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469A - 고압가스용 밸브 - Google Patents

고압가스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469A
KR20090049469A KR1020070115735A KR20070115735A KR20090049469A KR 20090049469 A KR20090049469 A KR 20090049469A KR 1020070115735 A KR1020070115735 A KR 1020070115735A KR 20070115735 A KR20070115735 A KR 20070115735A KR 20090049469 A KR20090049469 A KR 20090049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ressure
valve
pressure gas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술섭
Original Assignee
송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술섭 filed Critical 송술섭
Priority to KR102007011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9469A/ko
Publication of KR2009004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7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3Extinguishers with spraying and projection of extinguishing agents by pressurised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밸브의 바디에 후부를 형성하고, 후부에는 전방(외측)으로 개방되고 내측 단부가 유입공(인입공)에 의해 바디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압가스용기와 연통되도록 실린더를 형성하며, 실린더의 개방부에는 흡입공이 뚫어진 흡입노즐을 장착시키고, 실린더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탄발되는 피스톤을 장전시켜 피스톤의 전면에 매설된 밀폐패드가 흡입노즐을 밀폐시키도록 된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분사밸브의 바디에 형성된 후부에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고압가스용기 및 밸브의 안정을 보장할 수 있고, 소화약제 및 질소가스를 저장할 때에 고압가스용기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소화약제 및 질소가스를 최대 압력으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소화약제가 방출되면서 발생하는 방출압력(흡입력) 즉, 고압가스용기의 내부압력에 따라 감압장치가 작동하여 고압가스용기의 내부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가스용 밸브{Propellant valve}
본 발명은 고압가스용기에 충진되어 있는 약제가스를 분사시키거나 가압제용기에 충진된 가압제를 고압가스용기에 공급할 때에 사용되는 기동밸브 또는 실린더밸브의 본체에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약제 또는 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감압장
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형 건물 또는 공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설비는 소방대상물의 피해를 줄이고 인체에 무해한 소화약제를 분무시키는 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도 1a는 통상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피스톤플로우소화시스템(1)을 보인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화재감지기가 작동하여 화재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반은 제공(입력)되는 화재감지 정보에 의해 고압가스용기밸브장치(5)를 작동시키게 되고, 고압가스용기밸브장치(5)의 작동에 의해 가압제용기(3)에 충진되어 있는 가압제(질소)가 고압가스용기밸브장치(5)를 거쳐 고압가스용기(2)로 공급되며, 공급되는 가압제(질소)에 의해 고압가스용기(2)에 충진되어 있던 소화약제(소화분말)는 사이폰관(2-2)과 실린더밸브(2-1) 및 방사관(2-3)을 통해 방사(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도 1a)와 같이 작동되는 피스톤플로우소화시스템(1)에서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고압가스용기(2)에는 가압제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밸브(10-2)가 설치되어 있고, 충진된 소화약제를 사이폰관(2-2)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밸브(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밸브(2-1)에는 배출되는 소화약제를 소정의 장소로 방사(공급)시키기 위한 방사관(2-3)이 설치되어 있다.
또, 피스톤플로우소화시스템(1)에서 가압제용기(3)에 충진되어 있는 가압제를 고압가스용기(2)에 공급할 수 있도록 가압제용기(3)에 장착되는 종래의 고압가스용기밸브장치(5)는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 1b에 예시된 고압가스용기밸브장치(5)는, 가압제용기(3)의 입구에 장착되는 분사밸브장치부(6)와, 분사밸브장치부(6)에 기동밸브장치부(8)를 접속(연결)시키는 접속장치부(7), 그리고 접속장치부(7)의 후방에 설치되어 분사밸브장치부(6)를 작동시키는 기동밸브장치부(8)로 크게 분할 형성되어 있다.
분사밸브장치부(6)는, 실린더(12)와 분사공(13)이 연통되게 뚫어진 분사밸브뭉치(10)에는 배출공(14)이 실린더(12)와 연통되게 뚫어진 밸브바디(11)가 교차되게(직각으로) 형성되고, 밸브바디(11)의 하부 내주와 외주 면에는 사이폰관(4)과 고압가스용기(8)가 나사 결합(장착) 되며, 분사공(13)과 실린더(12)의 경계선상에는 약제인입환상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공(13)의 선단에는 캡(16)을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캡(16)을 제거한 상태에서 접속관(10-1)을 통하여 고압가스용기(2)의 상단과 연결된다.
