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698B1 -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698B1
KR101835698B1 KR1020150169481A KR20150169481A KR101835698B1 KR 101835698 B1 KR101835698 B1 KR 101835698B1 KR 1020150169481 A KR1020150169481 A KR 1020150169481A KR 20150169481 A KR20150169481 A KR 20150169481A KR 101835698 B1 KR101835698 B1 KR 101835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ixing tube
front side
nozzle body
chemica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284A (ko
Inventor
김형곤
송규근
심상철
하태준
Original Assignee
(주)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스텍 filed Critical (주)캠스텍
Priority to KR102015016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6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혼합관체의 내부로 기체가 보다 균일한 압력으로 유입될 수 있어 상기 혼합관체내에서의 기체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기체와 혼합된 약액을 보다 높은 효율로 초미립화하여 분사할 수 있고,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Atomized liquid spray nozzle and a liquid injection device equipped with this}
본 발명은 혼합관체의 내부로 기체가 보다 균일한 압력으로 유입될 수 있어 상기 혼합관체내에서의 기체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기체와 혼합된 약액을 보다 높은 효율로 초미립화하여 분사할 수 있고,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병을 퇴치하거나 예방하고자 현대과학의 발달과 함께 세계 많은 국가들은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보건의료시책을 펴나가고 있으며, 특히 전염병 관리에 있어서, 국방과 사회 안전을 위하여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그중 방역사업은 중요환 과제가 되고 있고, 방역 소독 사업자 등록 시, 모든 방역소독 사업자는 초미립자 살충제 살포기를 구비해야 한다.
소독 의무시설 및 가축방역 확대로 방역, 방제 관련 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진보된 방역, 방제 장비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경량이며, 분무액을 초미립자로 분무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휴대용 초미립자 분무기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8-000567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8-0005672호(휴대용 초미립자 분무기)의 경우, 엔진과 다수의 정익 및 동익의 조합으로 공기를 형성하여 액체와 기체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복잡하며, 낮은 엔진회전수로 인해 공기의 압력이 낮아 액체와 기체의 혼합효율이 좋지 않음은 물론 이로 인해 기체와 혼합된 상태인 액체를 초미립화 상태로 분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8-000567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혼합관체의 내부로 기체가 보다 균일한 압력으로 유입될 수 있어 상기 혼합관체내에서의 기체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기체와 혼합된 약액을 보다 높은 효율로 초미립화하여 분사할 수 있고,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기체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기체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통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기체유입통로내에 각각 수용되고, 외주면에 단차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홈이 형성된 부위에 복수의 기체유입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로 공급된 약액이 상기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와 혼합되는 혼합관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전측에 후측이 결합되고, 전측에 상기 혼합관체의 내부로 공급될 약액이 주입되는 약액주입구가 형성되는 전측결합부와; 상기 노즐본체의 후측에 전측이 결합되고, 후측에 상기 혼합관체에서 배출되는 기체와 혼합된 미립화된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되는 후측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본체의 전측 내부에 상기 기체유입통로와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 상기 혼합관체의 내부로 약액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수용되며, 상기 안내부의 전측에 가이드홈이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되고, 상기 안내부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약액안내구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의 후측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내에 상기 혼합관체의 전측이 수용되며, 상기 수용홈내에 역류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수용홈내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노즐본체의 기체주입구는 기체유입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기체주입구내에 역류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기체주입구내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후측결합부의 후측 내부에 상기 혼합관체에서 배출되는 기체 및 약액이 혼합되는 혼합공간이 상기 분사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혼합관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홈으로 인해 상기 혼합관체의 내부로 기체가 보다 균일한 압력으로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혼합관체내에서의 기체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보다 높은 효율로 기체와 혼합된 약액이 초미립화 상태로 분사될 수 있고,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기체와 액체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안내부의 상부수용홈과 하부수용홈내에 각각 체크밸브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9는 노즐본체의 기체주입구내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약액분사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과 일예의 약액분사장치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약액분사장치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과 다른예의 약액분사장치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노즐본체(10), 혼합관체(20), 전측결합부(30) 및 후측결합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노즐본체(10)의 일측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 등의 다양한 종류의 기체가 주입되는 기체주입구(110)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노즐본체(10)의 내부 상측과 내부 하측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기체유입통로(120) 및 하부기체유입통로(130)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체유입통로(100)가 각각 상기 노즐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노즐본체(10)의 내부 타측 상부와 타측 내부 타측 하부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체유입통로(120) 및 상기 하부기체유입통로(130)와 연통되는 상부배출구(140) 및 하부배출구(150)가 상기 노즐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상부배출구(140)와 상기 하부배출구(150)를 통해 기체와 혼합되어 미립화된 약액이 각각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관체(20)는 상기 노즐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상부혼합관체(210)와 하부혼합관체(2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혼합관체(210)는 상기 상부기체유입통로(120)내에 수용된다.
