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986B1 - 소방 노즐 조립체 - Google Patents

소방 노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986B1
KR101205986B1 KR1020100006935A KR20100006935A KR101205986B1 KR 101205986 B1 KR101205986 B1 KR 101205986B1 KR 1020100006935 A KR1020100006935 A KR 1020100006935A KR 20100006935 A KR20100006935 A KR 20100006935A KR 101205986 B1 KR101205986 B1 KR 10120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nozzle
extinguishing agent
nozzle hea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489A (ko
Inventor
하정완
김영식
공영식
Original Assignee
하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정완 filed Critical 하정완
Priority to KR102010000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9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유동 그루브를 갖는 회전 유도 부재; 및 소화 약제가 유입되며, 내부에 회전 유도 부재가 배치되는 유입 영역과 상기 유입 영역보다 좁은 단면적을 가지며, 미분화된 소화약제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영역을 가지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 노즐 조립체{Nozzle assembly for preventing the fire}
본 발명은 소방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분화된 형태로 강화액 소화약제를 토출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으며, 지하구, 특히 전기설비 등의 특수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노즐은 화재 현장으로 고압의 소방용수 및/또는 소화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소방 노즐의 종류로는 건물 등의 천정면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 또는 소방차나 소화전 등에 연결되는 소방관창 등이 있다.
최근 들어 첨단 소화 약제와 소방관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가 선을 보이면서 과학기술이 화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소화 약제는 인산암모늄 수용액과 계면활성제의 혼합약제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소화 약제의 가장 큰 장점은 계면활성제, 즉 일종의 비누 성분 때문에 거품을 발생시킨다는 점이다. 거품은 불에 닿는 즉시 재빨리 열기를 빼앗으며, 물보다 빨리 불의 온도를 끌어내리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수증기보다 더 두껍게 불을 포위해 소방 대상물과 산소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지하구(전력구, 통신구) 화재의 경우, 화재 최초 발생 시 이를 진압하는데 있어, 지하구의 특성과 관련 시설의 소재 특성으로 인하여 화재 진압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의 경우, 지하구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설비는 소방법상의 관련규정이 없는 실정이며, 소화활동상 설비인 연소방지 설비 화재안전기준(NFSC506) 및 방화벽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하구에 설치되는 소화 설비는 수계성 소화설비가 대부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설비의 경우, 빙점이 낮아 동절기에는 결빙으로 인한 작동의 어려움이 있어 화재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화재의 진압이 어려우며, 실질적 화재 진압이 가능한 소화설비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하구 화재의 주요 특성은 일반화재(전선, 케이블의 피복 등)와 유류화재(전선 절연유)의 복합 화재로 구분되며, 특히 지하구에서의 화재는 국가 중추신경망이 마비될 수 있는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그 심각성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주 화재 인자인 전기설비의 화재진압을 위한 특수한 용도의 소방설비 및 장치가 필요하며, 화재 원인에 대응되는 소화 약제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최근 수계용 소화약제로 주목받고 있는 강화액 소화약제는 일반화재 및 유류화재에 대하여 우수한 소화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강화액 소화약제의 경우 그 조성에 있어 기존의 소화약제보다 복잡하여 이에 대응 가능한 소방설비 및 미분화 노즐에 대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분화된 형태로 강화액 소화약제를 토출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소방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성이 있는 화합물이 첨가된 강화액 소화약제를 용이하게 미분화된 형태로 분사할 수 있는 소방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구, 특히 전기설비 등의 특수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유동 그루브를 갖는 회전 유도 부재; 및 소화 약제가 유입되며, 내부에 회전 유도 부재가 배치되는 유입 영역과 상기 유입 영역보다 좁은 단면적을 가지며, 미분화된 소화약제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영역을 가지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노즐 헤드의 유입 영역은 상기 회전 유도 부재가 배치되는 회전 유도 구간 및 상기 회전 유도 부재의 종단과 토출영역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미분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유도 부재는 그 외주면이 상기 노즐 헤드의 유입 영역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끼움 결합되며, 상기 회전 유도 부재의 각 유동 그루브와 상기 노즐 헤드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이 유동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유도 부재에는 3개의 유동 그루브가 형성되며, 각 유동 그루브는 유입 각도가 중심축에 대하여 120°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헤드의 토출 영역은, 상기 유입 영역과 연결되며, 토출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와 연결되며, 토출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의 내주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확산부 종단에 형성된 토출구의 직경은 1.5 내지 2.5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상기 노즐 헤드의 장착을 위하여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장착홀을 갖는 노즐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 프레임의 장착홀은 5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상기 노즐 프레임과 연통되며, 노즐 프레임으로 유입되는 소화 약제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 프레임의 장착홀의 내주면은 상기 노즐 헤드의 외주면에 나선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미분화된 형태로 소화 약제를 토출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다 성분의 화학물질이 혼합된 강화액 소화 약제를 용이하게 미분화된 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지하구, 특히 전기설비 등의 특수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를 구성하는 노즐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를 구성하는 회전 