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091A - 광범위 약제 분사기 - Google Patents

광범위 약제 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091A
KR20150140091A KR1020140068387A KR20140068387A KR20150140091A KR 20150140091 A KR20150140091 A KR 20150140091A KR 1020140068387 A KR1020140068387 A KR 1020140068387A KR 20140068387 A KR20140068387 A KR 20140068387A KR 20150140091 A KR20150140091 A KR 20150140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spraying
sprayer
nozzle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943B1 (ko
Inventor
김두용
Original Assignee
김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용 filed Critical 김두용
Priority to KR102014006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94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분사와 저압분사를 동시에 실행하여 농작물 방제는 물론, 과수, 가로수 등의 나무 방제나, 축사 방제 등,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광범위 약제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액상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약제통과;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펌프와; 펌프로 가압 된 약제가 분사되는 노즐을 구비한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노즐의 주위에 분사방향으로 분사용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수단으로 구성하여 트럭의 적재함이나,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같은 소형 운송기구에 연결되는 트레일러에 탑재시켜 약제를 분사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에 있어서,
고압을 생성하는 실린더펌프와, 저압을 생성하는 원심펌프와 공압을 생성하는 송풍팬을 단일엔진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펌프와, 원심펌프에서 압송된 약제를 송풍팬에서 발생한 에어와 함께 동시에 분사하도록 구성한 분사포를 구성하며, 상기 분사포는 상하 좌우로 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에 장착하여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압과 저압을 동시에 실시하여 고압으로는 원거리 분사하고 저압으로는 근거리에 분사하여, 동시에 광범위하게 고루 분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사포의 포신이 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분사방향을 좌우 상하 동시에 조작할 수 있어 고압의 토출압에 의한 반사에너지를 사용자가 부담하지 않아도 되어 안정되기에 노약자도 힘들이지 않고 분사방향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약제를 고르게 살포할 수 있으며, 고압분사를 하지않을 경우 피스톤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압의 약제가 다시 약제 저장통으로 피드백하여 약제 저장통 내부의 약을 휘저어 주는 역할을 하므로 약제가 고르게 섞이는 효과를 얻는 신규하고도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광범위 약제 분사기{Drug injectors wide range}
본 발명은 고압분사와 저압분사를 동시에 실행하여 농작물 방제는 물론, 과수, 가로수 등의 나무 방제나, 축사 방제 등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광범위 약제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면서 살충제와 살균제 등 각종 유해 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은 물론, 과수, 가로수 등의 나무 방제나, 축사 방제 등의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필수화 되고 이에 약제를 분무하거나 살포하기 위하여 다양한 약제 분사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지금까지 개발된 약제 분사기는 단순히 확산하는 분무만을 수행하거나 길게 쏘아서 먼 곳의 방제위치에 약제를 분사하는 것으로만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개발된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2002-0008233호(2002.02.15)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에 관한 것으로, 액제가 담겨지는 약제통과; 송풍팬을 구비하며, 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 공기의 압력이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가압하도록 송풍 공기의 일부를 압력 제어용 호스로 약제통에 연결하는 한편, 나머지 대부분의 송풍 공기를 출구 덕트에 연결된 송풍관을 통해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를 선회시켜 와류를 발생키는 선회 유도 날개 및 상기 선회 유도 날개를 둘러싸는 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와; 상기 관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류에 의해 무화된 액제를 살포하는 노즐과; 상기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상기 송풍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공급하는 액제 공급용 호스를 포함한다. 특허출원 제10-2002-0046492호(2002.08.07)는, 약제통 내의 액제를 효과적으로 무화 및 살포할 수 있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에 관한 것으로, 액제가 담겨지는 약제통과;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 공기의 압력을 압력 제어용 호스를 통해 약제통 내부로 공급하여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가압하고 액제 흡입구 부근에서 액제의 침전물을 부양시키는 한편, 나머지 대부분의 송풍 공기를 출구 덕트에 연결된 송풍관을 통해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를 선회시켜 와류를 발생시키는 선회 유도 날개와, 상기 선회 유도 날개가 외면에 구비되는 중공관 및 상기 선회 유도 날개를 둘러싸는 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와; 상기 관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외기 유입공을 구비하여 상기 와류에 의해 무화된 액제를 살포하는 출구 덕트와; 상기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상기 송풍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공급하는 액제 공급용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관의 일단부에는 액제 공급용 호스가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액제 분사 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출구 