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94Y1 -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 - Google Patents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794Y1
KR200476794Y1 KR20120006535U KR20120006535U KR200476794Y1 KR 200476794 Y1 KR200476794 Y1 KR 200476794Y1 KR 20120006535 U KR20120006535 U KR 20120006535U KR 20120006535 U KR20120006535 U KR 20120006535U KR 200476794 Y1 KR200476794 Y1 KR 200476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ow
fluid
spinning
path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6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750U (ko
Inventor
임세종
Original Assignee
임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세종 filed Critical 임세종
Priority to KR20120006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9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한 압력으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유체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수용부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유로를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측분사유로와, 상기 중심측분사유로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외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방사유로가 형성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FLUID DISTRIBUTION NOZZLE AND AIRGUN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유체 분사 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한 압력으로 액체나 기체 상태의 유체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에 관한 것이다.
노즐이란 액체 또는 기체를 고속으로 자유공간에 분출시키기 위하여 유체가 유동되는 소정의 유로의 단부에 결합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노즐은 외부에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에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에어건의 경우 단부측서 압축된 공기를 분사하는 장치로, 단부측에 노즐이 결합되거나 그 장치 전체로서 노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에어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종래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건의 본체(1)전방과 손으로 파지되는 손잡이(2)의 하측을 관통하여 유로(3)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3)는 외부의 소정의 배관 또는 압축공기의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2)의 일측에는 레버 또는 버튼(4)이 결합되는데, 상기 레버 또는 버튼(4)은 손잡이(2) 내부에 배치되는 유로(3)의 일부를 개폐하는 밸브(5)와 연결된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4)에 압력을 가해 누르거나 압력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밸브(5)로 하여금 유로(3)의 연통을 개방하거나 차단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에어건으로 압착공기를 분사시키고자 할때에는, 에어건의 손잡이(2)하단에 구비되는 소정의 커플링수단(미도시)에 에어호스나 공기공급장치를 연결하여 원하는 장소에 에어건의 토출구를 향하게 한 후에 손잡이(2)에 설치된 버튼(4)을 누르면, 상기 밸브(5)가 유로(3)를 개방하여 토출부(참조번호 미표시)를 통하여 압력이 낮은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에어건은 단순히 압축공기의 토출로 인한 국부적인 청소만이 가능하고, 공기의 압력이 약하므로 소정 부위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체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종래의 국부적인 분사가 가능한 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다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는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수용부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유로를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측분사유로와, 상기 중심측분사유로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외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방사유로가 형성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유로의 유입측은 상기 중심측분사유로의 유입측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방사유로의 유입측과 상기 중심측분사유로의 유입측은 일부 이상이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은, 상기 중심측분사유로 및 방사유로의 단면적의 합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유입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일시 저장하여 상기 상기 방사유로의 유입측과 상기 중심측분사유로의 유입측으로 배출하는 버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중심측분사유로 및 방사유로의 단면적의 합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바디와, 외부의 부재 또는 장치와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앵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과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사유로의 단부측의 개구는 상기 몸체부의 측벽과 상기 토출부의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사유로는,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10도 내지 15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에어건은 중 어느 한 항의 유체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에어건으로서, 토출구를 포함하는 본체와, 손으로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본체 및 손잡이를 관통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은 유체가 수용부에 저장되어 압력을 충전하였다가 다방향으로 분사하도록 토출부에 구비되는 중심측분사유로와 방사유로를 통하여 높은 압력으로 방사되면서 토출될 수 있어 압력전달 효율이 높고 넓은 면적에 유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에어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체 분사노즐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을 도시한 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을 도시한 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유체 분사노즐이 적용되는 에어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유체 분사노즐이 적용되는 차량용 소독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을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토출유로가 구비되는 토출부(200)와, 상기 토출유로와 연통되는 공간인 수용부(320)가 형성되는 중공의 기둥 형상의 몸체부(300) 및 상기 