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910B1 - 다용도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910B1
KR101305910B1 KR1020120019440A KR20120019440A KR101305910B1 KR 101305910 B1 KR101305910 B1 KR 101305910B1 KR 1020120019440 A KR1020120019440 A KR 1020120019440A KR 20120019440 A KR20120019440 A KR 20120019440A KR 101305910 B1 KR101305910 B1 KR 10130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nozzle
inl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839A (ko
Inventor
김형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추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추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추럴웍스
Priority to KR102012001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9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8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gas and liquid jets intersecting in the mix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0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producing a swir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다용도 분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분사장치는,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구와,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 유입구와,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본체;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며 상기 기체에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를 분사시키는 노즐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노즐부를 개폐시켜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의 분사를 차단 및 해제하는 노즐부 개폐유닛;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부 개폐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기체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기체 공급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분사장치{MULTIPURPOSE SPRAY DEVICE}
본 발명은, 다용도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피부에 유익한 혼합물을 피부에 분사하는 데 사용되는 다용도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화장품,의약품, 그림물감 등의 액체를 공급하는 분사기기에는 많은 종류의 분사기기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분사기기는 주로 페인팅, 내일아트, 문신 등의 분야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압축공기 또는 탄산가스의 배출력을 이용하여 기초 화장재, 색재 등을 여성용 메이크업으로 활용하는 분사기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탄산가스의 배출력을 이용한 분사기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탄산욕이 건강과 미용에 좋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탄산가스가 산소에 비해 세포막 등의 투과성이 25배 정도 높아 피부에 잘 흡수되고 산소 증가량을 증가 시키기 때문이다.
탄산가스의 효과로는 혈관 확장 효과, 항염증 효과, 혈관 유동성 개선효과, 보어효과(산소 평행효과)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탄산가스의 경피흡수(硬皮吸收)효과를 이용하면 살결을 부드럽게 하는 미백효과와 스킨케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분사기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압축공기 또는 탄산가스는 분사장치에 의해 기초화장 등과 혼합되어 분사되는 데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장치는 액체와 기체의 흐름을 2단의 동작으로 제어한다.
즉 누름 동작과 회전 동작으로 액체와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므로 작동이 어렵고 그 흐름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기체의 제어 기능이 없어 사용 중에 액체와 기체가 누설되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분사 장치의 노즐 선단에서의 분사 형상이 직선 또는 국부적인 분사 형상을 가지므로 액체 혼합물의 분사 효과가 미흡하고 액체 혼합물의 분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액체 용기가 일체화된 분사 장치 본체의 일부가 주 본체로부터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이지만 사용이 완료된 액체를 재사용할 수 없고, 1회용으로 공급되고 있어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노즐의 축선과 액체 용기가 동일 축선 상에 조립됨으로 인해 액체가 노즐에 노출되어 있어 장시간 방치 시 산화되거나 변질될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001573호(김찬수) 2010. 12. 0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체의 피부에 유익한 혼합물을 피부에 균일하게 분사시킬 수 있으며 혼합물의 흐름을 단 동작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용도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구와,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 유입구와,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본체;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며 상기 기체에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를 분사시키는 노즐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노즐부를 개폐시켜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의 분사를 차단 및 해제하는 노즐부 개폐유닛;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부 개폐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기체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기체 공급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다용도 분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액체의 배출 통로가 되는 노즐;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액체와 상기 기체를 혼합 분사시키는 노즐캡; 및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캡을 통해 분사되는 기체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 개폐유닛은,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노즐부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를 개폐시키는 니들; 상기 니들에 연결되어 상기 니들을 전후 이동시키는 트리거; 상기 니들과 상기 트리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니들과 상기 본체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 공급 제어유닛은, 상기 기체유입구로 공급되는 상기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며 상기 기체유입구와 연결되는 기체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기체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 유로가 마련된 몸체; 상기 연통 유로에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와 연동되어 상기 연통 유로를 개폐시키는 기체통과홀을 갖는 개폐로드; 및 상기 연통 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로드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체가 구비된 기체 공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는 탄산가스 또는 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는 메이커업 기초 화장제, 발모 방지제 또는 아토피 치료제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유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 용기; 및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체의 피부에 유익한 혼합물을 피부에 균일하게 분사시킬 수 있으며, 혼합물의 흐름을 단 동작으로 제어하여 작동이 간편하고 불필요한 혼합물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분사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분사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체 공급 제어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사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분사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분사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체 공급 제어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사장치(1)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배출구(130)에 마련되며 기체에 와류를 형성시켜 기체 및 액체를 분사시키는 노즐부(200)와, 본체(100)에 마련되며 노즐부(200)를 개폐시켜 기체 및 액체의 분사를 차단 및 해제하는 노즐부 개폐유닛(300)과, 본체(100)에 연결되며 노즐부 개폐유닛(300)과 연동되어 기체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기체 공급 제어유닛(400)을 구비한다.