실린더(12)의 내부에는 밀폐패드(21)가 선단면에 삽입 고정된 피스톤(20:오실레이터)이 삽입되어 있고, 피스톤(20)의 후방에는 코일스프링(22)이 끼워진 상태에서 분사밸브뭉치(10)의 후방에 나사 결합 되는 드레인캡(23)에 의해 지지링(24)과 럽처디스크(25: 밀폐판)가 억류되어 있으며, 드레인캡(23)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드레인배출공(27)이 후방의 결합공(26)과 연통되게 뚫어져 있다.
분사밸브장치부(6)에 기동밸브장치부(8)를 접속(연결)시키는 접속장치부(7)는, 드레인캡(23)의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접속금구(30)와, 상기 접속금구(30)의 외측에 후방(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기동장치부(4)의 방향)을 향하도록 끼워지는 접속캡(3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금구(30)의 외측부에는 복수 개의 에어배출공(31)이 뚫어져 있다.
상기 접속장치부(7)의 후방에 설치되어 분사밸브장치부(6)를 작동시키는 기동밸브장치부(8)는, 기동밸브뭉치(40)가 접속금구(30)와 연접되도록 접속캡(32)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기동밸브뭉치(40)의 내부에서 수평 중앙선상에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실린더(41)가 접속금구(30)와 연통되어 있으며, 기동밸브뭉치(40)의 외주면 후측에는 에어유통공(43)이 실린더(41)와 연통되는 노즐(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42)에는 에어유통공(44-1)이 뚫어진 캡(44)이 나사 결합에 의해 씌워져 있다.
상기 기동밸브뭉치(40)의 실린더(41)에는 플런저(51)가 코일스프링(54)에 의해 후방으로 탄발되도록 장전되어 있고, 플런저(51)의 전면에는 절개공(53-1이 측 면에 뚫어진 니들봉(53)이 로드(52)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기동밸브뭉치(40)의후면 중앙에는 푸시버튼(50)이 삽입되어 플런저(51)의 후단면에 접속되어 있으며, 기동밸브뭉치(40)의 후면 외측에서 푸시버튼(50)에는 걸고리(56)가 구비된 안전클립(55)이 결합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압가스용기밸브장치(1)는 분사밸브뭉치(10)의 분사공(13)에 접속관을 연결시켜 가압제용기(3)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가압제를 접속관(10-1)과 가압밸브(10-2)를 통하여 고압가스용기(2)에 공급시키게 되며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안전클립(55)의 걸고리(56)를 임의 또는 자동화장치에 의해 당기게 되면 안전클립(55)이 푸시버튼(50)에서 이탈되고, 안전클립(55)이 제거된 상태에서 푸시버튼(50)을 임의 또는 자동화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밀어주게(타격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가압제용기(3)에서는 고압가스용기(2)의 내부 상단으로 가압제(질소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푸시버튼(50)을 임의 또는 자동화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밀어주게(타격하게) 되면 플런저(51)는 코일스프링(54)의 탄발력을 이기고 전진하게 되고, 플런저(51)가 전진하면 로드(52)와 함께 니들봉(53)이 전진하게 되며, 전진하는 니들봉(53)은
드레인캡(23)의 내부에서 지지링(24)에 억류되어 있는 럽처드시크(25)가 파괴된다.
