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831B1 - 소방용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용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831B1
KR101355831B1 KR1020110109752A KR20110109752A KR101355831B1 KR 101355831 B1 KR101355831 B1 KR 101355831B1 KR 1020110109752 A KR1020110109752 A KR 1020110109752A KR 20110109752 A KR20110109752 A KR 20110109752A KR 101355831 B1 KR101355831 B1 KR 10135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luid
discharge port
storage contain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503A (ko
Inventor
안상수
Original Assignee
(주)포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6575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558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포트텍 filed Critical (주)포트텍
Priority to KR102011010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8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용 소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 위치되어 주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는 감열체; 상기 감열체를 지지하는 지지플러그;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와 감열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방출구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 상기 유동체를 탄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로 공급하고, 상기 방출구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와 연통된 유입구와, 상기 유동체와 감열체 사이에 개구되고 상기 방출구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개구되어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저장 압력을 상기 지지플러그에 전달하는 통공이 형성된 밸브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용 소화장치{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소공간에 설치하고, 상기 소공간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 초기에 화재를 안정적으로 진압하여 대형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소방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초기 진화를 위한 수단으로 건물 내 또는 산업현장에 방제구역을 설정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소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역방출방식 소화장치는 건물 옥상의 물탱크와 연결되어 천장에 소화배관이 설치되고 화재발생시 감지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로 보내면, 중앙처리장치에서는 물탱크와 연결된 배관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천장의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어 화재를 진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발생된 화재에 의해 스프링클러의 휴즈가 단락되면, 건물의 소화 배관에 충만된 소화가스 또는 소화수가 자동으로 분사되면서 발생된 화재가 초기에 진화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소화장치는 화재를 진화하기 위해 물이나 소화액이 분사되면서 각종 전자기기가 물에 젖어 버리게 되는 결과를 유발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보다 물에 의한 2차 피해 발생으로 인한 고가의 전자제품 및 전자기기의 훼손 등 경제적인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물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계 소화 약제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의 소화대상물은 단순한 건물 혹은 그 내부의 장치 및 기록물 등에 국한되지 않고 점점 다양화되는 추세이며 이는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른 부속설비 등의 다양화와 집적화 및 고가화에 따른 것으로, 데이터저장장치, 전기패널, 통신패널 등은 예전에 비해 집적도가 높고 기능이 복잡하며, 중요한 역활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소화장치가 개발되어 방호구역 전체뿐만 아니라 개별 설비에도 적용 가능한 제품들이 공급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기존소화설비의 응용수준에 그쳐 성능과 가격 및 설치의 용이성에서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으며,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소화장치가 설계에 반영되지 않았던 EPS(Electrical Piping Shaft) 또는 TPS(Telecom Piping Shaft) 등의 개별 설비용 공간의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화재에 대비하기 위한 소화장치가 미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EPS 또는 TPS에서 발생된 화재에 의해 건물이 전소될 수 있는 위험성이 유발되었다.
일례로, 개별 설비에 적용되는 자동식 소화장치는 방출노즐로 기존 스프링클러 노즐을 적용하거나, 이와 유사한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물을 이용하는 스프링클러 노즐을 가스 소화 약제에 적용하는 것 자체가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15mm에 이르는 노즐은 3Kg이하의 소량의 약제를 저장하는 설비에 방출시간을 과도하게 단축하여 소화성능을 떨어트리는 역활을 한다. 또한 방사특성 및 방사각도가 가스소화약제에 적절치 않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방호구역 전체를 단독으로 방호하는 10Kg 이상의 자동식 소화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전역방출방식 개념이므로 소화약제의 성능 및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10초 이내에 방사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방출구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저장압력을 상승시켜야 하나 최대시험압력 2.5MPa인 스프링클러 노즐로는 설비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방호구역 전체를 단독으로 방호하면서 복수의 용기를 설치하는 경우, 종래의 용기밸브는 개별작동하여 화재를 진화하지 못하므로 복수의 용기를 동시에 작동시킬 기동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113301호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소방 설비의 기동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동 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한 기동용기를 사용하였으나, 상기한 기동장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고, 상기 감지센서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어기를 별도로 구비해야만 하였다.