상기 하부혼합관체(220)는 상기 하부기체유입통로(130)내에 수용된다.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외주면 중간부에는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단차홈(230)이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된다.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외주면 중간부에도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외측에서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단차홈(230)이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된다.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외주면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복수의 기체유입구(24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상기 기체유입구(240)는 상기 단차홈(230)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단차홈(230)이 형성된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전측, 중간, 후측부위 중 어느 한 부위에 형성 및 상기 단차홈(230)이 형성된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전측, 중간, 후측부위 중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공급된 방향제, 살충제, 농약 등 다양한 종류의 약액은 상기 기체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등의 기체와 혼합되어 미립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측결합부(30)의 후측은 상기 노즐본체(10)의 전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전측결합부(30)의 원활한 교체보수를 위해 상기 노즐본체(10)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결합부(30)의 전측 중간부에는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공급될 약액이 주입되는 약액주입구(310)가 형성된다.
상기 약액주입구(310)에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약액주입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측결합부(30)의 후측 내부에는 상기 노즐본체(10)의 전측이 끼움결합 또는 상기 노즐본체(10)의 전측과 나사결합되는 결합홈(320)이 상기 전측결합부(3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측결합부(40)의 전측은 상기 노즐본체(10)의 후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후측결합부(40)의 원활한 교체보수를 위해 상기 노즐본체(10)의 후측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결합부(40)의 후측 중간부에는 상기 혼합관체(20)에서 배출되는 기체와 혼합된 초미립화된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구(410)가 형성된다.
상기 후측결합부(40)의 전측 내부에는 상기 노즐본체(10)의 후측이 끼움결합 또는 상기 노즐본체(10)의 후측과 나사결합되는 결합홈(420)이 상기 후측결합부(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노즐본체(10)의 전측 내부에는 상기 상부기체유입통로(120) 및 상기 하부기체유입통로(130)와 연통되는 수용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60)내에는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내부와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내부로 약액을 균일한 압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5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50)의 일측 중간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5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홈(5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50)의 내부 상측과 상기 안내부(50)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내부와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내부로 약액을 균일한 압력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약액안내구(520) 및 하부약액안내구(530)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약액안내구(501)가 상기 안내부(5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본체(10)의 기체주입구(110)는 상기 노즐본체(10)의 일측 중간부에 상기 노즐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1개의 상기 기체주입구(110)를 통해 상기 상부기체유입통로(120) 및 상기 하부기체유입통로(130)로 기체를 유입(도 6의 점선 화살표 참조.)시키기 위해, 상기 기체주입구(1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는 각각 상기 상부기체유입통로(120) 및 상기 하부기체유입통로(130)와 연통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본체(10)의 기체주입구(110)에는 어댑터(170)의 타측이 일체연결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170)의 일측에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체주입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기체와 액체의 흐름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결합단면도이다.
