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519B1 - 액상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519B1
KR101599519B1 KR1020140065462A KR20140065462A KR101599519B1 KR 101599519 B1 KR101599519 B1 KR 101599519B1 KR 1020140065462 A KR1020140065462 A KR 1020140065462A KR 20140065462 A KR20140065462 A KR 20140065462A KR 101599519 B1 KR101599519 B1 KR 10159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needle
liquid
main bod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500A (ko
Inventor
황현철
Original Assignee
(주)레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이원 filed Critical (주)레이원
Priority to KR102014006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51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며, 분사대상 액체를 공급하는 액상 공급부와, 본체에 설치되어 액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고압에어에 의해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구가 마련된 노즐부와, 노즐부에 고압 에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와, 액체의 분사를 단속하기 위해 분사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노즐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니들과, 개폐니들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는 노즐부를 개폐하는 개폐니들에 스위치가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위치의 조작에 따르는 개폐니들의 작동성이 우수하고,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상분사장치{Spray apparatus of liquid substance}
본 발명은 액상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외주면에 액체의 분사를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치가 마련된 액상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분사 장치란, 액체나 기체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노즐을 통해 분사 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분무기, 스프레이, 화장품용기, 구강세정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액체 분사 장치를 이용한 예로 파운데이션 분사장치를 들 수 있는 데, 통상적인 파운데이션 분사장치는 용기 내에 상기 파운데이션을 충진시키고, 상기 용기에 분사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파운데이션을 외부로 분사시킨다. 모체 내에 충진된 파운데이션의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파운데이션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배출밸브와 파운데이션을 분사시키는 가압펌프를 갖추고 있어 압축된 공기의 분사로 파운데이션을 배출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1052호에는 파운데이션 분사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파운데이션 분사기구는 외부의 힘에 의해 왕복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과 결합되어 왕복되는 슬라이드핀을 구비하여 상기 푸시버튼의 왕복으로 상기 슬라이드핀이 왕복되도록 한 가압펌프, 상기 슬라이드핀의 가압력으로 왕복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외곽 둘레를 감싸며 상기 푸시로드를 왕복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튜브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핀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파운데이션을 유동시키도록 한 배출유도관, 및 상기 푸시로드의 왕복경로 상에 유로가 형성된 노즐과, 상기 유로내에 개재되는 개폐구를 구비하여 상기 푸시로드의 가압에 의해 상기 개폐구가 왕복함에 따라 상기 유로가 개폐되고 상기 유로의 개폐에 따라 파운데이션이 배출되도록 한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파운데이션 분사기구는 푸시버튼이 푸시로드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 핀 및 가압펌프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푸시버튼의 작동에 따른 분사노즐의 작동성이 떨어지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고압의 에어를 통해 파운데이션과 같은 액체를 분사시키는 노즐부를 개폐하는 개폐니들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에 직접연결되는 스위치가 마련된 액상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분사대상 액체를 공급하는 액상 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액체를 고압에어에 의해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구가 마련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고압 에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와, 상기 액체의 분사를 단속하기 위해 상기 분사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니들과, 상기 개폐니들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니들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상기 개폐니들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개폐니들을 간섭하는 간섭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개폐니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니들은 상기 간섭부재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간섭부재에 인접된 위치에, 상기 삽입홈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간섭돌기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는 상기 스위치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위치의 외측면에, 상기 스위치의 회동중심선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스위치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돌기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판을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니들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재에 따라 상기 개폐니들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을 간섭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개폐니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니들은 상기 걸림부재에 간섭될 상기 걸림부재에 인접된 위치에, 상기 관통구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간섭돌기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본체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마련된 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는 노즐부를 개폐하는 개폐니들에 스위치가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위치의 조작에 따르는 개폐니들의 작동성이 우수하고,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분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상분사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액상분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액상분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상분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액상분사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액상분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액상분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상분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분사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상 분사장치(100)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며, 분사대상 액체를 공급하는 액상 공급부(300)와,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된 상기 액체를 고압에어에 의해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구(432)가 마련된 노즐부(400)와, 상기 노즐부(400)에 고압 에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500)와, 상기 액체의 분사를 단속하기 위해 상기 분사구(43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부(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니들(600)과, 상기 개폐니들(600)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600)에 연결되는 스위치(700)를 구비한다.