수용부(320)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유로(410)를 구비하는 유입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분사노즐(100)은 액체 및 기체상태의 다양한 유체가 유입 및 토출되는 부재로서, 경우에 따라 겔(Gel) 형식의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예에서 에어건의 토출측에 결합되는 예가 도시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구성에 다른 분사노즐(100)은 유체를 분사하는 장치에 별도의 부재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소정의 장치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토출부(200)와 몸체부(300) 및 유입부(400)는 각각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토출부(200)는 분사노즐(100)의 내부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말단부에 배치되는 부위로서 유체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유로가 형성되는데 더욱 정확하게는 단부측의 면의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측분사유로(210)와, 상기 중심측분사유로(210)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분사노즐(100)의 몸체부(300)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유로(220)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토출부(200)는 전체적으로 박막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유로들은 상기 토출부(200)의 두께를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각각 형성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중심측분사유로(210)와 방사유로(2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유동을 안내함으로써 정확한 방향으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각각의 토출유로의 길이는 토출유로의 개구부의 반경의 두 배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토출의 정확성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개념에서는 상기 중심측분사유로(210)가 몸체부(300)의 가상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방사유로(220)가 몸체부(300)의 가상의 중심축과 소정의 각도(θ)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데 이러한 개념에 따라 토출되는 유체의 유동은 중심측분사유로(210)에서 축방향으로 토출되는 중심유동과 방사유로(220)에서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토출되는 방사유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토출되는 유동들은 상기 토출부(200)에서 멀어질 수록 소정의 면적으로 확산되면서 토출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분사노즐(100)이 에어건에 사용되는 경우 압축공기를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면적이 더욱 넓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개념에서 중심측분사유로(210)에서의 중심유동은 방사유로(220)에서의 방사유동과 각각 별개로 토출되는데, 유동이 진행될 수록 각각의 유동은 상호간에 간섭 및 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중심측분사유로(210)에서의 유동의 압력이 방사유로(220)에서의 방사유동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중심유동이 방사유동의 진행을 안내하게 된다.
다만, 상기 각도(θ)가 30도 이상이 되는 경우 방사유동의 축방향 압력이 지나치게 감소되는 문제가 있고, 5도 미만인 경우에는 방사유동에 의한 다방향의 방사 정도가 지나치게 낮아 본 고안의 개념과 같이 비교적 넓은 범위에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목적 달성이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유로(220)의 중심축에 대한 각도(θ)는 10도 내지 20도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의 토출을 위한 목적물이 토출부(200)의 단부측에서 50cm가량 이격되었다고 가정할 때, 상기 방사유로(220)의 각도(θ)가 10도인 경우에 토출되어 목적물에 직접 충격하는 유체의 직경은 대략 17.6cm가량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도(θ)가 20도인 경우에는 목적물에 직접 충격하는 유체의 직경은 대략 36.4cm가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개념과 같이 토출부(200)가 중심측분사유로(210)와 중심축에 대해 10도 내지 20도의 경사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복수의 방사유로(220)로 이루어지게 되면, 방사유로(220)에 의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유체를 확산시킬 수 있으면서도 압력이 보장되고 중심측분사유로(210)에 의하여 유동은 축방향으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방사유로(220)의 중심측분사유로(210)에 대한 배치상태나 개수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토출유로들의 단부측은 외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하고, 유입측은 몸체부(300)에 형성되는 수용부(320)와 연통되어 소정의 압력을 가진 유체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토출유로들의 각각의 단부측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에 이격되게 되는데, 유입측의 경우는 각각 몸체부(300)의 내부의 저면부(330)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지만, 공기유동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중심측분사유로(210)와 방사유로(220)는 유입측이 상호 일치되거나 연결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토출유로들의 개시점은 몸체부(300)의 저면부(330)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호간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부위가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심측분사유로(210)와 방사유로(220)의 유입측은 중심측분사유로(210)의 유입측에 모두 일치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방사유로(220)의 유입측이 중심측분사유로(210)의 유입측의 일부분과 교차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압력 전달 및 분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토출유로들에 유입되는 유체가 동일한 압력을 가지고 분배될 수 있어 압력전달의 분배 및 흐름의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상기 예와 달리 방사유로(220)가 중심측분사유로(210)의 중간 지점에서 분기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수용부(320)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은 일단 중심측분사유로(210)의 유입측을 통해 유입되어 그 중간의 분기점에서 분산되어 각각 중심측분사유로(210)와 방사유로(220)의 단부측으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몸체부(300)는 상기 토출부(200)와 연통되는 내부의 공간인 수용부(320)를 구비하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공간을 형성하고 외부와 밀폐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의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측벽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310)의 일측은 상기 토출유로들이 개시될 수 있는 바닥면인 저면부(33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부(400)가 배치된다.
