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452B1 -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452B1
KR102245452B1 KR1020190079145A KR20190079145A KR102245452B1 KR 102245452 B1 KR102245452 B1 KR 102245452B1 KR 1020190079145 A KR1020190079145 A KR 1020190079145A KR 20190079145 A KR20190079145 A KR 20190079145A KR 102245452 B1 KR102245452 B1 KR 102245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ulb
extinguishing agent
injection
fire extinguishi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406A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riority to KR102019007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4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는 화재 예상 구역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통로인 소화약제 공급관; 상기 소화약제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통로인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 내부에 상기 공급관과 상기 분사관과 연결되는 공급유로를 구비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밸브디스크와, 상기 밸브디스크의 단부에 지지되는 볼과, 일부가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볼이 수용되는 볼 수용체와, 일부는 상기 볼 수용체에 삽입되어 상기 볼의 단부에 지지되는 유리벌브 지지대와,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에 지지되는 유리벌브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with outstanding confidence}
본 발명은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감지수단이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밸브작동에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소화장치는 화재 예상 지역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소화약제를 자동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 소화장치는 소화약제가 충전되고 분사구가 화재 예상 지역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소화기와, 상기 소화기의 상부에 결합된 밸브와, 화재 감지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폐하여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화재감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동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시에 화재감지수단에 의한 감지작동으로 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소화기 내부의 소화약제가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면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게 된다. 이때, 화재감지수단은 열 또는 연기 감지센서가 적용되거나 화재로 인한 열이나 충격에 의해 파괴가능한 유리벌브 등이 이용된다.
유리벌브가 파괴되면 유리벌브를 지지하고 있던 유리벌브 지지대는 밸브디스크에 밀려 이탈되고, 밸브디스크는 소화약제가 분출되는 공급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소화약제는 공급유로를 통해 분사된다.
그러나, 밸브디스크가 유리벌브 지지대를 밀 때 유리벌브 지지대가 이탈되지 않아 밸브디스크가 공급유로를 완전히 개방하지 못하고, 소화약제의 일부가 유리벌브 지지대 측으로 배출됨으로써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약제의 양이 줄어드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화재를 진화하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6669호(2014.08.06.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리벌브가 파손되었을 때 유리벌브 지지대가 프레임에서 확실하게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소화약제가 최대한 골고루 분사되도록 하는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는 화재 예상 구역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통로인 소화약제 공급관; 상기 소화약제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통로인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 내부에 상기 공급관과 상기 분사관과 연결되는 공급유로를 구비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밸브디스크와, 상기 밸브디스크의 단부에 지지되는 볼과, 일부가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볼이 수용되는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볼의 단부에 지지되는 유리벌브 지지대와,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의 타단에 지지되는 유리벌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유리벌브를 강재로 파괴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는 상기 유리벌브의 일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유리벌브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의 단부는 유리벌브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과 맞닿을 때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에서 미끄러지도록 나선형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분사관이 연결되는 반대측에는 다른 헤드부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소화약제가 상측으로 분사되도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 1분사구와, 상기 소화약제가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2분사구와, 상기 소화약제가 측면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 3분사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 1분사구가 상측으로 경사진 각도는 10°에서 20°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볼과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벌브가 파괴되면 상기 밸브디스크는 상기 수용공간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에 의하면, 유리벌브가 파손되었을 때 유리벌브 지지대가 프레임에서 확실하게 이탈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소화약제가 최대한 골고루 분사됨으로써 화재를 진화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에서 하우징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에서 하우징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유리벌브를 지지하는 유리벌브 지지대의 사시도.
도 5는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6은 복수개의 자동소화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의 상태도.
도 7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밸브의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에서 하우징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에서 하우징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10)는 화재 예상 구역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100)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통로인 소화약제 공급관(200); 상기 소화약제 공급관(200)에서 공급되는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통로인 분사관(300); 상기 분사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400); 내부에 상기 공급관(200)과 상기 분사관(300)과 연결되는 공급유로(510)를 구비하는 헤드부(500)를 구비한다.