상기 노즐본체(10)의 기체주입구(110)를 통해 상기 노즐본체(10)의 내부로 주입된 기체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혼합관체(20)의 단차홈(230)내로 유입된 후 상기 혼합관체(20)의 기체유입구(240)를 통과하여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유입(도 7의 점선 화살표 참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혼합관체(20)의 단차홈(230)내에 보다 많은 양의 기체가 충진될 수 있어 상기 혼합관체(20)의 기체유입구(240)를 통해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균일한 압력의 기체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측결합부(30)이 약액주입구(310)를 통해 주입된 약액은 상기 안내부(50)의 가이드홈(510) 및 상기 상부약액안내구(520)와 하부약액안내구(530)를 통해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균일한 압력으로 공급(도 7의 실선 화살표 참조.)될 수 있고,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공급된 약액은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균일한 압력으로 유입된 기체와 혼합되어 미립화될 수 있다.
기체와 혼합되어 미립화된 약액은 상기 후측결합부(40)의 분사구(410)를 통해 상기 후측결합부(4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도 8은 안내부의 상부수용홈과 하부수용홈내에 각각 체크밸브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50)의 후측 상부와 상기 안내부(50)의 후측 하부에는 상기 상부약액안내구(520) 및 상기 하부약액안내구(530)와 연통되는 상부수용홈(540) 및 하부수용홈(5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수용홈(50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유입된 기체의 압력세기가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공급된 약액의 압력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공급된 약액이 상기 전측결합부(30)의 약액주입구(310)로 역류할 우려가 있음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60)는 상기 약액주입라인에 구비되거나 상기 수용홈(502)의 상부수용홈(540)과 하부수용홈(550)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 스윙체크밸브 등의 체크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크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상기 상부수용홈(540)과 상기 하부수용홈(550)내에 각각 구비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상부수용홈(540)은 제 1상부수용홈(541)과 제 2상부수용홈(5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상부수용홈(541)은 상기 상부약액안내구(52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50)의 후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부수용홈(542)의 내경크기는 상기 제 1상부수용홈(541)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부수용홈(542)은 상기 제 1상부수용홈(541)과 연통되어 상기 제 1상부수용홈(54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안내부(50)의 후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부수용홈(542)의 내부에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전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용홈(550)은 제 1하부수용홈(551)과 제 2하부수용홈(5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하부수용홈(551)은 상기 하부약액안내구(53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50)의 후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하부수용홈(552)의 내경크기는 상기 제 1하부수용홈(551)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하부수용홈(552)은 상기 제 1하부수용홈(551)과 연통되어 상기 제 1하부수용홈(55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안내부(50)의 후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하부수용홈(552)의 내부에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전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의 상부는 상기 상부약액안내구(52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 1상부수용홈(541)의 일측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약액안내구(520)에서 상기 상부혼합관체(210)의 내부로 이동하는 약액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상부수용홈(541)내에 구비된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의 하부가 상기 제 1상부수용홈(541)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상부약액안내구(520)를 개방할 수 있다.
기체의 압력세기가 약액의 압력세기보다 커 약액이 상기 상부약액안내구(520)방향으로 역류(도 8의 일점쇄선 화살표 참조.)할 경우, 상기 제 1상부수용홈(541)내에 구비된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의 하부가 상기 제 1상부수용홈(541)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상부약액안내구(520)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60)의 상부는 상기 하부약액안내구(53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 1하부수용홈(551)의 일측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약액안내구(530)에서 상기 하부혼합관체(220)의 내부로 이동하는 약액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하부수용홈(551)내에 구비된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의 하부가 상기 제 1하부수용홈(551)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부약액안내구(530)를 개방할 수 있다.
기체의 압력세기가 약액의 압력세기보다 커 약액이 상기 하부약액안내구(530)방향으로 역류(도 8의 일점쇄선 화살표 참조.)할 경우, 상기 제 1하부수용홈(551)내에 구비된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의 하부가 상기 상기 제 1하부수용홈(551)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부약액안내구(530)를 폐쇄할 수 있다.