상기 수용부(320)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유입부(400)로부터 유입되는 소정의 압력을 가진 유체를 일단 저장하였다가 토출유로들의 유입측을 통하여 한번에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챔버(chamber) 내지는 버퍼(buffer)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용부(320)의 단면적은 토출유로들의 단부측의 단면적의 합보다 넓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320)의 축방향 길이는 토출부(200)의 두께보다 두 배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300)의 타측에는 유체가 소정의 장치 또는 배관 등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유입유로(410)가 형성되는 유입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유로(410)는 상기 수용부(320)와 연통되는 연통로로서 기능하는데, 상기 유입부(400)의 외주측은 내부의 연통로를 보호하되 다른 장치나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4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420)는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예가 설명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유입유로(410), 수용부(320) 및 토출유로(210, 220)들은 상호 연통되어 연통로로서 기능하게 되는데, 배출되는 압력을 보장하고 효율적으로 방사하기 위하여 단면적의 관계가 정의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 토출부(200)에는 복수의 토출유로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소정의 압력이 보장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토출유로들의 단면적의 합<유입유로의 단면적<수용부의 단면적'과 같은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유로(410)는 최초 압력을 받아들이는 유로로서 기능하고, 수용부(320)가 상기 유입유로(410)로부터의 유동을 받아들여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고려하여 수용부(320)의 단면적 및 전체 공간이 가장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토출부(200)에 형성되는 토출유로들은 소정 압력이 보장되어야하기 때문에 분사 속도를 고려하여 면적의 합이 가장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은 상기한 본 고안의 분사노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념에서 분사노즐(100)의 단부측에 중심측분사유로(210)와 방사유로(220)가 배치되는 토출부(200)와 내부에 수용부(320)를 형성하면서 몸통을 이루는 몸체부(300) 및 다른 부재나 장치와 연결되어 수용부(320)의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체결부(420)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300)가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설명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300)의 횡방향 단면은 정육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사유로(220)는 각 면에 해당하는 부위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제작의 정확성이 보장될 수 있음은 물론 미관상 우수한 이점도 가지게 된다.
상기 방사유로(220)의 배치되는 개수는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방사유로(220)가 세 개가 배치되는 예가 설명된다.
상기 방사유로(220)가 토출부(200)의 단부측에 배치될 때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방사의 효율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기 때문에 육각형상의 각 면의 중심부에서 각각 한 변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심측분사유로(210)는 토출부(200)의 단부측 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방사유로(220)는 측벽부(310)와 단부측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유로(220)가 여섯 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측벽부(310)의 각 변과 토출부의 단부측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각 중심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각 변에 두 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고, 부등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방사유로(220)는 중심측분사유로(210)를 중심으로 두 개 이상의 원주방향으로 열지어 배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상기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분사노즐(100)은 유입부(400)와, 몸체부(300) 및 토출부(200)로 이루어짐은 상기한 바와 같고, 상기 토출부(200)에 복수의 토출유로들이 형성되는데, 방사유로(220)는 중심축에 일치하게 형성되는 중심측분사유로(210)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도 4의 예에서는 상기 방사유로(220)의 유입측에 중심측분사유로(210)의 중간에서 분기되는 예가 도시된다. 이 경우에도 수용부(320)로부터 유입되는 유동은 하나의 개구 즉, 중심측분사유로(210)의 유입측으로 유입되어 그 분기점에서 방사유로(220) 및 중심측분사유로(210)의 단부측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몸체부(300)의 중심에서 횡방향으로 절개하여 후방측에서 살펴보면, 상기 토출유로들의 유입측은 중심측분사유로(210)의 유입측과 일치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3의 예에서는 중심측분사유로(210)의 유입측을 중심으로 4개의 원이 방사상으로 교차되어 배치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유입부(400)는 외부의 부재 또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체결부(4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부(420)는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예가 도시된다.