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의 내부에 마련되며, 본체(100)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구(110)와,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 유입구(120)와, 기체 및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30)가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출구(130)는 후술하는 니들(310)이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후단부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 및 액체는 배출구(130)에서 서로 혼합되지 않고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노즐부(200)에서 서로 혼합되어 균일하게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기체는 탄산가스 또는 공기를 포함하고, 액체는 메이커업 기초 화장제, 발모 방지제 또는 아토피 치료제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체(100)의 액체 유입구(120)에는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 용기(V)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본 실시 예에서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의 내부에 수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하우징(H)은 본체(100)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H1)과,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H1)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하우징(H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캡 하우징(H2)이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H1)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본체(100)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노즐부(200)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노즐부(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액체 및 기체가 서로 혼합되어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노즐부(200)는 벤투리 효과(유체의 흐름에 대해 부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진 도관이 미치는 효과)에 의해 액체 및 기체를 혼합분사시키며, 와류형성부(230)에 의해 혼합물(이하 '액체 및 기체의 혼합물'을 혼합물이라 함)을 균일하게 분사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노즐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배출구(130)에 나사 결합 또는 끼워 맞춤 결합 등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액체의 배출 통로가 되는 노즐(210)과, 본체(10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액체와 기체를 혼합 분사시키는 노즐캡(220)과, 노즐(21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노즐캡(220)을 통해 분사되는 기체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형성부(230)를 포함한다.
노즐부(200)의 노즐(210)은, 액체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외에 배출구(130)에서 기체 및 액체가 혼합되지 않도록 배출구(130)의 내부 공가을 구획하여 기체 및 액체가 배출구(130)에서 서로 혼합되지 않고 각각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체는 노즐(210)의 외주면과 배출구(130)의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액체는 노즐(210)의 내부를 통해서 이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노즐(210)의 선단부 외주면과 노즐캡(220)의 내벽 사이에는 기체가 새어나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노즐부(200)의 노즐캡(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의 후방 영역은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내부의 전방 영역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후술하는 노즐부 개폐유닛(300)에 의해 노즐부(200)가 개방되었을 때 기체가 배출되면서 효율적으로 액체를 같이 배출시킬 수 있고, 노즐캡(220)의 전방 영역에서 혼합물을 확산시켜 분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노즐부(200)의 와류형성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0)의 외주면 전방 영역에 나선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배출되는 공기가 와류형성부(230)를 타고 회전되면서 배출되므로 노즐캡(220)에서의 액체와의 접촉 면적 증가로 액체와의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은 계속해서 균일하게 분사된다.
노즐부 개폐유닛(300)은 노즐부(200)를 개폐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기체 공급 제어유닛(400)을 작동시켜 혼합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노즐부 개폐유닛(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30)에서 노즐부(200)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본체(100)에 마련되어 노즐부(200)를 개폐시키는 니들(310)과, 니들(310)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힘과 같은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니들(31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리거(320)와, 니들(310)과 트리거(320) 사이에 배치되어 니들(31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체(330)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니들(310)과 본체(100) 사이의 공간으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실링부재(340)와, 본체(100)의 후방부에 결합되어 니들(310)을 지지하는 니들캡(350)을 포함한다.
노즐부 개폐유닛(300)의 니들(310)과 트리거(320)는 중간 연결부재 없이 바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니들(3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트리거(3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넉터에 의해 니들(310)과 트리거(320)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기체 공급 제어유닛(400)은, 본체(100)의 기체 유입구(110)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안내함과 더불어 전술한 노즐부 개폐유닛(300)과 연동되어 기체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기체 공급 제어유닛(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기체 유입구(11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410)와, 제1 연결부(410)와 연결되며 트리거(320)와 상호 연동되어 기체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을 제어하는 기체 공급 제어부(420)와, 기체 공급 제어부(420)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기체를 기체 공급 제어부(420)로 공급시키는 제2 연결부(430)를 포함한다.
기체 공급 제어유닛(400)의 제1 연결부(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기체 유입구(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튜브(411)와, 커넥팅 튜브(411)에 끼워 맞춤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연결관(412)과, 커넥팅 튜브(411)와 제1 연결관(412)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실링부재(413)와, 제1 연결관(412)과 클램프(C)에 의해 연결되는 제1 튜브(414)와, 제1 튜브(414)와 클램프(C)에 의해 연결되는 제1 커넥터(415)를 포함한다.