럽처디스크(25)가 니들봉(53)에 의해 파괴되면 분사밸브뭉치(10)의 실린더(12)에 있던 공기가 니들봉(53)과 절개공(53-1) 및 접속금구(30)의 에어배출공(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실린더(12)의 내부 공기가 에어배출공(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 피스톤(20:오실레이터)은 인입되는 가압제의 압력에 의해 후퇴하게 되는데, 가압제용기(3)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가압제가 상승하면서 약제인입환상홈(16)으로 인입되는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해 코일스프링(22)을 이기고 후퇴하게 되고, 피스톤(20:오실레이터)이 후퇴하게 되면 가압제용기(3)의 가압제는 배출공(14)과 분사공(13)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접속관(10-1)과 가압밸브(10-2)를 통하여 고압가스용기(2)의 내부 상단으로 공급되며, 고압가스용기(2)에 충진되어 있는 소화약재는 유입되는 가압제의 압력에 의해 사이폰관(2-1)을 따라 상승하여 실린더밸브(2-1)에서 방사관(2-3)을 통하여 소정의 장소로 공급(방사)되면서 분사되어 소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고압가스용기밸브장치(1)에서 종래의 실린더밸브(2-1)에는 가압제용기(3)에서 공급되는 가압제를 공급시키는 장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압가스용기(2)의 내부에 가압제를 공급시키기 위해서는 레규레이터와 같은 기능을 실시하는 가압밸브(10-2)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분사밸브뭉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된다.
밸브바디(11)에 감압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압제용기(3)에 충진 되어 있는 가압제가 소정의 량만큼 방출(분사)되면 가압제용기(3)의 내부는 고압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가압제가 원활(완전)하게 방출되지 못하게 되어 가압제를 완전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고압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가압제용기(3)의 내부 압력이 가압제를 억류(구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방출력과 방출 능력(방출거리)을 약화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가압제용기(3)의 외측에 별도의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가압제(가압용가스)가 감압장치를 통하여 고압가스용기(2:저장용기)에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도 채택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별도의 부착부를 가압제용기(3)에 형성시켜야 하므로 가압제용기(3)의 안전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제작비용이 추가로 소용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기존의 감압장치는 가압가스의 압력을 상승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가압제용기의 내부에 충진되는 가압제를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의 저장이 불가능하여 큰 가압용기를 채택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저장용기의 압력만을 가압장치의 압력과 비교하여 밸브가 개방되는 구조이므로 저장용기 즉 고압가스용기(2)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면 가해지는 압력도 급속하게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다라서 가압제를 방출시킬 때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이 유발되며, 가압이 개시된 후에는 가압력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가압제의 방출을 중지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피스톤플로우소화시스템(1)에서 고압가스용기(2)의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충진되어 있으나, 소화약재의 상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제용기(3)에서 공급되는 가압제가 고압가스용기(2)의 내부에서 소화약제의 상측으로 완전히 충진된 후에 소화약제가 방사되므로 방사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소화약제의 방사시간이 지체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 공갭번호 제10-2001-56775호의 건물용 자동소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는 고압가스용기의 내부에는 소화약제와 질소가스(가압제)를 하측과 상측으로 충진시켜 줌으로서, 가압제용기에서 가압제(질소가스)가 공급됨과 동시에 소화약제가 분사(방사)되도록 된 것이나, 이 역시 가압제용기의 가압제를 고압가스용기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고압가스용기에 설치되는 소화약제 개폐밸브에는 다른 가스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압밸브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질소가스탱크에 설치되는 밸브에도 외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장치(감압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소화약제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소화약제를 완전히 배출시 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감압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밸브바디에 후부를 형성하고, 후부에는 전방(외측)으로 개방되고 내측 단부가 유입공(인입공)에 의해 밸브바디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압가스용기와 