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138B1 -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138B1
KR100497138B1 KR1020040082368A KR20040082368A KR100497138B1 KR 100497138 B1 KR100497138 B1 KR 100497138B1 KR 1020040082368 A KR1020040082368 A KR 1020040082368A KR 20040082368 A KR20040082368 A KR 20040082368A KR 100497138 B1 KR100497138 B1 KR 100497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ire
passage
extinguishing material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Priority to KR102004008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138B1/ko
Priority to CN2005100625066A priority patent/CN1759904B/zh
Priority to DE102005014364A priority patent/DE102005014364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호스 연결금속구 등이 연결되어 소화용수 등의 소화물질을 원하는 형태로 토출시키는 소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소방장치는, 상기 연결금속구가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소화물질 공급통로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불연속적인 소화물질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소화물질 공급연결통로가 내측에 형성된 회전체; 및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로부터 공급된 소화물질을 토출시키는 노즐헤드; 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노즐헤드를 통한 소화물질의 토출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소화물질을 다양한 형태와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토출압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화재진압을 신속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함은 물론, 장치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과 유지보수가 쉽고, 필요시 돌진관창 등의 연계기구를 같이 사용할 수 있어 전체적인 화재진압능력을 극대화시키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장치{Fire-F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방호스 연결금속구 등에 연결시켜 소화용수, 소화액(거품) 등의 소화물질을 토출시키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체의 간단한 회전조작을 통하여 소화물질을 다양한 형태와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어 화재진압을 보다 신속하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전체적인 장치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과 유지보수 등의 비용절감효과가 있으며, 필요시 돌진관창등의 연계기구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방장치의 전체적인 화재진압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현장에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소화용수, 소화거품, 특정 화재물을 대응하는 특정 소화액 등의 소화물질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소방호스의 연결금속구 등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소방관창 등의 소방장치는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소방관창(장치)은 기기의 내부에 소화용수 등을 공급하는 튜브의 공급라인이 배치되고, 이 공급라인으로의 공급 조정은 장치 후단의 밸브를 통하여 조절하며, 장치 선단부의 노즐헤드를 통하여 소화용수가 한 갈래로 곧게 토출(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직사'라 함)되거나 여러갈래로 경사지게 토출(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분사'라 함) 형태로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소방관창은 공급라인(내부튜브)과 밸브등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복잡한 구조로서 제작도 어렵고 기기의 유지보수도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등이 증대되는 것이며, 특히 밸브를 통하여 토출형태를 조작하기 때문에, 밸브의 구조에 따라 토출형태를 자유로이 조절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소화용수 등의 소화물질의 토출형태나 토출방향이 조작수단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매우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면서, 전체적으로 소방장치의 구조를 간소화시키어 조작사용성이나 비용절감성이 우수한 소방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또한, 필요시 다른 연계기구를 같이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체의 회전조작과 같은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소화물질을 다양한 형태 및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토출압력으로 토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재형태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한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즐헤드에 장착되는 분사노즐들의 분사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화재진압력을 보다 극대화시키는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 돌진관창 등의 연계기구를 같이 사용할 수 있어 화재진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장치의 구성부품들의 분해 조립 및 수선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장치의 유지보수도 용이하여 제작 및 유지면에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방호스 연결금속구와 연결되어 소화물질을 토출시키는 화재진압용 소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금속구가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소화물질 공급통로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불연속적인 소화물질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소화물질 공급연결통로가 내측에 형성된 회전체; 및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로부터 공급된 소화물질을 토출시키는 노즐헤드;
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노즐헤드를 통한 소화물질의 토출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체의 공급통로는 상기 연결금속구와 연결되는 제1 공급통로 및 상기 노즐헤드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제2 공급통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의 공급연결통로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공급통로와 상기 제2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회전체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α)마다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공급연결통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상기 공급연결통로 내의 소화물질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압력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즐헤드는 상기 고정체의 직사토출통로와 통하는 직사노즐안착구 및 상기 고정체의 분사토출통로와 통하는 환형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통로는 다수의 분기통로를 통하여 상기 노즐헤드의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사노즐안착구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안착구에는 개별적으로 분사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구형 노즐의 내부에 장착되며 소화물질을 미세화하시키는 나선형의 스월(swirl)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은 상기 소방호스 연결금속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체와 연결되는 연장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장치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체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조작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노즐헤드에는 다른 소방기구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의 주요부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와 고정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1)는 크게, 소방호스 연결금속구(H)가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소화물질 공급통로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체(300), 상기 고정체(300)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체(300)의 불연속적인 소화물질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소화물질 공급연결통로가 내측에 형성된 회전체(200), 및 상기 고정체(3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300)로부터 공급된 소화물질을 토출시키는 노즐헤드(400)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노즐헤드(400)를 통한 소화물질의 토출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장치(1)는 추가적으로 상기 소방장치(1)의 전체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연장체(100), 상기 회전체(200)에 연결되어 회전체(20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조작수단(600), 상기 노즐헤드(400)에 장착되는 분사노즐(500) 및 직사노즐(71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300)는 내측에 소화물질 공급통로(310)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소방호스 연결금속구(H)와 직결되거나 후술하는 연장체(100)를 통해 상기 소방호스 연결금속구(H)와 연결되며, 타측은 노즐헤드(400)에 연결된다.
