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603B1 -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 Google Patents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603B1
KR100958603B1 KR1020090100371A KR20090100371A KR100958603B1 KR 100958603 B1 KR100958603 B1 KR 100958603B1 KR 1020090100371 A KR1020090100371 A KR 1020090100371A KR 20090100371 A KR20090100371 A KR 20090100371A KR 100958603 B1 KR100958603 B1 KR 10095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inflator
module
injection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섭
Original Assignee
에프피지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피지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에프피지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9010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7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선 가능하면서도 적절한 길이로 제작이 가능한 호스로 구비되어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소화약제의 저장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발화지점에 직접적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관로의 개폐가 가능한 분사수단에 의해 소화약제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약제가 충전되도록 약제실(11)이 형성된 약제호스(10)와; 상기 약제호스(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약제실(11) 내의 소화약제를 가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모듈(20)과; 상기 가압모듈(20) 또는 상기 약제호스(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약제실(11) 내의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도록 구비되는 분사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모듈(20)은 상기 약제호스(10)에 연통되는 주입관로(22)가 형성된 모듈본체(21)와, 이 모듈본체(21)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가스가 충전된 밀폐용기 형태로 구비된 인플레이터(30)와, 상기 주입관로(22)를 통하여 상기 인플레이터(30)에 충전된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구비된 개방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수단(50)은 상기 약제호스(10)에 연통되는 배출관로(54)가 형성된 분사본체(51)와, 상기 분사본체(51)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로(54)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개폐밸브(52)와, 이 개폐밸브(52)를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조작레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가 제공된다.
소화기, 약제호스, 가압모듈, 인플레이터, 분사수단

Description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Spray type hose extinguisher}
본 발명은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권선 가능하면서도 길이 연장이 용이한 호스에 소화약제를 충전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소화약제의 저장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소화기 등을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요구되고 있으나,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에서 소화기를 구입하여 비치하는 것이 생활화되지 못하여 소화기의 비치율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소화기가 비치된 경우에는 실내공간의 일부 공간을 점유하게 되고, 이 소화기에 의해 사람의 동선이 방해되거나 시각적으로 주변 실내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근래에 와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실내의 벽체나 천정 또는 도어 등에 소화장치를 매입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 록 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종래의 소화장치에 따르면, 장기간 사용되지 않음에 따른 소화제의 증발 또는 누출이 발생되거나 그에 따른 분사압력의 저하로 인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내장형 소화장치는 그 특성상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 충분한 양의 소화약제를 저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소화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소화기는 패널의 내장된 경우에 발화지점으로 이동이 불가능하여 소화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약제의 분사가 개시된 후에는 소화약제의 분사를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화재의 정도에 따라 소화약제의 분사량 조절이 어려움 소화약제가 불필요하게 낭비되거나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권선 가능하면서도 적절한 길이로 제작이 가능한 호스로 구비되어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소화약제의 저장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발화지점에 직접적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관로의 개폐가 가능한 분사수단에 의해 소화약제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소화약제가 충전되도록 약제실(11)이 형성된 약제호스(10)와;
상기 약제호스(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약제실(11) 내의 소화약제를 가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모듈(20)과;
상기 가압모듈(20) 또는 상기 약제호스(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약제실(11) 내의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도록 구비되는 분사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모듈(20)은 상기 약제호스(10)에 연통되는 주입관로(22)가 형성된 모듈본체(21)와, 이 모듈본체(21)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가스가 충전된 밀폐용기 형태로 구비된 인플레이터(30)와, 상기 주입관로(22)를 통하여 상기 인플레이터(30)에 충전된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구비된 개방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수단(50)은 상기 약제호스(10)에 연통되는 배출관로(54)가 형성된 분사본체(51)와, 상기 분사본체(51)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로(54)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개폐밸브(52)와, 이 개폐밸브(52)를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조작레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듈본체(21)에는 상기 약제실(11) 내의 소화약제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인플레이터(30)의 가스가 상기 약제실(11)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주입관로(22)를 개폐하는 일방향밸브 또는 조절밸브(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방핀(40)은 상기 주입관로(22) 상에 위치되도록 고정된 상태로 상기 모듈본체(21)에 내장되고,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상기 모듈본체(21)에 나사체결되어 조임에 의해 상기 