의 일측에는 소방수가 공급되는 공급라인(2)이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천장홀(1)은 상하로 개구된 천장홀(1a)을 갖추며, 지지부(11b)의 내부는 천장(1)의 천장홀(1a)과 연통된다.
상기 받침부(11a)는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11a)는 회전발생기구(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발생기구(20)를 받친다.
상기 덮개(12)는 덮개부(12a) 및 축부(12b)을 갖춘다.
상기 덮개부(12a)는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12a)는 볼트를 통해 지지체(11)의 지지부(1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축부(12b)는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12b)는 덮개부(12a)의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발생기구(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탄발기구(13)는 스프링(13a) 및 볼(13b)를 구비하여,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13a)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3a)은 축부(12b)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닌다.
상기 볼(13b)은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13b)은 스토퍼(24)의 표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지만, 스토퍼(24)의 표면과 맞닿게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볼(13b)은 스프링(13a)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발생기구(20)의 스토퍼(24)의 표면과 접촉이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발생기구(20)는 삽입체(21), 다수의 날개(22), 소방수이동기구(23) 및 다수의 스토퍼(24)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체(21)는 삽입부(21a) 및 삽입체플랜지(21b)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21a)는 하우징(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삽입체플랜지(21b)는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체플랜지(21b)는 도넛 형상으로 축부(12b)의 상부 둘레에 구비되어, 공급라인(2)에서 유입되는 소방수가 상부로 퍼지지 않게 한다.
상기 날개(22)는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삽입부(21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체플랜지(21b)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날개(22)는, 소방수가 날개(22)에 부딪힐 시 회전발생기구(20)의 사방으로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날개(22)의 경사각에 따라 회전발생기구(20)의 회전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날개(22)는 경사 방향을 변경하여 회전발생기구(20)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날개(2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소방수이동기구(23)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및 연장부(23b)를 갖춘다.
상기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는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는 도넛 형상을 이룬다.
상기 연장부(23b)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소방수이동공간, a2)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23b)는 관 형상을 이룬다.
상기 스토퍼(24)는, 하우징(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기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다수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24)는 도 3과 같이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지지 않은 삼각 기둥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24)는, 회전발생기구(20)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상(예를 들어 렛치 타입의 형상)을 이룰 수 있고, 회전발생기구(20)가 양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상을 이루어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30)는 몸체(31) 및 다수의 노즐(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클러(30)는 회전발생기구(20)와 연동하여 사방으로 주기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31)는 회전발생기구(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회전발생기구(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31)는, 상부가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노즐(32)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노즐(32)은 천장(1)에 가까운 노즐(32)일 수록 길이가 길게 구비된다.
도 5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8은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이고, 도 6,7은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이고, 도 9,11은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이고, 도 10,12는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펌프(미도시)에서 소방수가 펌핑되고, 펌핑된 소방수는 도 5와 같이 공급라인(2)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소방수는 소방수유입공간(a1)을 경유하면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날개(22)와 충돌하고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날개(22)가 회전한다.
그리고, 날개(22)와 충돌한 소방수는 도 8과 같이 소방수이동공간(a2)로 이동하면서 스프링클러(30)의 몸체(31)로 낙하한 후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소방수에 의해 날개(22)와 회전발생기구(20)가 회전할 시, 하우징(10)의 볼(13b)은 도 9와 같이 회전발생기구(20)의 스토퍼(24)에 의해 후퇴하면서 하우징(10)의 스프링(13a)이 압축된다. 이때 스프링클러(30)의 노즐(32)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는 도 10과 같이 분사된다.
이후, 스프링클러(30)의 스토퍼(24)가 도 11과 같이 볼(13b)을 넘어가면, 스프링(13a)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24)가 강하게 밀리면서 회전발생기구(20)의 회전속도가 빨라진다.
그러면, 도 12와 같이 소방수가 도 10보다 더 멀리 분사된다.
한편, 회전발생기구(20)가 계속적으로 회전할 시, 상기와 같이 하우징(10)의 볼(13b) 및 회전발생기구(20)의 스토퍼(24)의 연동에 의해 회전발생기구(20)의 회전속도가 실시간으로 변동되어 일정한 주기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클러(30)의 분사노즐(32)에 의한 소방수의 분사 범위가 좁아졌다 넓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좁은 범위에서 넓은 범위까지 신속하게 화재진압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탄발기구(13)와 회전발생기구(20)의 스토퍼(24)가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소방수의 공급만으로 소방수의 분사범위를 확장시켜, 넓은 범위의 화재지역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소방수가 날개(22)에 부딪힐 시 회전발생기구(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날개(22)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날개(22)가 회전 시 스프링클러(30)을 사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기능을 하는 하우징(10)에 회전발생기구(20) 및 스프링클러(30)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로 정의한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했기에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천장 1a: 천장 홀
2: 공급라인 10: 하우징
11: 지지체 11a: 받침부
11b: 지지부 12: 덮개
12a: 덮개부 12b: 축부
13: 탄발기구 13a: 스프링
13b: 볼 20: 회전발생기구
21: 삽입체 21a: 삽입부
21b: 삽입체플랜지 22: 날개
23: 소방수이동기구 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
23b: 연장부 24: 스토퍼
30: 스프링클러 31: 몸체
32: 노즐 a1: 소방수유입공간
a2: 소방수이동공간