한편, 헤드부(500)에는 상기 공급유로(510)를 개폐하는 밸브(600)가 구비된다. 밸브(60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공급유로(510)를 개방하여 하우징(100)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소화약제 공급관(200), 분사관(300) 및 분사노즐(40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분말약제 형태의 소화약제가 충전되는데, 이러한 분말약제 형태의 소화약제는 불꽃과 반응하여 열분해되면서 생성되는 물질에 의해 연소반응차단(부촉매효과, 억제), 질식, 냉각, 방진효과 등을 통해 화재를 진압하는 약제이다. 이러한 소화약제는 방습가공을 한 나트륨 및 칼륨의 중탄산염 또는 인산염류 등 그 밖의 방염성능을 가진 염류(鹽類)를 주성분으로 제1종 분말(중탄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한 것, NaHCO3), 제2종분말(중탄산칼륨을 주성분으로 한 것, KHCO3), 제3종분말(인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한 것, NH4H2PO4), 제4종 분말(제2종과 요소를 혼합한 것, KC2N2H3O3)로 분류된다.
소화약제는 질소가스압에 의해 자동으로 확산가능하게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다. 하우징(100)은 이러한 질소 충전에 의한 내부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헤드부(500)가 구비되는데, 헤드부(500)에는 하우징(100), 소화약제 공급관(200), 분사관(300), 밸브(600) 등 다양한 구성이 결합된다.
한편, 헤드부(500)에는 지시압력계(800)가 설치되는데, 이 지시압력계(800)는 질소 충전에 따른 하우징(100)의 내부압력을 검출하여 정상압력상태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지시하는 것으로, 통상의 부르동관 압력계(Bourdontube pressure gage, Rohrenfeder manometer)로 형성된다. 또한 내부압력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지시바늘을 구비하는데, 지시바늘이 적색부분을 지시하면 비정상압력 상태를 나타내고 녹색부분을 지시하면 정상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헤드부(500) 구비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공급유로(510)를 개방하여 분사관(300) 및 분사노즐(400)을 통해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밸브(600)에 대해 설명한다.
밸브(600)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공급유로(510)를 폐쇄하고 있는 밸브디스크(610)와, 상기 밸브디스크(610)의 단부에 지지되는 볼(620)과, 일부가 상기 헤드부(500)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볼(620)이 수용되는 프레임(630)과, 일단이 상기 프레임(630)에 삽입되어 상기 볼(620)의 단부에 지지되는 유리벌브 지지대(640)와,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타단에 지지되는 유리벌브(650)를 구비한다.
밸브디스크(610)는 공급유로(510)에서 소화약제 공급관(200) 측을 막음으로 하우징(100)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분사관(30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몸체부(611)와, 몸체부(61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로드부(612)를 구비한다. 한편, 몸체부(611)에는 공급유로(510)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오링(613)이 설치된다. 따라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밸브디스크(610)의 로드부(612)에 지지되는 볼(620)은 구체로 형성되며, 높은 강도를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620)은 밸브디스크(610)와 유리벌브 지지대(640) 사이에 게재되어 밸브디스크(610)의 로드부(612) 길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밸브디스크(610)의 로드부(612)의 길이가 짧게 형성됨에 따라 유리벌브(650)가 파괴될 경우 밸브디스크(610)와 프레임(630) 사이에 유리벌브 지지대(640)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밸브디스크(610)와 유리벌브 지지대(640) 사이에 게재된 볼(620)에 의해 유리벌브 지지대(640)가 프레임(630)에서 이탈되기 쉽게 된다.
프레임(630)은 중앙부가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지지암(63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630)의 상단부에는 유리벌브(650)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부(632)가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630)의 내부에는 볼(620)과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635)이 형성된다. 수용공간(635)은 프레임(630)의 하부에서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리벌브(650)의 상단은 프레임(630)의 지지부(632)에 의해 지지되고, 유리벌브(650)의 하단은 유리벌브 지지대(640)에 의해 지지된다.
도 4는 유리벌브(650)를 지지하는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리벌브 지지대(640)는 유리벌브(650)의 일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유리벌브 수용홈(641)을 구비한다. 따라서 유리벌브(650)의 하단부가 유리벌브 수용홈(641)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하단부는 볼(620)에 지지되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며,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상단부는 유리벌브 지지대(640)가 프레임(630)과 맞닿을 때 유리벌브 지지대(640)가 프레임(630)에서 미끄러지도록 나선형면(642)을 구비한다.
