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225B1 -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 Google Patents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225B1
KR101274225B1 KR1020120019199A KR20120019199A KR101274225B1 KR 101274225 B1 KR101274225 B1 KR 101274225B1 KR 1020120019199 A KR1020120019199 A KR 1020120019199A KR 20120019199 A KR20120019199 A KR 20120019199A KR 101274225 B1 KR101274225 B1 KR 10127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nozzle
gas inlet
need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운
노홍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추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추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추럴웍스
Priority to KR102012001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25Nozzles having elongated outlets, e.g. slots, for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건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건은,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와 색재가 유입되는 색재유입구가 하측부에 마련되고, 기체 및 색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본체; 배출구에 마련되어 기체 및 색재를 분사시키는 노즐부; 및 본체에 마련되어 노즐부 및 기체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SUCTION TYPE COSMETIC AIRBRUSH GUN}
본 발명은,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용을 위해 피부 등에 색재를 분사하는 데 사용되는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에 관한 것이다.
색재는 화장품에 배합되서 얼굴에 채색되기도 하며, 이러한 색재는 피부가 피복력을 갖게 하기도 하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도 한다. 색재는 주로 메이크업 제품에 다량으로 배합되는 데, 그 주목적은 피부를 적당히 피복하고 채색해서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색재 작업은 화장샵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에어브러쉬건을 이용하여 색재 작업을 하는 것이 증가 추세에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재 작업에 사용되는 에어브러쉬건은 색재가 수용되는 색재 용기가 에어브러쉬건 본체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직하형 타입이다. 이러한 직하형 타입의 에어브러쉬건은 색재 용기에 수용된 색재가 색재 자체의 중력에 의해 에어브러쉬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색재 용기와 에어브러쉬건 본체의 연결부는 항상 열려 있어 에어브러쉬건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색재가 에어브러쉬건 본체의 통로를 막고 있다.
그 결과 에어브러쉬건 본체의 통로가 막히거나 에어브러쉬건 본체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노즐이 막혀 막힌 부분을 뚫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색재가 자중에 의해 에어브러쉬건 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색재의 초기 분사량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별도의 구성이 없으면 분사 초기에 색재의 자중에 의해 분사량이 많아지게 된다. 이는 색재의 불균일 분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012548호(나카노 타카노리) 2011. 01. 2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상식 구조 즉 베르누이 효과를 이용하여 색재의 막힘없이 색재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는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와 색재가 유입되는 색재유입구가 하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체 및 상기 색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본체;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기체 및 상기 색재를 분사시키는 노즐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 및 상기 기체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즐;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노즐이 수용되는 노즐캡; 상기 노즐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체 및 상기 색재가 확산분사되도록 안내하는 팁; 및 상기 노즐캡 또는 상기 팁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리거;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와 연동되어 상기 노즐부를 개폐시키는 니들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와 연동되어 상기 기체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기체유입구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니들하우징; 상기 트리거와 연동되어 상기 니들하우징에서 전후로 이동되되 내부에 수용된 제1 탄성체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원상 복귀 가능한 니들 홀더부; 상기 니들 홀더부에 고정되어 상기 니들 홀더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노즐부를 개폐시키는 니들;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니들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구 개폐부는, 상기 트리거의 회동시 상기 기체유입구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기체유입구 영역에 마련되는 가압로드; 상기 기체유입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기체유입구로 공급되는 상기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홀과 상기 기체유입홀로 유입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홀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의 회동시 이동되는 상기 가압로드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기체유입홀로 유입된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배출홀로 배출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의 기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로드;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로드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베르누이 효과를 이용한 흡상식 타입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색재를 막힘없이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어 메이크업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의 분해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된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의 분해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1)은, 본체(100)와, 본체(100)의 배출구(113)에 마련되어 기체 및 색재를 분사시키는 노즐부(2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노즐부(200) 및 기체유입구(111)를 개폐시키는 개폐유닛(300)을 구비한다.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과 제1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본체(100)의 제1 하우징(110)의 하측부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111)와, 색재가 유입되는 색재유입구(112)와, 유입된 기체 및 색재가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는 색재유입구(112)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와 달리 본체(100)의 하측부에 마련되므로 색재의 주입이 직하식이 아닌 흡상식으로 이루어져 색재의 배출 통로가 막히거나 후술하는 노즐(210)이 막혀 막힌 부분을 뚫어야 하는 불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구(113)는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구(113a)와 색재가 배출되는 색재배출구(113b)로 구획되어 기체 및 색재가 배출구(113)에서 서로 혼합되지 않고 각각 배출된다.
또한 제1 하우징(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유입구(111)를 통해서 유입되는 기체가 기체배출구(113a)로 배출될 수 있도록 기체유입구(111)와 기체배출구(113a)를 연통시키는 기체 이동 통로(114)가 마련된다.