특히 소규모 영역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방호용으로 전술한 소화장치를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서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공간 또는 협소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소방용 소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장 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와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방용 소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 위치되어 주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는 감열체; 상기 감열체를 지지하는 지지플러그;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와 감열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방출구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 상기 유동체를 탄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로 공급하고, 상기 방출구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와 연통된 유입구와, 상기 유동체와 감열체 사이에 개구되고 상기 방출구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개구되어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저장 압력을 상기 지지플러그에 전달하는 통공이 형성된 밸브체를 포함한다.
상기 감열체는 상기 밸브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는 열팽창 액체가 내장된 유리 벌브; 상기 유리 벌브를 감싸는 감열바디; 상기 감열바디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 벌브는 상기 감열바디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유동체의 후방에 개구된 공간과 연통되어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유동체에 가하여 방출구를 클로즈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유동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는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서 화재 발생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주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는 감열체와, 상기 감열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기동밸브;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를 탄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로 공급하고, 상기 방출구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와 연통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체의 후방에 개구된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상기 유동체에 가하여 상기 방출구를 클로즈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유동홀을 포함하는 밸브체; 상기 기동밸브와 밸브체 사이를 서로 간에 연결하고,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 상태가 유지되는 메인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기동밸브와 밸브체는 상기 감열체가 파손되기 이전에는 가스 유동홀을 통해 공급된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서로 간에 압력 평형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감열체가 파손된 이후에는 서로 간의 압력 평형 상태가 변동되어 상기 유동체의 이동에 의해 방출구를 통해 소화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동밸브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다수개가 각각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튜브는 상기 밸브체 및 기동밸브와 단독으로 연결되거나, 다수개로 이루어진 밸브체 및 기동밸브와의 연결을 위해 구비된 분기 튜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는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 대한 화재 발생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주변의 온도에 반응하는 감열체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압력 유지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감열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기동밸브;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를 탄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방출구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체의 후방에 개구된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상기 유동체에 가하여 상기 방출구를 클로즈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유동홀을 포함하는 밸브체; 및 상기 밸브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와 밀착된 동판과, 상기 동판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밸브 조립체; 및 상기 기동밸브와 니들밸브 조립체 사이를 서로 간에 연결하고,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 상태가 유지되는 메인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기동밸브와 밸브체는 상기 감열체가 파손되기 이전에는 방출구에 대한 유동체의 클로즈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감열체가 파손된 이후에는 상기 메인 튜브를 통해 공급된 압력 유지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에 의해 이동된 니들에 의해 동판이 파손되어 유동체가 이동되면서 방출구에 대한 유동체의 클로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방출구를 통한 소화 약제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공간 또는 소규모 영역에서 발생되는 화재에 대해 초기에 신속히 진화하여 대형 화재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중요 설비 및 개별 소화가 필요한 장비 근처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에 구비된 메인 튜브와 분기 튜브에 의해 소화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소화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 영역에 직접 설치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소방용 소화장치(1)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 위치되어 주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는 감열체(110)와, 상기 감열체(110)를 지지하는 지지플러그(122)와,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101)와 감열체(11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2)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방출구(101)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120)와, 상기 유동체(120)를 탄지하는 탄성체(130); 및 상기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101)로 공급하고, 상기 방출구(101)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101)와 연통된 유입구(103)와, 상기 유동체(120)와 감열체(110) 사이에 개구되고 상기 방출구(101)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개구되어 상기 저장용기(2)에 저장된 저장 압력을 상기 지지플러그(122)에 전달하는 통공(104)이 형성된 밸브체(100)를 포함한다.
밸브체(100)는 저장용기(2)의 상측에 설치되고 감열체(110)와 유동체(120)와 탄성체(130)를 포함한다.
밸브체(100)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장용기(2)와의 결합을 위해 외주면 하측에 소정의 길이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의 이동을 위해 형성된 유입구(103)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체(100)는 상기 유입구(103)와 연통된 방출구(101)를 포함한다.
감열체(110)는 밸브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는 온도 반응 물질이 내장된 유리 벌브(112)와, 상기 유리 벌브(112)를 감싸는 감열바디(114)와, 상기 감열바디(114)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체(116)를 포함한다.