이때, 외부의 부재 또는 장치와 연결됨에 있어서, 나삽되는 방식으로 삽입되는데 몸체부(300)와 만나는 부위에서 유격이 발생되고 유체가 누설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압력의 전달을 보장하고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부(400)의 외주측에는 실링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30)는 탄성을 가진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체결부(420)가 외부의 부재나 장치와 연결될 때 측벽부(310)의 타단부측에서 압력을 가하여 탄성변형됨으로써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상기 체결부(420)가 직접 외부의 부재나 장치와 연결되는 예가 설명되었는데, 본 고안의 다른 예에서는 분사노즐(100)이 앵커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노즐(100)이 에어건의 토출측 단부와 연결될 때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필요성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앵커부재(500)를 선택하여 에어건과 체결부(420)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그 길이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부(320)가 버퍼 또는 챔버로서 기능하여 압축유체를 수용하여 토출유로를 통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시키도록 하는데, 수용부(320)의 용적은 더 크게 확보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상기 앵커부재(500)는 내부의 공간이 몸체부(300)의 수용부(320)와 함께 버퍼 또는 챔버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부(400)의 유입유로(410)의 단면적이 수용부(320)의 단면적보다 더 적은 예가 설명되었다. 그런데, 앵커부재(500)가 연결되는 경우에 앵커부재(500)의 내부의 공간과 수용부(320)가 함께 유동을 저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단면적이 감소하는 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의 전달의 효율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부(400)의 유입유로(410)의 단면적은 수용부(320)의 단면적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20)는 앵커부재(500)의 연결부(510)에 결합될 수 있는데 한 예로 나삽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500)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격리하는 연결바디(530) 및 외부의 부재 또는 장치와 연결되는 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디(530)의 외주 형상은 상기 몸체부(300)의 외주 형상과 일치되는 것이 내부 공간의 단면적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체결부(420)의 외주측에는 앵커부재(500)와의 결합시의 실링을 위한 실링부(43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앵커부재(500)의 결합부(520)는 외부의 부재나 장치와 결합시의 실링을 보장하기 위한 앵커실링부(5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념에서 분사노즐(100)의 단부측에 중심측분사유로(210)와 방사유로가 배치되는 토출부(200)와 내부에 수용부(320)를 형성하면서 몸통을 이루는 몸체부(300) 및 다른 부재나 장치와 연결되어 수용부(320)의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체결부(420)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사유로가 두 개의 배열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측분사유로(210)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유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방사유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진 가상원의 원주상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유로는 내곽의 가상원의 원주상에 배치되는 제1방사유로(221)과 외곽의 가상원의 원주상에 배치되는 제2방사유로(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중심측분사유로(210)와 방사유로가 토출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상호간에 유동의 안내가 더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다만, 상기 방사유로가 배치되는 형태는 반드시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토출유로들의 형상 및 배치는 반드시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토출유로들의 단면은 반드시 원형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300) 및/또는 연결바디(530)의 형상은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등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00) 및 실링부의 재질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분사노즐(100)들은 에어건 또는 샤워장치 등 다양한 유체 분사장치의 토출측에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소정의 압력이 보장되면서도 다방향 즉, 소정의 면적에 유체의 유량 또는 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분사노즐이 결합되는 에어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분사노즐(100)이 에어건의 토출측 단부에 결합되는 경우 종래기술의 에어건이 단순이 압축장치로부터의 압력을 전달하고 국부에 토출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던 반면에, 장치의 압력이 일단 수용부(320)에 저장되어 압력을 충전하였다가 다방향으로 분사하도록 토출부(200)에 구비되는 중심측분사유로(210)와 방사유로(220)를 통하여 높은 압력으로 방사되면서 토출될 수 있어 이물제거의 면접이 높고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분사노즐이 샤워장치 또는 소독장치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샤워장치는 내부에 사람이나 자동차와 같은 물체가 수용되거나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장치로서, 저면부(11)의 상측으로 소정의 프레임(10)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내주측 즉, 상기 공간으로 에어나 약품과 같은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도 8의 예는 가축 이송용 차량을 소독하는 소독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약품의 토출부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유체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다 많은 방향으로 압력이 유지되면서 약품이 분사될 수 있으므로 소독의 효율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분사노즐 200...토출부