만약, 소방호스 연결금속구(H)와 직결되는 경우에는 회전체(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300)에 형성된 나사부(S)에 체결되는 별도의 이탈방지수단(미도시)이 필요하게 된다.
도 4, 도 6e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체(300)의 공급통로(310)는 상기 연결금속구(H) 또는 후술하는 연장체(100)와 연결되는 제1 공급통로(310a) 및 상기 노즐헤드(400)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제2 공급통로(310b)로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통로(310)는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시 상기 공급연결통로(2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소방장치(10)의 토출형태가 직사, 분사, 직사 및 분사의 형태로 다양하도록 한다.
도 6e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공급통로(310a)는 2 이상으로 분기하고 상기 제2 공급통로(310b)는 상기 제1 공급통로(310a)의 분기수에 대응하는 2 이상의 통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연결통로(210)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급통로(310a)와 상기 제2 공급통로(310b) 중 적어도 한 쌍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노즐헤드(400)를 통한 소화물질의 토출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된 도 6e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2 공급통로(310b)는 직사토출통로(315) 및 분사토출통로(3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사토출통로(315)는 상기 노즐헤드(400)에 장착된 직사노즐과 연결되고 상기 분사토출통로(317)는 상기 노즐헤드(400)에 장착된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직사, 분사, 직사 및 분사의 다양한 형태로 소화물질을 토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d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체(300)는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함몰형성된 다수의 고정홈(360)을 구비하며, 후술하는 회전조작수단(600)의 이동부재(610)가 끼워짐으로써 회전체(300)의 회전을 구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고정홈(360)은 도 6d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회전체(200)의 공급연결통로(210)가 원주상으로 일정한 각도(α)로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원주상으로 일정한 각도(α)로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회전체(2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200)의 공급연결통로(210)가 상기 제1 공급통로(310a)와 상기 제2 공급통로(310b)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대응하여 고정홈(36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300)의 제1 공급통로(310a)의 유출구(313) 및 제2 공급통로(310b)의 유입구(314) 주위에 함몰형성된 실링홈(331)에 오링 등의 밀폐수단(O)이 장착되어 소화물질의 유출을 막으며, 상기 고정체(300)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실링홈(332)에도 오링 등의 밀폐수단(O)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 공급통로(310a)의 유입구(311) 주위에도 실링홈(333)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실링홈(333)에 밀폐수단(O)이 장착되어 소화물질의 유출을 막는다.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고정체(300)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체(2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체(300)의 불연속적인 소화물질 공급통로(31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소화물질 공급연결통로(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베어링 등의 부재가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 각도가 크지 않으므로 베어링 등의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오링 등의 밀폐수단(O) 및 상기 고정체(300)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회전체(200)가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 도 5d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0)의 공급연결통로(210)는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체(300)의 제1 공급통로(310a)와 상기 제2 공급통로(310b)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회전체(200)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α)마다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상기 공급연결통로(210)는 일정한 각도(α) 마다 원주상으로 배치되며, 일부영역에는 상기 공급연결통로(210)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공급통로(310)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5c에서와 같이, 상기 공급연결통로(210)가 형성되지 않은 회전체(200)의 외주면 영역(P)는 상기 제1 공급통로(310a)와 상기 제2 공급통로(310b)의 연결을 차단하게 되므로, 상기 공급연결통로(210)는 상기 고정체(300)의 직사토출통로(315)와 분사토출통로(317) 중 하나만을 연결하거나, 상기 직사토출통로(315)와 분사토출통로(317)을 모두 연결함으로써, 직사, 분사, 직사 및 분사의 토출형태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0)는 상기 공급연결통로(210)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상기 공급연결통로(210) 내의 소화물질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압력조절수단(24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급연결통로(210)는 상기 회전체(200)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α)마다 다수개 형성되므로, 다수의 상기 공급연결통로(210) 중 일부의 공급연결통로(210)가 나머지 공급연결통로(210)과 다른 압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조절수단(24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공급연결통로(210)의 