감열바디(114)는 내부에 유리벌브(112)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 벌브(112)는 감열바디(114)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열바디(114)의 내측과 이격 거리를 가지고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유리 벌브(112)가 설치되는 이유는 감열바디(114)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의해 유리 벌브(112)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고 안정적인 온도 감지를 실시하기 위해서이다.
유리 벌브(112)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되는 열팽창 액체가 내장되고, 상기 열팽장 액체의 부피 팽창에 의해 유리 벌브(112)가 파손되면서 방출구(101)를 통한 소화약제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감열바디(114)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은, 구리, 황동, 베릴늄 또는 알루미늄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열거한 재질을 제외한 다른 재질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감열바디(114)는 유리 벌브(112)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보다 효과적인 열전도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개구된 슬롯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온의 공기 또는 열기류의 유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열바디(114)는 고정체(116)에 의해 유리 벌브(112)의 선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되고, 상기 고정체(116)는 상기 유리 벌브(112)를 일정한 힘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 또는 캡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리 벌브(112)를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체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유리 벌브(112)는 열팽창 액체의 부피 팽창에 따른 파손을 위해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전술한 고정체(116)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타단은 후술할 지지 플러그(122)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동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유동체(120)는 밸브체(100)의 내부에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밸브체(10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동체(120)는 후술할 탄성체(130)와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지지되고, 항시 방출구(101)를 클로즈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탄성체(130)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다.
탄성체(130)는 통상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는 다른 구조물로 대처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으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직경이 상기 홈의 내경과 유사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밸브체(100)는 유동체(120)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전술한 유동체(120)가 위치된다. 밸브체(100)는 상기 유입구(103)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유동체(120)의 후방에 개구된 공간(S1)과 연통되어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유동체(120)에 가하여 방출구(101)를 클로즈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유동홀(102)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 유동홀(102)은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유동체(120)의 내측에 가하여 상기 유동체(120)가 방출구(101)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 유동홀(102)이 1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스 유동홀(102)의 개수 및 레이아웃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2)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유동체(120)에 작용할 수 있는 구조일 경우에는 개수 및 레이아웃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밸브체(100)는 유동체(120)와 감열체(110) 사이에 개구된 통공(104)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104)의 직경은 5mm이내의 아주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통공(104)은 유리 벌브(112)의 파손에 따라 후술할 지지 플러그(122)를 일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압력만 가해질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므로 상기 유리 벌브(112)의 안정적인 작동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통공(104)은 방출구(10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출구(101)의 직경을 D라고 가정할 때 상기 통공(104)의 직경은 상기 방출구(101) 직경의 1/4 이하의 크기로 개구될 수 있다.
방출구(101)와 유입구(103)는 유사 내지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의 압력에 상관없이 상기 방출구(101)를 통한 소화 약제의 방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체(120)는 상기 유리 벌브(112)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유리 벌브(112)를 항시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플러그(1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러그(122)는 전술한 유리 벌브(112)가 파손되기 이전에 상기 유리 벌브(112)를 항시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다가 상기 유리 벌브(112)가 파손될 경우에 압력 변동에 의해 지지 플러그(112)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전술한 유입구(103)와 방출구(101)가 연통 되면서 소화약제가 방출구(101)를 통해 화재 발생 가능 구역으로 배출된다.