본체(200)는 내부에 노즐부(400) 및 개폐니들(60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201)이 마련되며, 전후면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소정의 외경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체(200)의 전방측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액상 공급부(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설치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치구(202)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200)의 상측 외주면에는 스위치(7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홈(2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200)는 전면에 후술되는 노즐부(400)의 노즐캡(4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재(2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04)는 상기 본체(200)의 전면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20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환형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본체(200)는 후면에 후술되는 기체공급부(500)의 호스조인트(502)가 설치될 수 잇도록 제2결합부재(2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205)는 상기 본체(20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20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환형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체(200)는 전후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위바디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공급부(300)는 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11)이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310)와, 개방된 상기 케이스(310)를 개폐하는 개폐마개(313)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310)는 하부에 본체(200)의 설치구(202)를 관통하여 노즐부(4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노즐부(4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310)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11)에 연통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고, 하면에는 상기 유동경로에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310)는 본체(200)의 설치구(202)에 결합시 상측 일부가 본체(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외주면에 상기 설치구(202)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310)는 측면 하측이 수용공간(311)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부(312)를 형성한다. 사용자는 걸림턱부(312)에 의해 본체(200)에 결합시 본체(200) 외부로 돌출된 케이스(310)의 상부를 파지하여 본체(200)로부터 케이스(310)를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다.
개폐마개(313)는 케이스(310)의 상부를 통해 케이스(31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314)와, 상기 삽입부(314)의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315)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314)는 상기 케이스(3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케이스(310)의 상부에 삽입시 케이스(310)와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오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헤드부(315)는 삽입부(314)가 케이스(310)의 상부에 삽입시 케이스(3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삽입부(314)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310) 내에 수용되어 노즐부(400)를 통해 분사되는 액체는 액상의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품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물이나 액상의 도료, 의약품과 같은 액체물질일 수도 있다.
노즐부(400)는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며, 전방에 토출구(411)가 형성되고, 내부에 토출구(411)에 연통되는 연통공간이 마련된 노즐캡(410)과, 상기 노즐캡(410)의 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액체통로(421) 및 기체통로(422)가 형성된 노즐바디(420)와, 전단부는 토출구(411)에 인입되며, 후단부에 상기 노즐바디(420)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액체통로(421)와 연통되는 연결통로(431)가 형성되고, 전단면에는 연결통로(431)에 연통되는 분사구(432)가 형성된 노즐팁(430)을 구비한다.
노즐캡(410)은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본체(200)의 제1결합부재(204)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노즐바디(420)는 노즐캡(410)의 후방부에 결합되되, 노즐캡(410)의 연통공간을 폐쇄하도록 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바디(420)는 본체(200)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2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노즐바디(420)는 전면 중앙에 액체가 배출되는 액체배출구(423)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배출구(423)는 노즐바디(420) 내부의 액체통로(421)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액체통로(42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노즐바디(420)는 연통공간으로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액체배출구(423)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전면에 기체배출구(424)가 형성된다. 상기 기체배출구(424)는 노즐바디(420) 내부의 기체통로(42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기체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에어는 기체통로(422)를 통해 노즐캡(410)의 연통공간으로 유입되고, 토출구(41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한편, 노즐바디(420)의 상측 외주면에는 케이스(310)의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주입구(425)가 형성되고, 노즐바디(420)의 내부에는 양단기 각각 주입구(425) 및 액체통로(421)에 연통되는 주입통로가 형성된다.
케이스(310)에 수용된 액체는 케이스(310)의 결합부를 통해 노즐바디(420)의 액체통로(421)로 유입되고, 액체통로(421)를 따라 노즐팁(430)으로 유동되어 노즐팁(430)을 통해 노즐캡(410) 외부로 분사된다.
노즐팁(4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용이하게 토출구(4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노즐팁(430)의 연결통로(431)는 개폐니들(600)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노즐바디(420)의 액체통로(421)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통로(421) 내의 액체는 노즐팁(430)의 연결통로(431)로 유입되고, 토출구(41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고압에어에 의해 발생되는 벤츄리 효과에 따라 액체는 토출구(411)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즉, 토출구(411)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 에어의 유속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되고, 상기 압력차에 의해 토출구(411)에서는 흡입력이 발생되어 연결통로(431) 내의 액체가 외부로 분출된다.
개폐니들(600)은 일단부가 상기 노즐팁(430)의 분사구(43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액체통로(421) 및 연결통로(4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니들(6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노즐바디(420)의 후면을 관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니들(600)은 용이하게 노즐팁(430)의 분사구(43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개폐니들(600)는 노즐바디(420)의 외측의 후단부에 스위치(700)에 간섭될 수 있도록 간섭돌기(6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돌기(601)는 개폐니들(60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개폐니들(600)에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은 일단이 개폐니들(600)에 고정되고, 타단은 노즐바디(420)의 후면에 고정되어 분사구(432)를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니들(600)을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기체공급부(500)는 노즐바디(420)의 기체통로(422)에 연통되는 연결튜브(501)와, 상기 연결튜브(501)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20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호스조인트(502)와, 상기 호스조인트(502)를 통헤 상기 제1튜브와 연결되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연결튜브(501)는 일단이 노즐바디(420)의 후단면에 상기 기체통로(422)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본체(200) 내로 인입되어 호스조인트(502)에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연결튜브(501)는 내부에 에어가 유동하는 유로가 마련되며,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조인트(502)는 본체(200)의 제2결합부재(205)에 결합되며, 후단부에 연결관(50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503)은 일단이 상기 본체(20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타단은 호스조인트(502)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503)은 내부에 에어가 유동하는 유동유로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연결튜브(501)의 타단에 연결된다.