개방핀(40)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상기 모듈본체(2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방핀(40)은 버튼 또는 수동제거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인플레이터(30)를 타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방핀(40)은 상기 인플레이터(30)에 박힌 상태에서도 가스의 분출이 가능하도록 중공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약제를 약제호스(10)에 충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약제호스(10)를 적절한 길이로 용이하게 제작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소화약제의 저장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상기 약제호스(10)를 권선하여 소화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대폭적으로 축소하여 설치 및 보관시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약제호스(10)가 구비됨으로 인해 이를 설치장소로부터 발화지점에 이르기까지 연장하여 발화지점에 직접적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소화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약제호스(10)에는 소화약제의 배출관로(54)를 개폐할 수 있는 분사수단(50)이 구비됨으로써, 화재의 정도에 따라 상기 약제호스(10) 내에 충전된 소화약제를 적절하게 분사하여 소화약제의 낭비를 줄임과 동시에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약제호스(10) 내에 충전된 소화약제를 가압시키는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관로(22)를 일방향밸브 또는 조절밸브(25)에 의해 적절하게 개폐하도록 구 비됨으로써, 상기 약제호스(10) 내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인플레이터(30)의 가스를 상기 약제호스(10) 내로 원활하게 주입 가능하여 가압효율 및 소화약제의 분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모듈(20)에 구비되는 인플레이터(30)와 이를 개방하는 개방핀(40)은 어느 하나가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가 조여지거나 또는 탄성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인플레이터(30)를 개방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작동 가능한 가압모듈(20)에 의해 제작상의 편리함 및 작동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방핀(40)은 상기 인플레이터(30)에 박힌 상태에서도 가스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제작상의 편리함 및 작동 신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소화약제를 충전할 수 있도록 약제호스(10)가 구비되고, 이 약제호스(10)의 일단에는 소화약제를 가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가압모 듈(20)이 결합되며, 상기 약제호스(20)의 타단에는 상기 가압모듈(20)에 의해 가압 배출되는 소화약제를 분출시키는 분사수단(50)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약제호스(20)는 내열성이 강하면서도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권선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연질이나 경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모듈(20)은 상기 약제호스(10) 내에 충전된 소화약제를 가압가스에 의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가스가 충전된 인플레이터(30)가 구비되는데, 이 인플레이터(30)는 밀폐용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약제호스(10)의 일단에 결합된 모듈본체(21)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사수단(50)은 통상의 스프레이건 형태로 구비되어 분사본체(11)의 일측에 구비된 조작레버(53)에 의해 상기 약제호스(10) 내의 소화약제를 분사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 2와 도 3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모듈(20)은 상기 약제호스(10)의 약제실(11)에 연통되도록 주입관로(22)가 형성된 모듈본체(21)가 구비되고, 이 모듈본체(21)의 일측에는 가스가 충전된 밀폐용기 형태로 구비된 인플레이터(30)가 결합되는데, 이때에 상기 모듈본체(21)와 인플레이터(30)에는 상호 대응된 나사산(23,31)이 형성되어 상기 인플레이터(30)가 상기 모듈본체(21)에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듈본체(21)의 내부에는 선단부가 첨예한 개방핀(40)이 고정 설치되고, 이 개방핀(40)은 중공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주입관로(22)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조임에 의해 상기 개방핀(40)에 접촉되어 그 선단부가 개방되는데, 이때에 상기 개방핀(40)의 둘레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가 조여질 때에 기밀을 유지하여 밀착되도록 고무패킹(24)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수동조작에 의해 조여져 상기 개방핀(40)에 접촉되면서 개방되어 내부의 가압가스가 분출되게 되고, 상기 개방핀(40)은 상기 인플레이터(30)에 박힌 상태로 그 내부를 통하여 가압가스를 상기 주입관로 측으로 분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전술된 바에 따르면, 상기 개방핀(4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플레이터(30)의 조임동작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30)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인플레이터(30)가 개방작동은 특별히 전술된 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인플레이터(30)를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핀(40)을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개방핀(40)은 수동조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작동 가능한 버튼 또는 수동제거핀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30)를 타격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은 통상의 볼펜이나 채혈주사와 같이 상기 개방핀(40)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하도록 작동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수동식 구명조끼와 같이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상기 개방핀(40)을 고정하는 수동제거핀을 제거하여 상기 개방핀(40)이 탄성력에 의해 발사되어 상기 인플레이터(30)를 타격하도록 작동되는 구조 등으 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동구조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에,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자동차의 안전장치로 사용되는 통상의 에어백과 유사하게 아지트화나트륨을 비롯한 무연화약물질을 화학반응시켜 다량의 기체를 발생시키는 화학반응 방식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압축기체를 팽창시키거나 액화기체를 기화시켜 상기 약제실을 가압시키는 물성변화 방식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본체(21)의 타측에는 상기 주입관로(22) 또는 상기 개방핀(40)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조절밸브(2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조절밸브(25)는 수동조작에 의한 핸들(26)과 이 핸들(26)에 구비되는 나사축(27)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입관로(22) 또는 개방핀(40)을 개폐하는 밸브체(28)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조절밸브(25)에 의해 상기 주입관로(22) 또는 개방핀(4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인플레이터(30)에서 분출되는 가압가스의 양을 제어하여 상기 약제호스(10) 내의 