지지 플러그(122)는 상기 유동체(120)에 형성된 홈의 내측 중앙에 고정되고 수평 상태로 연장된 몸체부(122a)와, 상기 몸체부(122a)의 외측에 형성되고 유리 벌브(112)의 외측과 접촉되는 안착홈(122b)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122b)은 유리 벌브(112)의 외측이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의한 소화장치는 앞서 설명한 소화 장치와는 다르게 소화 약제가 저장된 저장용기와 화재 발생 상태를 감지하는 기동밸브가 메인 튜브를 매개로 분리된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동밸브의 설치 위치를 임의의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소화장치(1a)는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서 화재 발생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주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는 감열체(210)와, 상기 감열체(210)를 지지하는 지지체(220)를 포함하는 기동밸브(200)와,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101a)를 상기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에 의해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와(120a)와, 상기 유동체(120a)를 탄지하는 탄성체(130a)와, 상기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101a)로 공급하고, 상기 방출구(101a)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101a)와 연통된 유입구(103a)와, 상기 유입구(103a)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체(120a)의 후방에 개구된 공간(S2)과 연통되어 상기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상기 유동체(120a)에 가하여 상기 방출구(101a)를 클로즈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유동홀(102a)을 포함하는 밸브체(100a)와, 상기 기동밸브(200)와 밸브체(100a) 사이를 서로 간에 연결하고, 상기 저장 용기(2)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 상태가 유지되는 메인 튜브(300)를 포함하되, 상기 기동밸브(200)와 밸브체(100a)는 상기 감열체(210)가 파손되기 이전에는 가스 유동홀(102a)을 통해 공급된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에 의해 서로 간에 압력 평형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감열체(210)가 파손된 이후에는 서로 간의 압력 평형 상태가 변동되어 상기 유동체(120a)의 이동에 의해 방출구(101a)를 통해 소화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동밸브(2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 단일 설치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특별히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기동밸브(200)는 감열체(210)와 지지체(220)를 포함하고, 상기 감열체(21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는 온도 반응 물질이 내장된 유리 벌브(212)와, 상기 유리 벌브(212)를 감싸는 감열바디(214)와, 상기 감열바디(214)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체(216)를 포함한다.
감열바디(214)는 내부에 유리 벌브(212)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 벌브(212)는 감열바디(214)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열바디(214)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유리 벌브(212)가 설치되는 이유는 감열바디(214)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의해 유리 벌브(212)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고 안정적인 온도 감지를 실시하기 위해서이다.
유리 벌브(212)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되는 열팽창 액체가 내장되고, 상기 열팽장 액체의 부피 팽창에 의해 유리 벌브(212)가 파손되면서 소화약제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감열바디(214)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은, 구리, 황동, 베릴늄 또는 알루미늄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열한 재질를 제외하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다른 재질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감열바디(214)는 고정체(216)에 의해 유리 벌브(212)의 선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되고, 상기 고정체(216)는 상기 유리 벌브(212)를 일정한 힘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 또는 캡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리 벌브(212)를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체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지지체(220)는 상기 유리 벌브(212)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유리 벌브(212)를 항시 지지하고 있는 몸체부(224)와, 상기 몸체부(224)의 외측에 형성되고 유리 벌브(212)의 외측과 접촉되는 안착홈(222)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222)은 유리 벌브(212)의 외측이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체(220)는 상기 유리 벌브(212)를 항시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다가 상기 유리 벌브(212)가 파손될 경우에 압력 변동에 의해 지지체(22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유입구(103a)와 방출구(101a)가 연통 되면서 소화약제가 방출구(101a)를 통해 화재 발생 구역으로 배출된다.
밸브체(100a)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장용기(2)와의 결합을 위해 외주면 하측에 소정의 길이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의 이동을 위해 형성된 유입구(103a)와, 상기 유입구(103a)와 연통된 방출구(101a)를 포함한다.
밸브체(100a)는 유동체(120a)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전술한 유동체(120a)가 위치된다. 밸브체(100a)는 가스 유동홀(102a)을 통해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유동체(120a)의 내측과 메인튜브(300)를 통해 지지체(220)에 가해진다.
밸브체(100a)는 유동체(120a)와 후술할 플랜지 너트(302) 사이에 개구된 통공(104)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104)의 직경은 5mm이내의 아주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통공(104)은 유리 벌브(212)의 파손에 따라 후술할 지지 플러그(224)를 일측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압력만 가해질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므로 상기 유리 벌브(212)의 안정적인 작동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통공(104)은 방출구(101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출구(101)의 직경을 D라고 가정할 때 상기 통공(104)의 직경은 상기 방출구(101) 직경의 1/4 이하의 크기로 개구될 수 있다.
방출구(101a)와 유입구(103)는 유사 내지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의 압력에 상관없이 상기 방출구(101a)를 통한 소화 약제의 방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 유동홀(102a)은 1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스 유동홀(102a)의 개수 및 레이아웃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 유동홀(102a)을 통해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유동체(120a)의 내측에 가해지면서 상기 유동체(120a)가 방출구(101a)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 유동홀(102a)은 저장용기(2)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유동체(120a)에 작용할 수 있는 구조일 경우라면 개수 및 레이아웃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유동체(120a)는 전술한 가스 유동홀(102a)을 통해 유입된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방출구(101a)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기동밸브(200)의 유리 벌브(212)가 파손되는 경우에만 압력 균형 상태가 변동되면서 도면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되며 방출구(101a)를 통해 소화 약제가 배출된다.