Claims (1)

  1. 상하로 개구되어 천장(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11b), 지지부(11b)의 내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를 구비하며 소방수가 공급되는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2a), 덮개부(1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부(12b)를 구비한 덮개(12) 및,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에 설치되되 지지체(11)의 받침부(11a)보다 하방에 설치되는 스프링(13a), 스프링(13a)에 의해 지지체(11)의 내측으로 탄발지지되는 볼(13b)을 구비하여 지지체(11)의 지지부(11b)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탄발기구(13)를 갖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축부(12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 삽입부(21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삽입부(2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체플랜지(21b)를 구비한 삽입체(21)와, 삽입체(21)의 삽입부(21a)의 측면에 삽입부(21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체플랜지(21b)의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날개(22)와, 날개(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의 받침부(11a)에 안착되고 삽입체플랜지(21b) 및 날개(22)와 함께 소방수유입공간(a1)을 형성하는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 소방수이동기구플랜지(2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천장(1)의 개구홀(1a)로 노출되고 내부가 소방수유입공간(a1)과 연통되는 관 형상의 연장부(23b)를 구비한 소방수이동기구(23) 및, 하우징(10)의 볼(13b)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볼(13b)과 맞닿는 면이 라운드진 기둥 형상을 이루어 소방수이동기구(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스토퍼(24) 사이에 하우징(10)의 볼(13b)이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토퍼(24)를 갖춘 회전발생기구(20)와;
    회전발생기구(20)의 연장부(23b)와 연통되어 회전발생기구(20)의 연장부(23b)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32)을 갖춘 스프링클러(30);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20170105315A 2017-08-21 2017-08-21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80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15A KR101809706B1 (ko) 2017-08-21 2017-08-21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15A KR101809706B1 (ko) 2017-08-21 2017-08-21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706B1 true KR101809706B1 (ko) 2018-01-18

Family

ID=6102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15A KR101809706B1 (ko) 2017-08-21 2017-08-21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7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853A (ja) 1999-12-14 2001-06-19 Nohmi Bosai Ltd 回転水噴霧ヘッド
KR101662590B1 (ko) 2016-05-16 2016-10-05 (주)건일엠이씨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700211B1 (ko) 2016-05-16 2017-01-31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853A (ja) 1999-12-14 2001-06-19 Nohmi Bosai Ltd 回転水噴霧ヘッド
KR101662590B1 (ko) 2016-05-16 2016-10-05 (주)건일엠이씨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700211B1 (ko) 2016-05-16 2017-01-31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703B1 (ko)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101185109B1 (ko)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807864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US20200222736A1 (en) Fog-cloud generating nozzle
KR102232707B1 (ko) 복합 소화 시스템
RU2501587C1 (ru) Спринклер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804217B1 (ko) 건축물 소방 배관의 동파감지용 소방장치
KR101809706B1 (ko) 공동주택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807863B1 (ko)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0798985B1 (ko) 회전식 자동 확산 소화기
CN105963889A (zh) 一种非固定式消防灭火管网
KR101809708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N211798452U (zh) 一种提高密封性的消防喷头
RU152578U1 (ru) Дренч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WO2011011883A1 (en) Ambient mist head
KR102286749B1 (ko)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구조
RU2577651C1 (ru) Спринклер кочетова
KR101205986B1 (ko) 소방 노즐 조립체
KR20090070090A (ko) 사찰 문화재 보호를 위한 상향방수형 소방장치
KR200258499Y1 (ko) 소방용 유체 분무 노즐
US1593500A (en) Sprinkler
KR20120071481A (ko) 포소화설비용 회전식 분사노즐
RU2509586C1 (ru) Модуль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дренчерными головками
RU2551067C1 (ru) Ороситель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огнетушащей жидкости установки пожаротуш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