유리벌브(650)가 파괴되는 경우, 하우징(100)에 충진된 질소가스압에 의해 밸브디스크(610)가 상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유리벌브 지지대(640)도 상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상단부가 프레임(630)과 맞닿게 되는데,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상단부가 나선형면(642)을 구비함으로써 프레임(630)과 맞닿았을 때 미끄러져 유리벌브 지지대(640)가 프레임(630)에서 이탈되기 쉽도록 한다.
한편, 유리벌브 지지대(640)에 의해 지지되는 유리벌브(650)는 일정 온도(68℃)에서 파괴되는 일종의 감열재(감열센서)로, 화재 발생에 의해 일정 온도(68℃)가 감지될 경우에 자체 파괴에 의해 공급유로(510)를 개방시킴에 따라 소화약제가 질소가스압에 의해 분사관(300) 및 분사노즐(40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유리벌브(650)는 유리구 내에 액체나 기체가 봉입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유리벌브(65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일정 온도 이상에서 자연적으로 파괴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유리벌브(650)를 강재로 파괴시키는 액추에이터(7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추에어터(700)는 헤드부(500)와 결합되는 본체(710)와, 본체(710) 내부에 수용되어 후방으로 탄성편향되게 설치되고 본체(7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압축공기 공급홀(740)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720)과, 피스톤(720)의 전방에 구비되어 피스톤(720)이 미는 압력에 의해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유리벌브(650)를 파열시키는 작동핀(7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액추에어터(700)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유리벌브(650)의 파괴를 확실히 할 수 있어 자동소화장치(10)의 동작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분사관(3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분사노즐(400)은 소화약재 공급관(200) 및 분사관(300)을 통해 이동한 소화약제가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골고루 분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5는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사노즐(400)은 소화약제가 상측으로 분사되도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 1분사구(410)와, 상기 소화약제가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2분사구(420)와, 상기 소화약제가 측면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노즐(40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 3분사구(430)를 구비한다.
제 1분사구(410)는 분사노즐(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복수개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 1분사구(410) 중에서 일부는 상측으로 10°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고, 일부는 상측으로 15°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 1분사구(410)는 상측으로 경사진 각도는 10°에서 20°사이에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분사구(420)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1개의 개구부로 형성되는데,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제 3분사구(430)는 분사노즐(400)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분사노즐(400)의 사방으로 소화약제가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10)는 1개씩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자동소화장치(10)가 상호 연동되어 사용될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500)에서 분사관(300)이 연결되는 반대측에 자동소화장치의 다른 헤드부(5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유로(530)가 구비된다. 연결유로(530)는 자동소화장치(10) 1대가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마개(540)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하지만, 2개 또는 그 이상의 자동소화장치(10)를 서로 상호 연동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마개(540)를 개방하고 연결유로(530)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개의 자동소화장치(10)가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의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자동소화장치(10)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 각 자동소화장치(10)의 헤드부(500)에 형성된 연결유로(530)를 연결관(900)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자동소화장치(10)를 연결관(900)으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일측 자동소화장치(10)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연결관(900)에 의해 연결된 다른 자동소화장치(10)도 순차적으로 밸브(600)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소화장치(10)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밸브(600)의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유리벌브(650)는 화재에 의해 파괴되거나 액추에이터(700)에 의해 파괴된다.
유리벌브(650)가 파괴되면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상부를 지지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상단과 프레임(630)에 형성된 지지부(632)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하우징(100)에 충진된 질소가스압에 의해 밸브디스크(6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밸브디스크(61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볼(620)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볼(620)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볼(620)에 지지되어 있는 유리벌브 지지대(640)도 상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상단부가 프레임(630)과 맞닿게 되는데, 유리벌브 지지대(640)의 상단부가 나선형면(642)을 구비함으로써 프레임(630)의 지지부(632) 맞닿았을 때 미끄러져 유리벌브 지지대(640)가 프레임(630)에서 이탈된다.
