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367B1 -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367B1
KR102307367B1 KR1020190124022A KR20190124022A KR102307367B1 KR 102307367 B1 KR102307367 B1 KR 102307367B1 KR 1020190124022 A KR1020190124022 A KR 1020190124022A KR 20190124022 A KR20190124022 A KR 20190124022A KR 102307367 B1 KR102307367 B1 KR 102307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adapter
percussion
trigger
fire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385A (ko
Inventor
안상수
Original Assignee
안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수 filed Critical 안상수
Priority to KR102019012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3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2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e.g. rods, levers

Abstract

화재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된 저장용기의 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는, 저장용기의 출구에 결합되는 소켓과, 소켓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일단에 어댑터 체결부가 형성된 격발 하우징과,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임의 높이에 둘레방향으로 스프링 지지구가 형성되고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탄동되는 탄성편들로 구성된 탄성 절개부를 구비하는 격발부재와, 격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격발부재를 저장용기 출구 방향으로 탄성 작동시키기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격발스프링과, 격발부재의 일단에 동축 결합되는 격발핀과, 격발 하우징의 어댑터 체결부에 결합되는 벌브 어댑터와, 선단의 가압부가 어댑터 체결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벌브 어댑터의 연결부 내측에 설치되는 트리거와, 트리거 반대편의 벌브 어댑터 내측에 구비되는 벌브 지지구 및 트리거와 벌브 지지구 사이에 개재되는 유리벌브를 포함하며, 어댑터 체결부의 단부 내주면에 걸림 단턱이 형성되고, 탄성 절개부 일단 외면부에 상기 걸림 단턱에 대응하여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Extinguisher percussion device of auto fire extinguisher system}
본 발명은 소화기 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된 저장용기의 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소화기 등을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화기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소화기를 구입하여 비치해야 할 뿐 아니라, 사람이 소화기를 조작해야만 소화제가 분사되므로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위험을 감수해야 하고, 화염으로 인해 소화기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소화 대상물은 단순한 건물 혹은 그 내부의 장치 및 기록물 등에 국한되지 않고 점점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는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른 부속설비 등의 다양화, 집적화 등에 따른 것으로, 부속설비가 다양화되고 집적화되는 추세에서 종래 소화 설비만으로는 특정영역에 집중적으로 발생된 화재의 신속한 제압이 어렵다.
이에 따라, 특정된 구역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해당 구역에 국부적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함으로써 신속한 초기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소화설비가 제안되었다. 자동소화설비는 화재 시 발생하는 화염이나 열로써 작동되는 작동장치를 이용하여 소화기를 개방시켜 소화약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화재 초기 진압에 매우 효과적이다.
자동소화설비는 작동방식에 따라 크게, 기계식과 전기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계식은 전기식에 비해 오작동이나, 누전, 합선 등의 위험이 없는 반면, 전기식에 비해 예비경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이에 사용환경이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는 전기식 소화장치를 주로 사용하며, 사용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는 기계식 소화장치를 주로 사용한다.
여기서 열악한 환경이란, 습도가 높거나, 온도가 높거나, 유증기, 먼지 등이 상존하는 환경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환경에서 전기식 소화장치는 전기적인 부품과 배선 손상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작동불능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사용환경이 열악한 경우 기계식 소화장치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다.
기계식 소화장치의 대표적인 일례가 감열 유리관(이하, '유리벌브'라 한다) 방식이다. 여기서 유리벌브는 특정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내부 액체가 팽창되고 압력이 증가하면서 외부 유리관이 파열되는 매커니즘을 갖는 구성으로, 스프링 쿨러나 소화기 기동장치 등 소방설비 분야에 보편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핵심 부품 중 하나이다.