탄성체(130a)는 통상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는 다른 구조물로 대처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으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직경이 상기 홈의 내경과 유사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튜브(300)는 상기 밸브체(100a) 및 기동밸브(200)와 연결되는 플랜지 너트(302)를 포함한다. 플랜지 너트(302)는 밸브체(100a)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의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체를 향해 회전될수록 밀착 상태가 유지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메인 튜브(300)는 단독으로 연결되거나, 다수개로 이루어진 밸브체 및 기동밸브와의 연결을 위해 구비된 분기 튜브(310)를 더 포함한다.
분기 튜브(31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방용 소화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의한 소화장치는 앞서 설명한 소화 장치와는 다르게 기동밸브가 압력 유지 용기와 연결된 상태로 저장용기와 멀리 떨어진 조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소화장치(1b)는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 대한 화재 발생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주변의 온도에 반응하는 감열체(210b)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압력 유지 용기(3) 내부의 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감열체(210b)를 지지하는 지지체(220b)를 포함하는 기동밸브(200b)와,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101b)를 상기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에 의해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102b)와, 상기 유동체(102b)를 탄지하는 탄성체(130b)와, 상기 방출구(101b)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101b)와 연통되며 상기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101b)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105b)와, 상기 유입구(105b)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체(102b)의 후방에 개구된 공간(S3)과 연통되어 상기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상기 유동체(102b)에 가하여 상기 방출구(101b)를 클로즈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유동홀(104b)을 포함하는 밸브체(100b); 상기 밸브체(100b)의 일측과 결합되는 커넥터(106a)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100b)와 밀착된 동판(103b)과, 상기 동판(103b)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니들(106b)을 포함하는 니들 밸브 조립체(106); 및 상기 기동밸브(100b)와 니들밸브 조립체(106) 사이를 서로 간에 연결하고, 상기 저장 용기(2)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 상태가 유지되는 메인 튜브(300b)를 포함하되, 상기 기동밸브(200b)와 밸브체(100b)는 상기 감열체(210b)가 파손되기 이전에는 방출구(101b)에 대한 유동체(102b)의 클로즈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감열체(210b)가 파손된 이후에는 상기 메인 튜브(300b)를 통해 공급된 압력 유지 용기(3) 내부의 가스 압력에 의해 이동된 니들(106b)에 의해 동판(103b)이 파손되어 유동체(102b)가 이동되면서 방출구(101b)에 대한 유동체(102b)의 클로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방출구(101b)를 통한 소화 약제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기동밸브(200b)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서 발생된 화재에 의해 주위의 상승된 온도 또는 열기류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감열체(210b)와 지지체(220b)를 포함하고, 상기 감열체(210b)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는 온도 반응 물질이 내장된 유리 벌브(212b)와, 상기 유리 벌브(212b)를 감싸는 감열바디(214b)와, 상기 감열바디(214b)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체(216b)를 포함한다.
지지체(220b)는 상기 유리 벌브(212b)가 파손되기 이전까지 압력 유지 용기(3)에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유리 벌브(212b)를 소정의 압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체(220b)는 상기 유리 벌브(212b)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유리 벌브(212b)를 항시 지지하고 있는 몸체부(222b)와, 상기 몸체부(222b)의 외측에 형성되고 유리 벌브(212b)의 외측과 접촉되는 안착홈(224b)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224b)은 유리 벌브(212b)의 외측이 안착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체(220b)는 상기 유리 벌브(212b)를 항시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다가 상기 유리 벌브(212b)가 파손될 경우에는 압력 변동에 의해 지지체(220b)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소화 약제가 내장된 저장 용기(2)에서 방출구(101b)를 통해 화재 발생 구역으로 배출된다. 상기 저장 용기(2)에 설치된 밸브체(100b)의 구성은 앞서 실시예에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밸브체(100b)는 내부에 좌, 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유동체(102b)와, 상기 유동체(102b)를 기준으로 밸브체(100b)의 우측에 구비된 박판 형태의 동판(103b)을 포함한다. 동판(103b)은 니들(106b)의 직경 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니들(106b)과 동일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밸브체(100b)의 우측에 나사 결합된 커넥터(106a)를 매개로 메인 튜브(300b)의 단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동판(103b)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니들(106b)이 구비된 니들밸브 조립체(106)를 포함한다.