단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공급연결통로(210)의 압력을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d에서와 같이 상기 압력조절수단(240)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급연결통로(210)의 단면적을 작게 하면 상기 공급연결통로(210)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상기 노즐헤드(400)에서의 토출압력이 커지게 되므로 토출 각도가 커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압력조절수단(24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노즐헤드(400)에서의 토출압력이 작아져 토출각도가 작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직사의 경우에 토출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토출범위가 달라져 다양한 형태의 화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직사, 분사, 직사 및 분사의 형태로 소화물질의 토출이 이루어지나, 이러한 직사 및 분사의 경우에도 상기 공급연결통로(210)의 압력조절을 통하여 토출각도를 변화시켜 보다 다양한 패턴의 토출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수단(240)은 상기 회전체(200)의 공급연결통로(210)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 중 생기는 구멍을 막는 역할을 병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연결통로(210)이 도 5d와는 반대의 방향, 즉 우측에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200)의 우측 부분에 상기 압력조절수단(240)을 설치하면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수단(2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연결통로(210)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조절수단(240)이 투입되는 구멍(231)에는 일정한 깊이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헤드(400)는 상기 고정체(30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300)로부터 공급된 소화물질을 노즐을 통해 토출시킨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헤드(400)는 상기 고정체(300)의 직사토출통로(315)의 유출구(316)와 통하는 직사노즐안착구(410) 및 상기 고정체(300)의 분사토출통로(317)의 유출구(318)와 통하는 환형통로(4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환형통로(420)는 상기 노즐헤드(400)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체(300)와 상기 노즐헤드(400)의 공간에 오링 등의 밀폐부재(O)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환형통로(420)은 다수의 분기통로(423)(424)를 통하여 상기 노즐헤드(400)의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사노즐안착구(430)(440)와 연결되어 분사 형태의 토출을 유도한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안착구(430)(440)는 상기 노즐헤드(40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2중으로 배열형성되어 2 방향으로 분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안착구(430)(440)는 노즐헤드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각도가 적은 제1 분사노즐안착구(430)는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하고, 추가로 중심선(C)을 기준으로 각도가 큰 제2 분사노즐안착구(440)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분사노즐안착구(430)에 장착된 분사노즐(500)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용수 등의 소화물질은 화재진압용으로 사용되고, 이보다는 각도가 큰 제2 분사노즐안착구(440)에 장착된 분사노즐(500)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용수 등의 소화물질은 분사되는 소화물질이 화염과 사용자(소방수)간을 열전달을 차단하는 커튼역할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분사노즐안착구(430)는 상기 노즐헤드(40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33 - 43°, 바람직하기는 38 °의 각도로 위치시키고, 제2 분사노즐안착구(440)는 노즐헤드 중심선(C)을 기준으로 75 - 85°, 바람직하게는 78°의 각도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제1 분사노즐안착구(430)의 각도도 33° 보다 작거나 43° 보다 크면, 화재현장에서 화염에 토출되는 소화물질의 각도가 너무 적어 노즐헤드(400)의 중앙 직사노즐 안착구(410)에서 토출되는 소화물질의 토출에 영향을 미치거나 너무 경사지게 토출되어 화재진압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2 분사노즐안착구(440)의 각도가 75°보다 작거나 85°보다 크면, 상기 제1 분사노즐 안착구(430)를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물질과 겹쳐지거나 또는 너무 직각으로 토출되어 화염과 소방수의 차단을 용이하게는 하지만 화염을 진압하는 데에 도움이 전혀 되지못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노즐헤드(400)에서 제1 및 제2 분사노즐안착구(430)(440)의 위치는 상기 각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직사노즐안착구(410)에는 직사노즐(710)이 나사결합되거나 커플링 결합되어 분해 및 장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안착구(430)(440)에도 분사노즐(500)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각각의 분사노즐(500)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500)은 일측(525)이 구형상인 구형 노즐(520) 및 상기 노즐(520)을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노즐캡(510)을 구비하며, 상기 구형 노즐(520)을 상기 노즐캡(510) 내부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분사방향이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구형 노즐(5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월(swirl)를 추가로 구비하여 소화물질을 미세화하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분사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0)에 연결되어 