유리벌브 방식의 종래 기계식 소화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64847호와 한국공개특허 2012-0135025를 비롯해 다양한 방식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알려진 종래 대부분의 유리벌브 방식은 이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며, 그만큼 제작단가가 비싸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양산성 측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9249호(등록일 2012. 03. 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작동불능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화용기를 개방시키는 작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출구에 결합되며, 제1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통공에서 분기되는 토출구멍이 형성된 소켓;
상기 소켓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일단에 어댑터 체결부가 형성된 격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임의 높이에 둘레방향으로 스프링 지지구가 형성되고,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탄동되는 탄성편들로 구성된 탄성 절개부를 구비하는 격발부재;
상기 격발 하우징 일측의 내부 단턱과 상기 스프링 지지구 사이에 개재되는 격발스프링;
상기 격발부재의 일단에 동축 결합되는 격발핀;
상기 격발 하우징의 어댑터 체결부에 결합되는 벌브 어댑터;
선단에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어댑터 체결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벌브 어댑터의 연결부 내측에 설치되는 트리거;
상기 트리거 반대편의 벌브 어댑터 내측에 구비되는 벌브 지지구; 및
상기 트리거와 벌브 지지구 사이에 개재되는 유리벌브;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체결부의 단부 내주면에 걸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절개부 일단 외면부에 상기 걸림 단턱에 대응하여 걸림 돌기가 형성된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는 유리벌브에 의해 어댑터 체결부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어댑터 체결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트리거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 단턱에 맞물린 상태로 구속되어 상기 격발부재가 격발대기위치에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 체결부 내에 위치하는 트리거의 가압부 직경이 아래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의 하단은 탄성 절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탄성 절개부 직경보다는 크고 걸림 단턱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어댑터 체결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벌브 지지구는, 상기 벌브 어댑터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벌브 지지구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벌브 어댑터에 결합된 경우, 벌브 지지구로 유리벌브가 트리거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여 걸림 단턱과 걸림 돌기 사이의 구속력과 작동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벌브의 파열로 트리거를 가압하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격발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걸림 돌기가 걸림 단턱에서 이탈되려는 방향으로 탄동되고 트리거가 순간 위로 밀려나면서 상기 걸림 돌기의 구속이 풀려 격발부재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는 최외면에 탄성 절개부의 반경방향으로 만곡부가 형성된 원호형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벌브는 일측 단부에 둥근 접지면이 형성되고 반대편 단부에 뾰족한 접지면이 형성되되, 상기 둥근 접지면에 대응하여 벌브 지지구 일단에 오목 결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뾰족한 접지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이 상기 트리거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유리벌브 방식이면서도 구성이 종래에 비해 매우 단순하다. 이에 따라 그만큼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어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구성이 단순한 만큼 제작이 용이하여 양산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구성이면서도 구조적으로 작동불능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화용기를 개방시키는 작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저장용기를 제대로 개방시키지 못해 소화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위험요인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장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상 벌브 지지구가 유리벌브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여 유리벌브가 트리거를 누르는 힘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트리거가 격발부재를 구속하는 힘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민감도 또한 조절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화기 기동장치 요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로서, 화재로 인한 유리벌브 파열 시 소화기 기동장치의 작동 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유리벌브 파열 시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A'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의 단면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소화기 기동장치 작동 전 장치 상태(격발대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소화기 기동장치(1)는, 저장용기(2)의 출구(20)에 결합되는 소켓(10)을 포함한다. 소켓(10)은 일측이 상기 출구(20)에 결합되며, 중심부를 따라 도면상 높이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으로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을 연결하는 통공(1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통공(100)에서 분기되는 토출구멍(110)을 구비한다.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소켓(10)의 상단에는 격발 하우징(12)이 결합되며, 격발 하우징(12)에는 격발부재(14)가 내설된다. 격발 하우징(12)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체로서 그 내부에 수용공간(120)이 형성되며, 소켓(10)과 결합되는 반대편 일단에 어댑터 체결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격발부재(14)는 상기 수용공간(120)에 설치되며, 임의 높이에 둘레방향으로 스프링 지지구(140)가 형성된다.
격발부재(14)의 일단(제1 방향 상단)에는 반경방향으로 탄동되는 탄성편들로 구성된 탄성 절개부(144)가 형성된다. 탄성 절개부(144)의 선단 외연에는 걸림 돌기(146)가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 체결부(122)의 단부 내주면에는 걸림 단턱(126)이 형성된다.
이때 소화기 기동장치(1) 작동 전 상기 걸림 돌기(146)가 걸림 단턱(126)에 맞물린 상태로 후술하는 트리거(16)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격발부재(14)는 격발대기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격발 하우징(12) 일측의 내부 단턱과 상기 스프링 지지구(140) 사이에는 격발스프링(15)이 개재된다. 격발스프링(15)은 압축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스프링 지지구(140)와 격발 하우징(12) 사이에 상기 트리거(16)에 의한 걸림 돌기(146)와 걸림 단턱(126) 간 구속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걸림 단턱(126)으로부터 걸림 돌기(146)가 릴리즈되면 상기 격발부재(14)를 상기 출구(20) 측으로 격발시키기 위한 탄성을 제공한다.