연통되도록 실린더를 형성하며, 실린더의 개방부에는 흡입공이 뚫어진 흡입노즐을 장착시키고, 실린더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탄발되는 피스톤을 장전시켜 피스톤의 전면에 매설된 밀폐패드가 흡입노즐을 밀폐시키도록 된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바디에 형성된 후부에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가스용기(고압가스용기 및 가압제용기)와 밸브의 안정을 보장할 수 있고, 소화약제 또는 가압제를 저장할 때에 고압가스용기 또는 가압제용기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가압제를 일정한 압력이상(최대 압력)으로 저장시킬 수 있도록 된 고압가스용 밸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밸브바디에 후부를 형성하고, 후부에는 전방(외측)으로 개방되고 내측 단부가 유입공(인입공)에 의해 밸브바디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압가스용기와 연통되도록 실린더를 형성하며, 실린더의 개방부에는 흡입공이 뚫어진 흡입노즐을 장착시키고, 실린더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탄발되는 피스톤을 장전시켜 피스톤의 전면에 매설된 밀폐패드가 흡입노즐을 밀폐시키도록 된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바디에 형성된 후부에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가스용기(고압가스용기 및 가압제용기)와 밸브의 안정을 보장할 수 있고, 소화약제 또는 가압제를 저장할 때에 고압가스용기 또는 가압제용기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가압제를 일정한 압력이상(최대 압력)으로 저장시킬 수 있도록 된 고압가스용 밸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는, 분사밸브의 바디에 후부를 형성하고, 후부에는 전방(외측)으로 개방되고 내측 단부가 유입공(인입공)에 의해 바디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압가스용기와 연통되도록 실린더를 형성하며, 실린더의 개방부에는 흡입공이 뚫어진 흡입노즐을 장착시키고, 실린더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탄발되는 피스톤을 장전시켜 피스톤의 전면에 매설된 밀폐패드가 흡입노즐을 밀폐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분사밸브의 바디에 형성된 후부에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고압가스용기 및 밸브의 안정을 보장할 수 있고, 소화약제 또는 가압제를 저장할 때에 고압가스용기 또는 가압제용기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소화약제 또는 가압제를 일정한 압력이상(최대 압력)으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가압제가 공급 또는 방출되면서 발생하는 공급(방출)압력(흡입력) 즉, 고압가스용기의 내부압력에 따라 감압장치가 작동하여 고압가스용기의 내부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밸브바디를 저면에서 본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분사밸브장치(60)를 형성하는 밸브바디(61)의 일 측면에는 후부(71)를 일체로 형성하여 감압장치(70)를 다음과 같이 형성(설치)하였다.
후부(71)의 내부에는 감압실린더(72)를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되 내주를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피스톤헤드(81)의 외주보다 크게 형성하였고, 감압실린더(72)의 내측 단부에는 유입공(73)을 내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뚫어 배출공(63)의 내주면에 형성된 인입공(74)과 연통 되도록 하였으며, 감압실린더(72)의 내면 중앙에는 지름이 작은 보조실린더(72-1)를 감압실린더(72)와 연통 되도록 형성하였다.
감압실린더(72)의 전반에는 흡입공(78)이 중앙선상에 뚫어진 흡입노즐(75)을 오링(85)을 개입시켜 나사부(79)에 의해 밀폐되게 나사 결합하였는데, 중앙에 형성된 플랜지(77)의 후면에는 외주에 나사부(79)가 형성된 결속관(76)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결속관(76)의 내주면을 감압실린더(72)과 동일한 크기(지름)로 형성하였으며, 흡입공(78)의 내측 단에는 환상첨예단부(78-1)를 형성하였다.
상기 결속관(76)의 내부와 감압실린더(72)에는 선단에 피스톤헤드(81)가 일체로 형성된 피스톤(80)을 코일스프링(83)에 의해 후방으로 탄발되도록 설치하되, 피스톤헤드(81)의 전면에는 밀폐패드(82)를 전반으로 노출되도록 매설하였고, 실린더(80)의 후단부에는 환상형의 요홈을 형성하고 오링(84)을 매입하여 오링(84)이 보조실린더(72-1)의 내주면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밀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하, 사용상태(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장치(70)가 구비된 분사밸브뭉치(60)는,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압가스용기(2)에 설치되는 실린더밸브(2-1)와 가압밸브(10-2)를 대신하여 설치할 수 있고, 가압제용기(3)에 설치되는 기동밸브(4)의 밸브뭉치(10)를 대
신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의 분사밸브뭉치(60)를 고압가스용기(2)에 설치되는 실린더밸브(2-1)와 가압밸브(10-2)를 대신하여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접속부(62)에 방사관(2-3)을 연결하여 설치하고, 감압장치(70)의 흡입노즐(75)에는 접속관(10-1)을 연결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사밸브뭉치(60)를 가압제용기(3)에 설치되는 기동밸브(4)의 밸브뭉치(10)를 대신하여 설치하고자 할때에는, 밸브바디(61)의 후측에는 도 1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동밸브장치부(8)를 접속장치부(7)를 통하여 연결시키거나 또는 접속장치부(7)를 배제한 상태에서 기동밸브장치부(8)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다.