덕트는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허출원 제10-2009-0025661호(2009.03.26)는, 내부에 액상의 액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내부에 수용된 액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액제통과; 일단이 상기 액제통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펌프의 흡입구에 연결된 제1 연결호스와; 일단은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무노즐수단에 연결된 제2연결호스와; 상기 제1 연결호스가 연결되는 흡입구와 상기 제2 연결호스가 연결된 토출구를 구비하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펌프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2 연결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펌프로부터 가압 토출된 액제가 분무되는 노즐을 구비한 분무노즐수단과; 상기 펌프와 노즐 사이에서 구비되며, 펌프로부터 노즐로 연결되는 액제의 유동로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공기가 수용된 공간부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액제의 압력을 조정하는 작용을 하는 에어펌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약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1-0094973호(2011.09.21)는 약제살포기의 약제분사총에 에 관한 것으로, 엔진으로 돌아가는 팬이 탑재되고 그 위에 약제통이 탑재되어서 엔진의 구동으로 회동하는 송풍팬에서 발생하는 강한 바람을 이용하여 액체로 된 약제를 분사하기 위하여 방향 선택이 자유롭도록 송풍팬의 에어토출구와 자바라에 의하여 플렉시블하게 연결되어 구성한 에어유도관과 상기 에어유도관과는 별도로 액체로 된 약제를 공급하도록 약제통과 연결된 호스를 상기 에어유도관의 끝단에 연결하여 강한 바람으로 약제를 분사하도록 구성한 휴대용 약제살포기의 분사총의 끝단부측에, 분사구방향을 가변하여 고정하도록 형상유지 자바라를 구성하여 약제분사총의 분사구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가변하여 고정하고 약제를 분사하도록 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2-0132620호(2012.11.21)는 액체 용기와 송풍 케이스와 송풍모터와 다중 분무노즐과 액체 이송관과 가압관을 포함하는 액체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압축된 공기에 의해 액체가 분무되는 다중 분무노즐이 구비되는 한편 압축된 공기의 일부를 액체 용기로 보내어 액체를 가압하여 액체 용기 내에서 압축된 공기에 의한 액체의 토출력을 높인다. 특허출원 제10-2012-0038283호(2012.04.13)는, 원거리 농약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덕트 내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농약)을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으로 멀리 까지 살포하되, 바람의 진행거리를 확장시키는 풍력증대수단을 통해 바람의 세기를 증대시켜 살포 거리를 확대시키는 한편,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같은 소형 운송기구에 연결되는 트레일러에 탑재시켜, 지반이 약하고 비포장된 농경지 주변도로에서 무게 중심을 분산시키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된 원거리 농약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1996-0036489호(1996.08.29)는 약액을 밀도가 진한 분무상태로 하여 효율적으로 먼 거리로 이송하면서 유효하게 살포가능하게 한 것으로, 운반차의 짐받이 위에 약제탱크 엔진 펌프 등을 장비함과 아울러, 분무덕트를 장비하여 구성되는 방제용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덕트 내에는 축류팬을 설치하고, 그 축류팬의 하류측에는 직경이 하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원뿔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를 설치하고, 상기 분무덕트의 배풍구의 주위 부근에는 환형의 액공급파이프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액공급파이프에는 약액이 공급되는 복수개의 주위노즐을 설치하고, 상기 액공급파이프의 중심부에서 상기 공기 흐름 조정체의 하류측에는 중앙노즐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액공급파이프와 중앙노즐을 복수의 지지파이프를 통해 연결하고, 그 지지파이프 중의 적어도 1개의 지지파이프에 의하여 약액이 중앙노즐로 공급되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2008-0008457호(2008.06.24)는, 가이드 파이프를 약제호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광역살포기의 약제호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약제 탱크와, 펌핑부와, 엔진과, 송풍부와, 송풍 안내부와, 약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한 분무부로서 이루어지는 광역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로 수평 연장시킨 소구경관과 상기 분무부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로 수평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소구경관이 내측으로 일부 삽입되는 대구경관의 이중관으로 구비되는 송풍 안내부와, 상기 소구경관과 상기 대구경관의 외주면으로 부터는 각각 가이드 수단과 고정 수단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소구경관측의 가이드 파이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대구경관측의 가이드 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피스톤을 인출입시켜 상기 소구경관으로부터 상기 대구경관이 인출입되면서 인출 길이가 조정되도록 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양측에 약제호스를 연결밸브로 연결한 구성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07795호(2000.03.18)는 농작물에 농약을 살포하도록 하는 분무기를 내부에 약액을 상기 구동부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공과, 상기 분사기와 소독기가 결합되도록 체결편을 형성한 약액통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치되도록 형성하며,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전원에 의해구동되도록 하는 모터펌프와, 상기 모터펌프에서 유출되는 약액을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관을 형성한 구동부와; 일측에 상기 체결편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구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부와, 약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분사구와, 상기 분사구 선단에 분사노즐을 형성한 분사기와; 일측에 상기 체결편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구와, 내부에 휴대용 가스통이 저장되도록 하는 가스통 저장부와, 가스를 점화하도록 하는 점화부와, 유출된 가스가 순환되도록 하는 기화로와, 약액을 