회전체(20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조작수단(6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작수단(60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체(20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26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610) 및 상기 이동부재(6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610)에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50)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재(610)의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6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체(300)의 일단에 함몰형성된 고정홈(360)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300)는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함몰형성된 다수의 고정홈(360)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재(610)는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체(300)의 일단에 함몰형성된 고정홈(360) 중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노즐헤드(400)를 통한 소화물질의 토출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1)는 장치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장체(1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체(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은 소방호스 연결금속구(H)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체(300)와 연결되며, 내부에는 소화물질 공급연장통로(112)(122)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체(100)는 장치의 전체 길이 증가를 조절하기 위하여 2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 및 도 4에서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재(110) 및 제2 연장부재(1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부재(110) 및 상기 제2 연장부재(120)는 분해 및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장부재(110)(120)는 상기 고정체(300)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소방호스 금속연결구(H)로부터 공급된 소화물질은 제1 연장부재의 유입구(111), 제1 공급연장통로(112), 제2 연장부재의 유입구(121) 및 제2 공급연장통로(122)를 거쳐, 상기 고정체(300)의 유입구(311)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체(300) 내부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부재(110), 상기 제2 연장부재(120) 및 상기 고정체(300)의 연결부에는 실링부재(O)가 장착되어 소화물질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소방호스 연결금속구(H)가 상기 고정체(300)에 직결되게 하는 구조도 가능하며, 상기 연장체(100)에 소방호스 연결금속구(H)가 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연장체(100)를 상기 고정체(300)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헤드(400)에는 다른 소방기구가 연결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헤드(400)의 중앙에 형성된 직사노즐안착구(4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진관창(72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돌진관창(72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직사노즐안착구(410)에 장착된 직사노즐(710)을 분리하고 상기 돌진관창(720)을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돌진관창(720)을 장착함으로써 장애물이 있어 소화물질의 직접 투입이 어려운 경우에, 돌진관창(720)을 관통시킨 후 상기 돌진관창(720)에 형성된 토출구(721)를 통하여 장애물 건너편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경우 본 발명의 소방장치(1)는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물질을 원하는 토출형태(분사 또는 직사, 또는 이들의 조합형태)로 토출시키면서, 돌진관창 (720) 등의 연계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진압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특히 회전체(200)의 조작을 통하여 토출형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소방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유지도 용이하며 제작 등의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소방장치에 의하면, 첫째, 화재현장 등의 임의의 장소에서 언제든지 회전체의 회전이라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소화용수, 소화거품 또는 소화액 등의 소화물질을 다양한 형태 및 방향으로 토출시키며 토출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형태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필요시 돌진관창 등의 연계기구를 같이 사용할 수 있어 화재진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한편, 추가로 분사노즐들의 분사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화재진압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스크류형태로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하면서 별도의 밸브가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제작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장치의 보수 및 유지도 용이하여 제작 및 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저렴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의 주요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의 사시도로서,
(a)는 노즐헤드에 직사노즐이 장착된 경우의 사시도이고,
(b)는 노즐헤드에 돌진관창이 장착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의 정면도로서,
(a)는 노즐헤드에 직사노즐이 장착된 경우의 정면도이고,
(b)는 노즐헤드에 돌진관창이 장착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방장치의 단면도로서,
(a)는 노즐헤드에 직사노즐이 장착된 경우의 단면도이고,
(b)는 노즐헤드에 돌진관창이 장착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c)는 좌측면도,