나아가 제1 하우징(110)의 전방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재유입구(112) 및 색재배출구(113b)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색재홀(115)이 마련되며, 이 색재홀(115)은 색재홀(1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C)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체(100)의 제2 하우징(1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521a)이 마련되며, 이 절개홈(521a)을 통해서 후술하는 니들 모듈(500)의 홀더(523)의 조임 또는 풀림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색재 유입구에는 색재가 수용되는 색재 용기(V)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노즐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기체 및 색재가 혼합되어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색재배출구(113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210)과, 제1 하우징(110)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체 및 색재가 혼합되는 노즐캡(220)과, 노즐캡(220)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혼합된 기체 및 색재가 확산 분사되도록 하는 팁(230)과, 노즐캡(220) 또는 팁(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조명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부는 미 도시되었지만 노즐캡(220) 또는 팁(23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LED와,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100)에 마련되어 LED를 on/off 시키는 스윗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명부는 LED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한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유닛(300)은, 색재배출구(113b)를 개폐시킴과 동시에 기체유입구(111)를 개폐시켜 기체 및 색재가 노즐부(200)로부터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리거(400)와, 본체(100)에 마련되며 트리거(400)와 연동되어 노즐부(200)를 개폐시키는 니들 모듈(500)과, 본체(100)에 마련되며 트리거(400)와 연동되어 기체유입구(111)를 개폐시키는 기체유입구 개페부(600)를 포함한다.
개폐유닛(300)의 트리거(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내벽부에 지지축(4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힘과 같은 외력에 의해 작동되어 니들 모듈(500) 및 기체유입구 개페부(600)를 작동시킨다.
개폐유닛(300)의 니들 모듈(500)은, 트리거(400)의 회동시 본체(100)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어 노즐(210)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내벽부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니들하우징(510)과, 트리거(400)와 연동되어 니들하우징(510)에서 전후로 이동되되 내부에 수용된 제1 탄성체(522)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원상 복귀 가능한 니들 홀더부(520)와, 니들 홀더부(520)에 결합되며 니들 홀더부(520)와 일체로 이동되어 노즐부(200)를 개폐시키는 니들(530)과, 제2 하우징(120)의 후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니들(530)의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스토퍼(540)와, 트리거(400)와 니들 홀더부(520) 사이에 배치되어 트리거(400)의 회동력을 니들 홀더부(520)로 전달하는 지지레버(55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니들 홀더부(5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지지레버(550)에 연결되어 트리거(400)의 회동력을 전달하며 타측부는 니들하우징(510)의 내부를 관통하되 타측부에 절개홈(521a)이 마련된 니들홀더로드(521)와, 일측부는 니들홀더로드(521)에 걸림지지되고 타측부는 니들하우징(510)에 지지되어 니들홀더로드(521)를 탄성 복원시키는 제1 탄성체(522)와, 니들홀더로드(521)의 절개홈(521a)이 마련된 영역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 결합력에 의해 절개홈(521a) 영역을 수축시켜 니들(530)을 니들홀더로드(521)에 홀딩시키는 홀더(5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5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20)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홀더(523)와의 간격 조절로 니들(530)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토퍼(540)는 제2 하우징(120)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트리거(400)의 회동시 홀더(523)는 트리거(400)의 회동 각도에 비례하여 전후로 이동되므로 스토퍼(540)의 전후 이동으로 트리거(400)의 회동 각도를 제어하여 니들(530)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니들 모듈(500)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트리거(400)를 도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트리거(400)에 일측부가 지지되고 니들홀더로드(521)에 타측부가 지지된 지지레버(550)가 트리거(400)의 회동력을 니들홀더로드(521)로 전달한다.
트리거(400)의 회동력을 전달받은 니들홀더로드(521)는 도 2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되며, 니들홀더로드(521)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니들홀더로드(521)에 홀더(523)에 의해 조임 결합되어 있는 니들(530)이 니들홀더로드(521)와 일체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니들(53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노즐(210)을 막도 있던 니들(530)의 선단부도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노즐(210)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트리거(4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그 외력에 의해 수축되어 있던 제1 탄성체(522)가 팽창되므로 니들홀더로드(521) 및 니들(530)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니들(530)은 노즐(210)의 구멍을 밀폐시킨다.