기체공급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기체공급관에 의해 연결관(503)에 연결되며, 고압의 에어를 연결튜브(501)로 공급할 수 있도록 콤프레셔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압의 산소와 같은 기체가 충진된 충진탱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위치(7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니들(6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는 회동부재(710)와, 상기 회동부재(710)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710)에 의해 상기 개폐니들(600)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개폐니들(600)을 간섭하는 간섭부재(711)를 구비한다.
회동부재(710)는 상단부가 관통홈(203)을 통해 본체(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20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동부재(710)의 상단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회동부재(710)는 개폐니들(600)이 분사구(432)를 폐쇄하는 상태에서의 간섭돌기(601)에 대해 전방의 본체(200)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섭부재(711)는 본체(200) 내부에 대응되는 회동부재(71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개폐니들(6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홈(7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712)은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회동부재(710)가 전방으로 회동시 간섭부재(711)가 개폐니들(600)을 구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천장면이 후단부보다 전단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712)은 좌우 폭이 개폐니들(600)의 외경보다는 크되, 간섭돌기(601)의 외경보다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100)는 상기 스위치(700)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7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720)는 복수의 가이드돌기(721)와, 가이드판(722)을 구비한다.
가이드돌기(721)는 회동부재(710)의 좌우측면에, 회동부재(710)의 회동중심선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돌기(721)는 상기 회동중심선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회동부재(710)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722)은 상기 가이드돌기(721)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돌기(7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7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723)은 상기 스위치(700)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돌기(721)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100)는 본체(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7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730)는 노즐캡(410)과 본체(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200)의 제1결합부재(204)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마련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200)의 하측 외주면에는 복수의 지지돌기(73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731)는 본체(200)의 상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본체(200)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730)는 본체(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본체(200)가 테이블의 상면에 안착시 만곡된 하면에 의해 굴러 케이스(310)가 테이블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체를 분사시킬 경우, 사용자는 회동부재(710)의 상단을 파지한 다음, 회동부재(710)를 밀어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회동부재(710)의 회동에 의해 간섭부재(711)는 개폐니들(6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후방으로 이동된 개폐니들(600)에 의해 노즐팁(430)의 분사구(432)는 개방된다. 이때, 액체통로(421) 내의 액체는 노즐팁(430)의 연결통로(431)로 유입되고, 토출구(41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고압에어에 의해 발생되는 벤츄리 효과에 따라 액체는 토출구(411)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액체의 분사를 중단시킬 경우, 사용자는 회동부재(710)에 대한 파지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개폐니들(600)은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분사구(432)를 폐쇄하여 액체의 분사가 중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100)는 노즐부(400)를 개폐하는 개폐니들(600)에 스위치(700)가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위치(700)의 조작에 따르는 개폐니들(600)의 작동성이 우수하고,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8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위치(8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니들(6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는 파지부재(810)와, 상기 파지부재(810)에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재(810)에 따라 상기 개폐니들(600)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600)을 간섭하는 걸림부재(820)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200)는 관통홈(203)이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재(810)는 상단부가 관통홈(203)을 통해 본체(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20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파지부재(810)의 상단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다수의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재(810)는 개폐니들(600)이 분사구(432)를 폐쇄하는 상태에서의 간섭돌기(601)에 대해 전방의 본체(200)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820)는 본체(200) 내부에 대응되는 파지부재(81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개폐니들(6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821)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821)는 내경이 개폐니들(600)의 외경보다는 크되, 간섭돌기(601)의 외경보다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림부재(820)는 관통구(821)의 후단부에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간섭돌기(601)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821)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걸림구(8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상분사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체를 분사시킬 경우, 사용자는 파지부재(810)의 상단을 파지한 다음, 회동부재(7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파지부재(810)의 이동에 의해 걸림부재(820)는 개폐니들(6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후방으로 이동된 개폐니들(600)에 의해 노즐팁(430)의 분사구(432)는 개방된다. 이때, 액체통로(421) 내의 액체는 노즐팁(430)의 연결통로(431)로 유입되고, 토출구(41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고압에어에 의해 발생되는 벤츄리 효과에 따라 액체는 토출구(411)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액체의 분사를 중단시킬 경우, 사용자는 파지부재(810)에 대한 파지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개폐니들(600)은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분사구(432)를 폐쇄하여 액체의 분사가 중단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액상분사장치
200: 본체
300: 액상공급부
310: 케이스
313: 개폐마개
400: 노즐부
410: 노즐캡
420: 노즐바디
430: 노즐팁
500: 기체공급부
501: 연결튜브
600: 개폐니들
700: 스위치
710: 회동부재
711: 간섭부재
720: 가이드부
721: 가이드돌기
722: 가이드판

Claims (7)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분사대상 액체를 공급하는 액상 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액체를 고압에어에 의해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구가 마련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고압 에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와;
    상기 액체의 분사를 단속하기 위해 상기 분사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니들과;
    상기 개폐니들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니들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상기 개폐니들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개폐니들을 간섭하는 간섭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개폐니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니들은 상기 간섭부재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간섭부재에 인접된 위치에, 상기 삽입홈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간섭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분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위치의 외측면에, 상기 스위치의 회동중심선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스위치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돌기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분사장치.