격발부재(14)의 일단에는 격발핀(13)이 동축 결합된다. 격발핀(13)은 상기 저장용기(2)의 출구(20)와 대면하는 측에 끝이 뾰족한 첨단부(130)를 가진 구성일 수 있으며, 첨단부(130)는 격발스프링(15)의 탄성으로 격발부재(14)가 상기 출구(20) 방향으로 격발되는 순간 빠른 속도로 출구(20)를 봉쇄하고 있던 밀봉 디스크(22)를 타격하면서 뚫고 들어가 출구(20)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격발 하우징(12)의 상기 어댑터 체결부(122)에는 벌브 어댑터(17)가 결합된다. 그리고 벌브 어댑터(17)의 일측에 트리거(16)가 설치되고 트리거(16) 반대편의 벌브 어댑터(17) 내측으로 벌브 지지부(19)가 구비된다.
트리거(16)는 그 선단에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구성의 가압부(160)를 구비하되, 이러한 가압부(160)가 어댑터 체결부(122) 내부에 위치하도록 벌브 어댑터(17)의 연결부 내측에 트리거(16)가 설치될 수 있다.
벌브 지지부(19)는 상기 벌브 어댑터(17)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벌브 지지구(19)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벌브 어댑터에 결합된 경우, 벌브 지지구(19)를 조이거나 풀어 트리거(16)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후술하는 유리벌브(18)의 가압력은 물론, 유리벌브(18)가 트리거(16)를 가압하는 힘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결국 유리벌브(18)의 구속력과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민감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거리를 두고 대향되는 상기 벌브 지지구(19)와 트리거(16) 사이에는 앞서 언급한 유리벌브(18)가 설치된다. 유리벌브(18)는 유리관 내부의 밀폐된 공간 안에 열을 받으면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 액상의 반응물질이 충진된 구성으로서, 특정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내부의 반응물질이 팽창하고 압력이 증가하면서 외부 유리관이 파열되는 구성일 수 있다.
유리벌브(18)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일측 단부에 둥근 접지면이 형성되고 반대편 단부에 뾰족한 접지면이 형성된 구성일 수 있으며, 유리벌브(18)의 상기 둥근 접지면에 대응하여 벌브 지지구(19) 일단에는 오목 결착면(190)이 형성되고, 반대편 뾰족한 접지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162)이 트리거(16)에 형성됨으로써, 유리벌브(18)는 벌브 지지구(19)와 트리거(16)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벌브 어댑터(17)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벌브 지지구(19) 아래에 유리벌브(18)가 배치되고 유리벌브(18) 아래에 트리거(16)가 배치됨으로써, 트리거(16)는 상대적으로 상기 유리벌브(18)에 의해 어댑터 체결부(122)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며, 이러한 트리거(16)에 의해 걸림 단턱(126)에 걸림 돌기(146)가 맞물린 상태로 구속되어 격발부재(14)는 격발대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기동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화기 기동장치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벌브 지지구(19)와 트리거(16) 사이에 유리벌브(18)가 위치하며, 벌브 지지구(19)는 벌브 어댑터(17)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리벌브(18)를 압박하는 벌브 지지구(19)의 체결력은 유리벌브(18) 뿐만 아니라 유리벌브(18)를 통해 트리거(16)에 전달되며, 이로 인해 트리거(16)는 도면상 아래(어댑터 체결부(122) 방향)로 힘(F1)을 받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트리거(16)에 형성된 가압부(160)의 하단은 상기 탄성 절개부(14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압부(160)의 일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절개부(144)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가압부(160)의 상단 직경은 상기 탄성 절개부(144) 직경보다는 크고 걸림 단턱(126)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어댑터 체결부(122)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트리거(16)에 작용하는 전술한 힘(F1)은 가압부(160)를 통해 걸림 돌기(146)가 형성된 탄성 절개부(144)의 상단을 반경방향으로 벌려주는 힘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탄성 절개부(144) 상단의 걸림 돌기(146)가 걸림 단턱(126)에 맞물린 상태로 가압부(160)와 걸림 단턱(126) 사이에 끼여 구속됨으로써, 도 1과 같이 격발스프링(15)이 압축된 상태에서 격발부재(14)는 격발대기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절개부(144)가 반경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로 트리거(16)에 의해 걸림 돌기(146)가 걸림 단턱(126)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속된 상태에서, 유리벌브(18)의 파열로 트리거(16)를 압박하고 있던 힘(F1)이 제거되면, 격발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걸림 돌기(146)는 걸림 단턱(126)에서 이탈되려는 방향으로 탄동되고 트리거(16)는 순간 위로 살짝 밀려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 돌기(146)의 구속이 완전히 풀리게 되고, 압축되어 있던 격발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격발부재(14)가 저장용기(2)의 상기 출구(20)를 향해 순간 빠른 속도로 격발된다. 이로 인해 격발부재(14)의 일단에 동축 결합된 끝이 뾰족한 격발핀(13)이 순간 빠른 속도로 상기 출구(20)를 봉쇄하고 있던 밀봉 디스크(22)를 타격하면서 뚫고 들어가 출구(20)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탄성 절개부(144)는 격발부재(14)의 일단(제1 방향 상단)에 반경 방향으로 탄동 가능한 둘 이상의 탄성편들이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도 3에는 탄성 절개부(144)의 둘레 방향으로 180ㅀ 간격으로 두 개의 절개홈을 형성한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간격에 상관 없이 절개홈은 둘 이상이기만 하면 된다.