유도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유도 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소방 노즐 시스템의 일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노즐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 노즐 조립체를 통하여 수계성 소화용수 및 소화약제가 분사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강화액 소화약제(이하,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2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200)는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유동 그루브를 갖는 회전 유도 부재(210) 및 내부에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가 배치되는 노즐 헤드(22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200)를 구성하는 노즐 헤드(2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 헤드(220)는 중심축(C1)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며, 소화 약제 등이 유동되는 유로(미부호)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 헤드(220)에는 소화 약제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221a)가 마련되고, 내부에 회전 유도 부재(210)가 배치되는 유입 영역(221) 및 상기 유입 영역(221)보다 좁은 단면적을 가지며, 미분화된 소화 약제가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222a)가 마련된 토출 영역(2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 헤드(220)의 상기 유입 영역(221)은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가 배치되는 회전 유도 구간(d1) 및 상기 회전 유도 구간(d1)의 종단과 토출영역(222)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미분화 구간(227, d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헤드(220)에는 회전 유도 구간(d1)의 외주면에 후술할 노즐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나선부(미부호)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헤드(220)의 토출 영역(222)은 상기 유입 영역(221)과 연결되며, 토출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224)와 상기 테이퍼부(224)와 연결되며, 토출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확산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224)는 노즐 헤드(220)의 미분화 구간(227)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퍼부(224)는 중심축(C1)에 대하여 토출 방향으로 25도 내지 30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 각도(θ)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기울기 각도(θ)는 약 27도일 수 있다. 또한, 기울기 각도를 변경해가며 시험한 결과, 상기한 수치를 갖는 기울기 각도(θ)에서 소화 약제의 미분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노즐 헤드(220)의 토출 영역(222)은 테이퍼부(224)와 확산부(226)를 연결하며, 토출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유동부(22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부(225)의 길이는 1 내지 2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약 1.5mm일 수 있다. 상기 유동부(25)의 길이를 변경해가며 시험한 결과, 상기한 수치를 갖는 길이에서 소화 약제의 미분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확산부(226)는 그 내주면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곡면 형상을 갖는 내주면의 곡률 반경(R)은 0.5 내지 1.5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약 1mm일 수 있다. 곡률 반경을 변경해가며 시험한 결과, 상기한 수치를 갖는 곡률 반경(R)에서 소화 약제의 미분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를 구성하는 회전 유도 부재(21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유도 부재(210)의 정면도로서, 소화 약제가 유입되는 유입 단부 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는 중심축(C1)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유동 그루브(211 내지 213)를 가지며, 특히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는 3개의 유동 그루브(211 내지 213)가 형성되며, 각 유동 그루브(211 내지 213)는 소화 약제의 유입 각도가 중심축(C1)에 대하여 소화 약제의 토출 방향을 따라 120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는 소화 약제의 유입 단부 측에 3중 나선 구조를 가지며, 소화 약제는 상기 유입 단부 측의 각 유동 그루브(211 내지 213)를 통과하면서 3중의 유선을 형성하게 되며, 소화 약제는 나선(214)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는 외경이 약 4mm로 형성될 수 있고, 길이(h1)가 약 6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화 약제의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는 각 나선(214)의 골은 약 0.3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선(214)의 각도는 약 6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의 외경 및 길이(h1)를 변경해가며 시험한 결과, 상기한 수치를 갖는 외경 및 길이(h1)에서 소화 약제의 미분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노즐 헤드(220)의 회전 유도 구간(d1)의 길이는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의 길이(h1)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회전 유도 부재(210)와 노즐 헤드(220)의 장착 방법 및 소방 노즐 조립체(200)를 통과하는 소화 약제의 유동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는 그 외주면이 상기 노즐 헤드(220)의 유입 영역, 구체적으로 회전 유도 구간(221)의 내주면(223)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일 실시태양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의 각 유동 그루브(211 내지 213) 및 나선(214)의 골과 상기 노즐 헤드(220)의 내주면(223) 사이의 공간이 소화 약제의 유동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 헤드(220)는 유입구(221a)의 직경이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약 4mm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 유도 구간의 길이(d1)가 약 6mm일 수 있고, 미분화 구간(227)의 길이가(d2)가 약 4mm일 수 있으며, 토출 영역(222)의 전체 길이가 약 3.5mm일 수 있고, 토출구(222a)의 직경이 약 2mm일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후술할 노즐 프레임으로부터 유입된 소화 약제는 노즐 헤드(220)의 유입구(221a), 즉 회전 유도 부재(220)의 유입 단부 측의 3중 나선 구조(211 내지 213)를 통과하면서, 3중의 나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소화 약제는 회전 유도 부재(210)의 나선(214)의 골과 상기 노즐 헤드(220)의 내주면(22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토출 방향을 따라 회전 유동하게 되며, 이러한 소화 약제의 회전력은 회전 유도 구간(221) 및 미분화 구간(227)의 경계부에서 극대화된다.