도 9는 노즐본체의 기체주입구내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공급된 약액의 압력세기가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유입된 기체의 압력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노즐본체(10)의 기체주입구(110)로 역류할 우려가 있음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역류방지부(6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는 상기 기체주입라인에 구비되거나 상기 기체주입구(110)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를 상기 기체주입구(110)내에 구비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상기 기체주입구(110)의 내주면 중간 상측과 내주면 중간 하측에는 각각 상기 기체주입구(1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돌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체주입구(110)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어댑터(170)의 타측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의 상부는 상기 돌출부(111)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체주입구(110)를 통해 상기 노즐본체(10)의 내부로 주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기체주입구(110)내에 구비된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의 하부가 상기 기체주입구(11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기체주입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약액의 압력세기가 기체의 압력세기보다 커 기체가 상기 기체주입구(110) 방향으로 역류할 경우, 상기 기체주입구(110)내에 구비된 상기 역류방지부(60)를 이룰 수 있는 체크밸브의 하부가 상기 기체주입구(11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기체주입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약액 및 기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노즐본체(10), 상기 혼합관체(20) 및 상기 안내부(50)에 각각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오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누출방지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본체(10)의 후측면에는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끼움홈(1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출방지부재(70)는 상기 노즐본체(10)의 끼움홈(180)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관체(20)의 전단부 외면과 상기 혼합관체(20)의 후단부 외면에도 상기 혼합관체(2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단면형상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끼움홈(2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출방지부재(70)는 상기 혼합관체(20)의 끼움홈(200)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50)의 전단부에도 상기 안내부(5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단면형상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끼움홈(5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출방지부재(70)는 상기 안내부(50)의 끼움홈(500)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결합부(40)의 후측 내부 중간부에는 상기 혼합관체(20)에서 배출되는 기체 및 약액이 2차적으로 혼합되어 초미립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혼합공간(400)이 상기 분사구(4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공간(400)은 상기 후측결합부(4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반원 형상 등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약액분사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과 일예의 약액분사장치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약액분사장치는 일예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립화 약액분사노즐(1), 지지프레임(2), 기체공급부(3), 수용탱크(4), 펌프(5)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의 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의 전측방향으로 수평절곡될 수 있다.
상기 기체공급부(3)는 상기 지지프레임(2)의 하부 상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기체공급부(3)는 송풍팬, 블로워, 에어컴프레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립화 약액분사노즐(1)의 기체주입라인(11)의 후측은 상기 기체공급부(3)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기체주입라인(11)의 전측은 상기 미립화 약액분사노즐(10)의 어댑터(17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용탱크(4)는 상기 지지프레임(2)의 상부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정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탱크(4)의 내부에는 방향제, 살충제, 농약 등 다양한 종류의 약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미립화 약액분사노즐(1)의 약액주입라인(12)의 후측은 상기 수용탱크(4)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약액주입라인(12)의 전측은 상기 상기 전측결합부(30)의 약액주입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5)는 상기 미립화 약액분사노즐(10)의 약액주입라인(12)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탱크(4)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된 약액을 펌핑하여 상기 약액주입라인(12)으로 주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프레임(2)에 구비되는 조작패널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펌프(5)의 작동 및 상기 기체공급부(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프레임(2)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5)와 상기 기체공급부(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약액분사장치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과 다른예의 약액분사장치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약액분사장치의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본 발명인 약액분사장치는 다른예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립화약액분사노즐(1), 운반부(6), 상기 기체공급부(3), 상기 수용탱크(4), 상기 펌프(5) 및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반부(6)는 지지판부재(61), 수직프레임(62), 손잡이부재(63) 및 바퀴부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부재(61)의 상부에 상기 기체공급부(3)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62)은 상기 지지판부재(6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62)의 상부 전측에 상기 수용탱크(4)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63)는 상기 수직프레임(6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재(64)는 상기 수직프레임(62)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반부(6)의 상기 지지판부재(61)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22)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운반부(6)의 상기 지지판부재(61)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22)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5)와 상기 기체공급부(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혼합관체(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홈(230)으로 인해 상기 혼합관체(20)의 내부로 기체가 보다 균일한 압력으로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혼합관체(20)내에서의 기체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보다 높은 효율로 기체와 혼합된 약액이 초미립화 상태로 분사될 수 있고,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노즐본체, 20; 혼합관체,
30; 전측결합부, 40; 후측결합부.