걸림 돌기(146)는 바람직하게, 최외면에 탄성 절개부(144)의 반경방향으로 만곡부를 형성한 원호형 돌기 형태일 수 있다. 걸림 돌기(146)를 원호형 돌기 형태로 구성하면, 유리벌브(18)의 파열로 전술한 힘(F1)이 제거되었을 때 걸림 돌기(146)가 격발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걸림 단턱(126)의 모서리부에 접촉한 상태로 자연스럽게 아래로 밀려나면서 탄성 절개부(144)가 내측으로 탄동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열과 압력에 따라 유리벌브(18)가 파열되고 상기 힘(F1)이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걸림 돌기(146)가 걸림 단턱(126)에 걸려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격발부재(14)가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는 격발 불량과 같은 작동 불능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어 장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면부호 3은 전술한 토출구멍(110) 대향부 타측에 형성되는 압력 분기홀(120)에 체결되며, 하나의 소화설비가 작동되면 다른 소화설비가 연쇄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다른 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와 압력 유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압력 분기관(4) 연결을 위한 어댑터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의 작동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로서, 화재로 인한 유리벌브 파열 시 소화기 기동장치의 작동 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유리벌브 파열 시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A'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리벌브(18)는 일정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내부 액체가 팽창되고 압력이 증가하면서 외부 유리관이 파열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열이 유리벌브(18)에 직간접적으로 전달되면 유리관이 파열되고, 격발부재(14)를 격발대기위치에 구속하고 있던 트리거(16)의 힘(전술한 'F1')이 제거된다.
화재로 인한 유리벌브(18)의 파열로 트리거(16)를 압박하고 있던 힘(F1)이 제거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걸림 돌기(146)가 걸림 단턱(126)에서 이탈되려는 방향으로 탄동되고, 걸림 돌기(146)의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 트리거(16)가 위로 살짝 밀려나면서 도 5의 (b)와 같이 걸림 돌기(146)에 대한 구속이 완전히 풀리게 된다.
이로 인해, 압축되어 있던 격발스프링(15)의 탄성으로 격발부재(14)가 저장용기(2)의 상기 출구(20)를 향해 격발되고 격발핀(13)이 순간 빠른 속도로 저장용기(2)의 출구(20)를 봉쇄하고 있던 밀봉 디스크(22)를 타격하면서 뚫고 들어가 상기 출구(20)를 개방시키며, 이에 따라 저장용기(2)에 고압으로 충진된 압력 유체, 예컨대 작동기체나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소화약제가 통공(100)과 토출구멍(110)을 거쳐 외부로 분출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유리벌브 방식이면서도 구성이 종래에 비해 매우 단순하다. 이에 따라 그만큼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어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구성이 단순한 만큼 제작이 용이하여 양산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구성이면서도 구조적으로 작동불능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화용기를 개방시키는 작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저장용기를 제대로 개방시키지 못해 소화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위험요인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장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상 벌브 지지구가 유리벌브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여 유리벌브가 트리거를 누르는 힘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트리거가 격발부재를 구속하는 힘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민감도 또한 조절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소화기 기동장치 2 : 저장용기
3 : 압력 게이지 10 : 소켓
12 : 격발 하우징 13 : 격발핀
14 : 격발부재 15 : 격발스프링
16 : 트리거 17 : 벌브 어댑터
18 : 유리벌브 19 : 벌브 지지구
100 : 통공 110 : 토출구멍
120 : 수용공간 122 : 어댑터 체결부
126 : 걸림 단턱 140 : 스프링 지지구
144 : 탄성 절개부 146 : 걸림 돌기
162 : 고정홈 190 : 오목 결착면

Claims (9)

  1. 저장용기의 출구에 결합되며, 제1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통공에서 분기되는 토출구멍이 형성된 소켓;
    상기 소켓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일단에 어댑터 체결부가 형성된 격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임의 높이에 둘레방향으로 스프링 지지구가 형성되고,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탄동되는 탄성편들로 구성된 탄성 절개부를 구비하는 격발부재;
    상기 격발 하우징 일측의 내부 단턱과 상기 스프링 지지구 사이에 개재되는 격발스프링;
    상기 격발부재의 일단에 동축 결합되는 격발핀;
    상기 격발 하우징의 어댑터 체결부에 결합되는 벌브 어댑터;
    선단에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가 상기 어댑터 체결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벌브 어댑터의 연결부 내측에 설치되는 트리거;
    상기 트리거 반대편의 벌브 어댑터 내측에 구비되는 벌브 지지구; 및