이후, 소화 약제는 노즐 헤드(220)의 유입 영역(221 및 227)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토출 영역(222)을 통과하여 토출구(222a)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회전 유도 구간(221)에서 유도된 원심력에 의하여 소화 약제의 미분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 유도 구간(221)과 미분화 구간(227) 및 토출 영역(222)을 통과하는 각 과정에서 소화 약제에 발생된 압력을 P1 내지 P3라 하고, 각 구간 및 영역을 통과하는 소화 약제의 체적을 V1 내지 V3라 정의할 경우에, P1V1=P2V2=P3V3의 수식이 성립되며, 이때의 소화 약제의 유속은 회전 유도 구간(221)에서 가장 크고, 차례로 토출 영역(222) 및 미분화 구간(227)의 순서로 큰 값을 갖는다.
따라서, 소화 약제의 회전력(원심력)은 회전 유도 구간(221)의 유입 단부 측에서 발생되는 유선의 개수에 영향을 받게 되며, 유선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회전 유도 구간(221) 및 미분화 구간(227)의 경계부에서의 회전력은 극대화된다.
따라서, 회전 유도 부재(210)의 유입 단부 측의 3개의 유동 그루브(211 내지 213), 즉 3중 나선 구조는 소화 약제의 미분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가 된다.
또한, 상기 회전 유도 부재(210)의 유입 단부 측에 2중 나선 구조 및 3중 나선 구조를 각각 설계 및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3중 나선 구조의 미분화도가 2중 나선 구조의 미분화도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헤드(220)의 토출 영역(222)은 상기 미분화 구간(227)과 연결되며, 토출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224)와 상기 테이퍼부(224)와 연결되며, 토출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유동부(225) 및 상기 유동부(224)와 연결되며, 토출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확산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화 약제의 토출 과정에서의 각 부의 기능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상기 테이퍼부(224)는 소화 약제의 유속 가속화에 기여하게 되고, 상기 유동부(225)는 소화 약제의 유속 가속화에 도움을 주게 되며, 상기 확산부(226)는 소화 약제의 미분화에 기여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미분화된 형태로 소화 약제를 토출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다 성분의 화학성분이 함유된 강화액소화 약제를 용이하게 미분화된 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는 지하구, 특히 전기설비 등의 특수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소방 노즐 시스템의 일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200)는 지하구(전력구, 통신구), 또는 건물 등의 천정면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 또는 소방차나 소화전 등에 연결되는 소방관창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소방 노즐 조립체(200)가 지하구(전력구, 통신구) 또는 건물 등의 천정면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의 형태로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시스템(100)은 전기 화재 소화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화 약제가 저장된 약제 탱크(150), 상기 약제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소화 약제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레귤레이터(140) 및 상기 압력주입장치와 연결된 저압용 밸브(130)를 포함한다. 특히, 저압용 밸브(130)의 구성에 있어서 전자식 저압용 밸브를 장치할 경우 중앙통제에 의한 온라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압용 밸브(130)와 연결되며, 소화 약제의 유동로를 갖는 연결관(120)과 상기 연결관(120)이 종단부에 장착된 노즐 프레임(110) 및 상기 노즐 프레임(210)에 장착된 복수의 소방 노즐 조립체(2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약제 탱크(150)에 저장된 소화 약제는 레귤레이터(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조절되고, 저압용 밸브(130) 및 노즐 프레임(110)을 차례로 통과하여 소방 노즐 조립체(200)의 노즐 헤드의 유입구로 전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노즐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노즐 프레임(11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노즐 프레임(110)의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노즐 프레임(110)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 프레임(110)은 노즐 헤드의 장착을 위하여 중심축(C2)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장착홀(121)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헤드(220)의 유입 영역(21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도 1참조)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헤드(220)의 나선부가 상기 노즐 프레임(110)의 장착홀(121)의 내주면에 나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프레임(110)에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장착홀(111)은 5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 약제의 압력을 9.7kgf/cm2로 하여, 상기 노즐 프레임(110)에 3개 내지 10개의 소방 노즐 조립체(100)를 장착하여 소화약제의 미분화도 및 화재 진압 정도를 실험한 결과, 소방 노즐 조립체(100)가 3개 또는 4개인 경우에는 소화 범위가 일탈되어 화재 진압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고, 7개 내지 10개인 경우에는 분사 과정에서 인접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소화 약제의 미분화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노즐 프레임(110)에 장착된 소방 노즐 조립체의 개수는 5개 또는 6개가 바람직하고, 특히, 5개의 소방 노즐 조립체가 노즐 프레임(110)에 장착된 경우에 가장 효과적으로 소화 약제가 미분화되고, 이에 따라 효과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는 소방 노즐 조립체(200)가 지하구(전력구, 통신구) 또는 건물 등의 천정면에 설치된 스프링 쿨러의 형태로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소방차나 소화전 등에 연결되는 소방관창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소방 노즐 시스템 110: 노즐 프레임