기체 공급 제어유닛(400)의 기체 공급 제어부(4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421a)와 유입구(421a)를 통해서 유입된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구(421b)와 유입구(421a) 및 기체배출구(421b)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 유로(421c)가 마련된 몸체(421)와, 연통 유로(421c)에 배치되며 유입구(421a)로 유입되어 기체배출구(421b)로 흐르는 기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로드(422)와, 연통 유로(421c)에 배치되어 개폐로드(422)에 탄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체(423)와, 연통 유로(421c)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개폐로드(422)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드캡(424)과, 연통 유로(421c)에 배치되어 개폐로드(422)와 연통 유로(421c)의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실링부재(425)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기체 공급 제어부(420)의 개폐로드(42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통과홀(422a)이 마련되며, 이 기체통과홀(422a)을 통해 유입구(421a)로 유입된 기체가 기체배출구(421b)로 배출된다.
즉,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트리거(320)를 도 3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당기면 트리거(320)가 회동되면서 커넥터(360)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후방으로 밀려난 커넥터(360)는 개폐로드(422)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개폐로드(422)를 하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개폐로드(422)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기체통과홀(422a)에 의해 연통 유로(421c)가 개방되어 유입구(421a)로 유입된 기체는 기체배출구(421b)로 배출된다(도 6 참조).
기체 공급 제어유닛(400)의 제2 연결부(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21)의 유입구(421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터(431)와, 제2 커넥터(431)에 클램프(C)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튜브(432)와, 제2 튜브(432)에 클램프(C)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커넥터(433)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기체 공급 제어유닛(400)의 제2 연결부(4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장치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커플러 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플러 유닛(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커넥터(43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510)와, 너트(510)의 일측부에 끼워 맞춤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커플러(520)와, 커플러(520)에 클램프(C)에 의해 연결되는 튜브(530)와, 너트(510)와 커플러(520)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의 틈새로 기체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540)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사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사장치(1)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예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니들(310)의 선단부는 노즐(210)의 개구를 막은 상태에 있고, 트리거(320)는 개폐로드(422)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기체 공급 제어부(420)에서 기체의 공급은 차단되어 본체(100)의 기체 유입구(110)로 기체가 공급되지 않고 액체는 분사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32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니들(310)에 의해 막혀 있는 노즐(210)이 개방됨과 동시에 커넥터(36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로드(422)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기체가 기체 유입구(110)로 유입되어 혼합물이 분사된다.
구체적으로 트리거(32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트리거(320)가 회동되면서 커넥터(36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커넥터(36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커넥터(360)와 연결된 니들(310)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니들(310)에 의해 막혀 있던 노즐(210)이 개방되어 액체의 배출이 가능해진다.
한편으로 트리거(320)를 회동시키면 트리거(320)와 연결된 커넥터(36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연통 유로(421c)를 막고 있는 개폐로드(422)를 가압시킨다. 가압된 개폐로드(4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60)의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연통 유로(421c)의 내벽과 제2 실링부재(413)에 의해 막혀 있던 기체통과홀(422a)을 개방시킨다.
기체통과홀(422a)이 개방되면 유입구(421a)와 기체배출구(421b)가 상호 연통되므로 유입구(421a)로 유입된 기체는 기체배출구(421b)를 통해 제1 연결부(410)로 공급된다. 제1 연결부(410)로 공급되는 기체는 기체 유입구(110)를 통해 배출구(130)의 내벽과 노즐(21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 후 노즐(210)의 외주면과 노즐캡(220)의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니들(310)에 의해 막혀 있던 노즐(210)이 개방되어 있어 액체의 배출이 가능하고, 이 액체는 배출되는 기체의 배출 압력 및 속도 즉 기체가 배출될 때 기체에 빨려들어 기체와 같이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혼합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210)의 외주면에 마련된 와류형성부(230)에 의해 노즐캡(220)으로부터 균일하게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되는 혼합물의 양은 트리거(320)의 회동 정도에 비례한다. 즉, 트리거(320)의 회동 각도를 크게 할수록 니들(310)에 의해 막혀 있는 노즐(210)의 개방 정도가 증가되어 더 많은 액체가 배출될 수 있고, 기체통과홀(422a)의 개방 정도가 증가되어 더 많은 기체가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인체의 피부에 유익한 혼합물을 피부에 균일하게 분사시킬 수 있으며, 혼합물의 흐름을 단일한 동작으로 제어하여 작동이 간편하고 불필요한 혼합물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다용도 분사장치 100 : 본체
110 : 기체 유입구 120 : 액체 유입구
130 : 배출구 200 : 노즐부
210 : 노즐 220 : 노즐캡
230 : 와류형성부 300 : 노즐부 개폐유닛
310 : 니들 320 : 트리거