이송하도록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가스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부와, 상기 배관선단에 분사노즐을 형성한 소독기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약제 분무기는 사용자가 분사하고자 하는 약제를 직접 짊어지고 수동으로 분무하는 것이나 동력펌프식 분무기로 약제통에 저장된 약제를 고압으로 분출하거나 송풍팬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바람을 이용하여 약재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동력펌프식 분무기는 원거리에 있는 작물이나 수목에 약재를 분사하나 근거리에 위치한 작물이나 수목에는 약제를 분사하지 못하였고, 송풍팬을 이용한 방식은 근거리에 위치한 작물이나 수목에는 약제를 분사하나 원거리에 있는 작물이나 수목에 약재를 분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고압과 저압으로 동시에 약제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약제 살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고압의 압력 조절로 분사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약제살포반경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농로나 도로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는 물론 가까운 위치의 대상물에도 고르게 약제살포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구성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광범위 약제 분사기를 보급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액상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약제통과;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펌프와; 펌프로 가압 된 약제가 분사되는 노즐을 구비한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노즐의 주위에 분사방향으로 분사용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수단으로 구성하여 트럭의 적재함이나,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같은 소형 운송기구에 연결되는 트레일러에 탑재시켜 약제를 분사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에 있어서,
고압을 생성하는 실린더펌프와, 저압을 생성하는 원심펌프와 공압을 생성하는 송풍팬을 단일엔진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펌프와, 원심펌프에서 압송된 약제를 송풍팬에서 발생한 에어와 함께 동시에 분사하도록 구성한 분사포를 구성하며, 상기 분사포는 상하 좌우로 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에 장착하여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준하도록 구성하여, 분사포를 조준하는 핸들에 엔진의 가속을 제어하는 엑셀러에이트와 실린더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약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절환밸브를 조작하는 밸브조작레버를 구성하며, 실린더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약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절환밸브는, 삼방밸브로써 핸들에 구성된 밸브조작레버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린더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약제가 분사포에 구성된 고압분사노즐로 공급되거나 약제통으로 다시 회수되어 약제를 섞어주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고압과 저압을 동시에 실시하여 고압으로는 원거리 분사하고 저압으로는 근거리에 분사하여 동시에 광범위하게 고루 분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사포의 포신이 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분사방향을 좌우 상하 동시에 조작할 수 있어 고압의 토출압에 의한 반사에너지를 사용자가 부담하지 않아도 되어 안정되기에 노약자도 힘들이지 않고 분사방향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약제를 고르게 살포할 수 있으며, 고압분사를 하지않을 경우 피스톤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압의 약제가 다시 약제 저장통으로 피드백하여 약제 저장통 내부의 약을 휘저어 주는 역할을 하므로 약제가 고르게 섞이는 효과를 얻는 신규하고도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상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측면에서 본 상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분사포의 구성상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약제공급 배관상태 예시도.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에 액상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약제통과;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펌프와; 펌프로 가압 된 약제가 분사되는 노즐을 구비한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노즐의 주위에 분사방향으로 분사용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수단으로 구성하여 트럭의 적재함이나,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같은 소형 운송기구에 연결되는 트레일러에 탑재시켜 약제를 분사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에 있어서, 고압을 생성하는 실린더펌프(120)와, 저압을 생성하는 원심펌프(130)와 공압을 생성하는 송풍팬(140)을 단일 엔진(110)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펌프(120)와, 원심펌프(130)에서 압송된 약제를 송풍팬(140)에서 발생한 에어와 함께 동시에 분사하도록 구성한 분사포(200)를 구성하며, 상기 분사포(200)는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준하도록 상하 좌우로 방향이동이 가능하게 몸체(100)에 장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단일 엔진(110)에 축착된 주동샤프트(111)에는 실린더펌프(120)를 직접 장착하며, 상기 주동샤프트(111)의 주동풀리(112)와 브이벨트(119)로 연결되는 종동샤프트(116)에 축착된 종동풀리(117)는 주동풀리(112)보다 외경이 작아 종동샤프트(116)의 회전이 주동샤프트(111)보다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이와 같이 회전이 상승하도록 구성한 종동샤프트(116)에는 원심펌프(130)와 송풍팬(140)을 축착하여, 모든 동력원을 단일 엔진(110)의 구동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주동샤프트(111)의 동력을 종동샤프트(116)에 전달하는 수단은 풀리와 브이벨트가 아닌 기어나 마찰 등 다양한 수단을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전동수단은 통상의 방법이므로 권리범위는 미치지 않을 것이므로 동력전달 수단이 다르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특허권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할 것이다.