120: 연결관 130: 저압용 밸브
140: 레귤레이터 150: 약제 탱크
200: 소방 노즐 조립체 210: 회전 유도 부재
211 내지 213: 유동 그루브 220: 노즐 헤드

Claims (10)

  1.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유동 그루브를 갖는 회전 유도 부재; 및
    소화 약제가 유입되며, 내부에 회전 유도 부재가 배치되는 유입 영역과 상기 유입 영역보다 좁은 단면적을 가지며, 미분화된 소화약제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영역을 가지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헤드의 토출 영역은, 상기 유입 영역과 연결되며, 토출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와 연결되며, 토출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의 내주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산부 종단에 형성된 토출구의 직경은 1.5 내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의 유입 영역은 상기 회전 유도 부재가 배치되는 회전 유도 구간 및 상기 회전 유도 부재의 종단과 토출영역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미분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도 부재는 그 외주면이 상기 노즐 헤드의 유입 영역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끼움 결합되며, 상기 회전 유도 부재의 각 유동 그루브와 상기 노즐 헤드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이 유동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도 부재에는 3개의 유동 그루브가 형성되며, 각 유동 그루브는 유입 각도가 중심축에 대하여 120°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의 장착을 위하여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장착홀을 갖는 노즐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프레임의 장착홀은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프레임과 연통되며, 노즐 프레임으로 유입되는 소화 약제의 압력을 조절하는 전자식 레귤레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프레임의 장착홀의 내주면은 상기 노즐 헤드의 외주면에 나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노즐 조립체.
KR1020100006935A 2010-01-26 2010-01-26 소방 노즐 조립체 KR10120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35A KR101205986B1 (ko) 2010-01-26 2010-01-26 소방 노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35A KR101205986B1 (ko) 2010-01-26 2010-01-26 소방 노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489A KR20110087489A (ko) 2011-08-03
KR101205986B1 true KR101205986B1 (ko) 2012-11-29

Family

ID=4492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935A KR101205986B1 (ko) 2010-01-26 2010-01-26 소방 노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94Y1 (ko) * 2012-07-23 2015-04-08 임세종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
KR101330803B1 (ko) * 2013-06-17 2013-11-18 최춘영 노즐팁 및 이를 이용한 소방용 분무노즐
CN108187270A (zh) * 2018-02-02 2018-06-22 浙江利高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公共汽车客舱的灭火喷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221B1 (ko) * 2007-03-22 2008-04-24 주식회사 윈 자동식 소화노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221B1 (ko) * 2007-03-22 2008-04-24 주식회사 윈 자동식 소화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489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109B1 (ko)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KR101205986B1 (ko) 소방 노즐 조립체
US8172001B2 (en) Pendent residential fire protection sprinklers
CN217773041U (zh) 水平侧壁窗口喷洒器和用于保护窗装置的窗口喷洒器系统
KR101700211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693765B1 (ko) 소방노즐
RU2578569C1 (ru) Дренчер
CN104127980B (zh) 一种双流体细水雾喷头
RU2432210C1 (ru) Дренчерная головка
KR101881533B1 (ko)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KR101915549B1 (ko) 디플렉터 소화기
EP2512607A1 (en) Fire extinguishing assembly for transforming a liquid to a liquid mist
KR102245734B1 (ko) 천장과 반자 사이 스프링클러 헤드
RU2576226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0497138B1 (ko) 소방장치
KR20110111579A (ko) 휴대용 폼 소화 장치
KR101045660B1 (ko)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TWM563279U (zh) 高效霧化的液體滅火器噴頭及蓄壓式滅火器裝置
RU2450842C1 (ru) Модуль пожаротушения кочетова
KR100457651B1 (ko) 스월노즐
RU2644875C1 (ru) Дренчер
RU2651994C1 (ru)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применением газожидкостной смеси
CN215025594U (zh) 一种消防软管卷盘水雾灭火装置
CN209500598U (zh) 一种高层建筑消防自动灭火装置
KR200308963Y1 (ko) 소화액 분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