니들(106b)은 원주 방향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유리 벌브(212b)가 파손되기 이전에 메인 튜브(300b)의 단부를 항시 클로즈 시킨 상태로 유지시킨다.
니들(106b)은 선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면에 도시된 단면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니들(106b)은 유리 벌브(212b)의 파손에 의해 메인 튜브(300b)를 통해 공급된 압력 유지 용기(3)의 압력에 의해 도면 기준 좌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된 니들(106b)에 의해 동판(103b)이 파손되면서 유동체(102b)의 이동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방출구(101b)를 통한 소화 약제의 방출이 이루어진다.
니들밸브 조립체(106)는 동판(103b)이 니들(106b)에 의해 파손될 경우에 유동체(102b)를 기준으로 우측에 공급된 가스가 배출되는 밸브공을 포함하고, 상기 니들밸브 조립체(106)와 메인 튜브(300b)가 연결된 하측 단부에는 상기 압력 유지 용기(3)에서 공급된 가스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캡(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화장치의 작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소화장치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소공간의 천정 또는 벽에 직접 설치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소화장치(1)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 또는 소공간에 설치되고, 감열체(110)를 통해 소공간 내부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며 화재 발생 이전에는 유동체(120)에 의해 방출구(101)가 클로즈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소공간에 소화 약제가 배출되지 않는다.
만약 상기 소공간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소화장치(1)가 설치된 주위의 온도가 상승 되거나 고온의 열기류가 이동되어 감열체(110)를 통해 전도가 이루어진다.
감열바디(114)는 주위의 온도 또는 열기류에 의해 열이 전도되면서 소정의 온도로 상승 되고 내측에 위치한 유리 벌브(112)에 열이 전도된다. 그리고, 열팽창 액체가 유리 벌브(112)의 한정된 체적 내부에서 팽창되다가 더 이상 팽창 가능한 공간이 없을 경우에 유리 벌브(112)는 파손된다.
유동체(120)는 탄성체(130) 및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방출구(101)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키다가, 상기 유리 벌브(112)의 파손에 의해 통공(104)을 클로즈 상태로 유지하던 지지 플러그(122a)가 도면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유동체(120) 전체는 가스 유동홀(102)을 통해 가해진 압력에 의한 압력 평형 상태가 해제되면서 탄성체(130)를 탄성 압축시키면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는 유입구(103)를 경유하여 방출구(101)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소공간에 배출되면서 화재를 초기에 안정적으로 진압하여 주위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화장치의 작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기동밸브는 화재가 발생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주변의 온도 및 열기류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저장용기는 메인튜브를 매개로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이격 설치된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소화장치(1a)와 기동밸브(200)는 메인튜브(300)에 구비된 분기튜브(310)를 매개로 소공간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기동밸브(200)를 통해 상기 소공간 내부의 온도 변화가 감지된다.
소화장치(1a)는 기동밸브(200)와 함께 설치되지 않고 분기 튜브(310)를 매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거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배전반 주위에 설치된다.
만약 상기 소공간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기동밸브(200)가 설치된 주위의 온도가 상승되거나 고온의 열기류가 발생되고 상기 감열체(210)에 그대로 열이 전도된다.
감열바디(214)는 주위의 온도 또는 열기류에 의해 열이 전도되면서 소정의 온도로 상승되고 내측에 위치한 유리 벌브(212)에 열이 전도된다. 그리고, 열팽창 액체가 유리 벌브(212)의 한정된 체적 내부에서 팽창되다가 더 이상 팽창 가능한 공간이 없을 경우에 유리 벌브(212)는 파손된다.