상기 분사포(200)는, 몸체(100)에 장착되는 중앙에 설비홀(211)을 구성하며 방사선 방향으로 가이드롤러(212)를 구성한 테이블(210)과, 상기 테이블(210)의 가이드롤러(215)에 결합되어 좌우 회동이 자유로운 회전판(220)과, 상기 회전판(220)에 서로 대향 하도록 장착된 힌지브라켓트(225)와, 상기 힌지브라켓트(225)에 상하 회동하도록 시이소처럼 결합 된 포신(230)으로 구성되어 포신(230)의 조준방향이 자유롭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분사포(200)는 약제를 분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무엇보다 몸체(100)에 장착한 상태로 좌우 상하 약제의 분사방향을 조준하기에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약제의 분사에 따른 반사압이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구현하여 편리성을 요구함과 동시에 외관미를 중요시하였다.
상기 분사포(200)를 구성하는 포신(230)은, 선단 중앙에 고압분사노즐(237)을 구성하고 그 주변에 저압분사노즐(238)을 구성하며, 이들 고압분사노즐(237)과 저압분사노즐(238)을 감싸도록 에어발사구(236)를 구성하고, 상기 고압분사노즐(237)은 실린더펌프(120)와 연결하고 저압분사노즐(238)은 원심펌프(130)와 연결하며 에어발사구(236)는 송풍팬(140)과 주름관으로 된 덕트(145)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포신(230)의 후단에는 분사포(200)의 분사방향을 조작하는 핸들(25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원통형 포신(230)은 후단이 하향으로 구부러진 상태가 되고, 상기 포신(230)의 내부에 고압을 공급하는 고압파이프(233) 외부로 저압을 공급하는 저압파이프(234)를 일체로 구성하는 이중파이프를 내장하여 상기 포신(230)의 에어통로(231) 중앙에 위치하도록 선단에 에어발사구(236)를 구성한 지지구(235)를 삽착하여 고정하고 후단은 포신(230)의 구부러진 부위를 뚫고 돌출되도록 구성한 다음, 상기 고압파이프(233)의 선단에는 고압분사노즐(237)을 결합하고 저압파이프(234)의 선단에는 분사공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분출구를 갖는 저압분사노즐(238)을 장착하며, 고압파이프(233) 후단은 실린더펌프(120)와 연결하고 저압파이프(234) 후단은 원심펌프(130)와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포신의 아래 측으로 구부러진 연결부(232)를 송풍팬(140)과 주름관인 덕트(145)로 연결함에 있어서, 덕트(145)와 포신(230)의 연결부(232)에 주름관인 덕트(145)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서로 미끌어지는 슬리브부(146)를 구성한다.
상기 분사포(200)를 조준하는 핸들(250)에 단일엔진(110)의 가속을 제어하는 엑셀레이트(255)와 실린더펌프(12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약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절환밸브(122)를 조작하는 밸브조작레버(256)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펌프(12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약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절환밸브(122)는, 삼방밸브로써 핸들(250)에 구성된 밸브조작레버(256)와 와이어(260)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린더펌프(12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약제가 분사포(200)에 구성된 고압분사노즐(237)로 공급되거나 리턴라인(126)을 통하여 약제통(300)으로 다시 회수되어 약제를 섞어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펌프(120)와 포신(230)에 장착된 고압분사노즐(237) 사이 어느 한곳에 실린더펌프(120)에서 압송되는 약제의 토출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트(121)와 약제의 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25)를 구성하며, 원심펌프(130)와 포신(230)에 장착된 저압분사노즐(238) 사이 어느 한곳에 원심펌프(130)로부터 압송되는 약제의 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35)와, 원심펌프(130)로부터 압송된 약제를 일부 선택에 따라 약제통(300)으로 회수하는 드레인라인(136)을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농업이나 축산업을 함에 있어 방제용으로 약제를 살포하는데 유용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등 산업상 이용가치가 대단하다 할 것이다.