(d)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c)는 정면도,
(d)는 좌측면도,
(e)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와 고정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a)는 분해사시도,
(b)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연장체 200...회전체
210...공급연결통로 240...압력조절수단
300...고정체 310,310a,310b...공급통로
400...노즐헤드 410...직사노즐 안착구
420...환형통로 430,440...분사노즐 안착구
500...분사노즐 520...구형 노즐
600...회전조작수단 610...이동부재
710...직사노즐 720...돌진관창

Claims (20)

  1. 소방호스 연결금속구와 연결되어 소화물질을 토출시키는 화재진압용 소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금속구가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소화물질 공급통로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불연속적인 소화물질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소화물질 공급연결통로가 내측에 형성된 회전체; 및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체로부터 공급된 소화물질을 토출시키는 노즐헤드;
    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노즐헤드를 통한 소화물질의 토출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공급통로는 상기 연결금속구와 연결되는 제1 공급통로 및 상기 노즐헤드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제2 공급통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의 공급연결통로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공급통로와 상기 제2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회전체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α)마다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연결통로가 형성되지 않은 회전체의 외주면 영역는 상기 제1 공급통로와 상기 제2 공급통로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통로는 2 이상으로 분기하고 상기 제2 공급통로는 상기 제1 공급통로의 분기수에 대응하는 2 이상의 통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연결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급통로와 상기 제2 공급통로 중 적어도 한 쌍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노즐헤드를 통한 소화물질의 토출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통로는 직사토출통로 및 분사토출통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사토출통로는 상기 노즐헤드에 장착된 직사노즐과 연결되고 상기 분사토출통로는 상기 노즐헤드에 장착된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직사, 분사, 직사 및 분사의 다양한 형태로 소화물질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공급연결통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상기 공급연결통로 내의 소화물질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압력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연결통로는 상기 회전체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마다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공급연결통로에 2 이상의 서로 다른 압력을 제공하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는 상기 고정체의 직사토출통로와 통하는 직사노즐안착구 및 상기 고정체의 분사토출통로와 통하는 환형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환형통로는 다수의 분기통로를 통하여 상기 노즐헤드의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사노즐안착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안착구는 상기 노즐헤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2중으로 배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안착구의 제1 노즐안착구는 노즐헤드 중심선을 기준으로 33도 내지 43도의 각도로 위치되어 원주상으로 배열되어 내부에 장착된 분사노즐을 통하여 화염측으로 소화물질을 분사하도록 하며,
    상기 분사노즐안착구의 제 2 노즐안착구는 노즐헤드 중심선을 기준으로 75도 내지 85도의 각도로 위치되어 원주상으로 배열되어 내부에 장착된 분사노즐을 통하여 소화물질 커튼을 형성하도록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노즐안착구에는 직사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분사노즐안착구에는 개별적으로 분사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일측이 구형상인 구형 노즐 및 상기 구형 노즐을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노즐캡을 구비하며,
    상기 구형 노즐을 상기 노즐캡 내부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분사방향이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구형 노즐의 내부에 장착되며 소화물질을 미세화하시키는 나선형의 스월(swirl)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소방호스 연결금속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체와 연결되며, 내부에 소화물질 공급연장통로가 형성된 연장체;
    를 추가로 포함하여 장치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체는 2 이상의 연장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상기 연장부재의 갯수에 따라 상기 장치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조작수단;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체의 일단에 함몰형성된 고정홈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체의 일단에 함몰형성된 고정홈 중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노즐헤드를 통한 소화물질의 토출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에는 다른 소방기구가 연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기구는 노즐헤드의 중앙에 형성된 직사노즐안착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진관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장치.