개폐유닛(300)의 기체유입구 개페부(600)는, 트리거(400)의 회동시 기체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가 기체배출구(113a)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유입구(111)에 마련되며 상단부가 트리거(400)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가압로드(610)와, 기체유입구(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부에 기체유입홀(621)이 마련되고 상측부에 기체배출홀(622)이 마련되며 내부에 기체유입홀(621)과 기체배출홀(622)을 연통시키는 기체 연통 통로(623)가 마련된 몸체(620)와, 트리거(400)의 회동시 기체유입구(111) 방향으로 삽입되는 가압로드(610)에 의해 눌러지게 되어 기체 연통 통로(623)를 개방시키는 개폐로드(630)와, 기체 연통 통로(623)에 마련되어 개폐로드(630)을 탄성 복원시키는 제2 탄성체(640)와, 몸체(620)와 기체유입구(111) 사이 또는 개폐로드(630)에 배치되어 기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65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개폐로드(63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연통 통로(623)를 개폐하는 확장부(631)가 마련되며, 확장부(631)는 몸체(620)의 병목부에 배치될 수 있고, 실링부재(650)는 확장부(631)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체유입구 개페부(600)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트리거(400)를 도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트리거(400)의 하단부와 접촉해 있는 가압로드(610)의 상단부가 가압되어 가압로드(610)는 기체유입구(111) 방향으로 삽입된다.
가압로드(610)는 기체유입구(111)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개폐로드(630)를 기체유입홀(621) 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개폐로드(63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기체 연통 통로(623)를 막고 있는 확장부(631)가 하측 방향으로 개폐로드(630)와 같이 이동되어 기체유입홀(621)로 유입되는 기체는 기체 연통 통로(623)를 통해 기체배출홀(622)로 배출된다.
한편 트리거(400)가 원래의 위치로 회동되면 수축되어 있던 제2 탄성체(640)가 팽창되면서 개폐로드(630)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 올려 개방되어 있던 기체 연통 통로(623)는 차단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1)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실시 예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니들(530)은 노즐(210)을 막은 상태에 있고, 트리거(400)의 하단부는 가압로드(610)의 상단부를 가압하지 않고 가압로드(610)의 상단부에 단순히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40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트리거(400)의 회동력은 지지레버(550), 니들홀더로드(521)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니들홀더로드(521)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니들홀더로드(521)는 니들(530)을 홀딩하고 있으므로, 니들(530)은 니들홀더로드(521)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노즐(210)을 개방된 상태가 되고, 색재의 배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트리거(400)를 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노즐(210)의 개방과 동시에 기체 연통 통로(623)가 개방되므로 기체배출구(113a)로의 기체 공급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트리거(40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트리거(400)의 하단부가 가압로드(610)를 가압하여 가압로드(6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가압로드(61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이와 접촉되어 있는 개폐로드(630)로 하방으로 이동되어 확장부(631)에 의해 막혀 있던 기체 연통 통로(623)가 개방되어 기체유입홀(621)로 유입되는 기체는 기체배출홀(622), 기체 이동 통로(114), 기체배출구(113a) 및 노즐캡(220)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노즐캡(220)으로 공급된 기체는 팁(230)을 통해 확산 분사되고, 기체는 계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색재 용기(V)에 수용되어 있는 색재는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기체와 같이 분사된다. 즉 색재는 기체가 분사될 때 기체의 배출 속도 및 압력 차이에 의해 기체에 빨려들어가 기체와 같이 분사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베르누이 효과를 이용한 흡상식 타입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색재를 막힘없이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어 메이크업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100 : 본체
110 : 제1 하우징 120 : 제2 하우징
200 : 노즐부 210 : 노즐
220 : 노즐캡 230 : 팁
300 : 개폐유닛 400 : 트리거
410 : 지지축 500 : 니들 모듈
510 : 니들하우징 520 : 니들홀더부
530 : 니들 540 : 스토퍼
550 : 지지레버 600 : 기체유입구 개폐부
610 : 가압로드 620 : 몸체
630 : 개폐로드 640 : 제2 탄성체
650 : 실링부재 C : 캡
V : 색재 용기

Claims (5)

  1.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와 색재가 유입되는 색재유입구가 하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체 및 상기 색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본체;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기체 및 상기 색재를 분사시키는 노즐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 및 상기 기체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즐;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노즐이 수용되는 노즐캡;
    상기 노즐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체 및 상기 색재가 확산분사되도록 안내하는 팁; 및
    상기 노즐캡 또는 상기 팁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리거;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와 연동되어 상기 노즐부를 개폐시키는 니들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와 연동되어 상기 기체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기체유입구 개폐부를 포함하는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니들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니들하우징;