소화약제의 분출량이나 분출시기 또는 분출압력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조절밸브(25) 대신에 상기 주입관로(22)의 일측에 유체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통제하는 통상적인 일방향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기 약제호스(10) 내의 소화약제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인플레이터(30)에 의한 가압가스를 상기 약제호스(10) 측으로 주입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수단(50)은 상기 약제호스(10)에 연통되는 배출관로(54)가 형성된 분사본체(51)가 구비되고, 이 분사본체(51)에는 상기 배출관로(54)를 개폐하는 개폐밸브(52)와 이 개폐밸브(52)를 작동시키는 조작레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개폐밸브(52)는 상기 분사본체(51)의 내부에 스프링(56)에 의해 탄설된 로드(55)의 선단에 상기 배출관로(54)를 개폐하는 밸브체(57)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55)의 일단은 상기 분사본체(51)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53)의 일단측에 고정되며, 상기 조작레버(53)는 상기 분사본체(51)의 외부에 그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하단측을 수동조작에 의해 누름으로 인해 상기 개폐밸브(52)의 로드(55)를 당겨 상기 밸브체(57)가 배출관로(54)를 개방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분사수단(50)은 통상적인 스프레이건 또는 에어건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상의 스프레이건이나 에어건은 그 선단부에 회동되는 캡이 구비되어 분사량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프레이건이나 에어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사수단(50) 자체에 의해서도 소화약제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Claims (5)

  1. 소화약제가 충전되도록 약제실(11)이 형성된 약제호스(10)와;
    상기 약제호스(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약제실(11) 내의 소화약제를 가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모듈(20)과;
    상기 가압모듈(20) 또는 상기 약제호스(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약제실(11) 내의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도록 구비되는 분사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모듈(20)은 상기 약제호스(10)에 연통되는 주입관로(22)가 형성된 모듈본체(21)와, 이 모듈본체(21)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가스가 충전된 밀폐용기 형태로 구비된 인플레이터(30)와, 상기 주입관로(22)를 통하여 상기 인플레이터(30)에 충전된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구비된 개방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수단(50)은 상기 약제호스(10)에 연통되는 배출관로(54)가 형성된 분사본체(51)와, 상기 분사본체(51)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로(54)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개폐밸브(52)와, 이 개폐밸브(52)를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조작레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듈본체(21)에는 상기 약제실(11) 내의 소화약제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입관로(22)를 개폐하는 일방향밸브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약제실(11) 내로 유입되는 상기 인플레이터(30)의 가압가스 양을 제어하도록 상기 주입관로(22)를 개폐하는 조절밸브(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핀(40)은 상기 주입관로(22) 상에 위치되도록 고정된 상태로 상기 모듈본체(21)에 내장되고,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상기 모듈본체(21)에 나사체결되어 조임에 의해 상기 개방핀(40)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상기 모듈본체(2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방핀(40)은 버튼 또는 수동제거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인플레이터(30)를 타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핀(40)은 상기 인플레이터(30)에 박힌 상태에서도 가스의 분출이 가능하도록 중공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KR1020090100371A 2009-10-21 2009-10-21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KR10095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71A KR100958603B1 (ko) 2009-10-21 2009-10-21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371A KR100958603B1 (ko) 2009-10-21 2009-10-21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603B1 true KR100958603B1 (ko) 2010-05-18

Family

ID=4228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371A KR100958603B1 (ko) 2009-10-21 2009-10-21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399A (ko) * 2019-10-28 2021-05-07 심근보 원통형 소공간용 소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430A (ja) * 1996-04-17 1997-10-28 Nobuyasu Uematsu 蓄圧式消火器のガス充填装置
JPH09276746A (ja) * 1996-04-18 1997-10-28 Tien Shen Yuan 散水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430A (ja) * 1996-04-17 1997-10-28 Nobuyasu Uematsu 蓄圧式消火器のガス充填装置
JPH09276746A (ja) * 1996-04-18 1997-10-28 Tien Shen Yuan 散水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399A (ko) * 2019-10-28 2021-05-07 심근보 원통형 소공간용 소화장치
KR102362891B1 (ko) * 2019-10-28 2022-02-11 심근보 원통형 소공간용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601B1 (ko) 호스형 소화기
KR20080114460A (ko) 패널형 소화장치
KR101175309B1 (ko) 밸브조절식 소화기
KR100958603B1 (ko) 분사식 호스형 소화기
KR101357790B1 (ko) 펌프 내장형 교육용 소화기
KR101106973B1 (ko) 가압식 소화기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CN207005420U (zh) 燃气型气体发生剂式驱动装置
KR102236260B1 (ko) 패키지형 호스릴 스프링클러장치
KR200432282Y1 (ko) 호신용 최루가스 분사장치
KR100958601B1 (ko) 인플레이터 외장타입 가압식 소화기
KR200327645Y1 (ko) 소화기
KR20040015847A (ko)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KR100767241B1 (ko)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KR101259406B1 (ko) 호신용 향수병
KR100992898B1 (ko) 패널형 소화장치
KR100963121B1 (ko) 가압식 소화기 작동장치
KR200445106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피스톤 방식의 산불 진압용 물 분사 장치
KR102447276B1 (ko)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KR20090069605A (ko) 교육용 소화장치
KR20090001152U (ko) 자동소화기용 실린더 밸브
KR100233296B1 (ko) 휴대용 소화기
CN214344087U (zh) 灭火装置
CN214318949U (zh) 灭火装置
KR102621440B1 (ko) 투명용기를 사용한 축압식 분말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