KR1020040082368A 2004-10-14 2004-10-14 소방장치 KR100497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368A KR100497138B1 (ko) 2004-10-14 2004-10-14 소방장치
CN2005100625066A CN1759904B (zh) 2004-10-14 2005-03-30 消防设备
DE102005014364A DE102005014364B4 (de) 2004-10-14 2005-03-30 Feuerlösch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368A KR100497138B1 (ko) 2004-10-14 2004-10-14 소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256U Division KR200375684Y1 (ko) 2004-10-14 2004-11-24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138B1 true KR100497138B1 (ko) 2005-07-01

Family

ID=3670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368A KR100497138B1 (ko) 2004-10-14 2004-10-14 소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97138B1 (ko)
CN (1) CN1759904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26B1 (ko) 2007-04-16 2007-08-22 (주) 엔케이텍 직사와 미분사 겸용 소화장치
KR100933004B1 (ko) 2009-07-07 2009-12-21 한동진 소방호스용 분사노즐
KR101164992B1 (ko) * 2012-01-26 2012-07-13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수막커튼형 노즐장치
KR20180002570U (ko) * 2017-02-17 2018-08-28 이준호 소방용수 분사장치
KR101978990B1 (ko) 2019-02-22 2019-05-17 (주)지여이앤씨 건축물의 소방용 분사장치
CN114259679A (zh) * 2021-12-31 2022-04-01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工厂智能消防巡检灭火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40749B2 (en) * 1971-02-22 1973-09-24 B. F. A. Products Pty. Ltd An improved firehose nozzle
GB2340055A (en) * 1997-07-04 2000-02-16 Chih I Shun Sprinkler head
DE19832568C2 (de) * 1998-07-20 2003-04-30 Anton Jaeger Rotordüse
CN2449822Y (zh) * 2000-08-30 2001-09-26 张中柱 消防水枪
CN2602794Y (zh) * 2002-12-25 2004-02-11 沈明 水系灭火器雾化喷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26B1 (ko) 2007-04-16 2007-08-22 (주) 엔케이텍 직사와 미분사 겸용 소화장치
KR100933004B1 (ko) 2009-07-07 2009-12-21 한동진 소방호스용 분사노즐
KR101164992B1 (ko) * 2012-01-26 2012-07-13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수막커튼형 노즐장치
KR20180002570U (ko) * 2017-02-17 2018-08-28 이준호 소방용수 분사장치
KR200488385Y1 (ko) * 2017-02-17 2019-01-23 이준호 소방용수 분사장치
KR101978990B1 (ko) 2019-02-22 2019-05-17 (주)지여이앤씨 건축물의 소방용 분사장치
CN114259679A (zh) * 2021-12-31 2022-04-01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工厂智能消防巡检灭火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9904A (zh) 2006-04-19
CN1759904B (zh)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9746B2 (en) Adjustable smooth bore nozzle
CA21446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by alternating a liquid fog and a liquid jet
KR100791937B1 (ko) 소방용 미분무 및 분사노즐
KR101682902B1 (ko) 분사 각도 조절 및 이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설비
KR102075290B1 (ko) 공기혼합기능을 갖는 폼방사 겸용 소방관창
KR101700211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0497138B1 (ko) 소방장치
US10518117B2 (en) Firefighting nozzle
KR101693765B1 (ko) 소방노즐
JP2012135460A (ja) 消火用放水ノズル装置
US20110108291A1 (en) Spa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3094428A (ja) 流体噴出継ぎ手
JP5575315B1 (ja) ノズル装置
KR200375684Y1 (ko) 소방장치
KR100685005B1 (ko) 소방장치
KR101507356B1 (ko) 화재 진압용 노즐 장치
KR20060131614A (ko) 소방용 관창
CA2679002A1 (en) Ambient mist head
CN216169539U (zh) 一种伸缩式可调流量水枪
KR20230064743A (ko) 다수의 소방호스 연결이 가능한 피스톨 소방관창
CN214971417U (zh) 一种消防喷雾水枪
KR102533980B1 (ko) 소방 방제용 산불진화 살수 분무기
US20080066933A1 (en) Rotary fire sprinkler
CN218420781U (zh) 灭火喷头及具有其的灭火设备
KR20080002852U (ko) 소방용 소화액 관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102005000220; OPPOSITION DATE: 20050929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