    상기 트리거와 연동되어 상기 니들하우징에서 전후로 이동되되 내부에 수용된 제1 탄성체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원상 복귀 가능한 니들 홀더부;
    상기 니들 홀더부에 결합되며 상기 니들 홀더부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노즐부를 개폐시키는 니들;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니들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체유입구 개폐부는,
    상기 트리거의 회동시 상기 기체유입구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기체유입구 영역에 마련되는 가압로드;
    상기 기체유입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기체유입구로 공급되는 상기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홀과 상기 기체유입홀로 유입된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배출홀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의 회동시 이동되는 상기 가압로드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기체유입홀로 유입된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배출홀로 배출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의 기체 이동 경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로드;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로드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KR1020120019199A 2012-02-24 2012-02-24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KR10127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99A KR101274225B1 (ko) 2012-02-24 2012-02-24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199A KR101274225B1 (ko) 2012-02-24 2012-02-24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225B1 true KR101274225B1 (ko) 2013-06-17

Family

ID=4886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199A KR101274225B1 (ko) 2012-02-24 2012-02-24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22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500A (ko) * 2014-05-29 2015-12-09 (주)레이원 액상분사장치
KR20170036937A (ko) 2015-09-24 2017-04-04 김동원 다기능 도색 장치
CN106998876A (zh) * 2014-12-02 2017-08-01 欧莱雅 具有至少两个出口界面的分配系统
KR101830816B1 (ko) 2016-06-03 2018-02-22 (주)하배런메디엔뷰티 회전형 헤드를 갖는 에어브러시
WO2018205682A1 (zh) * 2017-05-08 2018-11-15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流体微量喷射装置及其流道组件
CN115106214A (zh) * 2022-07-06 2022-09-27 中国计量大学 一种喷嘴口径量化可变的气味涡圈发射器
KR102613705B1 (ko) 2023-07-28 2023-12-14 주식회사 투케이인터내셔널 네일 스프레이 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448A (ja) * 1993-09-29 1995-07-11 Badger Air Brush Co エアブラシ
JP3026429U (ja) * 1995-12-28 1996-07-12 株式会社ビービーリッチ エアーブラシ
JPH1052652A (ja) * 1996-08-09 1998-02-24 B B Ritsuchi:Kk エアーブラシ
US6425536B2 (en) 1994-03-30 2002-07-30 Iwata-Medea, Inc. Air brush with removable and rotatable nozzle he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448A (ja) * 1993-09-29 1995-07-11 Badger Air Brush Co エアブラシ
US6425536B2 (en) 1994-03-30 2002-07-30 Iwata-Medea, Inc. Air brush with removable and rotatable nozzle head
JP3026429U (ja) * 1995-12-28 1996-07-12 株式会社ビービーリッチ エアーブラシ
JPH1052652A (ja) * 1996-08-09 1998-02-24 B B Ritsuchi:Kk エアーブラシ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500A (ko) * 2014-05-29 2015-12-09 (주)레이원 액상분사장치
KR101599519B1 (ko) * 2014-05-29 2016-03-14 (주)레이원 액상분사장치
CN106998876A (zh) * 2014-12-02 2017-08-01 欧莱雅 具有至少两个出口界面的分配系统
KR20170036937A (ko) 2015-09-24 2017-04-04 김동원 다기능 도색 장치
KR101830816B1 (ko) 2016-06-03 2018-02-22 (주)하배런메디엔뷰티 회전형 헤드를 갖는 에어브러시
WO2018205682A1 (zh) * 2017-05-08 2018-11-15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流体微量喷射装置及其流道组件
US11148162B2 (en) 2017-05-08 2021-10-19 Changzhou Mingseal Robot Technology Co., Ltd. Fluid micro-injection device and flow channel assembly
CN115106214A (zh) * 2022-07-06 2022-09-27 中国计量大学 一种喷嘴口径量化可变的气味涡圈发射器
CN115106214B (zh) * 2022-07-06 2023-08-25 中国计量大学 一种喷嘴口径量化可变的气味涡圈发射器
KR102613705B1 (ko) 2023-07-28 2023-12-14 주식회사 투케이인터내셔널 네일 스프레이 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225B1 (ko)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KR101530424B1 (ko) 에어브러시
KR101898003B1 (ko)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KR102306996B1 (ko) 휴대용 일체형 에어 브러시
CA2727239C (en) A spraying device apparatus
KR102152955B1 (ko) 휴대용 에어브러시
AU2014409667B2 (en) Airbrush
US20100025495A1 (en) Spray device having at least two vector gas outlet orifices
KR102161995B1 (ko) 휴대용 에어브러시
JP6543348B2 (ja) 携帯型噴霧装置
KR101463718B1 (ko) 흑채 자동분사기
KR102152965B1 (ko) 에어브러시의 분사 조절 장치
KR20150137500A (ko) 액상분사장치
KR101305906B1 (ko) 다용도 분사장치
US20150147473A1 (en) Airbrush effect system
KR102194054B1 (ko) 다용도 액체 분사기
JP2012030162A (ja) 流体噴出ガン
KR102273076B1 (ko) 휴대용 미스트 분사기
JP2004329991A (ja) トリガー式噴出器
KR102152960B1 (ko) 에어브러시의 분사 조절 장치
KR20200114878A (ko) 잔존물이 남지 않는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KR101363553B1 (ko) 수용성 스프레이 건
KR102152972B1 (ko) 에어브러시의 분사 버튼 구조
KR101305910B1 (ko) 다용도 분사장치
KR200262437Y1 (ko) 화장용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