첨부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동체(120a)는 탄성체(130a) 및 저장용기(2)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방출구(101a)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유리 벌브(212)의 파손에 의해 일측으로 몸체부(224)가 완전히 이동되면서 상기 유동체(120a) 전체는 탄성체(130a)를 탄성 압축시키면서 일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 약제는 유입구(103a)를 경유하여 방출구(101a)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소공간에 배출되면서 화재를 초기에 안정적으로 진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화장치의 작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소화장치는 앞서 설명한 소화장치와는 다르게 기동밸브를 지지하는 매개체로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는 압력 유지 용기가 사용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기동장치(1b)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기동밸브(200b)가 소공간의 벽 또는 천정에 설치되거나 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동밸브(200b)를 통해 주위의 온도가 감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감열체(210b)는 압력 유지 용기(3)의 내부 압력에 의해 도면 기준으로 우측으로 항시 가압 상태가 유지되는 몸체부(222b)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소화장치(1b)가 설치된 소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는 감열 바디(214b)를 통해 고온의 열이 유리 벌브(212b)로 전도되고 열팽창 액체의 부피 팽창이 이루어진다.
유리 벌브(212b)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열팽창 액체의 팽창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된다. 그러면 지지체(220b)가 도면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메인튜브(300b)를 통해 공급된 압력 유지 용기(3)의 압력이 니들(106b)에 공급되고, 상기 니들(106b)은 공급된 압력에 의해 도면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향해 순간적으로 이동되어 동판(103b)을 파손시킨다. 참고로 압력 유지 용기(3)에서 공급된 압력은 캡(4)에 의해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니들(106b)에 모두 전달된다.
상기 동판(103b)이 파손되면서 상기 유동체(102b)의 우측 영역에 잔존하는 가스는 밸브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유동체(102b)는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저장용기(2)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방출구(101b)를 통해 외측으로 방출되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저장용기
3 : 압력 유지 용기
100, 100a, 100b: 밸브체
110, 210, 210b : 감열체
112, 212 : 유리 벌브
114, 214 : 감열바디
116. 216 : 고정체
120, 120a : 유동체
130, 130a : 탄성체
200, 200b : 기동밸브
220, 220b : 지지체
300, 300b : 메인 튜브

Claims (8)

  1.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 위치되어 주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는 감열체;
    상기 감열체를 지지하는 지지플러그;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와 감열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방출구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
    상기 유동체를 탄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로 공급하고, 상기 방출구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와 연통된 유입구와, 상기 유동체와 감열체 사이에 개구되고 상기 방출구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개구되어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저장 압력을 상기 지지플러그에 전달하는 통공이 형성된 밸브체를 포함하는 소방용 소화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체는,
    상기 밸브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는 열팽창 액체가 내장된 유리 벌브;
    상기 유리 벌브를 감싸는 감열바디;
    상기 감열바디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체를 포함하는 소방용 소화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벌브는,
    상기 감열바디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소화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입구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유동체의 후방에 개구된 공간과 연통되어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유동체에 가하여 방출구를 클로즈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유동홀을 포함하는 소방용 소화장치.
  5.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서 화재 발생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주변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는 감열체와, 상기 감열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기동밸브;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를 탄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로 공급하고, 상기 방출구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와 연통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체의 후방에 개구된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상기 유동체에 가하여 상기 방출구를 클로즈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유동홀을 포함하는 밸브체;
    상기 기동밸브와 밸브체 사이를 서로 간에 연결하고,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 상태가 유지되는 메인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기동밸브와 밸브체는,
    상기 감열체가 파손되기 이전에는 가스 유동홀을 통해 공급된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서로 간에 압력 평형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감열체가 파손된 이후에는 서로 간의 압력 평형 상태가 변동되어 상기 유동체의 이동에 의해 방출구를 통해 소화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소화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밸브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다수개가 각각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소화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튜브는,
    상기 밸브체 및 기동밸브와 단독으로 연결되거나, 다수개로 이루어진 밸브체 및 기동밸브와의 연결을 위해 구비된 분기 튜브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소화장치.