330 : 제1 탄성체 340 : 제1 실링부재
350 : 니들캡 360 : 커넥터
400 : 기체 공급 제어유닛 410 : 제1 연결부
420 : 기체 공급 제어부 430 : 제2 연결부
500 : 커플러 유닛 510 : 너트
520 : 커플러 530 : 튜브
540 : 오링 C : 클램프
H : 하우징 V : 액체 수용 용기

Claims (5)

  1.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구와,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 유입구와,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본체;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며 상기 기체에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를 분사시키는 노즐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노즐부를 개폐시켜 상기 기체 및 상기 액체의 분사를 차단 및 해제하는 노즐부 개폐유닛;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부 개폐유닛과 연동되어 상기 기체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기체 공급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기체는 탄산가스 또는 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는 메이커업 기초 화장제, 발모 방지제 또는 아토피 치료제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유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 용기; 및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분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액체의 배출 통로가 되는 노즐;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액체와 상기 기체를 혼합 분사시키는 노즐캡; 및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캡을 통해 분사되는 기체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형성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분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 개폐유닛은,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노즐부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를 개폐시키는 니들;
    상기 니들에 연결되어 상기 니들을 전후 이동시키는 트리거;
    상기 니들과 상기 트리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니들과 상기 본체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다용도 분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 제어유닛은,
    상기 기체유입구로 공급되는 상기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며 상기 기체유입구와 연결되는 기체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기체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 유로가 마련된 몸체;
    상기 연통 유로에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와 연동되어 상기 연통 유로를 개폐시키는 기체통과홀을 갖는 개폐로드; 및
    상기 연통 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로드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체가 구비된 기체 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분사장치.
  5. 삭제
KR1020120019440A 2012-02-27 2012-02-27 다용도 분사장치 KR10130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440A KR101305910B1 (ko) 2012-02-27 2012-02-27 다용도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440A KR101305910B1 (ko) 2012-02-27 2012-02-27 다용도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839A KR20130097839A (ko) 2013-09-04
KR101305910B1 true KR101305910B1 (ko) 2013-09-06

Family

ID=4944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440A KR101305910B1 (ko) 2012-02-27 2012-02-27 다용도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0466A1 (zh) * 2016-06-29 2018-01-04 深圳贵之族生科技有限公司 粘稠液体雾化喷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301B1 (ko) 2016-10-10 2019-03-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산음료 제조장치의 와류 유발형 탄산 노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82B1 (ko) * 2008-02-27 2010-01-11 주식회사 승일 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10031778A (ko) * 2009-09-21 2011-03-29 최장수 미립자 및 미세기포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82B1 (ko) * 2008-02-27 2010-01-11 주식회사 승일 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10031778A (ko) * 2009-09-21 2011-03-29 최장수 미립자 및 미세기포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0466A1 (zh) * 2016-06-29 2018-01-04 深圳贵之族生科技有限公司 粘稠液体雾化喷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839A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020B1 (ko) 멀티컨테이너를 갖는 화장수 분사장치
US7488419B1 (en) Water faucet containing water mixed with ozone
KR102161995B1 (ko) 휴대용 에어브러시
KR101305906B1 (ko) 다용도 분사장치
KR101898003B1 (ko)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KR102152955B1 (ko) 휴대용 에어브러시
KR101435633B1 (ko) 화장품 에어 브러쉬
KR101274225B1 (ko)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KR101832848B1 (ko)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 장치
JP2015500731A5 (ko)
KR101305910B1 (ko) 다용도 분사장치
KR101435634B1 (ko) 화장품 에어 브러쉬
WO2024083118A1 (zh) 喷雾芯及注氧仪
KR102194054B1 (ko) 다용도 액체 분사기
KR102180202B1 (ko) 화장품용 에어 브러쉬
KR100690025B1 (ko) 염모제 혼합분출이 가능한 헤어브러시
JP2016500294A (ja) 毛髪の泡沫染色装置
KR102506062B1 (ko)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KR20140148209A (ko) 화장품 에어 브러쉬
KR102387899B1 (ko) 피부 필링기
KR101870139B1 (ko) 가정용 모발관리기
KR101501746B1 (ko) 분사장치
CN114749322B (zh) 一种高性能超声雾化器及其控制方法
KR101835698B1 (ko) 미립화 약액 분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약액분사장치
CN220779515U (zh) 一种喷雾降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