분사밸브뭉치(60)를 형성하는 밸브바디(61)의 하부 내측과 외측에는 사이폰관(64: 2-2, 3-1)과 고압가스용기(65: 2, 3)를 밀폐되게 나사 결합시키며, 고압가스용기(65: 2, 3)의 내부에는 소화약제와 가압용가스(질소)를 충진시켜 준다.
기동밸브장치부(8)가 작동하여 분사밸브장치부(6)의 럽처디스크(25)를 파괴시키게 되고, 럽처디스크(25)의 파괴에 의해 가압제용기(3)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가압제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20)은 코일스프링(22)을 후퇴하게 되며, 피스톤(20)이 후퇴하게 되면 가압제용기(3)에 충진된 가압제는 사이폰관(3-1)을 따라 상승하여 배출공(14)과 분사공(13) 및 접속관(10-1)을 통하여 고압가스용기(2)로 급속하게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제용기(3)에 충진되어 있는 가압제가 급속하게 배출되면 가압제용기(3)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되어 강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강하게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감압장치(70)가 작동하게 된다.
가압제의 급속한 배출에 의해 가압제용기(3)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강한 흡입력이 코일스프링(83)의 탄발력보다 커지게 되면 감압실린더(72)와 보조실린더(72-1)에 장전되어 있는 피스톤(80)은 코일스프링(83)을 이기고 후퇴하게 된다.
가압제용기(3)의 내부에서 강하게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피스톤(80)이 후퇴하게 되면 환상첨예단부(78-1)를 폐쇄하고 있던 밀폐패드(82)가 흡입공(78)을 개 방시키게 되고, 흡입공(78)이 개방되면서 외부의 공기는 흡입공(78)과 감압실린더(72)와 유입공(83) 및 인입공(84)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가압제용기(3)의 내부(상측)로 유입된다.
가압제용기(3)의 내부로 유입(흡입)되는 외부공기는 가압제를 밀어주게 되고, 따라서 가압제는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되고, 고압가스용기(2)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감압장치(70)가 구비된 분사밸브장치(60)에 공급된다.
접속관(10-1)을 통해 공급되는 가압제(질소가스)는 흡입노즐(75)의 흡입공(78)으로 유입되면서 피스톤헤드(81)를 밀어 주게 되고, 피스톤헤드(81)는 코일스프링(83)을 이기면서 후퇴하여 감압실린더(72)를 개방시켜 주며, 접속관(10-1)을 통해 공급되는 가압제(질소가스)는 개방된 감압실린더(72)로 유입되면서 유입공(73)과 인입공(74)를 통하여 고압가스용기 (65:2)의 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피스톤 플로우 소화시스템을 보인 계통도 및 종래의 고압가스밸브가 구비된 소화용 기동밸브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의 밸브바디를 저면에서 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피스톤플로우소화시스템 2: 고압가스용기 3: 가압제용기
5: 기동밸브장치 6: 분사밸브장치부 7: 접속장치부
8: 기동장치부 10: 분사밸브뭉치 11: 밸브바디
16: 가스유통공 20: 피스톤 22. 54: 코일스프링
23: 드레인캡 25: 럽처디스크 28: 결속돌링
30: 접속금구 32: 접속캡 40: 기동밸브뭉치
50: 푸시버튼 51: 플런저 55: 안전클립
60: 고압가스용밸브 70: 감압장치 72: 감압실린더
75: 흡입노즐 80: 피스톤 81: 피스톤헤드
83: 코일스프링

Claims (1)

  1. 배출공(63)과 접속부(62)가 형성된 분사밸브장치(60)의 밸브바디(61)의 측면에 후부(71)를 일체로 형성하고, 후부(71)의 내부에는 감압실린더(72)를 외측으로 개방되고 유입공(73)에 의해 배출공(63)과 연통되게 형성하며, 감압실린더(72)의 내부에는 피스톤헤드(81)의 전면에 밀폐패드(82)가 매설된 피스톤(80)을 코일스프링(83)에 의해 탄발되도록 매설하며, 감압실린더(72)에는 중앙에 뚫어진 흡입공(78)의 내단에 환상첨예단부(78-1)가 형성되고 외주에 플랜지(77)가 일체로 형성된 결속관(76)을 오링(85)을 개입시켜 나사 결합시키되 환상첨예단부(78-1)가 밀폐패드(82)에 의해 폐쇄되도록 결합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감압실린더(72)의 내주를 전면에 밀폐패드(82)가 매설된 피스톤헤드(81)의 외주보다 크게 형성하고, 밸브바디(61)의 내주 하측에는 인입공(74)을 유입공(73)과 연통되게 형성한 것과;
    감압실린더(72)의 내면 중앙에는 보조실린더(72-1)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83)이 끼워지는 실린더(80)의 후단을 삽입시켜 밀폐패드(82)가 전면에 매설된 통상의 피스톤헤드(81)를 외측을 향하도록 감압실린더(72)에 장전시킨 것과;
    피스톤(80)의 후단 외주에는 환상형의 요홈을 형성하여 오링(84)을 매입하여 보조실린더(72-1)에 밀접하게 삽입 장전시킨 것과;