  8.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발생 가능 영역에 대한 화재 발생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주변의 온도에 반응하는 감열체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압력 유지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감열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기동밸브;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클로즈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를 탄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방출구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방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구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체의 후방에 개구된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상기 유동체에 가하여 상기 방출구를 클로즈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스 유동홀을 포함하는 밸브체; 및
    상기 밸브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와 밀착된 동판과, 상기 동판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밸브 조립체; 및
    상기 기동밸브와 니들밸브 조립체 사이를 서로 간에 연결하고,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 상태가 유지되는 메인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기동밸브와 밸브체는,
    상기 감열체가 파손되기 이전에는 방출구에 대한 유동체의 클로즈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감열체가 파손된 이후에는 상기 메인 튜브를 통해 공급된 압력 유지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에 의해 이동된 니들에 의해 동판이 파손되어 유동체가 이동되면서 방출구에 대한 유동체의 클로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방출구를 통한 소화 약제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소화장치.
KR1020110109752A 2011-10-26 2011-10-26 소방용 소화장치 KR10135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752A KR101355831B1 (ko) 2011-10-26 2011-10-26 소방용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752A KR101355831B1 (ko) 2011-10-26 2011-10-26 소방용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03A KR20130045503A (ko) 2013-05-06
KR101355831B1 true KR101355831B1 (ko) 2014-01-27

Family

ID=4865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752A KR101355831B1 (ko) 2011-10-26 2011-10-26 소방용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406A (ko) * 2019-07-02 2021-01-12 김재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KR20210041385A (ko) * 2019-10-07 2021-04-15 안상수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638B1 (ko) * 2016-04-04 2017-02-20 (주)포트텍 소화기용 밸브 장치
KR102075026B1 (ko) * 2018-07-11 2020-02-07 하상균 화재 진압 무인기 탑재형 투척용 소화기
KR102211827B1 (ko) 2019-07-15 2021-02-03 정상규 가스계 자동 소화장치용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시스템
CN110519495B (zh) * 2019-08-26 2021-01-19 湖州海明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防尘散热型监控器
CN114344771B (zh) * 2021-12-13 2022-11-08 武汉水院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高层建筑约束空间的灭火装置
KR102704136B1 (ko) * 2024-05-27 2024-09-06 주식회사 에프엠티 소화범위 확장형 자동 소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469A (ko) * 2007-11-13 2009-05-18 송술섭 고압가스용 밸브
KR20090096022A (ko) * 2008-03-07 2009-09-10 (주)이엔쓰리 스프링클러 헤드
KR20110021450A (ko) * 2009-08-26 2011-03-04 김성호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469A (ko) * 2007-11-13 2009-05-18 송술섭 고압가스용 밸브
KR20090096022A (ko) * 2008-03-07 2009-09-10 (주)이엔쓰리 스프링클러 헤드
KR20110021450A (ko) * 2009-08-26 2011-03-04 김성호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406A (ko) * 2019-07-02 2021-01-12 김재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KR102245452B1 (ko) * 2019-07-02 2021-04-27 김재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KR20210041385A (ko) * 2019-10-07 2021-04-15 안상수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KR102307367B1 (ko) * 2019-10-07 2021-09-30 안상수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03A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831B1 (ko) 소방용 소화장치
US7143834B2 (en) Sprinkler assembly
US10556139B2 (en) Network-type temperature-controlled hanging extinguishing system
KR101069939B1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US6851482B2 (en) Sprinkler assembly
US10201723B2 (en) Dry pipe/deluge valve for automatic sprinkler systems
CN101500660A (zh) 干式喷洒器组件
KR102009371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US2016033928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212984B1 (ko) 소방기기의 스마트 헤드 자동작동장치
JP2009207630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及び湿式の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012029764A (ja) 放水継手
US5564505A (en) Sprinkler mounted to pivotable conduit
KR100943440B1 (ko) 무인 자동 소화기
KR101053637B1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JP4949915B2 (ja) 閉鎖型消火ヘッド
KR102211827B1 (ko) 가스계 자동 소화장치용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시스템
KR101505897B1 (ko) 과유량 자동차단장치를 이용한 복합 소화시스템
JP2015083067A (ja) 放水継手
RU2754440C1 (ru)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ая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пожаротушащая система
RU2754439C1 (ru)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ожаротушащей системы
KR20020042784A (ko) 감열 개방식 밸브와 이를 이용한 살수패튼 형성장치,물분무패튼 형성장치 및 lpg 탱크로리 자동폭발방지장치
KR102580130B1 (ko) 소공간용 소화용구
JPH0650667U (ja) 一斉開放弁
KR101999487B1 (ko)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 연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122

Effective date: 201507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