210...중심측분사유로 220...방사유로
300...몸체부 310...측벽부
320...수용부 330...저면부
400...유입부 410...유입유로
420...체결부 430...실링부
500...앵커부재 510...연결부
520...결합부 530...연결바디

Claims (10)

  1. 중공의 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유로를 구비하는 유입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측분사유로와, 상기 중심측분사유로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외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방사유로가 형성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토출부 및 유입부는 하나의 부재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측분사유로와 방사유로는 수용부의 단부측에 형성된 저면부로부터 개시되며 방사유로가 중심측분사유로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수용부는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저장하였다가 중심측분사유로와 방사유로로 밀어내도록 기능하고,
    상기 중심측분사유로로부터의 중심유동은 방사유로로부터의 방사유동의 진행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노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은, 상기 중심측분사유로 및 방사유로의 단면적의 합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유입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일시 저장하여 상기 상기 방사유로의 유입측과 상기 중심측분사유로의 유입측으로 배출하는 버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노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중심측분사유로 및 방사유로의 단면적의 합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바디와, 외부의 부재 또는 장치와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앵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노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사유로의 단부측의 개구는 상기 몸체부의 측벽과 상기 토출부의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노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유로는,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10도 내지 15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노즐.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유체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에어건으로서,
    토출구를 포함하는 본체와, 손으로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본체 및 손잡이를 관통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건.
KR20120006535U 2012-07-23 2012-07-23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 KR200476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6535U KR200476794Y1 (ko) 2012-07-23 2012-07-23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6535U KR200476794Y1 (ko) 2012-07-23 2012-07-23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750U KR20120005750U (ko) 2012-08-13
KR200476794Y1 true KR200476794Y1 (ko) 2015-04-08

Family

ID=4687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6535U KR200476794Y1 (ko) 2012-07-23 2012-07-23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826B1 (ko) * 2021-01-12 2021-04-27 주식회사 금곡 에어건용 노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97Y1 (ko) * 2002-08-10 2002-11-29 이종원 에어건의 밸브장치
KR20060000311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소방장치
KR20110087489A (ko) * 2010-01-26 2011-08-03 하정완 소방 노즐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97Y1 (ko) * 2002-08-10 2002-11-29 이종원 에어건의 밸브장치
KR20060000311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소방장치
KR20110087489A (ko) * 2010-01-26 2011-08-03 하정완 소방 노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750U (ko) 201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5909B (zh) 淋浴裝置
CN101336137B (zh) 液体喷射装置
KR102476413B1 (ko) 접착제 분배 모듈 및 액체 접착제의 복수의 액적의 분무 방법
CN100441121C (zh) 头发定型装置
CN107074460B (zh) 用于食品的操作装置
KR101880552B1 (ko) 분무기용 분사노즐
KR200476794Y1 (ko) 유체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건
US20070067900A1 (en) Jet for hydromassage baths
US7699246B2 (en) Supply system
KR101932558B1 (ko) 이액형 분사장치
JP6671710B2 (ja) ノズル
JPH02119963A (ja) 気体流体で液体を送り出す噴射装置
KR101720121B1 (ko) 노즐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도포액 도포 장치
US11529591B2 (en) Plasma system and method of mixing plasma and water mist
US20040006818A1 (en) Pulsating-spray shower head
TWI702064B (zh) 雙聯混合注射器用長噴頭及雙聯混合注射器
KR101712719B1 (ko) 물 분배기
KR101835698B1 (ko)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KR102113469B1 (ko) 2 유체 혼합 방식의 분무 노즐
KR10244608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유체 분사 모듈
KR101363330B1 (ko) 분사 구조 개선형 노즐유닛
KR101531756B1 (ko) 물 분배기
KR102252035B1 (ko) 이액형 분사장치
KR102144058B1 (ko) 소음기 노즐을 사용하는 필터 에어 펄싱 시스템 및 소음기 노즐
JP2023040508A (ja) シャワ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