100: 몸체 110: 엔진 111: 주동샤프트
112: 주동풀리 116: 종동샤프트 117: 종동풀리
119: 브이벨트 120: 실린더펌프 121: 레귤레이트
122: 절환밸브 126: 리턴라인 130: 원심펌프
125, 135: 조절밸브 136: 드레인라인 140: 송풍팬
145: 덕트 146: 슬리브부
200: 분사포 210: 테이블 211: 설비홀
215: 가이드롤러 220: 회전판 225: 힌지브라케트
226: 힌지 230: 포신 231: 에어통로
232: 연결부 233: 고압파이프 234: 저압파이프
235: 지지구 236: 에어발사구 237: 고압분사노즐
238: 저압분사노즐 250: 핸들 255: 엑슬레이트
256: 밸브조작레버 260: 와이어 300: 약제통

Claims (7)

  1. 내부에 액상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약제통과;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펌프와; 펌프로 가압 된 약제가 분사되는 노즐을 구비한 분사수단과; 상기 분사노즐의 주위에 분사방향으로 분사용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수단으로 구성하여 트럭의 적재함이나,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같은 소형 운송기구에 연결되는 트레일러에 탑재시켜 약제를 분사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에 있어서,
    고압을 생성하는 실린더펌프(120)와, 저압을 생성하는 원심펌프(130)와 공압을 생성하는 송풍팬(140)을 단일엔진(110)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펌프(120)와, 원심펌프(130)에서 압송된 약제를 송풍팬(140)에서 발생한 에어와 함께 동시에 분사하도록 구성한 분사포(200)를 구성하며, 상기 분사포(200)는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준하도록 상하 좌우로 방향이동이 가능하게 몸체(100)에 장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포(200)는, 몸체(100)에 장착되는 중앙에 설비홀(211)을 구성하며 방사선 방향으로 가이드롤러(212)를 구성한 테이블(210)과, 상기 테이블(210)의 가이드롤러(215)에 결합되어 좌우 회동이 자유로운 회전판(220)과, 상기 회전판(220)에 서로 대향 하도록 장착된 힌지브라켓트(225)와, 상기 힌지브라켓트(225)에 상하 회동하도록 시이소처럼 결합 된 포신(230)으로 구성되어 포신(230)의 조준방향이 자유롭도록 구성한 광범위 약제 분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포(200)를 구성하는 포신(230)은, 선단 중앙에 고압분사노즐(237)을 구성하고 그 주변에 저압분사노즐(238)을 구성하며, 이들 고압분사노즐(237)과 저압분사노즐(238)을 감싸도록 에어발사구(236)를 구성하고, 상기 고압분사노즐(237)은 실린더펌프(120)와 연결하고 저압분사노즐(238)은 원심펌프(130)와 연결하며 에어발사구(236)는 송풍팬(140)과 주름관으로 된 덕트(145)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포신(230)의 후단에는 분사포(200)의 분사방향을 조작하는 핸들(25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45)와 포신(230) 후단의 연결부(232)에 주름관인 덕트(145)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서로 미끌어지는 슬리브부(14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포(200)를 조준하는 핸들(250)에 단일엔진(110)의 가속을 제어하는 엑셀레이트(255)와 실린더펌프(12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약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절환밸브(122)를 조작하는 밸브조작레버(25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
  6. 제4항에 있어서,
    실린더펌프(12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약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절환밸브(122)는, 삼방밸브로써 핸들(250)에 구성된 밸브조작레버(256)와 와이어(260)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린더펌프(12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약제가 분사포(200)에 구성된 고압분사노즐(237)로 공급되거나 리턴라인(126)을 통하여 약제통(300)으로 다시 회수되어 약제를 섞어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펌프(120)와 포신(230)에 장착된 고압분사노즐(237) 사이 어느 한곳에 실린더펌프(120)에서 압송되는 약제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트(121)와 약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25)를 구성하며, 원심펌프(130)와 포신(230)에 장착된 저압분사노즐(238) 사이 어느 한곳에 원심펌프(130)로부터 압송되는 약제의 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35)와, 원심펌프(130)로부터 압송된 약제를 일부 선택에 따라 약제통(300)으로 회수하는 드레인라인(136)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 약제 분사기.