  5. 삭제
  6.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분사대상 액체를 공급하는 액상 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액체를 고압에어에 의해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구가 마련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고압 에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와;
    상기 액체의 분사를 단속하기 위해 상기 분사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니들과;
    상기 개폐니들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니들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재에 따라 상기 개폐니들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을 간섭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개폐니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니들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니들은 상기 걸림부재에 간섭될 상기 걸림부재에 인접된 위치에, 상기 관통구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간섭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분사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본체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마련된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분사장치.


KR1020140065462A 2014-05-29 2014-05-29 액상분사장치 KR10159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62A KR101599519B1 (ko) 2014-05-29 2014-05-29 액상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62A KR101599519B1 (ko) 2014-05-29 2014-05-29 액상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500A KR20150137500A (ko) 2015-12-09
KR101599519B1 true KR101599519B1 (ko) 2016-03-14

Family

ID=5487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462A KR101599519B1 (ko) 2014-05-29 2014-05-29 액상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157A (ko) * 2018-01-24 2019-08-01 안순형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3861B1 (ja) * 2016-07-06 2017-11-22 株式会社エアーサーフ 噴霧器
WO2018164556A1 (ko) * 2017-03-10 2018-09-13 최만수 화장용기
JP6612839B2 (ja) * 2017-03-10 2019-11-27 テヤン レナ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化粧容器
KR102189468B1 (ko) * 2018-11-02 2020-12-14 (주)참메드 하이브리드 의료용 스프레이
KR200493630Y1 (ko) * 2019-06-19 2021-05-06 이상봉 극저온 치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578B2 (ja) 1991-02-27 2001-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ハイブリッド走査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1286793A (ja) 2000-04-05 2001-10-16 Bb Ricchi:Kk エアーブラシ
KR100956153B1 (ko) 2009-11-24 2010-05-06 함응진 액체분사장치
KR101274225B1 (ko) * 2012-02-24 2013-06-17 주식회사 내추럴웍스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2578A (ja) * 1989-12-13 1991-08-08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578B2 (ja) 1991-02-27 2001-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ハイブリッド走査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1286793A (ja) 2000-04-05 2001-10-16 Bb Ricchi:Kk エアーブラシ
KR100956153B1 (ko) 2009-11-24 2010-05-06 함응진 액체분사장치
KR101274225B1 (ko) * 2012-02-24 2013-06-17 주식회사 내추럴웍스 흡상식 색재분사 미용 에어브러쉬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157A (ko) * 2018-01-24 2019-08-01 안순형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KR102009496B1 (ko) 2018-01-24 2019-10-21 (주)세빛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500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519B1 (ko) 액상분사장치
JP6549672B2 (ja) 清掃器具
KR10155421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EP3216525B1 (en) Airbrush
CN102026730A (zh) 喷射装置器械
JP2008509861A5 (ko)
JPWO2017064743A1 (ja) 携帯型噴霧装置
JP4366512B2 (ja) トリガー式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JP2011245435A (ja) トリガースプレイヤー
JP5646243B2 (ja) 流体噴出ガン
CN203693807U (zh) 口腔冲洗器
JP2016203141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2249477B1 (ko) 잔존물이 남지 않는 앰플 장착형 미스트 분무 장치
KR200452005Y1 (ko) 휴대용 디스펜서
JP2004329991A (ja) トリガー式噴出器
KR101363553B1 (ko) 수용성 스프레이 건
KR102220355B1 (ko)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KR101271642B1 (ko) 액상분사장치
KR101672805B1 (ko) 분무장치
JP5642580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H10258869A (ja) トリガースプレー容器
JP5807278B1 (ja) 液体吐出方法および液体吐出装置
KR101312413B1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KR200321543Y1 (ko) 개량 수동 분무기
KR20090021326A (ko)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