유리벌브 지지대(640)가 프레임(630)에서 먼저 이탈되고, 볼(620)도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프레임(630)에 형성된 수용공간(635)를 벗어나 프레임(630)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밸브디스크(610)의 로드부(612)는 프레임(630)에 형성된 수용공간(635) 내부로 삽입되고, 밸브디스크(610)의 몸체부(611)는 프레임(630)의 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디스크(610)의 몸체부(611)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프레임(630)에 형성된 수용공간(635)을 완전히 차단함과 동시에 헤드부(500) 내부에 형성된 공급유로(510)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화약제 공급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약제는 프레임(630)에 형성된 수용공간(635) 쪽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모두 공급유로(510)를 거쳐 분사관(300)으로 이동한 후 분사노즐(400)을 통해 자동으로 분사됨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자동소화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자동소화장치 100: 하우징
200: 소화약제 공급관 300: 분사관
400: 분사노즐 500: 헤드부
600: 밸브 610: 밸브디스크
620: 볼 630: 프레임
635: 수용공간 640: 유리벌브 지지대
650: 유리벌브 700: 액추에이터
800: 지시압력계 900: 연결관

Claims (7)

  1. 화재 예상 구역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통로인 소화약제 공급관;
    상기 소화약제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통로인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
    내부에 상기 공급관과 상기 분사관과 연결되는 공급유로를 구비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밸브디스크와,
    상기 밸브디스크의 단부에 지지되는 볼과,
    일부가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상기 볼이 수용되는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볼의 단부에 지지되는 유리벌브 지지대와,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의 타단에 지지되는 유리벌브를 구비하고,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는 상기 유리벌브의 일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유리벌브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의 단부는 유리벌브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과 맞닿을 때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에서 미끄러지도록 나선형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유리벌브를 강재로 파괴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분사관이 연결되는 반대측에는 다른 헤드부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소화약제가 상측으로 분사되도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 1분사구와,
    상기 소화약제가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2분사구와,
    상기 소화약제가 측면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 3분사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1분사구가 상측으로 경사진 각도는 10°에서 20°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볼과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벌브가 파괴되면 상기 밸브디스크는 상기 수용공간을 완전히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KR1020190079145A 2019-07-02 2019-07-02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KR102245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145A KR102245452B1 (ko) 2019-07-02 2019-07-02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145A KR102245452B1 (ko) 2019-07-02 2019-07-02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406A KR20210003406A (ko) 2021-01-12
KR102245452B1 true KR102245452B1 (ko) 2021-04-27

Family

ID=7412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145A KR102245452B1 (ko) 2019-07-02 2019-07-02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115B1 (ko) * 2021-09-15 2022-07-07 김재창 기능성 소화기 자동분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223B1 (ko) * 2012-01-27 2013-04-05 최윤잠 다방향 방사노즐이 구비된 소화기
KR101355831B1 (ko) * 2011-10-26 2014-01-27 (주)포트텍 소방용 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7576A (ko) * 2013-09-04 2015-03-12 티제이티(주) 자동화연동소화장치
KR101426669B1 (ko) 2014-01-03 2014-08-06 박득재 스프링클러설비의 동파방지를 위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31B1 (ko) * 2011-10-26 2014-01-27 (주)포트텍 소방용 소화장치
KR101252223B1 (ko) * 2012-01-27 2013-04-05 최윤잠 다방향 방사노즐이 구비된 소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406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452B1 (ko) 신뢰성이 뛰어난 자동소화장치
KR101647985B1 (ko) 투척형 구형 소화기
JP2008522696A (ja) 消火器容器内の加圧ガスの効率を高めるための装置
CN113209520A (zh) 洁净型非储压灭火器
KR101355831B1 (ko) 소방용 소화장치
KR20160136024A (ko) 무인 비행장치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BR102012031459A2 (pt) Mecanismo de abertura de válvula de descarga de alto regime (hrd) para proteção contra incêndio e explosão
EP3329970B1 (en) Safety system for fire suppressant distribution devices
KR20110021450A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AU2002345115A1 (en) Sprinkler
KR101944821B1 (ko) 양단이 곡선형인 소화탄
CA2449036A1 (en) Sprinkler
CN103611226A (zh) 灭火喷射装置和采用该灭火喷射装置的灭火器
KR102159957B1 (ko) 주방용 자동 방재 시스템
KR102024746B1 (ko) 자동소화장치
KR102317122B1 (ko) 능동형 감압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소화시스템
KR101896212B1 (ko) 연동식 자동 및 수동 소화장치
KR101562168B1 (ko)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KR20170079262A (ko) 연동식 자동 소화장치
KR102483375B1 (ko) 소화탄
KR200312628Y1 (ko) 천정부착형 소화기의 약제 확산 밸브
KR101328815B1 (ko) 유리벌브 파열장치
JP3241198U (ja) 消火装置
KR20100000568U (ko) 스프링클러 소화기
JP6232255B2 (ja) 放水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