KR1020140068387A 2014-06-05 2014-06-05 광범위 약제 분사기 KR10161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87A KR101617943B1 (ko) 2014-06-05 2014-06-05 광범위 약제 분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87A KR101617943B1 (ko) 2014-06-05 2014-06-05 광범위 약제 분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091A true KR20150140091A (ko) 2015-12-15
KR101617943B1 KR101617943B1 (ko) 2016-05-03

Family

ID=5502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387A KR101617943B1 (ko) 2014-06-05 2014-06-05 광범위 약제 분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9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2623A (zh) * 2016-02-18 2016-05-04 江苏大学 一种智能自走式风送静电式对靶喷雾机
CN106577608A (zh) * 2016-11-17 2017-04-26 福建品派包装有限公司 一种新型的农业用农作物喷药装置
CN106804572A (zh) * 2017-04-06 2017-06-09 郑宁 一种喷雾装置
KR20170126274A (ko) * 2016-05-09 2017-11-17 김성진 농약 살포용 드론
KR20180103838A (ko) * 2015-11-02 2018-09-19 펄스 에어로스페이스 엘엘씨 무인 항공기를 위한 분사 시스템
KR102029714B1 (ko) * 2019-02-11 2019-10-08 주식회사 대명하이텍 비닐 하우스용 무인 방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6971A (zh) * 2019-03-27 2020-06-23 成都清机科技有限公司 一种自行走式高效智能化打药机
KR102087803B1 (ko) 2019-10-02 2020-03-11 이주형 과수목 무인 방제용 설치구조물 및 그 설치구조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KR102266777B1 (ko) 2020-08-28 2021-06-18 이종표 과수 대향형 분사노즐을 갖는 과수 방제용 설치구조물
KR20230058250A (ko) 2021-10-22 2023-05-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과수목 무인 방제용 설치구조물 및 그 설치구조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060Y1 (ko) * 2000-06-26 2000-12-15 광림특장차주식회사 차량용 방제장치
KR100479462B1 (ko) * 2002-04-30 2005-04-11 주식회사 에코카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KR200416224Y1 (ko) * 2006-01-17 2006-05-12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멀티 분사수단이 구비된 농약방제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838A (ko) * 2015-11-02 2018-09-19 펄스 에어로스페이스 엘엘씨 무인 항공기를 위한 분사 시스템
KR20200062382A (ko) * 2015-11-02 2020-06-03 에어로바이론먼트, 인크. 무인 비행체를 위한 분사 시스템
CN105532623A (zh) * 2016-02-18 2016-05-04 江苏大学 一种智能自走式风送静电式对靶喷雾机
KR20170126274A (ko) * 2016-05-09 2017-11-17 김성진 농약 살포용 드론
CN106577608A (zh) * 2016-11-17 2017-04-26 福建品派包装有限公司 一种新型的农业用农作物喷药装置
CN106804572A (zh) * 2017-04-06 2017-06-09 郑宁 一种喷雾装置
KR102029714B1 (ko) * 2019-02-11 2019-10-08 주식회사 대명하이텍 비닐 하우스용 무인 방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943B1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943B1 (ko) 광범위 약제 분사기
KR20160067818A (ko) 후폭풍을 이용한 액체 분사기
KR101047392B1 (ko) 방제기
KR20160097491A (ko)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KR101890073B1 (ko) 농업용 분무기 및 분무기의 송풍약대
JP2018504107A (ja) 非加熱式無人煙霧機
US3633825A (en) Fogging apparatus
KR101300675B1 (ko) 액상 약제 살포용 분무장치의 분사관
KR20180105493A (ko) 광범위 확산용 노즐 승강식 약제살포기
KR101998686B1 (ko)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KR101651240B1 (ko) 약액 분사 장치
KR100479462B1 (ko)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KR102286937B1 (ko) 액상물질 미세 분무장치
US3702306A (en) Fogg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462622B1 (ko) 안개식 약제 살포장치
KR20190106211A (ko) 송풍부를 자동 제어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KR0130148B1 (ko) 농약 방제기
CN102630660A (zh) 一种生物农药喷洒装置
KR102001098B1 (ko) 초미세 노즐을 구비하는 약제 공급 장치
US11930807B2 (en) Anti-drift diffuser for pneumatic atomization sprayers
KR102089670B1 (ko) 멀티형 영농 살포기
KR100523590B1 (ko) 휴대용 액제 연무기
ZA200703892B (en) Method for the mixing and spraying of treatment agents and for rapid generation of a persistent aerosol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202566090U (zh) 一种生物农药喷洒装置
KR101331070B1 (ko) 형상유지 자바라를 이용한 분사구방향 가변고정형 농축산 방역기의 약제분사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