    흡입공(78)의 내단에 환상첨예단부(78-1)가 형성된 결속관(76)의 전면에는 흡입노즐(75)을 일체로 형성하고, 결속관(76)을 감압실린더(72)의 입구에 나사 결 합하여 흡입공(78)의 내단에 매설된 환상첨예단부(78-1)가 외측을 향하여 장전된 피스톤헤드(81)의 밀폐패드(82)에 밀접하게 접속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
KR1020070115735A 2007-11-13 2007-11-13 고압가스용 밸브 KR20090049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735A KR20090049469A (ko) 2007-11-13 2007-11-13 고압가스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735A KR20090049469A (ko) 2007-11-13 2007-11-13 고압가스용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469A true KR20090049469A (ko) 2009-05-18

Family

ID=4085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735A KR20090049469A (ko) 2007-11-13 2007-11-13 고압가스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94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31B1 (ko) * 2011-10-26 2014-01-27 (주)포트텍 소방용 소화장치
US9168406B2 (en) 2012-03-15 2015-10-27 Kidde Technologies, Inc. Automatic actuation of a general purpose hand extinguisher
CN108468834A (zh) * 2018-04-12 2018-08-31 宜兴市锦辉铜材有限公司 一种快速灌充和密封的消防用容器阀
CN110005850A (zh) * 2019-03-21 2019-07-12 湖北三江航天红峰控制有限公司 一种灭火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31B1 (ko) * 2011-10-26 2014-01-27 (주)포트텍 소방용 소화장치
US9168406B2 (en) 2012-03-15 2015-10-27 Kidde Technologies, Inc. Automatic actuation of a general purpose hand extinguisher
CN108468834A (zh) * 2018-04-12 2018-08-31 宜兴市锦辉铜材有限公司 一种快速灌充和密封的消防用容器阀
CN110005850A (zh) * 2019-03-21 2019-07-12 湖北三江航天红峰控制有限公司 一种灭火阀
CN110005850B (zh) * 2019-03-21 2020-04-14 湖北三江航天红峰控制有限公司 一种灭火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5959C2 (ru) Клапан для газовых баллонов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KR20090049469A (ko) 고압가스용 밸브
CN102109049B (zh) 瓶头阀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AU2008333150A1 (en) Thermal triggering mechanism having a glass ampoule for aerosol fire extinguishers
KR20120098205A (ko) 수계 소화설비용 스프링클러 연결부 동파방지장치
EP1006310A2 (en) Pistol for dispensing gaseous fuel
JP3390927B2 (ja) 感圧バルブが備わっているスプレーヘッド
JPH0560126B2 (ko)
KR100725725B1 (ko) 감압장치가 구비된 고압가스용 밸브
RU2013122747A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одавления опасности и сигнализации
KR101106973B1 (ko) 가압식 소화기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WO2007016204A2 (en) Inflator manifold
KR200411585Y1 (ko) 소화용 고압가스용기밸브장치
JPH09119536A (ja) 機能停止安全形の液圧逃し/ダンプ弁
CN106837607B (zh) 一种固液火箭发动机远程泄压结构
CN101332346B (zh) 一种取气式启动系统
KR102020528B1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
KR100877358B1 (ko) 가스식 f형 밸브개방기
CN201082324Y (zh) 一种取气式启动器
KR100958603B1 (ko)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KR102078081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JP4511229B2 (ja) 消火システム及び消火装置
KR20120117493A (ko) 호신용 향수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