    상기 트리거와 벌브 지지구 사이에 개재되는 유리벌브;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체결부의 단부 내주면에 걸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절개부 일단 외면부에 상기 걸림 단턱에 대응하여 걸림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어댑터 체결부 내에 위치하는 트리거의 가압부 직경이 아래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유리벌브에 의해 어댑터 체결부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어댑터 체결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트리거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 단턱에 맞물린 상태로 구속되어 상기 격발부재가 격발대기위치에 고정되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단은 탄성 절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탄성 절개부 직경보다는 크고 걸림 단턱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어댑터 체결부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 지지구는,
    상기 벌브 어댑터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 지지구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벌브 어댑터에 결합된 경우, 벌브 지지구로 유리벌브가 트리거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여 걸림 단턱과 걸림 돌기 사이의 구속력과 작동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벌브의 파열로 트리거를 가압하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격발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걸림 돌기가 걸림 단턱에서 이탈되려는 방향으로 탄동되고 트리거가 순간 위로 밀려나면서 상기 걸림 돌기의 구속이 풀려 격발부재가 작동되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최외면에 탄성 절개부의 반경방향으로 만곡부가 형성된 원호형 돌기인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벌브는 일측 단부에 둥근 접지면이 형성되고 반대편 단부에 뾰족한 접지면이 형성되되,
    상기 둥근 접지면에 대응하여 벌브 지지구 일단에 오목 결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뾰족한 접지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이 상기 트리거에 형성되는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KR1020190124022A 2019-10-07 2019-10-07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KR102307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22A KR102307367B1 (ko) 2019-10-07 2019-10-07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22A KR102307367B1 (ko) 2019-10-07 2019-10-07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85A KR20210041385A (ko) 2021-04-15
KR102307367B1 true KR102307367B1 (ko) 2021-09-30

Family

ID=7544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022A KR102307367B1 (ko) 2019-10-07 2019-10-07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3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31B1 (ko) * 2011-10-26 2014-01-27 (주)포트텍 소방용 소화장치
KR101900874B1 (ko) * 2017-08-30 2018-09-21 전길숙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102009371B1 (ko) * 2018-04-06 2019-08-12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49Y1 (ko) 2011-07-28 2012-03-23 (주)동신소방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31B1 (ko) * 2011-10-26 2014-01-27 (주)포트텍 소방용 소화장치
KR101900874B1 (ko) * 2017-08-30 2018-09-21 전길숙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102009371B1 (ko) * 2018-04-06 2019-08-12 (주)포트텍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85A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5857B2 (ja) 消火器
JP6138214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5323986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EP0797465B1 (en) Sprinkler head
WO2011093348A1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10191495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US20100319939A1 (en) Actuate device for fire extinguisher
KR102307367B1 (ko) 자동소화설비의 소화기 기동장치
US6138768A (en) Gas type fire extinguisher
JP3196269U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4141647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110021450A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20040098747A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TW202114754A (zh) 灑水頭
TW202110506A (zh) 灑水頭
US3463235A (en) Control unit for fire extinguishing systems and the like
JP5414650B2 (ja) 皿ばねおよびその皿ばねを有するスプリンクラヘッド
JP2009226014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20160023030A1 (en) Fire protection sprinkler trigger assembly
CN219558577U (zh) 一种单模启动闭式喷头
KR20100000568U (ko) 스프링클러 소화기
US7246633B2 (en) Shock absorber
KR102056472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1897739B1 (ko) 분사용기 및 이의 밸브 어셈블리
KR101897738B1 (ko)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