Claims (8)

  1. 일측에 기체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기체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통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기체유입통로내에 각각 수용되고, 외주면에 기체가 충진되는 환형형상의 단차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홈이 형성된 부위에 복수의 기체유입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로 공급된 약액이 상기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와 혼합되는 혼합관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전측에 후측이 결합되고, 전측에 상기 혼합관체의 내부로 공급될 약액이 주입되는 약액주입구가 형성되는 전측결합부와;
    상기 노즐본체의 후측에 전측이 결합되고, 후측에 상기 혼합관체에서 배출되는 기체와 혼합된 미립화된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되는 후측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의 전측 내부에 상기 기체유입통로와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 상기 혼합관체의 내부로 약액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수용되며,
    상기 안내부의 전측에 가이드홈이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되고,
    상기 안내부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약액안내구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후측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내에 상기 혼합관체의 전측이 수용되며,
    상기 수용홈내에 역류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수용홈내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의 기체주입구는 기체유입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기체주입구내에 역류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기체주입구내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결합부의 후측 내부에 상기 혼합관체에서 배출되는 기체 및 약액이 혼합되는 혼합공간이 상기 분사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KR1020150169481A 2015-11-30 2015-11-30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KR101835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81A KR101835698B1 (ko) 2015-11-30 2015-11-30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81A KR101835698B1 (ko) 2015-11-30 2015-11-30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84A KR20170063284A (ko) 2017-06-08
KR101835698B1 true KR101835698B1 (ko) 2018-03-07

Family

ID=5922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481A KR101835698B1 (ko) 2015-11-30 2015-11-30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246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진원하이드로릭 공기 자흡식 2 매체 분사 노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92B1 (ko) * 2013-03-26 2013-10-23 (주)캠스텍 다중유체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92B1 (ko) * 2013-03-26 2013-10-23 (주)캠스텍 다중유체 분사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246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진원하이드로릭 공기 자흡식 2 매체 분사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84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344B1 (ko) 가변형 내부유로가 구비되는 공기압을 이용한 절수용 샤워기
KR101844488B1 (ko) 휴대식 초미세 분무기
KR20110111861A (ko) 약액 분사장치
KR101778971B1 (ko) 휴대용 전동식 연무기
CN205287341U (zh) 一种新型移动式泡沫灭火装置
KR20070102416A (ko) 거품 비누 발생기
KR101876186B1 (ko) 액체기체 동시분사형 농약교반과 양수 고속공급의 일체형 교반 및 양수장치
CN205287325U (zh) 一种移动式泡沫灭火装置的改进型结构
CN218232840U (zh) 一种雾化喷射装置及衣物处理设备
KR20150140091A (ko) 광범위 약제 분사기
CN107107004A (zh) 同时喷射液体与气体的农药搅拌机及驱动组件
US20210347554A1 (en) Atomizer structure and atomizer having the same
KR20160097491A (ko)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CN105142797A (zh) 零件数量减少的水平泵、再填充单元以及分配器
KR101835698B1 (ko)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JP2022519451A (ja) 歯間洗浄器用ノズルおよびその歯間洗浄器
JP2013086084A (ja) 洗浄水噴射装置
WO2016076038A1 (ja) スプレーノズルおよび該スプレーノズルを備えた加湿器
KR102273402B1 (ko) 물-공기 혼합 분사 장치
KR200486839Y1 (ko) 양어장용 산소 공급장치
CN209791807U (zh) 雾化装置
KR101305910B1 (ko) 다용도 분사장치
CN220779515U (zh) 一种喷雾降尘装置
KR20150070535A (ko) 에어펌프를 이용한 충전식 스팀분사기기
CN105994229B (zh) 药液搅拌器及带有该药液搅拌器的喷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